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막스 플랑크 메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막스 플랑크 메달은 독일 물리학회가 수여하는 이론물리학 분야의 권위 있는 상이다. 1929년 막스 플랑크와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을 시작으로, 매년 뛰어난 업적을 이룬 물리학자들에게 수여된다. 수상자 명단에는 닐스 보어, 베르너 하이젠베르크, 에르빈 슈뢰딩거, 폴 디랙, 엔리코 페르미, 한스 베테 등 2024년까지 90명이 넘는 저명한 과학자들이 포함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물리학상 - 노벨상
    노벨상은 알프레드 노벨의 유언에 따라 인류에 공헌한 사람들에게 수여되는 권위 있는 상으로, 물리학, 화학, 생리 의학, 문학, 평화, 경제학 6개 분야에서 스웨덴과 노르웨이의 기관들이 수상자를 선정한다.
  • 물리학상 - 마테우치 메달
    마테우치 메달은 이탈리아 과학 아카데미에서 물리학 분야의 뛰어난 업적을 기려 과학자에게 수여하는 상으로, 헤르만 폰 헬름홀츠, 마리 퀴리,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닐스 보어 등 저명한 과학자들이 수상했으며 유럽과 미국, 영국 등 다양한 국적의 과학자들이 수상했지만 현재까지 한국인 수상자는 없다.
막스 플랑크 메달
막스 플랑크 메달
막스 플랑크 메달
막스 플랑크 메달
정보
수여 기관독일 물리학회 (DPG)
분야이론 물리학
수여 목적이론 물리학 분야에서 특별한 업적을 이룬 사람에게 수여
첫 수여1929년
최근 수상자발레리 루바셰프스키 (2023년)
웹사이트독일 물리학회 - 막스 플랑크 메달
기타
같이 보기막스 플랑크 연구소

2. 수상자

막스 플랑크 메달은 이론 물리학 분야에서 뛰어난 업적을 이룬 과학자에게 수여되는 상이다. 역대 수상자 목록은 다음과 같다.

연도수상자
1929막스 플랑크,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1930닐스 보어
1931아르놀트 조머펠트
1932막스 폰 라우에
1933베르너 하이젠베르크
1934 ~ 1936(수여되지 않음)
1937에르빈 슈뢰딩거
1938루이 드 브로이
1939 ~ 1941(수여되지 않음)
1942파스쿠알 요르단
1943프리드리히 훈트
1944발터 코셀
1945 ~ 1947(수여되지 않음)
1948막스 보른
1949오토 한, 리제 마이트너
1950피터 디바이
1951제임스 프랑크, 구스타프 헤르츠
1952폴 디랙
1953발터 보테
1954엔리코 페르미
1955한스 베테
1956빅토어 바이스코프
1957카를 프리드리히 폰 바이츠제커
1958볼프강 파울리
1959오스카르 클라인
1960레프 란다우
1961유진 위그너
1962랠프 크로니히
1963루돌프 파이얼스
1964새뮤얼 하우드스밋, 조지 윌렌벅
1965(수여되지 않음)
1966게르하르트 뤼더스
1967해리 레만
1968발터 하이틀러
1969프리먼 다이슨
1970루돌프 하크
1971(수여되지 않음)
1972헤르베르트 프뢸리히
1973니콜라이 보골류보프
1974레옹 판 호버
1975그레고르 벤첼
1976에른스트 슈튀켈베르크
1977발터 티링
1978파울 페터 에발트
1979마르쿠스 피에르츠
1980(수여되지 않음)
1981쿠르트 쥐만치크
1982한스아르베트 바이덴뮐러
1983니콜러스 케머
1984레스 요스트
1985난부 요이치로
1986프란츠 베그너
1987율리우스 베스
1988발렌티네 바르그만
1989브루노 추미노
1990헤르만 하켄
1991볼프하르트 치머만
1992엘리엇 H. 리브
1993쿠르트 빈더
1994한스위르겐 보르헤르스
1995지크프리트 그로스만
1996류드비크 파데예프
1997제럴드 브라운
1998레몽 스토라
1999피에르 오앙베르그
2000마르틴 뤼셔
2001위르크 마르틴 프뢸리히
2002위르겐 엘러스
2003마르틴 구츠빌러
2004클라우스 헤프
2005페터 촐러
2006볼프강 괴체
2007조엘 리바위츠
2008데틀레프 부흐홀츠
2009로버트 그레이엄
2010디터 볼하르트
2011조르조 파리시
2012마르틴 치른바우어
2013베르너 남
2014다비드 뤼엘
2015비아체슬라프 무카노프
2016헤르베르트 바그너
2017헤르베르트 슈폰
2018후안 이그나시오 시라크
2019데틀레프 로제
2020안제이 부라스
2021알렉산더 마르코비치 폴리야코프
2022아네테 치펠리우스
2023라시드 A. 순야예프
2024에르빈 프라이
2025라인하르트 F. 베르너


2. 1. 1929년 ~ 1949년

연도수상자주요 업적
1929년막스 플랑크,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1930년닐스 보어양자론, 원자 구조 연구
1931년아르놀트 조머펠트양자론 발전
1932년막스 폰 라우에X선 회절 연구, 결정 구조 발견
1933년베르너 하이젠베르크양자역학, 불확정성 원리
1934년 ~ 1936년수상자 없음
1937년에르빈 슈뢰딩거양자역학, 슈뢰딩거 방정식
1938년루이 드 브로이물질파 이론
1939년 ~ 1941년수상자 없음
1942년파스쿠알 요르단양자장론
1943년프리드리히 훈트분자 오비탈 이론, 훈트 규칙
1944년발터 코셀화학 결합 이론
1945년 ~ 1947년수상자 없음
1948년막스 보른양자역학, 파동함수 통계적 해석
1949년오토 한, 리제 마이트너핵분열 발견


2. 2. 1950년 ~ 1974년

연도수상자국가업적
1950년피터 데바이Peter Debye|페터 데비nl쌍극자 모멘트, X선 회절
1951년제임스 프랑크
구스타프 헤르츠
James Franck|제임스 프랑크de
Gustav Hertz|구스타프 헤르츠de
프랑크-헤르츠 실험
1952년폴 디랙Paul Dirac|폴 디랙영어양자전기역학, 디랙 방정식
1953년발터 보테Walther Bothe|발터 보테de보테-베커 실험, 동시 계수법
1954년엔리코 페르미Enrico Fermi|엔리코 페르미it베타 붕괴, 페르미-디랙 통계
1955년한스 베테Hans Bethe|한스 베테de
Hans Bethe|한스 베테영어
항성 핵합성
1956년빅토어 바이스코프Victor Weisskopf|빅토어 바이스코프de
Victor Weisskopf|빅토어 바이스코프영어
양자전기역학
1957년카를 프리드리히 폰 바이츠제커Carl Friedrich von Weizsäcker|카를 프리드리히 폰 바이츠제커de항성 핵합성, 바이츠제커 공식
1958년볼프강 파울리Wolfgang Pauli|볼프강 파울리de파울리 배타 원리
1959년오스카르 클레인Oskar Klein|오스카르 클레인sv클라인-고든 방정식, 칼루차-클라인 이론
1960년레프 란다우Лев Ланда́у|레프 란다우ru응집물질물리학, 초유체
1961년유진 위그너Wigner Jenő|유진 위그너hu
Eugene Wigner|유진 위그너영어
원자핵 이론, 위그너 정리
1962년랠프 크로니히Ralph Kronig|랄프 크로니히de
Ralph Kronig|랄프 크로니히영어
X선 흡수 분광학, 크로니히-페니 모델
1963년루돌프 파이얼스Rudolf Peierls|루돌프 파이얼스de
Rudolf Peierls|루돌프 파이얼스영어
핵물리학, 맨해튼 계획
1964년새뮤얼 하우드스밋
조지 윌렌벅
Samuel Goudsmit|새뮤얼 하우드스밋nl
Samuel Goudsmit|새뮤얼 하우드스밋영어
George Uhlenbeck|조지 윌렌벅nl
George Uhlenbeck|조지 윌렌벅영어
전자의 스핀 발견
1965년수상자 없음
1966년게르하르트 뤼더스Gerhart Lüders|게르하르트 뤼더스deCPT 정리
1967년해리 레만Harry Lehmann|해리 레만deLSZ 축약 공식
1968년발터 하이틀러Walter Heitler|발터 하이틀러de양자화학, 하이틀러-런던 이론
1969년프리먼 다이슨Freeman Dyson|프리먼 다이슨영어양자전기역학, 다이슨 급수
1970년루돌프 하크Rudolf Haag|루돌프 하크de대수적 양자장론
1971년수상자 없음
1972년헤르베르트 프뢸리히Herbert Fröhlich|헤르베르트 프뢸리히de초전도, 폴라론
1973년니콜라이 보골류보프Никола́й Боголю́бов|니콜라이 보골류보프ru초전도, 양자 통계역학
1974년레옹 판 호버Léon Van Hove|레옹 판 호버nl응집물질물리학, 반 호버 특이점


2. 3. 1975년 ~ 1999년

연도수상자주요 업적
1975년그레고르 벤첼양자장론
1976년에른스트 슈튀켈베르크재규격화 이론
1977년발터 티링수리물리학, 티링 모형
1978년파울 페터 에발트X선 회절, 결정학
1979년마르쿠스 피에르츠스핀-통계 정리
1980년
1981년쿠르트 쥐만치크양자장론, 쥐만치크 방정식
1982년한스아르베트 바이덴뮐러핵물리학
1983년니콜러스 케머핵물리학
1984년레스 요스트양자장론, 요스트 함수
1985년난부 요이치로자발 대칭 깨짐, 표준 모형
1986년프란츠 베그너상전이, 게이지 이론
1987년율리우스 베스초대칭, 베스-주미노 모형
1988년발렌티네 바르그만군 표현론
1989년브루노 추미노초대칭, 베스-주미노 모형
1990년헤르만 하켄레이저, 시너지학
1991년볼프하르트 치머만양자장론
1992년엘리엇 H. 리브수리물리학, 안정성 문제
1993년쿠르트 빈더전산 통계 물리학, 몬테카를로 방법
1994년한스위르겐 보르헤르스대수적 양자장론
1995년지크프리트 그로스만유체역학, 난류
1996년류드비크 파데예프양자장론, 파데예프-포포프 유령
1997년제럴드 E. 브라운핵물리학, 핵자-핵자 상호작용
1998년레몽 스토라양자장론, BRST 대칭
1999년피에르 오앙베르그통계역학, 상전이


2. 4. 2000년 ~ 현재

2000년 ~ 현재 막스 플랑크 메달 수상자
연도수상자국적연구 분야
2000년마르틴 뤼셔독일격자 게이지 이론
2001년위르크 마르틴 프뢸리히스위스수리물리학
2002년위르겐 엘러스독일일반 상대성 이론
2003년마르틴 구츠빌러스위스양자 혼돈
2004년클라우스 헤프독일양자장론
2005년페터 촐러오스트리아양자 광학, 양자 정보
2006년볼프강 괴체독일응집물질물리학
2007년조엘 리바위츠미국통계역학
2008년데틀레프 부흐홀츠독일양자장론
2009년로버트 그레이엄독일양자 광학
2010년디터 볼하르트독일응집물질물리학
2011년조르조 파리시이탈리아통계역학, 무질서 시스템
2012년마르틴 치른바우어독일무질서 시스템, 랜덤 행렬 이론
2013년베르너 남독일수리물리학
2014년다비드 뤼엘벨기에/프랑스비평형 통계역학
2015년비아체슬라프 무카노프러시아/독일우주론
2016년헤르베르트 바그너독일통계 물리학
2017년헤르베르트 슈폰독일통계 물리학
2018년후안 이그나시오 시라크스페인양자 정보 이론
2019년데틀레프 로제독일유체 역학
2020년안제이 부라스폴란드입자 물리학
2021년알렉산더 마르코비치 폴리야코프러시아/미국양자장론, 끈 이론
2022년아네테 치펠리우스독일연성 응집 물질 물리학 및 생체 물리학
2023년라시드 A. 순야예프러시아/독일천체물리학, 우주론
2024년에르빈 프라이독일생물 물리학
2025년라인하르트 F. 베르너독일양자 정보 이론


참조

[1] 웹사이트 Official list of recipients of the Max-Planck medal https://www.dpg-phys[...] 2021-03-23
[2] 웹사이트 Videoportraits of some recent recipients https://www.dpg-phys[...] 2021-03-23
[3] 웹사이트 Historical background and present by-law https://www.dpg-phys[...] 2021-03-23
[4] 웹사이트 Replacement of the Max Planck Medal in 1943 https://www.telescha[...] 2021-03-23
[5] 서적 Verhandlungen der deutschen physikalischen Gesellschaft Friedrich Vieweg & Sohn 1943-04-30
[6] 웹사이트 Medaglia Stern-Gerlach https://www.dpg-phys[...] 2021-03-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