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만월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만월대는 919년 고려 왕조가 건국될 때 풍수지리에 따라 송악산 남쪽에 건설된 궁궐이다. 궁성, 황성으로 구성되었으며, 회경전, 첨성대 등 다양한 건물과 시설을 갖추었다. 1361년 홍건적의 침입으로 소실되었으며, 이후 남북 공동 발굴 조사를 통해 유물이 발견되었다. 2015년에는 금속 활자 조각이 발견되었으며, 현재 유네스코 세계 유산 등재를 위한 목록에 포함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개경 - 개성 첨성대
    개성 첨성대는 고려 시대 개성에 위치했던 천문 관측 시설로, 고려의 과학 기술 발전과 자주적인 국가 운영 의지를 보여주는 유적이다.
  • 고려의 궁전 - 강화 고려궁지
    강화 고려궁지는 고려가 몽골 침략을 피해 강화도로 천도하며 조성된 궁궐 터로, 조선시대 행궁과 외규장각이 들어섰으나 병인양요 때 소실되는 아픔을 겪었으며, 현재 사적 제133호로 지정되어 복원 등을 통해 역사적 의미를 되새기고 있다.
만월대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개요
김홍도 작 《만월대계회도》
김홍도 작 《만월대계회도》
유형국보
국보 번호122호
위치개성시 송악동
시대고려
세계유산 이름개성역사유적지구
세부 유적만월대와 개성 첨성대
지정 번호1278-001
지정 기준(ⅱ), (ⅲ)
영문명Historic Monuments and Sites in Kaesong
불문명Monuments et sites historiques de Kaesong
회차제37차
등록 년도2013년
소재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등록 구분문화유산
상세 정보
이름 (한국어)만월대
한자 표기滿月臺
로마자 표기Manwoldae
다른 표기망월대 (望月臺)
설명고려 왕조의 정궁(正宮)이었으며, 개성시에 위치함.

2. 연혁

고려가 건국된 919년에 만월대 건설이 시작되었다. 만월대는 풍수지리에 따라 송악산 남쪽에 지어졌다. 궁궐은 국왕과 왕족이 거주하는 궁성(宮城)과 국정을 수행하는 황성(皇城)으로 나뉘었다. 1361년 홍건적의 개성 침략으로 만월대가 불타 없어졌고, 국왕은 안동으로 피난을 가야 했다.[4]

2. 1. 고려 건국과 만월대

고려는 919년에 건국되면서 풍수지리에 따라 송악산 남쪽에 만월대 건설을 시작했다. 궁궐은 국왕과 왕족이 거주하는 궁성(宮城)과 국정을 수행하는 황성(皇城)으로 나뉘었다. 장화전, 원덕전 같은 대규모 건물에는 사당과 거주 공간이 있었고, 가장 크고 인상적인 회경전에는 어좌가 있었다. 왕실 천문학자들이 사용한 첨성대라고 알려진 석조 천문대도 있었다.[4]

만월대는 1361년 홍건적의 개성 침략으로 불타 없어졌다. 이때 국왕은 일시적으로 안동으로 피난을 가야 했다.[4] 당시 기록에 따르면 만월대는 자금성의 건물과 비슷한 엄청난 규모였다. 건축 양식과 장식은 한국 고유의 왕실 색상 팔레트인 단청을 따랐다. 그러나 만월대는 조선의 궁궐에 비해 여러 층 건물, 더 많은 금 장식, 청색과 흰색을 포함하고 있었다. 조선은 유교의 영향으로 겸손과 절제를 강조했기 때문에, 만월대는 외침으로 잊혀진 한국 궁궐 건축의 또 다른 독특한 형태에 대한 귀중한 통찰력을 제공한다.[4] 순종은 1909년 1월 31일 개성을 방문하여 궁궐을 방문했다.[5]

2. 2. 홍건적의 침입과 소실

1361년 홍건적의 개성 침입으로 만월대는 불타 없어졌다.[4] 당시 기록에 따르면 만월대는 자금성의 건물들과 비슷한 엄청난 규모의 건물들을 포함하고 있었다고 한다. 홍건적의 침입으로 국왕은 일시적으로 안동으로 피난을 가야 했다.[4]

2. 3. 조선시대와 그 이후

1950년 이승만 정부 시절, 미군 야전병원을 만들기 위해 불도저로 파헤쳐졌다.[14]

만월대는 조선 왕조의 궁궐들과 비교했을 때, 여러 층으로 된 건물, 더 많은 금 장식, 청색과 흰색을 포함하고 있었다는 묘사가 있다. 조선 왕조는 모든 면에서 겸손과 절제를 강조했기 때문에, 만월대는 외침으로 잊혀진 한국 궁궐 건축의 또 다른 독특한 형태에 대한 귀중한 통찰력을 제공한다. 순종은 1909년 1월 31일 개성을 방문하여 궁궐을 방문했다.[5]

3. 남북 공동 발굴 조사

현재 만월대의 모습


만월대 궁궐 유적 발굴은 북한 정부의 감독하에 시작되었으나, 이후 남북 공동 문화 사업으로 통합되었다. 이 유적지에서는 도자기, 금속 공예품, 신주, 거울, 3,000점 이상의 기와 등 고려 말기의 귀중한 유물들이 발굴되었다. 이곳은 북한이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지정하기 위해 계획한 장소 목록에 포함되어 있다.[4] 2015년 기준으로, 남북은 2007년부터 6차례에 걸쳐 공동 발굴 조사를 진행했으며, 2015년 발굴은 6개월 동안 진행되어 지금까지 가장 긴 발굴 기간을 기록했다.[7]

유적지에서 발견된, 금색 안료로 원숭이와 나무가 상감된 25cm 청자 항아리는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8] 유적 발굴 현장에서는 "독특한" 청자 재질의 약 0.61m 높이의 꽃병 모양 원통이 발견되었는데, 2015년 6월 기준으로 이 유물의 기능은 아직 불분명하다. 이 꽃병 모양의 유물에는 모란과 덩굴의 복잡한 문양이 새겨져 있으며, 상단과 하단에 구멍이 있었다. 꽃병이나 어떤 의례적 목적으로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현대 한국의 청자 장인은 "이 작품은 크기 때문에 독특하다. 청자 도자기의 특성상 이만한 크기의 물건을 제대로 굽는 것은 매우 어려우며, 가마에서 부서지거나 휘어져 나오는 작은 물건보다 훨씬 더 어렵다."라고 설명한다.[9]

2015년 11월, 발굴 과정에서 금속 활자 조각이 발견되었는데, 초기 보고서에서는 고려 시대의 것으로 추정되지만, 제작 시기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10] 연구자들은 이 유물의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을 통해 제작 시기를 밝히고, 어떤 서체가 사용되었는지, 어떤 재료로 만들어졌는지 연구할 예정이다. 활자에는 먹의 흔적이 남아있다.[11]

3. 1. 발굴 경과



만월대 궁궐 유적 발굴은 북한 정부의 감독하에 시작되었으나, 남북 공동 문화 사업으로 통합되었다. 이 유적지에서는 도자기, 금속 공예품, 신주, 거울, 3,000점 이상의 기와 등 고려 말기의 귀중한 유물들이 발굴되었다. 이곳은 북한이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지정하기 위해 계획한 장소 목록에 포함되어 있다.[4] 2015년 기준으로, 남북은 2007년부터 6차례에 걸쳐 공동 발굴 조사를 진행했으며, 2015년 발굴은 6개월 동안 진행되어 지금까지 가장 긴 발굴 기간을 기록했다.[7]

유적지에서 발견된, 금색 안료로 원숭이와 나무가 상감된 25cm 청자 항아리는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8]

유적 발굴 현장에서는 "독특한" 청자 재질의 약 0.61m 높이의 꽃병 모양 원통이 발견되었다. 2015년 6월 기준으로 이 유물의 기능은 아직 불분명하다. 이 꽃병 모양의 유물에는 모란과 덩굴의 복잡한 문양이 새겨져 있으며, 상단과 하단에 구멍이 있었다. 꽃병이나 어떤 의례적 목적으로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현대 한국의 청자 장인은 "이 작품은 크기 때문에 독특하다. 청자 도자기의 특성상 이만한 크기의 물건을 제대로 굽는 것은 매우 어려우며, 가마에서 부서지거나 휘어져 나오는 작은 물건보다 훨씬 더 어렵다."라고 설명한다.[9]

2015년 11월, 발굴 과정에서 금속 활자 조각이 발견되었는데, 초기 보고서에서는 고려 시대의 것으로 추정되지만, 제작 시기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10] 연구자들은 이 유물의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을 통해 제작 시기를 밝히고, 어떤 서체가 사용되었는지, 어떤 재료로 만들어졌는지 연구할 예정이다. 활자에는 먹의 흔적이 남아있다.[11]

3. 2. 주요 발견 유물

만월대는 다른 발굴된 같은 시대의 기와와 유사한, 푸른 청자 지붕 기와를 사용했을 것으로 추정된다.[6] 만월대 궁궐 유적 발굴은 북한 정부의 감독하에 시작되었으나, 남북 공동 문화 사업으로 통합되었다. 도자기, 금속 공예품, 신주, 거울, 3,000점 이상의 기와 등 고려 말기의 귀중한 유물들이 이 유적지에서 발굴되었다. 이곳은 북한이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지정하기 위해 계획한 장소 목록에 포함되어 있다.[4]

유적지에서 발견된, 금색 안료로 원숭이와 나무가 상감된 25cm 청자 항아리는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8] 유적 발굴 현장에서는 "독특한" 청자 재질의 2피트 높이의 꽃병 모양 원통이 발견되었다. 2015년 6월 기준으로 이 유물의 기능은 아직 불분명하다. 이 꽃병 모양의 유물에는 모란과 덩굴의 복잡한 문양이 새겨져 있으며, 상단과 하단에 구멍이 있었다. 꽃병이나 어떤 의례적 목적으로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현대 한국의 청자 장인은 "이 작품은 크기 때문에 독특하다. 청자 도자기의 특성상 이만한 크기의 물건을 제대로 굽는 것은 매우 어려우며, 가마에서 부서지거나 휘어져 나오는 작은 물건보다 훨씬 더 어렵다."라고 설명한다.[9]

2015년 11월, 발굴 과정에서 금속 활자 조각이 발견되었는데, 초기 보고서에서는 고려 시대의 것으로 추정되지만, 제작 시기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10] 연구자들은 이 유물의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을 통해 제작 시기를 밝히고, 어떤 서체가 사용되었는지, 어떤 재료로 만들어졌는지 연구할 예정이다. 활자에는 먹의 흔적이 남아있다.[11]

4. 건축적 특징

만월대는 발굴된 같은 시대의 기와와 유사한, 푸른 청자 지붕 기와를 사용했을 것으로 추정된다.[6]

5. 관련 작품

참조

[1] 서적 알기 쉬운 한국건축 용어사전 https://books.google[...] 동녘 출판사 2019-04-05
[2] 서적 고려의 황도 개경 https://books.google[...] 창비 2019-04-05
[3] 웹사이트 정궁(正宮) http://contents.hist[...] 국립한국역사연구원 2019-04-05
[4] 뉴스 Ancient Site of Goryeo Palace Unveiled https://www.koreatim[...] The Korea Times 2009-02-17
[5] 웹사이트 (12) [皇帝 歸路 開城에서 還宮까지의 상황] https://db.history.g[...]
[6] 웹사이트 Celadon Concave Roof-end Tile with Scroll Design in Relief http://www.museum.go[...] 2014-09-26
[7] 뉴스 Koreas launch joint survey of palace site http://english.yonha[...] 2015-08-25
[8] 웹사이트 Celadon Jar with Inlaid Monkey and Tree Design in Underglaze Gold https://archive.toda[...] 2014-09-26
[9] 웹사이트 North and South Korea Resume Work at Koryo Palace Dig http://www.newhistor[...] 2015-08-25
[10] 뉴스 (LEAD) Metal piece found at Seoul-Pyongyang joint excavation site http://english.yonha[...] 2016-06-30
[11] 뉴스 Ancient Metal Type Found in Kaesong http://english.chosu[...] 2016-06-30
[12] 뉴스인용 개성 만월대 남북공동발굴 2억8000만원 지원 https://news.naver.c[...] 뉴시스 정치 2010-03-22
[13] 간행물 역사문화수첩 역민사 2000
[14] 뉴스인용 특별기고 김유미가 바라보는 소설같은 대한민국(50)-6.25특집▶6.25를 모르는 국민은 더불어민주당을 지지한다 http://yctoday.net/n[...] 영천투데이 2021-06-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