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만화경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만화경은 '만 가지의 아름다운 모습'을 보여주는 거울이라는 뜻으로, 여러 개의 반사면을 통해 대칭적인 패턴을 만들어내는 광학 기구이다. 1817년 데이비드 브루스터에 의해 발명되었으며, 고대부터 알려진 다중 반사 현상을 바탕으로 한다. 만화경은 다양한 크기와 형태로 제작되며, 두 개 이상의 반사경 각도와 물체 셀의 재료, 형태에 따라 다채로운 시각적 효과를 연출한다. 초기에는 장식 예술에 활용되었으며, 현재는 예술 작품, 장난감, 교육 자료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렌즈 - 돋보기
    볼록렌즈를 사용하여 물체를 확대하는 돋보기는 고대부터 사용되어 불을 피우거나 글씨를 읽는 데 쓰였고, 현미경과 망원경 발명에 기여했으며, 현재는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고 디지털 인터페이스의 검색 상징으로도 쓰인다.
  • 렌즈 - 프레넬 렌즈
    프레넬 렌즈는 렌즈를 동심원 형태로 나누어 재료를 줄이고 두께를 획기적으로 감소시킨 렌즈로, 등대 광선 집중을 위해 개발되어 조명, 확대경, 프로젝터, 태양열 발전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된다.
  • 거울 - 분할 거울
    분할 거울은 큰 거울을 만들 때 기술적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여러 개의 작은 거울을 조합하여 하나의 큰 거울처럼 작동하도록 설계된 기술로, 대형 망원경 제작에 필수적이며, 정밀한 제작 및 정렬 시스템과 회절 현상 발생이라는 단점이 있지만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 거울 - 무령왕릉 청동거울 일괄
    무령왕릉 청동거울 일괄은 백제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의자손수대경, 수대문경, 신수문경 등의 청동거울로, 중국 한나라 거울을 모방했으나 백제 장인의 독자적인 기술과 해석이 반영되었고 백제와 중국의 문화 교류를 보여주는 중요한 유물로서 국보로 지정되어 국립공주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 스코틀랜드의 발명품 - 텔레비전
    텔레비전은 움직이는 영상과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고 수신 측에서 다시 영상과 소리로 바꾸는 기술을 이용한 매체로, 닙코프 원판을 이용한 초기 기계식 방식에서 음극선관 발명을 통해 전자식으로 발전하여 디지털 기술과 다양한 디스플레이 기술 발전을 거쳐 현재에 이르렀으며 사회, 문화, 경제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지만 건강 문제 및 부정적 콘텐츠 노출 등의 부작용도 존재한다.
  • 스코틀랜드의 발명품 - 켈빈
    켈빈은 국제단위계의 열역학 온도 기본 단위로, 볼츠만 상수를 통해 정의되며 절대 영도를 0 K로 하고 섭씨 온도는 켈빈 값에서 273.15를 뺀 값으로 계산되며 과학과 기술 분야에서 널리 활용된다.
만화경
개요
종류광학 기기
용도반복 반사를 이용한 패턴 관찰
상세 정보
작동 원리거울을 사용하여 빛을 반사시켜 아름다운 무늬를 만들어 냄. 통을 회전시키면 내부에 있는 물체 조각들이 움직이면서 시각적인 패턴이 계속 바뀜
어원그리스어 "kalos(아름다운)", "eidos(모양)", "skopeō(보다)"의 합성어
발명가데이비드 브루스터
발명 연도1816년

2. 어원

만화경(萬華鏡)은 한자로 일만 만(萬), 빛날 화(華), 거울 경(鏡) 자를 쓴다. 같은 무늬가 반복되지 않고 새로운 무늬가 계속 나타나기 때문에 만화를 보여주는 거울이라 하여 만화경이라 한다.[1]

"만화경"이라는 영어 단어(캘리도스코프/Kaleidoscope영어)는 스코틀랜드의 발명가 데이비드 브루스터에 의해 만들어졌다.[1] 이 용어는 고대 그리스어 단어 καλός (), "아름다운, 미",[2] εἶδος (), "보이는 것: 형태, 모양"[3] 그리고 σκοπέω (), "보다, 조사하다"[4] 에서 유래되었으며, 따라서 "아름다운 형태의 관찰"을 의미한다.[5] 이 용어는 1817년 7월 10일에 특허를 받으면서 처음으로 공개되었다.[7]

3. 역사

키르허(좌)와 브래들리(우)의 거울 구조 비교


만화경 튜브를 통해 본 패턴


둘 이상의 반사 표면에 의한 다중 반사는 고대부터 알려져 왔으며, 잠바티스타 델라 포르타는 그의 저서 ''마기아 나투랄리스(Magia Naturalis)'' (1558–1589)에서 이 현상을 설명했다.[6] 1646년, 아타나시우스 키르허는 책처럼 열고 닫을 수 있으며 다양한 각도로 배치할 수 있는 두 개의 거울로 구성된 실험을 설명했는데, 360°의 반사된 등분할 구역으로 구성된 정다각형 모양을 보여주었다.[6] 리처드 브래들리의 ''식물 재배 및 원예의 새로운 개선(New Improvements in Planting and Gardening)'' (1717)은 기하학적 도면에 배치하여 곱셈 반사된 이미지를 보여주는 유사한 구조를 설명했다.[6] 그러나 만화경의 완전한 효과를 만들어내는 최적의 구성은 1815년 이전에는 기록되지 않았다.[6]

회전하는 만화경의 모습 영상


1814년, 경 데이비드 브루스터는 유리판 사이의 연속적인 반사에 의한 빛의 편광에 대한 실험을 수행했으며, "중심 주위의 촛불 이미지의 원형 배열과 유리판의 가장자리에 의해 형성된 구역의 곱셈"을 처음으로 언급했다.[6] 그는 이 사실을 잊었지만, 1815년 2월의 추가 실험에서 이 효과의 더 인상적인 버전을 발견했다.[6] 잠시 후, 그는 삼각 유리 홈의 끝 부분에서 눌린 시멘트 조각의 곱셈 반사에 깊은 인상을 받았는데, 이는 이전 실험에서 반사판에서 더 멀리 떨어진 물체보다 더 규칙적이고 거의 완벽하게 대칭적으로 보였다.[6] 이것은 가장 아름답고 대칭적으로 완벽한 조건을 찾기 위한 더 많은 실험을 촉발했다.[6] 초기 버전에는 색유리 조각과 기타 불규칙한 물체가 영구적으로 고정되어 있었으며, 에든버러 왕립 학회의 조지 매켄지 경을 포함한 일부 회원들의 찬사를 받았는데, 그는 그 인기를 예측했다.[6] 튜브를 회전시키면 일부 물체와 유리 조각이 움직일 수 있는 버전도 뒤따랐다.[6] 브루스터가 가장 중요하다고 여긴 마지막 단계는 반사경을 오목 렌즈가 있는 드로우 튜브에 배치하여 주변 물체를 반사된 패턴에 뚜렷하게 도입하는 것이었다.[6]

브루스터는 그의 기기가 "모든 장식 예술"에 큰 가치가 있다고 생각했으며, "무한한 패턴"을 만들어내는 장치라고 생각했다.[6] 예술가들은 태양 현미경(일종의 카메라 옵스큐라) 장치, 매직 랜턴 또는 카메라 루시다를 사용하여 만화경에서 생성된 모양을 정확하게 묘사할 수 있었다.[6] 브루스터는 동시에 "합리적인 오락의 목적"을 위한 대중적인 기기가 될 것이라고 믿었다.[6] 그는 특허를 신청하기로 결정했다.[6] 1817년 7월, 데이비드 브루스터는 "아름다운 형태와 패턴을 전시하고 만들어 모든 장식 예술에 유용하게 사용되는 새로운 광학 기기 "만화경""에 대한 특허(영국 특허 번호 4136)를 획득했다.[7][8][17] 불행히도, 제품 생산을 위해 원래 고용된 제조업체는 특허 기기 중 하나를 런던의 일부 안경상에게 보여 주문을 받을 수 있는지 확인했다.[6] 곧 이 기기는 복제되어 제조업체가 판매할 만화경을 준비하기도 전에 시장에 출시되었다.[6] 약 20만 개의 만화경이 불과 3개월 만에 런던과 파리에서 판매되었다.[6] 브루스터는 이 중 최대 1,000개가 올바르게 제작된 승인된 복사본이라고 생각했고, 나머지 대다수는 그의 발명에 대한 정확한 인상을 주지 못했다.[6] 따라서 제대로 된 만화경을 경험했거나 장식 예술에 적용하는 방법을 아는 사람이 상대적으로 적었기 때문에, 그는 만화경의 원리와 올바른 제작에 대한 논문을 발표하기로 결정했다.[6]

특허의 원리가 이미 알려져 있었다고 여겨져 법원에서 특허가 무효화되었다.[6] 브루스터는 만화경이 물체의 특정 위치와 눈의 위치가 아름다운 대칭적 형태를 생성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다르다고 말했다.[6] 브루스터의 의견은 제임스 와트를 포함한 여러 과학자들이 공유했다.[9]

필립 카펜터는 원래 만화경의 모방품을 직접 제작하려 했지만 결과에 만족하지 못했다.[10] 그는 브루스터에게 제조업체로서 서비스를 제공하기로 결정했다.[10] 브루스터는 동의했고 카펜터의 모델에는 "유일한 제작자"라는 각인이 찍혔다.[10] 회사가 수요 수준을 충족할 수 없다는 것을 깨달은 브루스터는 1818년에 장치를 다른 제조업체에서 제작하도록 카펜터의 허가를 받았다.[6] 1819년의 ''만화경에 관한 논문''에서 브루스터는 특허받은 만화경의 제조업체/판매자를 12명 이상 나열했다.[6] 카펜터의 회사는 60년 동안 만화경을 계속 판매했다.[11]

1987년, 만화경 예술가 테아 마샬은 윌라멧 과학 기술 센터, 오리건주 유진에 위치한 과학 박물관과 협력하여 ''만화경: 과학과 예술의 반사''라는 1,000평방피트 (93 m2) 규모의 이동 수학 및 과학 전시회를 설계하고 제작했다.[12] 국립 과학 재단의 자금 지원을 받아[12], 스미소니언 협회 이동 전시 서비스(SITES[13])의 후원으로 순환된 이 전시회는 3년 동안 15개의 과학 박물관에서 열렸으며 미국과 캐나다에서 100만 명 이상의 방문객을 맞이했다.[12] 대화형 전시 모듈을 통해 방문객들은 만화경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더 잘 이해하고 감상할 수 있었다.[12]

만화경은 에도 시대 분카 분세이 시대인 1819년에 일본에 "홍모 도리 사라사 안경" 등의 이름으로 수입되었으며, 오사카에서는 모조품이 나돌 정도로 인기를 끌었다.[17] 일본을 통해 조선에도 전래되었으며, 당시 조선의 지식인들과 대중들에게 새로운 시각적 경험을 제공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3. 1. 발명과 초기 역사



둘 이상의 반사 표면에 의한 다중 반사는 고대부터 알려져 왔으며, 잠바티스타 델라 포르타는 그의 저서 ''마기아 나투랄리스(Magia Naturalis)'' (1558–1589)에서 이 현상을 설명했다.[6] 1646년, 아타나시우스 키르허는 책처럼 열고 닫을 수 있으며 다양한 각도로 배치할 수 있는 두 개의 거울로 구성된 실험을 설명했는데, 360°의 반사된 등분할 구역으로 구성된 정다각형 모양을 보여주었다.[6] 리처드 브래들리의 ''식물 재배 및 원예의 새로운 개선(New Improvements in Planting and Gardening)'' (1717)은 기하학적 도면에 배치하여 곱셈 반사된 이미지를 보여주는 유사한 구조를 설명했다.[6] 그러나 만화경의 완전한 효과를 만들어내는 최적의 구성은 1815년 이전에는 기록되지 않았다.[6]

1814년, 경 데이비드 브루스터는 유리판 사이의 연속적인 반사에 의한 빛의 편광에 대한 실험을 수행했으며, "중심 주위의 촛불 이미지의 원형 배열과 유리판의 가장자리에 의해 형성된 구역의 곱셈"을 처음으로 언급했다.[6] 그는 이 사실을 잊었지만, 1815년 2월의 추가 실험에서 이 효과의 더 인상적인 버전을 발견했다.[6] 잠시 후, 그는 삼각 유리 홈의 끝 부분에서 눌린 시멘트 조각의 곱셈 반사에 깊은 인상을 받았는데, 이는 이전 실험에서 반사판에서 더 멀리 떨어진 물체보다 더 규칙적이고 거의 완벽하게 대칭적으로 보였다.[6] 이것은 가장 아름답고 대칭적으로 완벽한 조건을 찾기 위한 더 많은 실험을 촉발했다.[6] 초기 버전에는 색유리 조각과 기타 불규칙한 물체가 영구적으로 고정되어 있었으며, 에든버러 왕립 학회의 조지 매켄지 경을 포함한 일부 회원들의 찬사를 받았는데, 그는 그 인기를 예측했다.[6] 튜브를 회전시키면 일부 물체와 유리 조각이 움직일 수 있는 버전도 뒤따랐다.[6] 브루스터가 가장 중요하다고 여긴 마지막 단계는 반사경을 오목 렌즈가 있는 드로우 튜브에 배치하여 주변 물체를 반사된 패턴에 뚜렷하게 도입하는 것이었다.[6]

브루스터는 그의 기기가 "모든 장식 예술"에 큰 가치가 있다고 생각했으며, "무한한 패턴"을 만들어내는 장치라고 생각했다.[6] 예술가들은 태양 현미경(일종의 카메라 옵스큐라) 장치, 매직 랜턴 또는 카메라 루시다를 사용하여 만화경에서 생성된 모양을 정확하게 묘사할 수 있었다.[6] 브루스터는 동시에 "합리적인 오락의 목적"을 위한 대중적인 기기가 될 것이라고 믿었다.[6] 그는 특허를 신청하기로 결정했다.[6] 1817년 7월, 데이비드 브루스터는 "아름다운 형태와 패턴을 전시하고 만들어 모든 장식 예술에 유용하게 사용되는 새로운 광학 기기 "만화경""에 대한 특허(영국 특허 번호 4136)를 획득했다.[7][8][17] 불행히도, 제품 생산을 위해 원래 고용된 제조업체는 특허 기기 중 하나를 런던의 일부 안경상에게 보여 주문을 받을 수 있는지 확인했다.[6] 곧 이 기기는 복제되어 제조업체가 판매할 만화경을 준비하기도 전에 시장에 출시되었다.[6] 약 20만 개의 만화경이 불과 3개월 만에 런던과 파리에서 판매되었다.[6] 브루스터는 이 중 최대 1,000개가 올바르게 제작된 승인된 복사본이라고 생각했고, 나머지 대다수는 그의 발명에 대한 정확한 인상을 주지 못했다.[6] 따라서 제대로 된 만화경을 경험했거나 장식 예술에 적용하는 방법을 아는 사람이 상대적으로 적었기 때문에, 그는 만화경의 원리와 올바른 제작에 대한 논문을 발표하기로 결정했다.[6]

특허의 원리가 이미 알려져 있었다고 여겨져 법원에서 특허가 무효화되었다.[6] 브루스터는 만화경이 물체의 특정 위치와 눈의 위치가 아름다운 대칭적 형태를 생성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다르다고 말했다.[6] 브루스터의 의견은 제임스 와트를 포함한 여러 과학자들이 공유했다.[9]

필립 카펜터는 원래 만화경의 모방품을 직접 제작하려 했지만 결과에 만족하지 못했다.[10] 그는 브루스터에게 제조업체로서 서비스를 제공하기로 결정했다.[10] 브루스터는 동의했고 카펜터의 모델에는 "유일한 제작자"라는 각인이 찍혔다.[10] 회사가 수요 수준을 충족할 수 없다는 것을 깨달은 브루스터는 1818년에 장치를 다른 제조업체에서 제작하도록 카펜터의 허가를 받았다.[6] 1819년의 ''만화경에 관한 논문''에서 브루스터는 특허받은 만화경의 제조업체/판매자를 12명 이상 나열했다.[6] 카펜터의 회사는 60년 동안 만화경을 계속 판매했다.[11]

1987년, 만화경 예술가 테아 마샬은 윌라멧 과학 기술 센터, 오리건주 유진에 위치한 과학 박물관과 협력하여 ''만화경: 과학과 예술의 반사''라는 1,000평방피트 (93 m2) 규모의 이동 수학 및 과학 전시회를 설계하고 제작했다.[12] 국립 과학 재단의 자금 지원을 받아[12], 스미소니언 협회 이동 전시 서비스(SITES[13])의 후원으로 순환된 이 전시회는 3년 동안 15개의 과학 박물관에서 열렸으며 미국과 캐나다에서 100만 명 이상의 방문객을 맞이했다.[12] 대화형 전시 모듈을 통해 방문객들은 만화경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더 잘 이해하고 감상할 수 있었다.[12]

3. 2. 한국으로의 전래

만화경은 에도 시대 분카 분세이 시대인 1819년에 일본에 "홍모 도리 사라사 안경" 등의 이름으로 수입되었으며, 오사카에서는 모조품이 나돌 정도로 인기를 끌었다.[17] 일본을 통해 조선에도 전래되었으며, 당시 조선의 지식인들과 대중들에게 새로운 시각적 경험을 제공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3. 3. 현대의 만화경

현대의 만화경은 다양한 재료와 형태로 제작되고 있다. 제조업체와 예술가들은 점성 액체로 채워진 물체 셀을 사용하여 관람객의 미세한 움직임에 따라 물체들이 우아하게 떠다니도록 설계했다. 1990년에는 와일드우드 크리에이티브 프로덕츠가 코지 베이커와 협력하여 액체가 들어있는 움직이는 투명 튜브가 반사경 끝부분을 지나도록 설계된 완드 만화경을 소개했다. 만화경 중앙에 부착된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물체 휠 또는 캐러셀은 만화경 이미지에 모양과 색상을 도입할 수 있다. 만화경 외부는 조각 예술 작품으로 제작되기도 하며, 대형 만화경은 일부 건물의 건축물에 통합되기도 한다.

1987년, 만화경 예술가 테아 마샬은 오리건주 유진의 윌라멧 과학 기술 센터와 협력하여 만화경 전시회를 개최하고, 미국과 캐나다의 여러 과학 박물관에서 순회 전시를 진행하기도 했다.

한국에서도 만화경 전시회와 체험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으며, 만화경을 통해 과학과 예술을 융합한 교육 콘텐츠가 개발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이러한 문화 예술 활동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으며, 특히 소외 계층의 문화 향유 기회를 확대하기 위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4. 구조와 종류

R. B. Bate의 다각 만화경(반사각 조절 가능), ''만화경 논문''(1819)에 삽입된 삽화


데이비드 브루스터는 특허 및 출판물에서 만화경 제작에 대한 몇 가지 변수를 정의했다.[7]

  • 크기 변화 (브루스터는 5~10인치 길이를 적합하다고 판단했으며, 1~4인치에 대해서는 반사경 길이와 초점 거리가 같은 렌즈를 사용할 것을 제안했다)[7]
  • 반사면의 경사각 변화. 브루스터는 특허에서 18°, 20° 또는 22 1/2°가 가장 보기 좋다고 판단했다.[7] 논문에서는 45°, 36° 및 30°가 주요 예시로 제시되었다.[6]
  • 반사면 재료의 변화 (일반 유리판, 수은 도금 유리(거울) 또는 금속, 또는 유리나 수정의 고체 프리즘의 반사 내부 표면)[7] 재료 선택은 이미지의 색조와 품질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 다양한 물체, 작은 형상, 조각, 액체 및 다양한 색상과 모양의 재료를 물체 셀에서 사용할 수 있다 (보다 일반적인 투명 조각 외에도, 예를 들어 꼬인 철사 또는 황동선 조각, 또는 레이스 조각이 매우 훌륭한 효과를 낼 수 있다)[6]

|thumb|만화경의 내부가 변화하는 모습]]

4. 1. 미러 시스템

만화경 내부 영상은 거울(미러 시스템)에 의해 만들어진다. 거울의 개수와 조합 방식에 따라 다양한 패턴이 나타난다. 일반적으로 2장 또는 3장의 거울을 사용하며, 거울의 각도를 조절하여 대칭적인 무늬를 만든다. 데이비드 브루스터는 반사면의 경사각으로 18°, 20° 또는 22 1/2°가 가장 보기 좋다고 판단했다.[7] 논문에서는 45°, 36° 및 30°를 주요 예시로 제시했다.[6] 반사면 재료로는 일반 유리판, 수은 도금 유리(거울), 금속, 유리나 수정의 고체 프리즘의 반사 내부 표면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7] 재료 선택은 이미지의 색조와 품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만화경에 사용되는 물체, 작은 형상, 조각, 액체 및 다양한 색상과 모양의 재료를 물체 셀에서 사용할 수 있다.[6]

4. 2. 객체 (Object)

만화경 내부에 봉입되거나 선단에 부착된 관찰 대상을 객체(オブジェクト)라고 한다. 객체는 유리 조각, 구슬, 액체 등 다양한 재료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객체의 종류와 움직임에 따라 만화경의 패턴이 변화한다. 데이비드 브루스터는 다양한 물체, 작은 형상, 조각, 액체 및 다양한 색상과 모양의 재료를 물체 셀에서 사용할 수 있다고 উল্লেখ했다. (보다 일반적인 투명 조각 외에도, 예를 들어 꼬인 철사 또는 황동선 조각, 또는 레이스 조각이 매우 훌륭한 효과를 낼 수 있다)[6]

객체는 객체 전용 케이스(객체 케이스)에 봉입된 것과 몸체에 직접 부착된 것이 있다.

객체 케이스를 사용하는 것에는, 객체 케이스가 본체(몸체)에 고정된 케이스 고정식과 객체 케이스만 회전 가능한 케이스 회전식이 있다. 또한, 객체 케이스에 오일 봉입 유무에 따라 오일 타입과 드라이 타입으로 나뉜다.

몸체에 직접 부착된 만화경에는 원반 모양으로 객체를 부착한 휠 타입이나 선단에 원통형 객체를 부착한 실린더 타입이 있다.

4. 2. 1. 객체 케이스

만화경 내부에 봉입되거나, 선단에 부착된 관찰 대상을 객체(オブジェクト)라고 한다. 객체는 객체 전용 케이스(객체 케이스)에 봉입된 것과 몸체에 직접 부착된 것이 있다.

객체 케이스를 사용하는 것에는, 객체 케이스가 본체(몸체)에 고정된 케이스 고정식과 객체 케이스만 회전 가능한 케이스 회전식이 있다. 또한, 객체 케이스에 오일 봉입 유무에 따라 오일 타입과 드라이 타입으로 나뉜다.

몸체에 직접 부착된 만화경에는 원반 모양으로 객체를 부착한 휠 타입이나 선단에 원통형 객체를 부착한 실린더 타입이 있다.

4. 3. 몸체 (Body)

만화경의 외장은 거울 시스템과 객체를 수납하는 부분이다. 몸체의 재질과 디자인에 따라 만화경의 외관과 분위기가 달라진다. 데이비드 브루스터는 자신의 특허 및 출판물에서 만화경 제작에 관한 몇 가지 변수를 정의했다.[7]

  • 크기: 5~10인치 길이가 적합하며, 1~4인치 길이의 경우 반사경 길이와 초점 거리가 같은 렌즈를 사용할 것을 제안했다.[7]
  • 반사면 경사각: 18°, 20° 또는 22 1/2°가 가장 보기 좋다고 판단했다.[7] 논문에서는 45°, 36° 및 30°를 주요 예시로 제시했다.[6]
  • 반사면 재료: 일반 유리판, 수은 도금 유리(거울), 금속, 유리나 수정의 고체 프리즘의 반사 내부 표면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재료 선택은 이미지의 색조와 품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7]
  • 물체 셀 재료: 다양한 물체, 작은 형상, 조각, 액체 및 다양한 색상과 모양의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인 투명 조각 외에도 꼬인 철사, 황동선 조각, 레이스 조각 등이 훌륭한 효과를 낼 수 있다.[6]

4. 4. 종류



만화경은 반사경, 렌즈, 그리고 다양한 객체를 조합하여 다채로운 패턴을 만들어내는 광학 기구이다. 데이비드 브루스터는 특허에서 다음과 같은 두 가지 형태의 만화경을 제시하였다.[7]

  • 일반 만화경: 두 개의 반사경을 사용하며, 작은 물체를 다른 쪽 끝에서 보기 위해 조리개 근처에 둔다.[7]
  • 망원경 만화경 (텔레이다스코프): 두 개의 반사경이 있는 튜브에 1~3개의 볼록 렌즈를 추가하여, 멀리 있는 물체도 만화경 패턴으로 볼 수 있다.[7] (이것은 나중에 텔레이다스코프로 다시 소개되었다.)


|thumb|《만화경 논문》(1819)에 있는 다중심 만화경 패턴의 다이어그램]]

브루스터는 그의 《만화경 논문》(1819)에서 물체 셀이 있는 기본 형태 외에도 다음과 같은 다양한 변형을 개발했다.[6]

  • 다중심 만화경: 세 개 이상의 반사경을 사용하여 더욱 복잡하고 다양한 패턴을 만들어낸다. 반사경의 각도에 따라 다양한 패턴이 나타난다.[6]
  • 60° 각도로 세 개의 반사경이 있는 경우: 정삼각형의 무한한 패턴이 나타난다.[6]
  • 90°, 45° 및 45° 각도로 세 개의 반사경이 있는 경우: 중심을 중심으로 대칭적으로 배열되지 않은 패턴이 나타난다.[6]
  • 90°, 60° 및 30° 각도로 세 개의 반사경이 있는 경우: 중심을 중심으로 대칭적으로 배열되지 않고 조리개의 31개 반사 이미지가 있는 패턴이 나타난다.[6]
  • 네 개의 반사경이 있는 경우: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의 만화경으로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의 무한한 패턴을 가진다.[6]
  • 투영 만화경: 태양 현미경 또는 매직 랜턴을 이용하여 더 많은 사람들이 패턴을 볼 수 있게 한다.[7]
  • 현미경 만화경: 현미경 물체를 보기 위한 작은 만화경으로, 여성들이 보석으로 착용하기도 한다.[6]
  • 편광 만화경: "편광 구조를 받은 규칙적인 결정체 또는 유리 조각"을 조리개 앞에 배치하여 "편광된 빛의 보색"을 도입한다.[7]
  • 반사경 끝에 부착된 셀에 절단된 홈을 통해 이동하는 직사각형 물체 판은 느슨한 조각의 움직임에 더 많은 다양성을 허용한다.[6]
  • 진동하는 물체판: 느슨한 물체를 포함하는 작은 물체판은 만화경을 수평으로 잡으면 튜브의 부드러운 움직임으로 하단 가장자리에서 진동할 수 있다.[6]
  • 색상이 없는 물체판은 색상이 없는 유리 조각이나 투명한 바니시의 불규칙한 표면을 가질 수 있으며, 색상이 있는 물체판 앞에 놓을 수 있다.[6]
  • 물체 셀 대신 투명 조각을 거울에 놓고 불투명 조각(예: 황동 와이어 조각, 유색 호일 및 스펠터 입자)과 결합하여 최상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7]
  • 고정된 요소가 있는 물체판을 셀에 배치할 수 있으며, 셀이 조리개 앞에서 회전하면 동일한 패턴이 반복된다.[6]

|thumb|1817년 특허에 설명된 만화경의 반사경의 대체 위치]]

  • 반사경을 분리된 상태로 유지하면 환상 패턴이 표시된다.[7]
  • 반사경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면 직선 패턴이 표시된다.[7]


이후 제조업체와 예술가들은 다양한 재료와 형태로 만화경을 제작해왔다.

  • 완드 만화경: 1990년, 와일드우드 크리에이티브 프로덕츠(WildeWood Creative Products)가 코지 베이커(Cozy Baker)와 협력하여, 액체가 들어있는 움직이는 투명 튜브(보통 반짝이는 조각들을 포함)가 반사경 끝부분을 지나도록 설계된 완드를 사용한다.[14]
  • 휠 타입 만화경: 만화경 중앙에 부착된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원반 모양의 객체를 부착하여 회전시키면서 패턴을 변화시킨다.[14]
  • 실린더 타입 만화경: 선단에 원통형 객체를 부착한 형태이다.
  • 객체 케이스는 본체에 고정되거나 회전 가능하며, 오일 봉입 유무에 따라 오일 타입과 드라이 타입으로 나뉜다.
  • 만화경 외부는 조각 예술 작품으로 제작되기도 한다.[14]
  • 대형 만화경은 일부 건물의 건축물에 통합되기도 한다.[14]

5. 현대적 응용

만화경은 예술 작품, 장난감, 교육 자료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일부 건축물에는 대형 만화경이 설치되어 독특한 시각적 경험을 제공하기도 한다. 아이치 엑스포의 대지의 탑은 세계 최대의 만화경이었다. 기후현 백년 공원에 있는 거대 만화경 내부는 기후현 세키시에서 볼 수 있다.

6. 한국의 만화경 관련 장소

7. 같이 보기

참조

[1] 서적 The Kaleidoscope: Its History, Theory, and Construction with its Application to the Fine and Useful Arts https://archive.org/[...] J. Murray
[2] 웹사이트 A Greek-English Lexicon https://www.perseus.[...] 2014-03-17
[3] 웹사이트 A Greek-English Lexicon https://www.perseus.[...] 2013-05-25
[4] 웹사이트 A Greek-English Lexicon https://www.perseus.[...] 2012-03-14
[5] 웹사이트 Online Etymology Dictionary http://www.etymonlin[...] Etymonline.com 2010-05-28
[6] 서적 A Treatise on the Kaleidoscope Archibald Constable & Co.
[7] 서적 The Repertory of Patent Inventions https://books.google[...]
[8] 웹사이트 Kaleidoscope patents http://www.thekaleid[...]
[9] 서적 Annals of Philosophy, Or, Magazine of Chemistry, Mineralogy, Mechanics, Natural History, Agriculture, and the Arts https://archive.org/[...] Robert Baldwin 1818-08-31
[10] 서적 The Repertory Of Arts And Manufactures https://books.google[...]
[11] 웹사이트 The Perfectionist Projectionist http://www.victorian[...] 2011-10-07
[12] 웹사이트 Award Abstract # 8652299. Kaleidoscopes: Reflections of Science and Art https://www.nsf.gov/[...]
[13] 웹사이트 SITES / Smithsonian Affiliations https://www.sites.si[...] Smithsonian Institution
[14] 웹사이트 Brewster Society – Kaleidoscope U – Kaleidoscopes Periods & Styles https://brewstersoci[...]
[15] 서적 Kaleidoscope Artistry C&T Publishing, Inc.
[16] 뉴스 Long before iPhones, this 19th-century gadget made everyone a mobile addict https://qz.com/10077[...] 2017-06-19
[17] 서적 第8・光の鉛筆
[18] 웹사이트 日本万華鏡博物館ホームページ https://nihonmangeky[...] 2017-04-09
[19] 뉴스 【大人の遠足】埼玉・川口市 日本万華鏡博物館/色鮮やかな世界 見て作って https://www.sankei.c[...] 産経新聞 2017-03-31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