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맥리호스오브비오크 남작 머레이 맥리호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머레이 맥리호스(Murray MacLehose, 맥리호스오브비오크 남작)는 스코틀랜드 출신의 외교관으로,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중국 게릴라 훈련에 참여했으며, 1971년부터 1982년까지 홍콩 총독을 역임했다. 그는 최장 기간 홍콩 총독으로 재임하며, 홍콩 지하철 건설, 중국어 공용어 지정, 부패 척결 등 현대 홍콩의 기반을 다지는 개혁 정책을 추진했다. 맥리호스는 홍콩의 민주화에는 소극적이었으나, 홍콩의 경제적 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맥리호스 시대'라는 칭호를 얻었으며, 다양한 기념물과 시설에 그의 이름이 사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맥리호스오브비오크 남작 머레이 맥리호스 - [인물]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작위 이름맥리호스오브비오크 남작
관직 정보
홍콩 총독order: 25대
재임 시작1971년 11월 19일
재임 종료1982년 5월 8일
군주엘리자베스 2세
식민지 장관휴 노먼-워커
데니스 로버츠
행정 장관데니스 로버츠
잭 케이터
필립 해든-케이브
이전데이비드 트렌치
이후에드워드 유드
영국 상원 의원세속 귀족
임기 시작1982년 5월 21일
임기 종료2000년 5월 27일
작위평생 작위
외교관 경력
주 덴마크 영국 대사재임 시작: 1969년
재임 종료1971년
이전올리버 라이트
이후앤드루 스타크
주 베트남 영국 대사재임 시작: 1967년
재임 종료1969년
이전피터 윌킨슨
이후존 모턴
개인 정보
출생일1917년 10월 16일
출생지스코틀랜드, 글래스고
사망일2000년 5월 27일
사망지스코틀랜드, 에어셔
안장지알로웨이 교구 교회, 스코틀랜드
직업외교관, 식민지 행정관
모교옥스퍼드 대학교, 베일리얼 칼리지
중국어 정보
중국어 (번체)麥理浩
중국어 (간체)麦理浩
광둥어 (예일)Mak6 Lei5 hou6
광둥어 (월병)Mahk Léih houh
표준 중국어 (병음)Mài Lǐhào
훈장

2. 어린 시절과 경력

머레이 맥리호스는 1917년 10월 16일 스코틀랜드 글래스고에서 인쇄업을 하는 해미쉬 알렉산더 맥리호스와 마가렛 브루스 블랙 사이에서 둘째로 태어났다. 아버지가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스코틀랜드 라이플 연대 제8대대에서 복무하는 동안 태어났다. 맥리호스는 1931년 럭비 스쿨에 다녔고, 옥스퍼드 대학교 베일리올 칼리지에서 현대사를 전공했다.[2][15]

졸업 후 1939년 영국령 말라야의 식민 행정부에서 일하기 시작했으며, 1940년 말라야 북부에서 널리 사용되는 호키엔어를 배우기 위해 샤먼의 영국 영사관으로 임시 전근했다.[2]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영국 부영사라는 신분으로 위장하여[5] 일본군 후방에서 사보타주를 수행할 중국 게릴라를 훈련시켰다. 1941년 12월 일본군에 체포되었고, 1942년 영국으로 송환되었다.[6] 그는 영국 해군 정보부와 함께 일하기 위해 중국으로 돌아갔다. 일화에 따르면 그는 일본군이 통제하는 산터우의 한 클럽에 들어가 진 토닉을 침착하게 주문하고 제지 없이 떠났다고 한다.[2] 1944년 5월 영국의 과학자이자 역사가인 조셉 니덤을 만났다.[5]

1946년 전쟁 중의 공로로 영국 정부로부터 대영 제국 훈장을 받았다.[2] 1960년대 후반에는 외무장관 조지 브라운의 수석 개인 비서가 됐다.

1967년 어느 은행에 기밀 전보 복사본을 두었을 때 외교관 경력에 위기가 처했는데, 해당 문서는 미국 대통령 린든 존슨과 영국 총리 해롤드 윌슨의 월남전 관련 서신에 대한 것이었다. 전보의 내용이 유출되기 전 다른 영국 외교관이 수습할 수 있었다. 해롤드 윌슨과 조지 브라운은 맥리호스의 능력과 경력을 고려하여 맥리호스를 수사하지 않기로 결정했고, 이에 따라 외교관 경력을 이어나갈 수 있었다. 1967년 주남베트남 영국대사가 됐고 이후 주중영국대사관에서 복무하다가 주덴마크 영국대사가 됐다.

3. 외교관 경력

머레이 맥리호스는 제2차 세계 대전 때 부영사로서 일본군 후방에서 싸울 중국인 게릴라들을 훈련시켰다.[2] 1946년에는 전쟁 중의 공로로 대영 제국 훈장을 받았다.[2] 종전 후에는 푸저우에서 영국 부영사를 지냈고, 1948년에는 한커우에서 영국 외무부 총영사가 되었다. 그는 중국 문화에 깊은 관심을 갖게 되었고 중국어 만다린을 배웠다.[2][7] 중국 공산당이 권력을 잡은 중국 내전 이후, 1950년 맥리호스는 영국으로 돌아왔다.[15]

1954년, 맥리호스는 뉴질랜드 주재 영국 고등 판무관에 파견되었으며, 1960년대 후반에는 외무부 장관 조지 브라운의 수석 비서관을 지냈다. 1967년에는 남베트남 주재 영국 대사로 임명되어 1969년까지 그 역할을 수행했다.

1967년, 맥리호스는 기밀 전문 복사본을 은행에 두고 오는 실수를 저질렀다. 해당 문서는 당시 영국 총리 해럴드 윌슨과 미국 대통령 린든 B. 존슨 간의 베트남 전쟁 관련 서신이었다. 다행히 다른 영국 외교관이 내용이 유출되기 전에 그 전문을 회수했다. 윌슨과 브라운은 맥리호스의 능력과 경력을 높이 평가하여, 그의 실수에 대한 조사를 허용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이 결정으로 맥리호스는 외교관 경력을 이어갈 수 있었다.[8]

이후 맥리호스는 베이징 주재 영국 대사관에서 근무했으며, 잠시 덴마크 주재 영국 대사를 지냈다.

4. 홍콩 총독

1967년 홍콩 폭동 이후, 맥리호스는 영국 노동당 출신 외교관으로서[10] 아시아에서의 광범위한 외교적 배경과 정치적 문제 분석 능력을 인정받아 1971년 11월 홍콩 총독으로 임명되었다.[9] 그는 홍콩의 사회 정책을 개혁할 때가 되었다고 판단했다.[9]

맥리호스는 1971년 11월부터 1982년 5월까지 총독 자리에 있으면서 최장수 홍콩 총독이 되었다. 총독 재임 기간은 10년 6개월로 알렉산더 그랜덤보다 1개월 더 길었다.[9] 스코틀랜드 혈통과 그의 이름 'hose'가 양말을 의미하는 단어라는 점 때문에 "Jock the Sock" (양말을 신은 남자)이라는 애칭으로 널리 알려졌다.

맥리호스는 키가 6피트를 훌쩍 넘는 거구였다. 그는 총독 제복을 불편하게 여겨 피했지만, 캐세이퍼시픽 항공편으로 도착하여 휴 셀비 노먼-워커에게 총독 취임 선서를 할 때는 전통적인 식민지 관료 제복을 착용했다.

사적으로 맥리호스는 동성애자 권리를 지지했고, 활동가 엘시 투와 홍콩 성공회 회원들로부터 동성애 행위를 불법으로 규정한 법률을 개정하라는 권유를 받았다. 그러나 그는 사회적으로 보수적인 중국인들의 반발을 우려하여 법률을 변경하지 않기로 결정했다.[13] 동성애는 1991년 영국 행정부와 입법 위원회에 의해 홍콩에서 비범죄화되었다.[13]

맥리호스는 중국이 결국 홍콩을 회수할 것이라고 확신했으며, 홍콩에서 헌법적 민주주의로의 중대한 움직임에 반대했다.[14]

맥리호스는 일반적으로 홍콩 역사상 가장 사랑받는 총독 중 한 명으로 여겨진다.[2][6][3][34][35] 그의 통치 하의 1970년대와 1980년대는 "맥리호스 시대"라고 불렸다. 그는 맥리호스 트레일과 사이쿵구의 레이디 맥리호스 휴양 빌리지 등 다양한 자연 명소와 피크닉 장소에 그의 이름이 붙여질 정도로 하이킹을 좋아하고 야외 활동을 장려했다.[15][34]

그러나 맥리호스의 재임 기간은 민주 개혁을 시행하지 못했다는 비판을 받았다. 민주당 정치인 마틴 리는 맥리호스가 중국과 영국이 홍콩 반환을 논의하기 전에 추가적인 민주 개혁을 시행하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하지 않은 것을 비판하며, 이것이 놓친 기회라고 언급했다.[35] 맥리호스는 중국 정부를 화나게 할까 봐 걱정하여 민주 개혁을 시행하는 데 "분명한 무력감"을 느꼈다고 주장했다.[35][3]

4. 1. 주요 정책

맥리호스는 1971년부터 1982년까지 홍콩 총독으로 재임하면서 현대 홍콩의 기반을 닦은 다양한 개혁 정책들을 도입했다.[9] 그는 중국어영어와 함께 공용어로 인정하고, 복지를 확대했으며, 수많은 공공 주택 프로그램을 설정했다.[11] 또한 부패 척결을 위해 염정공서를 설립하고, 홍콩의 구의회를 설립하여 정부 역량을 강화했다.[11] 홍콩 지하철 공사와 주요 인프라 프로젝트들도 그의 감독하에 이루어졌다. 지역 공동체 및 예술 시설이 확장되었고, 쓰레기 문제 및 폭력 범죄와 관련된 대중 캠페인도 도입되었다.[12]

이러한 변화들은 영국 재무부의 승인을 필요로 했으며, 초기 2년간 영국령 홍콩 정부 지출이 50% 증가하는 것에 대한 반대도 있었다.[12]

맥리호스 시기의 주요 정책들은 다음과 같다.

정책
9년 의무교육 도입[16]
주택 문제 완화를 위한 1972년 10개년 주택 계획 도입[17]
샤틴과 튄문 같은 위성 신도시 건설[18]
컨트리 파크 설립[18]
노동 조례 도입 및 승인[19]
사회 지원 제도 구축[20]
대중교통철도 건설[21]
지역 사회 시설 확충[22]
중국어를 공식 언어로 채택[23]
유급 휴가 도입[24]
노인을 위한 사회 서비스 제공 확대[20]
질병 및 장애 수당 도입[25]
근로자를 위한 퇴직금 도입[24]
자가 소유를 장려하기 위한 주택 소유 계획 도입[26]
장애인 및 불우 이웃을 위한 주요 재활 프로그램 도입[27]
학교 및 병원 수 증가[28]
범죄 및 법 집행 부상 보상 도입[29]
교통사고 피해자 지원 도입[29]
노인을 위한 특별 필요 수당 도입[29]
자격을 갖춘 수동 및 저임금 비수동 근로자를 위한 질병 수당 도입[29]
주간 휴일 도입[29]
노동 법원 도입[29]
고등학교 교육 보조 자리를 늘리기 위한 주니어 중등 교육 평가(JSEA) 시스템 구축[29]
1972년과 1976년 소마우핑의 산사태 및 미끄러짐으로 인한 생명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경사면과 언덕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한 지반 공학 사무소(토목 및 개발 부서의 일부) 설립[30]
주빌리 스포츠 센터 설립
홍콩 공연 예술 아카데미 설립


4. 2. 난민 문제

맥리호스는 재임 기간 동안 중국 문화 대혁명 이후의 정치적 혼란으로 인해 중국 본토로부터의 불법 이민 문제에 직면했다.[15] 그는 7년 이상 홍콩에 거주한 사람만이 홍콩 영주권 신분증을 발급받을 수 있도록 하는 1971년 이민 조례를 발표했다. 또한 체포된 모든 불법 이민자를 중국으로 송환하는 "체포 및 석방" 정책을 시작했다. 1979년 10월 24일부터 26일까지 3일간의 유예 기간을 설정하여 이미 홍콩에 도착한 불법 이민자들이 홍콩 신분증을 신청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본토와의 경찰 및 국경 순찰을 강화했다.[15]

사이공 함락 이후 베트남 보트 피플이 도착하면서, 맥리호스는 홍콩 전역에 12개의 난민 수용소를 설치했다. 이 수용소는 홍콩 정부와 유엔 난민 기구가 공동으로 관리했다. 맥리호스 퇴임 후에도 베트남 난민 문제는 홍콩을 계속 괴롭혔다. 홍콩 정부는 1982년 7월 난민들이 난민 수용소를 떠나는 것을 막고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줄이기 위해 "봉쇄 정책"을 시행한다고 발표했다. 난민 수용소는 홍콩 특별행정구 정부가 2000년에 마지막 수용소를 폐쇄할 때까지 운영되었다.[15]

4. 3. 중국과의 관계 및 홍콩 주권 협상

맥리호스는 1979년 덩샤오핑과 신계의 99년 조차 문제를 제기했다.[32] 당시 회담 내용은 공개되지 않았지만, 이는 결국 영국 정부를 포함한 고위 관계자들을 참여시켜 1997년 7월 1일 홍콩 반환으로 이어졌다. 이 과정에서 영국에 영구 양도되었던 지역까지 포함하여 홍콩 전체가 중화인민공화국에 반환되었다.[32]

회담 후 홍콩으로 돌아온 맥리호스는 공개적인 동요를 우려해 회담 내용을 비밀에 부쳤다. 그는 덩샤오핑이 "홍콩 투자자들에게 안심하라"고 말했다고만 언급했으며, 중국 정부를 자극할 것을 우려해 홍콩의 민주적 개혁 계획을 포기했다.[33]

맥리호스는 중국 문화 대혁명과 6.7 폭동 이후 긴장된 중국과 홍콩 간의 관계를 회복하기 위해 노력했다. 그는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이후 중국을 공식 방문한 최초의 홍콩 총독이었다.[3][31]

5. 평가 및 유산

맥리호스는 일반적으로 홍콩 역사상 가장 사랑받는 총독 중 한 명으로 여겨진다. 그의 다양한 정책들은 홍콩의 원래 모습을 바꾸고 비교적 전통적인 식민지에서 급속히 발전하는 대규모 지역으로 탈바꿈시킨 것으로 평가받았다. 특히 교육, 의료, 대중교통 및 반부패 조치를 개선하기 위한 노력으로 칭찬을 받았다.[2][6][3][34][35]

1982년 맥리호스가 홍콩 총독 임기를 마쳤을 때, 사우스 차이나 모닝 포스트와 입법회 비공식 수석 의원 로저 로보는 맥리호스 통치 하의 1970년대와 1980년대를 통틀어 "맥리호스 시대"라는 용어를 만장일치로 사용했다. 1990년대 초, 그의 10년이 넘는 홍콩 총독 재임 기간이 홍콩에 심오한 영향을 미쳤다고 여겨졌다. 말년에 한 인터뷰에서 맥리호스는 재임 기간 동안 1967년 좌익 폭동 당시 시민들이 표현한 불만을 해소하기 위해 "사회 서비스 및 주택 공급을 빠르게 확대하기 위해 노력했다"고 인정했다. 그는 이러한 정책이 대중과 국민을 더 가깝게 만들 뿐만 아니라 사회의 현대화를 가속화할 수 있다고 믿었으며, 따라서 홍콩에 중요하고 올바른 정책이었다고 생각했다. 하이킹을 좋아하고 야외 활동을 장려한 덕분에 맥리호스 트레일과 사이쿵구의 레이디 맥리호스 휴양 빌리지를 포함하여 다양한 자연 명소와 피크닉 장소가 그와 그의 아내의 이름을 따서 홍콩에 명명되었다.[15][34]

그러나 맥리호스의 재임 기간은 민주 개혁을 시행하지 못했다는 인식 때문에 비판에 직면했다. 맥리호스는 홍콩 반환을 앞두고 1994년 크리스 패튼이 시행한 민주 개혁 시도를 비판했다. 그는 샤오핑이 제안한 "일국양제" 개념이 홍콩의 미래에 완전한 안정을 가져다줄 것이라고 믿었지만, 중국이 홍콩의 주권을 갖게 될 것을 앞두고 불안감을 느꼈지만 홍콩 사람들이 상황을 헤쳐나갈 만큼 굳건할 것이라고 믿었다. 홍콩의 친민주 진영 구성원들은 맥리호스가 홍콩과 중국의 관계를 개선했지만 샤오핑과의 회담에서 중국이 민주적 자치와 홍콩의 보통 선거를 반환 협정의 일부로 수용하도록 협상하지 않음으로써 중국을 과도하게 수용했다고 말했다.[35] 민주당 정치인 마틴 리는 한때 맥리호스가 중국과 영국이 홍콩 반환을 논의하기 전에 추가적인 민주 개혁을 시행하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하지 않은 것을 비판하며, 이것이 놓친 기회라고 언급했다. 맥리호스는 나중에 중국에 홍콩을 "넘겨준" 것이 아니라고 주장했지만, 중국 정부를 화나게 할까 봐 걱정하여 민주 개혁을 시행하는 데 "분명한 무력감"을 느꼈고, 재임 기간 동안 홍콩 입법회에 대한 보통 선거가 실시되었다면 중국 공산당과 중국 국민당 간의 갈등이 심화되었을 것이라고 믿었다. 맥리호스는 홍콩 총독으로서 자신의 임무는 시민들이 번영하고 평화로운 삶을 영위하도록 보장하는 것이라고 종종 강조했다.[35][3]

맥리호스 시대에 도입된 주요 정책들은 다음과 같다.

정책
9년 의무 교육 도입.[16]
주택 문제를 완화하기 위한 1972년 10개년 주택 계획 도입.[17]
사틴과 툰문과 같은 위성 신도시 건설.[18]
컨트리 파크 설립.[18]
노동 조례 도입 및 승인.[19]
사회 지원 제도 구축.[20]
대중교통철도 건설.[21]
지역 사회 시설 확충.[22]
중국어를 공식 언어로 채택.[23]
유급 휴가 도입.[24]
노인을 위한 사회 서비스 제공 확대.[20]
질병 및 장애 수당 도입.[25]
근로자를 위한 퇴직금 도입.[24]
자가 소유를 장려하기 위한 주택 소유 계획 도입.[26]
장애인 및 불우 이웃을 위한 주요 재활 프로그램 도입.[27]
학교 및 병원 수 증가.[28]
범죄 및 법 집행 부상 보상 도입.[29]
교통사고 피해자 지원 도입.[29]
노인을 위한 특별 필요 수당 도입.[29]
자격을 갖춘 수동 및 저임금 비수동 근로자를 위한 질병 수당 도입.[29]
주간 휴일 도입.[29]
노동 법원 도입.[29]
고등학교 교육 보조 자리를 늘리기 위한 주니어 중등 교육 평가(JSEA) 시스템 구축.[29]
1972년과 1976년 소마우핑의 산사태 및 미끄러짐으로 인한 생명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경사면과 언덕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한 지반 공학 사무소( 토목 및 개발 부서의 일부) 설립.[30]
주빌리 스포츠 센터 설립
홍콩 공연 예술 아카데미 설립


6. 총독 퇴임 이후

1982년 총독직에서 물러난 후, 맥리호스는 1982년부터 1988년까지 내셔널 웨스트민스터 은행(NatWest)의 이사로 재직했다. 그 해 말, 그는 종신 귀족으로 임명되어 카일 앤드 캐릭 구역의 메이볼과 홍콩 빅토리아의 '''비오크 남작 맥리호스'''가 되었다. 그는 무소속 귀족으로 상원에서 활동했다. 1983년, 맥리호스는 엉겅퀴 기사단에 서임되었다.[7] 1992년에는 홍콩 대학교에서 명예 법학박사 학위(LLD)를 받았다.[15] 80세가 되던 해, 그는 전 총리 에드워드 히스 경과 전 부총리 겸 외무 장관 호 경과 함께, 1997년 7월 1일 홍콩 특별 행정구의 행정 장관 공식 취임식에 참석했는데, 이 취임식은 영국 정부가 보이콧했다.[8]

7. 사생활

맥리호스는 1947년 스코틀랜드 크리켓 선수인 토마스 던롭의 딸 마가렛 노엘 던롭과 결혼하여 1949년에 쌍둥이 딸을 낳았다. 딸 중 한 명인 실비아는 교통사고로 마비된 후 장애인 권리 운동가가 되었으며 스코틀랜드 장애 위원회 위원이었다.[2]

외교관 경력 외에도 맥리호스와 그의 아내는 요트와 하이킹을 좋아했다. 야외 활동에 대한 애정을 기려 맥리호스는 런던 아테네움 클럽의 회원이었다. 은퇴 후에는 양치기와 메이볼에 있는 자신의 재산에서 농사를 지었다.

8. 서훈


  • 대영 제국 훈장 5등급(MBE, 1946년)[39]
  • 성 미카엘·성 조지 훈장 동반 기사(CMG, 1964년)[40]
  • 성 미카엘·성 조지 훈장 2등급 기사(KCMG, 1971년)[41]
  • 성 요한 기사단 기사(KStJ, 1972년)[42]
  • 로열 빅토리아 훈장 2등급 기사(KCVO, 1975년)[43]
  • 대영 제국 훈장 1등급 기사(GBE, 1976년)[44]
  • 종신 귀족 작위(1982년) (카일 앤드 캐릭 구의 메이볼과 홍콩 빅토리아의 비오크 맥리호스 남작)[45]
  • 엉겅퀴 기사단 기사(KT, 1983년)[46]
  • 홍콩 대학교 명예 법학 박사 학위

9. 기념

훈장 및 서훈내용
Order of the British Empire|대영 제국 훈장영어 5등급(MBE)1946년 [39]
Order of St Michael and St George|성 미카엘 · 성 조지 훈장영어 동반 기사(CMG)1964년 [40]
Order of St Michael and St George|성 미카엘 · 성 조지 훈장영어 2등급 기사(KCMG)1971년 [41]
Order of Saint John|성 요한 기사단영어 기사(KStJ)1972년 [42]
Royal Victorian Order|로열 빅토리아 훈장영어 2등급 기사(KCVO)1975년 [43]
Order of the British Empire|대영 제국 훈장영어 1등급 기사(GBE)1976년 [44]
종신 귀족1982년 (카일 앤드 캐릭 구의 메이볼과 홍콩 빅토리아의 비오크 맥리호스 남작)[45]
Order of the Thistle|엉겅퀴 기사단영어 기사(KT)1983년 [46]
홍콩 대학교 명예 법학 박사
맥리호스 트레일사이쿵 반도에서 툰문까지 뻗어 있는 100킬로미터의 트레일로, 하이킹을 즐겼던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됨.
기타맥리호스 의료 재활 센터, 맥리호스 치과 센터, 레이디 맥리호스 홀리데이 빌리지, 머레이 맥리호스 기금 등이 그 또는 그의 부인을 기념하기 위해 명명됨.



맥리호스는 홍콩 역사상 가장 사랑받는 총독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 그의 정책들은 홍콩을 전통적인 식민지에서 급속히 발전하는 대규모 지역으로 변화시킨 것으로 평가받는다. 특히 교육, 의료, 대중교통, 반부패 조치 개선 노력이 높은 평가를 받았다.[2][6][3][34][35]

1982년 맥리호스가 홍콩 총독 임기를 마쳤을 때, 사우스 차이나 모닝 포스트와 입법회 비공식 수석 의원 로저 로보는 1970년대와 1980년대를 "맥리호스 시대"로 칭했다. 1990년대 초, 그의 10년이 넘는 재임 기간은 홍콩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평가되었다. 맥리호스는 인터뷰에서 1967년 좌익 폭동 당시 시민들의 불만을 해소하기 위해 "사회 서비스 및 주택 공급을 빠르게 확대하기 위해 노력했다"고 밝혔다. 그는 이러한 정책이 대중과 국민을 더 가깝게 만들고 사회 현대화를 가속화할 수 있다고 믿었으며, 홍콩에 중요하고 올바른 정책이었다고 생각했다. 하이킹과 야외 활동을 장려한 덕분에 맥리호스 트레일과 사이쿵구의 레이디 맥리호스 휴양 빌리지를 포함한 다양한 자연 명소와 피크닉 장소가 그와 그의 아내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15][34]

그러나 맥리호스 재임 기간은 민주 개혁 시행 부족으로 비판받기도 했다. 맥리호스는 1994년 크리스 패튼의 민주 개혁 시도를 비판했다. 그는 샤오핑의 "일국양제" 개념이 홍콩의 미래에 안정을 가져다줄 것이라고 믿었지만, 중국의 홍콩 주권 회복에 대한 불안감 속에서도 홍콩 사람들이 상황을 헤쳐나갈 것이라고 믿었다. 홍콩 친민주 진영은 맥리호스가 홍콩과 중국 관계를 개선했지만, 샤오핑과의 회담에서 중국이 민주적 자치와 홍콩의 보통 선거를 반환 협정의 일부로 수용하도록 협상하지 않아 중국을 지나치게 수용했다고 주장했다.[35] 민주당 마틴 리는 맥리호스가 홍콩 반환 이전에 추가적인 민주 개혁을 주도하지 않은 것을 비판하며, 이를 놓친 기회라고 언급했다. 맥리호스는 중국에 홍콩을 "넘겨준" 것이 아니라고 주장했지만, 중국 정부를 화나게 할까 봐 민주 개혁 시행에 "무력감"을 느꼈고, 재임 기간 홍콩 입법회 보통 선거가 실시되었다면 중국 공산당과 중국 국민당 간 갈등이 심화되었을 것이라고 믿었다. 맥리호스는 홍콩 총독으로서 자신의 임무는 시민들이 번영하고 평화로운 삶을 영위하도록 보장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35][3]

참조

[1] 웹사이트 MacLEHOSE OF BEOCH, Baron http://www.ukwhoswho[...] Oxford University Press 2012-05-02
[2] 서적 MacLehose, (Crawford) Murray, Baron MacLehose of Beoch Oxford University Press
[3] 문서 Lord MacLehose of Beoch 2000-06-01
[4] 웹사이트 LOOKING BACK: HOW LONDON AND BEIJING DECIDED THE FATE OF HONG KONG https://carnegieendo[...] 2023-10-06
[5] 서적 The Man Who Loved China
[6] 문서
[7] 문서 MacLEHOSE OF BEOCH, Baron
[8] 뉴스 Mislaid MacLehose cable reveals UK efforts to end Vietnam War http://www.thestanda[...] The Standard (Hong Kong) 2007-11-02
[9] 서적 香港總督麥理浩爵士
[10] 서적 The East Asian welfare model: welfare Orientalism and the state
[11] 웹사이트 District Administration http://www.gov.hk/en[...] Hong Kong Government
[12] 뉴스 Sir Murray MacLehose https://web.archive.[...] Time 2012-03-21
[13] 웹사이트 HSBC’s rainbow lions: Can we have our homophobia back please? https://hongkongfp.c[...] 2024-01-07
[14] 뉴스 Obituaries: Lord MacLehose of Beoch https://web.archive.[...] 2018-03-11
[15] 문서 2000-06-02
[16] 서적 Social policy reform in Hong Kong and Shanghai: a tale of two cities
[17] 서적 Hong Kong's housing policy: a case study in social justice
[18] 서적 A concise history of Hong Kong Rowman & Littlefield
[19] 서적 Hong Kong employment law: a practical guide
[20] 서적 Professional ideologies and preferences in social work: a global study
[21] 서적 Frommer's Hong Kong
[22] 서적 Growing with Hong Kong: the University and its graduates: the first 90 years
[23] 서적 Language policy, culture, and identity in Asian contexts
[24] 서적 Hong Kong's tortuous democratization: a comparative analysis
[25] 서적 Understanding the Political Culture of Hong Kong: The Paradox of Activism and Depolitization
[26] 서적 Hong Kong, China: growth, structural change, and economic stability during the transition
[27] 서적 Rehabilitation: A Life's Work
[28] 서적 Understanding the political culture of Hong Kong: the paradox of activism and depoliticization
[29] 서적 Promoting prosperity: the Hong Kong way of social policy
[30] Youtube Computer Animation of the 1972 & 76 Sau Mau Ping Landslides https://www.youtube.[...]
[31] 서적 麥理浩十年 電視廣播有限公司
[32] 간행물 Britain's Approach to the Negotiations over the Future of Hong Kong, 1979–1982 2022
[33] 웹사이트 LOOKING BACK: HOW LONDON AND BEIJING DECIDED THE FATE OF HONG KONG https://carnegieendo[...] 2023-10-06
[34] 문서 The Rt Hon the Lord Crawford Murray MACLEHOSE of Beoch https://web.archive.[...] The University of Hong Kong
[35] 뉴스 Former Hong Kong Governor Dies 2000-06-01
[36] 웹사이트 University of Hong Kong, Honorary Degrees Congregation http://www3.hku.hk/h[...]
[37] 웹사이트 行政長官聲明 https://www.info.gov[...] 2024-08-08
[38] 웹사이트 政務司司長回應新聞界查詢 https://www.info.gov[...] 2024-08-08
[39] 간행물 London Gazette 1946-01-01
[40] 간행물 London Gazette 1964-01-01
[41] 간행물 London Gazette 1971-06-12
[42] 간행물 London Gazette 1972-02-17
[43] 간행물 London Gazette 1975-06-19
[44] 간행물 London Gazette 1976-06-12
[45] 간행물 London Gazette 1982-05-26
[46] 간행물 London Gazette 1983-12-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