마이크로그라피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이크로그라피아는 로버트 훅이 1665년에 출판한 책으로, 현미경으로 관찰한 다양한 대상의 그림과 설명을 담고 있다. 훅은 파리 눈, 벼룩, 이, 코르크의 세포 등 다양한 대상을 관찰하고 묘사했으며, 특히 코르크를 관찰하여 벌집과 유사한 구조를 '세포'라고 명명했다. 훅은 다양한 조명과 배율의 렌즈를 사용하여 얻은 관찰 결과를 바탕으로 이미지를 구성했으며, 인공물과 자연물의 대비를 통해 인간과 자연의 차이를 강조했다. 이 책은 왕립 학회의 위상을 높이는 데 기여했으며, 새뮤얼 핍스는 이 책을 극찬했다. 한국어 번역본으로는 판쿠라 세이센과 에나다 에이지가 일본어 번역본을 바탕으로 번역한 《마이크로그라피아: 미소 세계 도설》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665년 과학 - 세포
세포는 생명체의 기본 단위로서 원핵세포와 진핵세포로 나뉘며, 세포막, 세포질, 유전 물질을 포함하는 기본 구조를 공유하지만, 진핵세포는 막으로 둘러싸인 세포 소기관을 가져 원핵세포보다 복잡하고, 인체의 경우 약 30조 개의 세포로 구성되어 특정 기능을 수행하며, 약 40억 년 전 원핵세포의 세포내 공생을 통해 진화한 것으로 여겨진다. - 생물학 책 - 자연의 체계
칼 린네가 1735년에 처음 출판한 《자연의 체계》는 동물, 식물, 광물을 계층적으로 분류한 자연 분류 체계를 담은 저서로, 1758년 10판부터 동물 분류에 획기적인 변화를 가져왔으나, 인종 분류에서 식민주의적 편견에 대한 비판도 받는다. - 생물학 책 - 자산어보
자산어보는 정약전이 흑산도 근해의 해양 생물을 연구하여 어류, 무린류, 개류, 잡류 등으로 분류하여 이름, 모양, 습성, 맛, 쓰임새 등을 기록한 책이다.
마이크로그라피아 | |
---|---|
서지 정보 | |
제목 | 마이크로그라피아 |
원제 | Micrographia: or Some Physiological Descriptions of Minute Bodies Made by Magnifying Glasses. With Observations and Inquiries Thereupon |
저자 | 로버트 훅 |
삽화가 | 해당사항 없음 |
표지 미술가 | 해당사항 없음 |
국가 | 영국 |
언어 | 영어 |
장르 | 현미경학 |
출판사 | 왕립 학회 |
출판일 | 1665년 1월 |
ISBN | 해당사항 없음 |
앞선 작품 | 해당사항 없음 |
후속 작품 | 해당사항 없음 |
2. 관찰
훅은 자신이 직접 제작한 현미경을 사용하여 파리의 눈, 식물 세포 등 다양한 대상을 관찰했다. 특히, 코르크를 관찰하면서 벌집과 유사한 구조를 발견하고, 이를 '세포(cell)'라고 명명했다.[2]
훅은 현미경으로 벼룩, 이 등의 곤충, 코르크, 곰팡이, 이끼 등의 식물, 바늘 끝이나 면도칼과 같은 무기물까지 다양한 것을 관찰하여 70점의 스케치를 ''마이크로그라피아''에 수록했다.
2. 1. 곤충
훅은 파리의 눈과 식물 세포를 묘사했는데, 특히 곤충의 접이식 판은 새로운 현미경의 엄청난 힘을 보여주었다. 곤충 판들은 펼치면 큰 대형 판형 책 자체보다 더 커지며, 특히 이의 판화는 책 크기의 네 배가 된다.[2] 훅은 벼룩, 이, 각다귀 등 다양한 곤충의 모습을 정밀하게 묘사했다.



2. 2. 식물
훅은 현미경을 사용하여 벼룩, 이 등의 곤충뿐만 아니라 코르크, 곰팡이, 이끼 등의 식물도 관찰했다. 특히 훅은 파리의 눈과 식물 세포를 묘사했는데, 식물 세포는 세포벽이 있어 벌집과 비슷하여 그가 이 용어를 처음 사용했다고 알려져 있다.[2]
2. 3. 무생물
훅은 면도칼 날의 들쭉날쭉한 가장자리와, 현미경으로 보면 뭉툭해 보이는 바늘 끝과 같은 인공물도 관찰했다. 그는 이를 통해 인간이 만든 물체의 불완전함과 자연의 완벽함(당시의 정신에 따라 성경적 창조의 정신)을 대조하고자 했다.[3]3. 방법
훅은 다양한 조명 조건과 배율이 다른 렌즈를 사용하여 여러 관점에서 얻은 수많은 관찰 결과를 바탕으로 이미지를 구성했다.[6] 그의 표본은 현미경으로 관찰할 수 있도록 많은 조작과 준비가 필요했다.[6] 그는 종종 제시된 물체를 둥근 틀 안에 넣어 현미경 렌즈를 통해 보는 경험을 보는 이에게 환기시켰다.[6]
훅이 자신의 판화를 식별하기 위해 '스키마(schema)'라는 용어를 사용한 것은 그가 이미지에 다이어그램적인 방식으로 접근했으며, 묘사된 물체의 연구 또는 시각적 해부를 의미한다는 것을 시사한다.[5]
4. 반응
왕립 학회의 후원으로 출판된 《마이크로그라피아》는 학회의 이미지를 높이고 잉글랜드 최고의 과학 기관이라는 사명을 달성하는 데 기여했다. 《마이크로그라피아》의 미세 세계에 대한 삽화는 대중의 상상력을 사로잡았다. 당대의 유명 인사였던 새뮤얼 핍스는 이 책을 "내 인생에서 읽은 가장 기발한 책"이라고 극찬했다.[4]
5. 한국어 번역
한국에서는 판쿠라 세이센(板倉聖宣)과 에나다 에이지(永田英治)가 일본어 번역본을 바탕으로 《마이크로그라피아: 미소 세계 도설》을 번역하여 카세츠샤(仮説社)에서 출판했다.
참조
[1]
서적
Life's Engines: How Microbes Made Earth Habitable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21-01-27
[2]
웹사이트
Robert Hooke
http://www.ucmp.berk[...]
[3]
논문
A microscopic reality tale
2009-06-00
[4]
웹사이트
Samuel Pepys Diary, 21 January 1665
http://www.pepys.inf[...]
2015-12-13
[5]
뉴스
Eureka! Lost manuscript found in cupboard
https://www.theguard[...]
2014-01-16
[6]
서적
The Art of Natural History
National Gallery of Art
20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