멀티버스 (컴퓨팅)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멀티버스는 다양한 전송 속도의 장치를 연결하여 최대 처리량을 유지하는 비동기 버스 아키텍처이다. 1974년 인텔에서 처음 출시된 Multibus I과 1987년 및 1994년에 출시된 Multibus II가 있으며, 여러 프로세서 및 DMA 장치에서 공유 가능한 멀티 마스터 기능을 지원한다. 멀티버스 기반 시스템은 런던 지하철 중앙선 신호 제어 시스템, 오슬로 지하철 제어 시스템, 그리고 198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 한국의 산업 자동화 및 철도 신호 제어 시스템 등에서 사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컴퓨터 버스 - NMEA 0183
NMEA 0183은 선박용 GPS, 자동식별장치(AIS) 등 항해 장비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 사용되는 ASCII 기반의 직렬 통신 프로토콜로, RS-422 전기 표준을 사용하며, 문장 형태의 데이터를 통해 정보를 전달하고, 물리 계층, 데이터 링크 계층, 애플리케이션 계층의 3가지 레이어로 구성되어 다양한 소프트웨어에서 지원된다. - 컴퓨터 버스 - 인피니밴드
인피니밴드는 고성능 컴퓨팅 환경에서 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장치 간 고속 데이터 전송을 위한 직렬 통신 기술로, 슈퍼컴퓨터나 데이터 센터에서 주로 사용되지만 이더넷 기반 기술과의 경쟁 및 새로운 컴퓨팅 환경에 대한 적응이라는 과제를 안고 있다.
멀티버스 (컴퓨팅) | |
---|---|
일반 정보 | |
이름 | 멀티버스 |
다른 이름 | 시스템 버스 |
개발자 | 인텔 |
유형 | 병렬 컴퓨터 버스 |
소개 시기 | 1974년 |
버스 폭 | 16비트 |
데이터 전송 속도 | 10MB/s |
기술 사양 | |
신호 방식 | 비동기 |
커넥터 | 86핀 에지 커넥터 |
주소 공간 | 24비트 (16MB) |
인터럽트 | 8개 |
버스 마스터링 | 다중 마스터링 지원 |
특징 | |
주요 특징 | 모듈식 설계 다중 프로세서 지원 다양한 주변 장치 지원 |
장점 | 유연성 확장성 다양한 공급업체 지원 |
단점 | 복잡한 구조 높은 비용 제한된 대역폭 |
역사 | |
개발 배경 | 인텔 8080 마이크로프로세서 기반 시스템 개발을 위해 개발됨 |
발전 | Multibus II (IEEE 1296)로 발전 VMEbus, Futurebus 등의 다른 표준에 영향 |
활용 | |
주요 사용 분야 | 산업 자동화 군사 시스템 의료 장비 통신 장비 |
예시 시스템 | 인텔 개발 시스템 선 마이크로시스템즈 워크스테이션 실리콘 그래픽스 워크스테이션 |
관련 표준 | |
IEEE 표준 | IEEE 796 |
후속 표준 | Multibus II (IEEE 1296) |
2. 멀티버스 표준
멀티버스는 다양한 전송 속도를 가진 장치들을 연결하면서도 최대의 처리량을 유지할 수 있도록 설계된 비동기 버스이다. 20개의 어드레스 라인을 가지고 있어, 최대 1 Mb의 멀티버스 메모리와 1 Mb의 입출력(I/O) 공간을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멀티버스 I/O 장치는 주소 공간의 처음 64 Kb만 인식하여 사용한다.
또한, 멀티버스는 여러 프로세서나 다른 DMA 장치들이 버스를 공유할 수 있도록 멀티 마스터 기능을 지원한다.[12]
멀티버스 표준에 포함되는 주요 버스 규격은 다음과 같다.
버스 종류 | 표준 채택 정보 | 비고 |
---|---|---|
멀티버스 시스템 버스 | IEEE 796으로 채택됨 | |
iSBX (I/O 확장 버스) | IEEE P959로 채택됨 | |
iLBX 로컬 버스 확장[7][14] | 실행 버스 / 확장 버스 | |
멀티채널 I/O 버스 |
멀티버스 규격은 크게 두 가지 주요 버전으로 발전해왔다. 첫 번째 버전인 멀티버스 I은 인텔이 1974년에 처음 선보인 마이크로컴퓨터 시스템 버스 규격으로, 이후 IEEE 796 표준으로 채택되었다. 이 버전은 8비트 및 16비트 데이터를 처리하며 비동기 방식으로 작동하는 특징을 가진다.
표준 멀티버스 폼 팩터는 폭 약 30.48cm, 길이 약 17.14cm 크기의 회로 기판 형태를 가진다. 기판 앞면에는 제거를 쉽게 하기 위한 두 개의 레버가 달려 있다. 보드에는 두 개의 버스가 있는데, 넓은 P1 버스는 멀티버스 사양으로 정의되어 있고, 두 번째로 작은 P2 버스는 개인 버스로 정의되어 사용된다.
3. 버전
두 번째 버전인 멀티버스 II는 1987년과 1994년에 발표된 고성능 32비트 버스 규격이다. ISO/IEC 10861:1994 및 IEEE 1296 표준으로 정의되었으며, 동기식 방식을 채택하여 더 높은 데이터 전송 속도를 지원한다.
3. 1. 멀티버스 I
인텔이 1974년 처음 출시한 마이크로컴퓨터 시스템 버스 규격으로, IEEE 796 표준으로 채택되었다. 이 카드는 전면 패널 대신 카드 가장자리의 핀(edge connector)을 커넥터로 사용했는데, 이는 ISA나 PC/AT 카드와 유사한 방식이다. 현재는 단종되었지만, 노스웨스트 테크니컬(Northwest Technical)과 같은 일부 회사에서 여전히 관련 제품을 제공하고 있다.
다음은 IEC 796 표준에서 멀티버스 I과 관련된 섹션 목록이다.
표준 번호 | 내용 |
---|---|
IEC 796-1:1990 | 마이크로프로세서 시스템 버스—8비트 및 16비트 데이터(Multibus I) — 파트 1: 전기 및 타이밍 사양을 포함한 기능 설명 |
IEC 796-2:1990 | 마이크로프로세서 시스템 버스—8비트 및 16비트 데이터(Multibus I) — 파트 2: 엣지 커넥터(직접)를 사용한 시스템 버스 구성에 대한 기계적 및 핀 설명 |
IEC 796-3:1990 | 마이크로프로세서 시스템 BUS I, 8비트 및 16비트 데이터(Multibus I) — 파트 3: 핀 및 소켓(간접) 커넥터를 사용한 유로카드 구성에 대한 기계적 및 핀 설명 |
멀티버스 I은 비동기 버스 방식으로, 서로 다른 전송 속도를 가진 장치들을 연결하면서도 시스템 전체의 처리량을 최대한 유지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20개의 어드레스 라인을 가지고 있어, 최대 1 MB의 멀티버스 메모리와 1 MB의 입출력(I/O) 공간을 사용할 수 있다. 다만, 대부분의 멀티버스 I I/O 장치는 주소 공간의 처음 64 KB 영역만 인식하여 사용한다. 또한, 여러 개의 프로세서나 다른 DMA 장치가 버스를 공유할 수 있도록 멀티 마스터(multi-master) 기능을 지원한다.[12]
표준 멀티버스 카드는 폭 약 30.48cm, 길이 약 17.14cm의 회로 기판 형태를 가진다. 카드 앞면에는 보드를 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두 개의 레버가 달려 있다. 보드에는 두 개의 버스 커넥터가 있는데, 넓은 P1 버스는 멀티버스 사양에 따라 정의된 주 시스템 버스이고, 더 작은 P2 버스는 각 보드 제조사가 필요에 따라 사용하는 사설 버스(private bus)로 정의되어 있다.
멀티버스 I은 다음과 같은 버스 규격들을 포함한다.
- 멀티버스 시스템 버스 - IEEE 796에 채용
- iSBX (I/O 확장 버스) - IEEE P959에 채용
- iLBX (실행 버스)
- 멀티채널 I/O 버스
3. 2. 멀티버스 II
멀티버스 II는 ISO/IEC 10861:1994 및 IEEE 1296 표준으로 정의된 고성능 동기식 32비트 버스이다. 이 표준은 1987년과 1994년에 발표되었다.멀티버스 II는 32비트 데이터 버스를 사용하며, 10MHz의 클럭 속도로 동작하여 최대 40MB/s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제공한다. 사용되는 카드 크기는 3U x 220mm 및 6U x 220mm로, 이는 VME 유로카드 크기(3U/6U x 160mm)보다 크다. 신호 전송에는 TTL("Fast" 시리즈) 게이트 드라이버가 사용되며, 백플레인 연결에는 DIN 41612 C형 커넥터가 사용된다.
현재 멀티버스 II는 기술적으로 성숙 단계에 있는 것으로 평가되며, 새로운 시스템 설계에는 일반적으로 권장되지 않는다.
4. 멀티버스 아키텍처
멀티버스는 다양한 전송 속도를 수용하면서 최대 처리량을 유지하는 비동기 I/O 버스였다. 20개의 주소 라인을 가지고 있어 최대 1 메가바이트의 멀티버스 메모리와 1 메가바이트의 I/O 위치를 주소 지정할 수 있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멀티버스 I/O 장치는 주소 공간의 처음 64 킬로바이트만 디코딩했다.
멀티버스는 여러 프로세서 및 기타 DMA 장치와 멀티버스를 공유할 수 있는 멀티마스터 버스 기능을 지원했다.[6][12]
표준 멀티버스 폼 팩터는 앞쪽에 두 개의 배출 레버가 있는 폭 약 30.48cm, 길이 약 17.14cm의 회로 기판이었다. 이 기판에는 두 개의 버스가 있었는데, 멀티버스 사양에 의해 핀 할당이 정의된 더 넓은 P1 버스와 전용 버스로 정의된 두 번째 작은 P2 버스였다.
5. 역사적 사용 사례
iRMX 운영 체제를 실행하는 멀티버스-II 하드웨어는 런던 지하철 중앙선의 신호 제어 시스템(CLSCS)에서 핵심적인 자동 열차 감시 하위 시스템의 대부분에 사용되었다. 이 시스템은 웨스팅하우스 레일 시스템즈가 공급했으며, 1990년대 중반부터 운영되었다. 중앙선은 자동 열차 운전 방식으로 운행되는 노선이다.
자동 열차 감시 시스템은 멀티버스에서 iRMX를, SPARC 컴퓨터에서는 Solaris를 혼합하여 사용한다. 노선을 따라 16개의 멀티버스 기반 지역 컴퓨터가 설치되어 있으며, 제어 센터에는 6개의 중앙 멀티버스 기반 하위 시스템이 있다. 실시간 제어 및 통신 기능은 멀티버스 기반 프로세서가 담당하고, Sun 워크스테이션은 데이터베이스 관리와 제어실 운영자 콘솔 기능을 제공한다. 모든 하위 시스템 컴퓨터는 이중화되어 안정성을 높였다. 다만, 안전 필수 요소인 자동 열차 보호 장치는 멀티버스를 사용하지 않는 별도의 선로변 및 차량 탑재 장비로 구현되었다. 이 시스템은 2011년 기준으로도 여전히 운영 중이었다. 제어 센터에는 직원 교육 및 소프트웨어 테스트를 위한 축소 모형 시스템도 있었는데, 이는 실제 시스템과 거의 동일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멀티버스-II 및 Sun 기반)를 사용하며 열차 이동과 신호 동작을 시뮬레이션하는 컴퓨터에 연결되어 있었다.
오슬로 지하철(오슬로 터널바네) 역시 중앙 공통 터널(Fellestunnelen) 구간에서 유사한 방식의 웨스팅하우스 멀티버스 하드웨어 제어 시스템을 사용했으나, 이는 2011년에 해체될 예정이었다.
참조
[1]
서적
IEEE Standard Microcomputer System Bus
https://ieeexplore.i[...]
IEEE
1983-12
[2]
간행물
The SUN Workstation Architecture
ftp://reports.stanfo[...]
Stanford University Computer systems Laboratory
1982-03
[3]
웹사이트
The Sun Hardware Reference
http://www.math.ucda[...]
2007-01-02
[4]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umich.edu[...]
2008-04-25
[5]
Webarchive
Silicon Graphics IRIS 2000/3000 FAQ
http://www.futuretec[...]
2013-09-04
[6]
문서
Sun 68000 Board User's Manual
Sun Microsystems, Inc
1983-02
[7]
간행물
AFIPS '83 Proceedings of the May 16-19, 1983, national computer conference
http://dl.acm.org/ci[...]
ACM digital library
[8]
간행물
「サン・ワークステーションのアーキテクチャ」
ftp://reports.stanfo[...]
スタンフォード大学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研究所
1982-03
[9]
웹사이트
アーカイブされたコピー
http://www.math.ucda[...]
2008-04-25
[10]
웹사이트
HP/APOLLO SYSTEMS INFORMATION
http://www.umich.edu[...]
[11]
웹사이트
Silicon Graphics IRIS 2000/3000 FAQ
http://www.futuretec[...]
[12]
문서
サン68000ボード ユーザーズ・マニュアル
サン・マイクロシステムズ
1933-02
[13]
웹인용
IEEE Standard Microcomputer System Bus
http://ieeexplore.ie[...]
Ieeexplore.ieee.org
2011-11-21
[14]
간행물
AFIPS '83 Proceedings of the May 16-19, 1983, national computer conference
http://dl.acm.org/ci[...]
ACM digital librar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