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크리너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크리너스는 217년 카라칼라를 암살하고 황위에 오른 로마 제국의 황제이다. 베르베르계 기사 계층 출신으로,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치하에서 법조인으로 명성을 얻고 카라칼라의 치세에서 근위대장(프라이펙투스 프라이토리오)을 역임했다. 황제가 된 후 파르티아와의 전쟁을 외교적으로 해결하고 재정 개혁을 시도했지만, 군인들의 불만을 사면서 지지를 잃었다. 율리아 마이사의 반란으로 인해 218년 안티오키아 전투에서 패배하고 도주하다 체포되어 처형되었으며, 기록말살형을 당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65년 출생 - 장비 (삼국지)
장비는 후한 말 삼국시대 촉한의 장군으로 유비, 관우와 도원결의를 맺고 유비를 도와 촉한 건국에 공을 세웠으나 부하에게 암살당했으며, 용맹함과 과격한 성품으로 널리 알려져 용맹한 장수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 번역이 검토되지 않은 문서 - 베추아날란드 보호령
베추아날란드 보호령은 1885년 영국이 현재의 보츠와나에 수립한 보호령으로, 츠와나족의 땅을 의미하며, 영국령 베추아날란드는 케이프 식민지에 합병되었으나, 츠와나족의 반대로 로디지아나 남아프리카에 넘어가지 않고 1966년 보츠와나 공화국으로 독립할 때까지 영국의 통치를 받았다. - 번역이 검토되지 않은 문서 - 굿모닝 미드나이트
《굿모닝 미드나이트》는 전쟁으로 고립된 천문학자와 귀환하는 우주인의 이야기를 교차적으로 그리며 종말 이후의 상황과 인물들의 고통을 탐구하는 소설로, 후반부에는 반전이 드러나고 《미드나이트 스카이》로 영화화되었다. - 218년 사망 - 서간
서간은 후한 말기 건안칠자 중 한 명으로, 가난한 환경 속에서도 뛰어난 학문적 재능을 보였으며 조조를 섬기며 관직 생활을 하고 유학에 기반한 독자적인 사상을 담은 《중론》을 저술하여 당대 인물들에게 높은 평가를 받았다. - 218년 사망 - 디아두메니아누스
디아두메니아누스는 208년에 태어나 217년 아버지 마크리누스가 황제가 된 후 카이사르로 격상되었으나, 218년 반란으로 체포되어 처형되었고, 사후 로마 원로원은 그의 흔적을 지우려 했다.
마크리너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작위 | 로마 제국의 22대 황제 |
재위 | 217년 4월 11일-218년 6월 8일 |
전임자 | 카라칼라 |
후임자 | 엘라가발루스 |
공동 재위자 | 디아두메니아누스 (217년-218년) |
본명 | 마르쿠스 오펠리우스 |
출생일 | 165년 경 |
출생지 | 카이사레아 |
사망일 | 218년 6월 |
사망지 | 카파도키아 |
배우자 | 노니아 켈사 |
자녀 | 디아두메니아누스 |
이름 | |
로마자 표기 | Makrineuseu |
2. 배경 및 경력
마크리누스는 로마 제국의 북아프리카 속주 마우레타니아 카이사리엔시스 출신의 베르베르계 에퀴테스 가문에서 태어났다.[1][2] 높은 교육 수준을 바탕으로 법조인으로 경력을 시작했으며,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황제 치하에서 주요 직책을 거쳐 카라칼라 황제 때 근위대 사령관인 프라이펙투스 프라이토리오에 임명되었다.[1][2] 이는 에퀴테스 계급 출신으로서는 매우 성공적인 경력이었다.
2. 1. 출생 및 가문
마크리너스는 마우레타니아 카이사리엔시스 속주에 위치한 카이사레아 (현재 알제리 체르첼시)에서 베르베르계 에퀴테스 계층 가문에서 태어났다.[1][2] 역사학자 데이비드 포터에 따르면, 그의 귀에 뚫린 구멍은 베르베르인의 고유 풍습을 나타낸다고 한다. 높은 수준의 교육을 받은 마크리너스는 로마 정계에 진출할 수 있었으며, 유능한 법조인으로 명성을 얻어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치하에서 주요 보직을 맡게 되었다. 세베루스의 후계자인 카라칼라는 마크리너스를 프라이토리아니의 프라이펙투스 프라이토리오로 임명했다.2. 2. 초기 경력
마크리너스는 마우레타니아 카이사리엔시스 속주에 위치한 카이사레아 (현재 알제리 체르첼시)에서 베르베르계 에퀴테스 계층 가문에서 태어났다.[1][2] 역사학자 데이비드 포터에 따르면, 마크리너스의 귀에 구멍이 뚫려 있었는데 이는 베르베르인의 풍습이었다고 한다. 그는 높은 수준의 교육을 받아 로마 정계에 진출할 수 있었으며, 유능한 법조인으로 명성을 얻어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황제 치하에서 주요 보직을 맡았다. 세베루스의 뒤를 이은 카라칼라 황제는 그를 프라이토리아니의 프라이펙투스 프라이토리오로 임명했다.2. 3. 카라칼라 암살
마크리너스는 카라칼라 황제의 총애를 받았지만, 한 아프리카 출신 예언자가 마크리너스가 황제를 폐위하고 뒤를 이을 것이라고 예언하자 신변에 위협을 느꼈다. 이를 접한 마크리너스는 카라칼라가 이 소식을 알고 자신을 제거하기 전에 먼저 살해하기로 결심했다.217년 봄, 마크리너스와 카라칼라는 파르티아 제국 원정을 위해 동부 속주에 있었다. 4월, 카라칼라는 카레 전투가 벌어졌던 곳 근처에 있는 루나 신전을 방문했는데, 이때 마크리너스를 포함한 소수의 개인 경호원만 동행했다. 4월 8일, 카라칼라는 성전으로 이동하던 중 마크리너스의 사주를 받은 군인 유스티노 마르티알리스에게 칼에 찔려 목숨을 잃었다. 마르티알리스는 범행 직후 근위대에게 살해당했다. 카라칼라의 갑작스러운 죽음으로 로마 제국은 2~3일간 황제가 없는 상태가 되었다.[3]
2. 4. 황제 즉위
카라칼라 황제의 총애를 받던 마크리너스는, 한 아프리카 출신 예언자가 마크리너스가 황제를 폐위하고 뒤를 이을 것이라고 예언하자[1][2] 카라칼라가 이 소식을 듣고 자신을 제거하기 전에 먼저 그를 살해하기로 결심했다.[1][2]217년 봄, 마크리너스와 카라칼라는 파르티아 제국 원정을 준비하며 동부 속주에 머물고 있었다. 4월, 카라칼라는 카레 전투가 벌어졌던 곳 근처의 루나 신전을 방문했는데, 이때 마크리너스를 포함한 소수의 개인 경호원만 동행했다. 4월 8일, 신전으로 가던 중 카라칼라는 마크리너스가 사주한 군인 유스티노 마르티알리스에게 칼에 찔려 살해당했다.[1][2] 마르티알리스 역시 직후 근위대에게 살해되었다.
카라칼라가 사망한 후 로마는 2~3일 동안 황제가 없는 상태였다.[1][2][3] 4월 11일, 마크리너스는 원로원의 승인을 기다리지 않고 스스로 황제임을 선포하고 모든 칭호와 권한을 취했다. 근위대가 그의 황제 즉위를 지지했으며, 멀리 떨어진 원로원은 이에 개입할 힘이 없었다.[1][2] 마크리너스는 황제가 된 후 로마로 돌아가지 않고 통치 기간 내내 안티오키아에 머물렀다.[4]
마크리너스는 원로원 의원이 아닌 에퀴테스 계급 출신으로는 최초의 황제였으며, 마우레타니아 출신 최초의 황제이기도 했다.[5] 그는 세베루스 왕조를 기리는 의미에서 '세베루스'라는 이름을 채택했고, 아내 노니아 셀사에게는 아우구스타라는 칭호를 수여했다. 또한 네르바-안토니누스 왕조를 기리기 위해 당시 8세였던 아들 디아두메니아누스에게 카이사르 칭호와 함께 '안토니누스'라는 이름을 부여했다.[5][6][7][8]
3. 재위
에퀴테스 출신이라는 배경에도 불구하고, 원로원은 카라칼라를 제거했다는 점과 근위대의 지지를 받고 있다는 이유로 마크리너스를 황제로 승인했다. 그러나 원로원은 그가 마우레타니아 출신이라는 점보다는 에퀴테스 계층 출신이라는 점에 더 주목하며 우려했고, 원로원 의원이 아니면서 무력으로 황제가 되었다는 이유로 그를 멸시하기도 했다.
황제에 즉위한 마크리너스는 전임자 카라칼라가 남긴 여러 문제를 해결해야 했다. 카라칼라는 외교보다는 전쟁을 선호했기에 해결해야 할 외교적 갈등이 많았으며, 방만한 재정 지출로 인해 국고가 바닥난 상태였다. 카라칼라는 군인들의 연봉을 크게 인상했었다.[9][10]
마크리너스는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노력했다. 파르티아, 아르메니아, 다키아 등과의 갈등을 외교적으로 해결하려 했으며, 이는 자원과 인력 부족 때문일 가능성도 제기된다. 또한 카라칼라의 재정 정책을 일부 되돌려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시절과 유사하게 운영하려 시도했다. 그는 데나리우스의 은 함량을 조정하고,[12] 신병들의 급여를 세베루스 시대 수준으로 낮추었다.
그러나 이러한 재정 및 군사 정책 조정은 기존 군인들의 불만을 샀다. 고참 군인들은 신병 급여 삭감이 결국 자신들의 특권과 급여 감소로 이어질 것이라 우려했고, 이는 마크리너스가 군대의 지지를 잃는 주요 원인이 되었다.
한편, 카라칼라의 어머니 율리아 도므나와의 관계도 악화되었다. 마크리너스는 율리아 도므나가 자신에게 반하는 음모를 꾸민다고 의심하여 그녀를 안티오키아에 가택 연금했고, 도므나는 곧 그곳에서 사망했다.[13] 이후 마크리너스는 도므나의 여동생 율리아 마이사와 그 가족들을 시리아의 에메사로 보냈는데, 이는 율리아 마에사가 마크리너스를 전복시킬 계획을 세우는 계기가 되었다.[14] 마크리너스가 황제로 선포된 후에도 로마로 가지 않고 안티오키아에 머무른 것 역시 로마에서의 인기를 떨어뜨렸고, 그의 몰락에 영향을 미쳤다.[15]
3. 1. 대외 정책
마크리너스는 황제가 되었을 때 전임자 카라칼라가 남겨둔 여러 문제를 해결해야 했다. 카라칼라는 외교보다는 전쟁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었기 때문에 마크리너스가 해결해야 할 갈등이 많았다.[9][10]가장 먼저 파르티아의 위협에 대처해야 했다. 로마는 카라칼라 통치 시기부터 파르티아와 전쟁을 벌이고 있었다. 마크리너스는 217년 니시비스에서 승산이 낮은 전투를 치른 후, 파르티아와 평화 협정을 맺기로 결정했다. 평화를 얻는 대가로 마크리너스는 파르티아의 왕 아르타바누스 4세에게 상당한 액수의 배상금을 지불해야 했다. 당시 로마는 다키아와 아르메니아로부터도 위협을 받고 있었기 때문에, 파르티아와의 평화는 로마에게 이익이 되는 조치였을 가능성이 크다.
이후 마크리너스는 아르메니아 문제로 관심을 돌렸다. 216년, 카라칼라는 아르메니아의 왕 코스로프 1세와 그의 가족들을 투옥시킨 바 있다. 카라칼라는 코스로프 1세가 왕위 계승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회담에 동의하자 그를 가두고, 대신 아르메니아를 통치할 새로운 로마 총독을 임명했다. 이에 분노한 아르메니아인들은 로마에 반란을 일으켰다.[11] 마크리너스는 코스로프 1세의 아들이자 후계자인 티리다테스 2세에게 왕관과 전리품을 돌려주고 그의 어머니를 감옥에서 풀어주었다. 이를 통해 아르메니아를 로마의 속국으로 회복시키는 평화 조약을 맺었다.
마크리너스는 인질 석방을 통해 다키아와도 평화를 이루었지만, 이 일은 마크리너스 자신이 아니라 마르키우스 아그리파가 처리했을 가능성이 있다. 외교 정책에 있어서 마크리너스는 외교적으로 분쟁을 해결하려는 경향을 보였고 군사적 갈등에 개입하는 것을 꺼렸는데, 이는 개인적인 선호도보다는 당시 로마 제국의 자원과 인력이 부족했기 때문일 것으로 추정된다.
3. 2. 재정 및 군사 정책
마크리너스는 황제 즉위 당시 전임자 카라칼라가 남긴 여러 문제를 해결해야 했다. 특히 카라칼라 재위 동안의 방만한 재정 지출 문제가 심각했다. 카라칼라는 군인들의 연봉을 2,000세스테르티우스에서 3,000세스테르티우스로 크게 인상했는데,[9][10] 이로 인해 늘어난 지출을 감당하기 위해 모든 수입원을 동원했음에도 국고는 바닥난 상태였다. 또한 카라칼라는 외교보다는 전쟁을 선호하여 여러 지역에서 갈등이 진행 중이었는데, 마크리너스는 자원과 인력 부족 때문에 군사적 갈등 개입을 꺼리고 외교적으로 분쟁을 해결하려는 경향을 보였다.마크리너스는 카라칼라의 재정 정책을 뒤집고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시절과 유사한 정책을 시행했다. 그는 로마 통화를 재평가하여 데나리우스의 은 순도와 무게를 카라칼라 말기의 50.78%와 1.66g에서 57.85%와 1.82g으로 늘렸다. 이는 197년부터 209년 사이 세베루스의 재정 정책을 본뜬 것이었다.[12] 마크리너스는 이를 통해 세베루스 통치 기간 동안 누렸던 상대적인 경제적 안정을 되찾으려 시도했다.
또한, 군인 급여 정책에도 변화를 주었다. 카라칼라 통치 기간 동안 징집된 군인들은 높은 봉급과 은사금을 계속 받았지만, 새로 징집되는 신병들에 대해서는 세베루스가 정한 수준으로 급여를 낮추었다. 그러나 이러한 정책은 당시 막강한 권력을 가지고 있던 고참 군인들의 불만을 샀다. 그들은 신병 급여 삭감이 결국 자신들의 특권과 급여까지 감소시킬 것이라는 징조로 여겼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마크리너스는 자신의 중요한 지지 기반이었던 군인들 사이에서 인기를 크게 잃었다.
3. 3. 율리아 도므나와의 갈등
카라칼라의 어머니 율리아 도므나는 마크리너스가 황제가 된 초기에는 평화롭게 지냈다. 그러나 마크리너스는 율리아 도므나가 자신에게 반하는 음모를 꾸민다는 사실을 알아채고, 그녀를 안티오키아에 가택 연금시켰다.[13] 당시 율리아 도므나는 유방암으로 추정되는 병을 앓고 있었으며, 결국 가택 연금 상태에서 굶주려 사망했다.[13] 이후 마크리너스는 율리아 도므나의 여동생인 율리아 마이사와 그녀의 아이들을 시리아의 에메사로 돌려보냈다. 율리아 마에사는 그곳에서 마크리너스를 전복시키려는 계획을 실행에 옮겼다.[14] 마크리너스는 황제로 선언된 후에도 로마로 가지 않고 안티오키아에 머물렀는데, 이는 로마에서 그의 인기를 떨어뜨렸고 결국 몰락의 원인 중 하나가 되었다.[15]4. 몰락
마크리너스의 짧은 통치는 세베루스 왕조를 복원하려는 율리아 마에사의 움직임으로 인해 위협받기 시작했다. 율리아 마에사는 자신의 손자 엘라가발루스를 카라칼라의 진정한 후계자로 내세웠고, 이는 로마 제국 동방 주둔 군단의 지지를 얻어 218년 반란으로 이어졌다. 이 반란은 마크리너스 정권의 몰락을 가져오는 결정적인 사건이 되었다.
4. 1. 엘라가발루스의 반란

율리아 마에사는 20년 동안 모은 막대한 재산을 가지고 손자 엘라가발루스를 포함한 가족들과 함께 에메사로 갔다. 당시 14세였던 엘라가발루스는 에메사의 페니키아 태양신 엘라가발루스(혹은 엘가발)를 섬기는 제사장이었다. 라파네아 근처에 주둔하던 갈리카 제3군단 소속 병사들은 자주 에메사를 방문하여 엘라가발루스가 사제로서 의식을 수행하는 모습을 지켜보았다. 율리아 마에사는 이를 이용하여 병사들에게 엘라가발루스가 사실 카라칼라의 사생아라는 소문을 퍼뜨렸다.[16] 218년 5월 16일, 갈리카 제3군단은 라파네아 주둔지에서 엘라가발루스를 황제로 선포했다. 엘라가발루스의 반란 소식이 전해지자 마크리너스는 아파메아로 이동하여 자신의 아들 디아두메니아누스에게 아우구스투스 칭호를 부여하고 공동 황제로 삼았다.
4. 2. 안티오키아 전투와 처형
엘라가발루스의 반란 이후 마크리너스는 아파메아로 이동하여 아들 디아두메니아누스에게 아우구스투스 칭호를 부여하고 공동 황제로 삼았다.[16]마크리너스는 반란 소식을 들었지만 즉각 대응하지 않고 안티오키아에 머물렀다. 그는 울피우스 율리아누스가 지휘하는 기병대를 보내 반란군을 진압하려 했으나 실패했고, 오히려 이 과정에서 율리아누스가 사망하면서 엘라가발루스의 군대는 더욱 강해졌다. 얼마 지나지 않아 엘라가발루스의 스승 간니스가 이끄는 군대가 안티오키아로 진군하여, 218년 6월 8일 안티오키아에서 약 약 38.62km 떨어진 임매 마을 근처에서 마크리너스의 군대와 교전했다.[17] 이어진 안티오키아 전투 도중 마크리너스는 전장을 이탈하여 도주했다.[18] 이후 안티오키아에서도 전투가 벌어지자 그곳마저 포기하고 도망쳤다.[18] 결국 엘라가발루스가 로마 제국의 새로운 통치자로서 안티오키아에 입성했다.[19]
마크리너스는 로마로 도망치려 했으나 칼케돈에서 체포되었다.[20] 그의 아들이자 공동 황제였던 디아두메니아누스는 파르티아의 아르타바누스 4세에게 보호를 요청하기 위해 보내졌지만, 제우그마에서 붙잡혀 218년 6월 처형되었다.[21][20] 디아두메니아누스는 황제로 즉위한 지 한 달도 되지 않아 약 10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마크리너스는 아들의 죽음을 전해 듣고 탈옥을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부상을 입었으며,[20] 이후 카파도키아에서 처형되었다.[20] 마크리너스와 디아두메니아누스의 잘린 머리는 엘라가발루스에게 전리품으로 보내졌다.[20][22]
5. 기록말살형
마크리너스와 그의 아들 디아두메니아누스가 사망했다는 소식이 로마에 전해지자, 원로원은 즉시 두 사람을 국가의 적으로 선언했다. 동시에 엘라가발루스는 새로운 황제로 인정받았다. 국가의 적으로 선포됨에 따라 마크리너스와 디아두메니아누스에 대한 기록말살형이 집행되었다. 두 사람의 초상화는 파괴되었고, 비문과 파피루스 등 모든 기록에서 그들의 이름이 삭제되었다. 또한, 마크리너스에 반대하고 엘라가발루스를 지지했던 로마 군인들은 마크리너스가 남긴 모든 작품과 소유물을 파괴했다. 이러한 기록말살형의 영향으로 현재 남아있는 마크리너스의 대리석 흉상 중 상당수가 파손된 상태이며, 마크리너스와 디아두메니아누스를 새긴 많은 동전 역시 파괴되었다. 이는 당시 로마 사회에서 마크리너스가 얼마나 인기가 없었는지를 보여주는 증거로 여겨진다.[23]
참조
[1]
서적
North Africa, Revised Edition: A History from Antiquity to the Present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Texas Press
[2]
서적
The Severans: The Changed Roman Empire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3]
서적
Imperial Rome AD 193 to 284: The Critical Century
Edinburgh University Press
2012
[4]
서적
Mutilation and transformation: damnatio memoriae and Roman imperial portraiture
Brill Academic
[5]
서적
Ancient Rome
Rowman and Littleman Publishers
[6]
서적
The History of the Roman Emperors From Augustus to Constantine, Volume 8
F. C. & J. Rivington
[7]
서적
Mutilation and transformation: damnatio memoriae and Roman imperial portraiture
Brill Academic
[8]
서적
Encyclopedia of the Roman Empire
Infobase Publishing
[9]
서적
Ancient Rome
https://archive.org/[...]
Lanham: Rowman and Littlefield
[10]
서적
The Romans, from village to empire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11]
서적
The History of Armenia: From the Origins to the Present
Springer
[12]
웹인용
Roman Currency of the Principate
http://www.tulane.ed[...]
2016-08-30
[13]
서적
Ancient Rome
Rowman and Littleman Publishers
[14]
서적
Ancient Rome
Rowman and Littleman Publishers
[15]
서적
History of Antioch in Syria: From Seleucus to the Arab Conquest
Literary Licensing
[16]
서적
Ancient Rome
Rowman and Littleman Publishers
[17]
서적
History of Antioch in Syria: From Seleucus to the Arab Conquest
Literary Licensing
[18]
서적
History of Antioch in Syria: From Seleucus to the Arab Conquest
Literary Licensing
[19]
서적
The Crimes of Elagabalus: The Life and Legacy of Rome's Decadent Boy Emperor
I. B. Tauris
[20]
서적
The History of the Roman Emperors from Augustus to Constantine, Volume 8
F. C. & J. Rivington
[21]
서적
Ancient Rome
Rowman and Littleman Publishers
[22]
서적
Encyclopedia of the Roman Empire
Infobase Publishing
[23]
서적
Mutilation and transformation: damnatio memoriae and Roman imperial portraiture
Brill Academi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