멍크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멍크턴은 캐나다 뉴브런즈윅 주 남동부에 위치한 도시이다. 1670년대 아카디아인들이 정착하여 시작되었으며, 1855년 시로 통합되었다. 철도 교통의 요충지로 발전하며 경제 성장을 이루었고, 2002년 캐나다 최초의 공식 이중 언어 도시가 되었다. 현재 상업, 유통, 운송, 소매 중심지로서 경제적 중요성을 가지며, 주요 관광 명소로는 매그네틱 힐 등이 있다. 캐피톨 극장, 아베니르 센터 등 문화 시설과 다양한 스포츠 팀을 보유하고 있으며, 2006년 기념컵, 2010년 IAAF 세계 주니어 육상 선수권 대회 등 국제적인 행사들을 개최한 바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뉴브런즈윅주의 도시 - 프레더릭턴
프레더릭턴은 캐나다 뉴브런즈윅 주의 수도로서 세인트존강에 위치하며, 오랜 역사를 가진 도시이자 교육기관과 정부기관, IT 산업을 통해 성장하고 있고, 다양한 문화 행사와 트레일, 박물관, 역사적 건축물을 보유하고 있다. - 뉴브런즈윅주의 도시 - 세인트존 (뉴브런즈윅주)
세인트존은 캐나다 뉴브런즈윅주 남부 펀디 만 북쪽 해안에 위치한 도시로, 1785년 캐나다 최초로 법인화되었으며 조선업 중심지에서 현재는 관광 산업과 세인트존 항을 중심으로 경제가 운영되고 있다.
멍크턴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 | |
![]() | |
![]() | |
별칭 | 허브 시티 |
표어 | "Resurgo" (라틴어) (나는 다시 일어선다) |
지리 좌표 | 46° 07′ 58″ N, 64° 46′ 17″ W |
행정 구역 | |
국가 | 캐나다 |
주 | 뉴브런즈윅주 |
카운티 | 웨스트모얼랜드 |
패리시 | 멍크턴 패리시 |
역사 | |
최초 정착 | 1733년 |
설립 | 1766년 |
자치시 설립 | 1855년, 1875년 |
명칭 유래 | 로버트 몽크턴 |
정부 | |
정부 형태 | 시-매니저 정부 |
시장 | 던 아놀드 |
시 의회 | 멍크턴 시 의회 |
연방 하원 의원 | 지넷 프티파 테일러 |
주의회 의원 | 어니 스티브스, 다니엘 알랭, 롭 맥키, 그렉 터너, 셰리 윌슨 |
면적 | |
총 면적 | 140.67 km² |
도시 면적 | 110.73 km² |
광역 도시권 면적 | 2562.47 km² |
고도 | |
최대 고도 | 70 m |
최소 고도 | 0 m |
인구 | |
총 인구 (2021년) | 79470명 |
인구 밀도 | 564명/km² |
도시 인구 (2021년) | 119785명 |
도시 인구 밀도 | 1081.8명/km² |
광역 도시권 인구 (2021년) | 157717명 |
광역 도시권 인구 밀도 | 61.5명/km² |
인구 통계 | 멍크턴 주민 |
기타 정보 | |
시간대 | AST |
UTC 오프셋 | -4 |
DST | ADT |
UTC 오프셋 (DST) | -3 |
우편 번호 | E1A-E1G, E1K |
지역 번호 | 506 및 428 |
GNBC 코드 | DADHJ |
고속도로 | |
GDP (멍크턴 CMA) | CA$ 69억 (2016년) |
1인당 GDP (멍크턴 CMA) | CA$ 47,959 (2016년) |
공식 웹사이트 | 멍크턴 공식 웹사이트 |
2. 역사
1670년대에 펀디 만 어귀에 아카디아인들이 정착했다.[12] 1700년경 쁘띠코디악 강과 메람쿡 강 계곡에 정착이 시작되어 1733년에는 현재의 멍크턴 부지에 도달했다. 이들은 습지 농업 공동체를 설립하고 정착지를 'Le Coude'(“The Elbow”, 팔꿈치)라고 명명했다.[14]
1755년, 로버트 멍크턴 중령의 지휘 하에 영국군이 인근 포트 보세주르를 점령하면서 보세장 지역은 영국의 지배하에 놓였다.[15][16] 같은 해, 찰스 로렌스 총독은 아카디아인 추방령을 내려 노바스코샤에서 아카디아인들을 추방했다.[17]
이후 쁘띠코디악 강 상류 지역은 벤자민 프랭클린이 주요 인물 중 한 명이었던 필라델피아 토지 회사의 통제를 받게 되었다. 1766년, 펜실베이니아 독일인 정착민들이 르 쿠드에 도착하여 기존의 농업 공동체를 재건했다.[18] 이들은 하인리히 슈티프 (스티브스), 야곱 트라이츠 (트라이츠), 마티아스 소머 (소머스), 야곱 라이커 (리커), 찰스 존스 (샨츠),[19] 조지 워트만 (워트만), 마이클 루츠 (루츠), 조지 코플 (코플)의 8가구였다. 이들은 정착지의 이름을 "The Bend"(굽이)로 바꾸었다.[14] 홀 크릭 입구에는 그들을 기리는 기념비가 있다.[20]
The Bend는 1836년까지 20가구만이 거주하는 농업 정착지로 남아 있었다. 이후 웨스트모어랜드 로드가 개통되고 세인트 존과 핼리팩스 사이에 정기 우편 마차 서비스가 시작되면서 The Bend는 중요한 환승 및 휴게소가 되었다. 그 후 10년 동안 벌목과 조선이 이 지역의 중요한 산업으로 부상했다.
1847년 조셉 살터가 The Bend의 조선소를 인수하면서 지역 사회의 전환점이 찾아왔다. 조선소는 약 400명의 노동자를 고용할 정도로 성장했고, The Bend는 서비스 기반 경제를 발전시키며 성장했다.[21] 1855년, The Bend는 멍크턴 시로 통합되었는데, 이는 로버트 멍크턴의 이름을 딴 것이었지만, 사무적 오류로 인해 철자가 잘못 표기되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14] 초대 시장은 조셉 살터였다.
1857년, 유럽 북미 철도가 멍크턴에서 쉐디악까지 노선을 개통했고, 1859년에는 세인트 존까지 노선이 개통되었다.[22] 그러나 증기선의 인기로 인해 목재 조선 시대는 종말을 맞이했고, 살터 조선소는 1858년에 폐쇄되었다. 이로 인해 멍크턴은 1862년에 시 헌장을 포기했다.[14]
1871년, 멍크턴이 캐나다 대륙간 철도 (ICR)의 본부로 선정되면서 두 번째 번영 시대가 찾아왔다.[14] 1875년,[14] 멍크턴은 다시 시로 통합되었고, 1876년에는 퀘벡으로 가는 ICR 노선이 개통되었다. 1890년 4월 23일, 멍크턴은 시의 지위를 얻었다.[23]
멍크턴은 20세기 초, 특히 1912년 국가 대륙간 철도 프로젝트의 동부 종착역이 되면서 빠르게 성장했다.[24] 1918년, ICR과 국가 대륙간 철도 (NTR)는 캐나다 국립 철도 (CNR) 시스템으로 병합되었고,[24] 멍크턴은 CNR의 해양 부서 본부가 되었다.[25] T. 이튼 컴퍼니의 카탈로그 창고가 이전해 오면서 700명 이상을 고용했다.[26]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군수 기지가 건설되었고, 1950년대에는 철도 고용이 6,000명으로 정점을 찍었다.[27]
1960년대 초, 2번 국도와 15번 국도가 건설되고 쁘띠코디악 강 제방이 건설되었다.[28][14] 1963년에는 멍크턴 대학교가 설립되어 아카디아 문화 발전에 기여했다.[29][30]
1970년대 후반과 1980년대는 경제적 어려움의 시기였지만,[31] 1990년대 초 콜센터 산업이 발전하면서 정보 기술의 부상과 함께 경제가 다각화되었다.[34] 1990년대 후반부터 소매, 제조업, 서비스업이 확장되면서 멍크턴은 고용 손실을 회복하고 "멍크턴의 기적"이라 불리는 극적인 반전을 이루었다.[35]
1999년 프랑코포니 정상 회담, 2005년 롤링 스톤스 콘서트, 2006년 메모리얼 컵, 2010년 IAAF 세계 주니어 육상 선수권 대회 등 주요 행사를 개최하면서 지역 사회의 자신감이 강화되었다.[36] 크랜들 대학교의 발전,[37] 그레이터 멍크턴 로미오 르블랑 국제공항 확장,[37] 건닝스빌 다리 개통[38] 등의 발전이 이어졌다. 2002년, 멍크턴은 캐나다 최초의 공식적인 이중 언어 도시가 되었고,[39] 2006년에는 뉴브런즈윅에서 가장 큰 대도시권이 되었다.[40] 멍크턴은 두 차례의 경제 위기를 겪었지만, 매번 재건에 성공하여 "Resurgo(부활한다)"라는 모토를 가지게 되었다. 현재는 교육, 후생, 금융, 정보 과학, 보험 등 다양한 경제 기반을 갖춘 안정적인 도시로 성장했다.
2. 1. 초기 정착과 아카디아인 추방
1670년대에 펀디 만 어귀에 아카디아인들이 정착했다.[12] 1700년경 쁘띠코디악 강과 메람쿡 강 계곡에 정착이 시작되어 1733년에는 현재 멍크턴 부지에 도달했다. 멍크턴 지역의 최초 아카디아인 정착민들은 습지 농업 공동체를 설립하고 그들의 정착지를 'Le Coude'(“The Elbow”, 팔꿈치)라고 명명했는데,[14] 이는 정착지 근처 강의 90° 굽이를 가리키는 말이었다.1755년, 인근 포트 보세주르는 중령 로버트 멍크턴의 지휘 하에 영국군에게 점령되었다.[15] 메람쿡과 쁘띠코디악 강 계곡을 포함한 보세장 지역은 이후 영국의 지배하에 놓였다.[16] 그해 말, 총독 찰스 로렌스는 아카디아인 추방령을 내려 노바스코샤 (르 쿠드와 같은 최근 점령된 아카디아 지역 포함)에서 추방했다. 이 조치는 "대격변"으로 알려지게 되었다.[17]
이후 쁘띠코디악 강 상류 지역은 필라델피아 토지 회사(그 주요 인물 중 한 명은 벤자민 프랭클린이었다)의 통제를 받게 되었다. 1766년, 펜실베이니아 독일인 정착민들이 르 쿠드에 기존의 농업 공동체를 재건하기 위해 도착했다.[18] 정착민들은 8가구로 구성되었다: 하인리히 슈티프 (스티브스), 야곱 트라이츠 (트라이츠), 마티아스 소머 (소머스), 야곱 라이커 (리커), 찰스 존스 (샨츠),[19] 조지 워트만 (워트만), 마이클 루츠 (루츠), 조지 코플 (코플). 홀 크릭 입구에는 그들을 기리는 기념비가 있다.[20] 그들은 정착지의 이름을 "The Bend"(굽이)로 바꾸었다.[14] The Bend는 거의 80년 동안 농업 정착지로 남아 있었다. 1836년에도 이 공동체에는 20가구밖에 없었다. 그 당시 웨스트모어랜드 로드가 연중 여행이 가능해졌고, 세인트 존과 핼리팩스 사이에 정기 우편 마차 서비스가 시작되었다. The Bend는 노선상의 중요한 환승 및 휴게소가 되었다. 그 후 10년 동안, 벌목과 조선이 이 지역의 중요한 산업이 되었다.
2. 2. 펜실베이니아 독일인 정착과 도시 성장
멍크턴 지역에는 1670년대에 펀디 만 어귀에 아카디아인들이 정착했다.[12] 1700년경 쁘띠코디악 강과 메람쿡 강 계곡에 정착이 시작되어 1733년에는 현재의 멍크턴 부지에 도달했다. 이들은 습지 농업 공동체를 설립하고 정착지를 'Le Coude'(“The Elbow”, 팔꿈치)라고 명명했다.[14]1755년, 로버트 멍크턴 중령의 지휘 하에 영국군이 인근 포트 보세주르를 점령하면서 보세장 지역은 영국의 지배하에 놓였다.[15][16] 같은 해, 찰스 로렌스 총독은 아카디아인 추방령을 내려 노바스코샤에서 아카디아인들을 추방했다.[17]
이후 쁘띠코디악 강 상류 지역은 벤자민 프랭클린이 주요 인물 중 한 명이었던 필라델피아 토지 회사의 통제를 받게 되었다. 1766년, 펜실베이니아 독일인 정착민들이 르 쿠드에 도착하여 기존의 농업 공동체를 재건했다.[18] 이들은 하인리히 슈티프 (스티브스), 야곱 트라이츠 (트라이츠), 마티아스 소머 (소머스), 야곱 라이커 (리커), 찰스 존스 (샨츠),[19] 조지 워트만 (워트만), 마이클 루츠 (루츠), 조지 코플 (코플)의 8가구였다. 이들은 정착지의 이름을 "The Bend"(굽이)로 바꾸었다.[14]
The Bend는 1836년까지 20가구만이 거주하는 농업 정착지로 남아 있었다. 이후 웨스트모어랜드 로드가 개통되고 세인트 존과 핼리팩스 사이에 정기 우편 마차 서비스가 시작되면서 The Bend는 중요한 환승 및 휴게소가 되었다. 그 후 10년 동안 벌목과 조선이 이 지역의 중요한 산업으로 부상했다.
1847년 조셉 살터가 The Bend의 조선소를 인수하면서 지역 사회의 전환점이 찾아왔다. 조선소는 약 400명의 노동자를 고용할 정도로 성장했고, The Bend는 서비스 기반 경제를 발전시키며 성장했다.[21] 1855년, The Bend는 멍크턴 시로 통합되었는데, 이는 로버트 멍크턴의 이름을 딴 것이었지만, 사무적 오류로 인해 철자가 잘못 표기되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14] 초대 시장은 조셉 살터였다.
1857년, 유럽 북미 철도가 멍크턴에서 쉐디악까지 노선을 개통했고, 1859년에는 세인트 존까지 노선이 개통되었다.[22] 그러나 증기선의 인기로 인해 목재 조선 시대는 종말을 맞이했고, 살터 조선소는 1858년에 폐쇄되었다. 이로 인해 멍크턴은 1862년에 시 헌장을 포기했다.[14]
1871년, 멍크턴이 캐나다 대륙간 철도 (ICR)의 본부로 선정되면서 두 번째 번영 시대가 찾아왔다.[14] 1875년,[14] 멍크턴은 다시 시로 통합되었고, 1876년에는 퀘벡으로 가는 ICR 노선이 개통되었다. 1890년 4월 23일, 멍크턴은 시의 지위를 얻었다.[23]
멍크턴은 20세기 초, 특히 1912년 국가 대륙간 철도 프로젝트의 동부 종착역이 되면서 빠르게 성장했다.[24] 1918년, ICR과 국가 대륙간 철도 (NTR)는 캐나다 국립 철도 (CNR) 시스템으로 병합되었고,[24] 멍크턴은 CNR의 해양 부서 본부가 되었다.[25] T. 이튼 컴퍼니의 카탈로그 창고가 이전해 오면서 700명 이상을 고용했다.[26]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군수 기지가 건설되었고, 1950년대에는 철도 고용이 6,000명으로 정점을 찍었다.[27]
1960년대 초, 2번 국도와 15번 국도가 건설되고 쁘띠코디악 강 제방이 건설되었다.[28][14] 1963년에는 멍크턴 대학교가 설립되어 아카디아 문화 발전에 기여했다.[29][30]
1970년대 후반과 1980년대는 경제적 어려움의 시기였지만,[31] 1990년대 초 콜센터 산업이 발전하면서 정보 기술의 부상과 함께 경제가 다각화되었다.[34] 1990년대 후반부터 소매, 제조업, 서비스업이 확장되면서 멍크턴은 고용 손실을 회복하고 "멍크턴의 기적"이라 불리는 극적인 반전을 이루었다.[35]
1999년 프랑코포니 정상 회담, 2005년 롤링 스톤스 콘서트, 2006년 메모리얼 컵, 2010년 IAAF 세계 주니어 육상 선수권 대회 등 주요 행사를 개최하면서 지역 사회의 자신감이 강화되었다.[36] 크랜들 대학교의 발전,[37] 그레이터 멍크턴 로미오 르블랑 국제공항 확장,[37] 건닝스빌 다리 개통[38] 등의 발전이 이어졌다. 2002년, 멍크턴은 캐나다 최초의 공식적인 이중 언어 도시가 되었고,[39] 2006년에는 뉴브런즈윅에서 가장 큰 대도시권이 되었다.[40] 멍크턴은 두 차례의 경제 위기를 겪었지만, 매번 재건에 성공하여 "Resurgo(부활한다)"라는 모토를 가지게 되었다. 현재는 교육, 후생, 금융, 정보 과학, 보험 등 다양한 경제 기반을 갖춘 안정적인 도시로 성장했다.
2. 3. 철도 시대와 경제 변동
멍크턴은 1670년대 펀디 만 어귀에 아카디아인들이 정착하면서 시작되었다.[12] 1733년 현재의 멍크턴 부지에 아카디아인 정착민들이 습지 농업 공동체 'Le Coude'를 설립했다.[14] 1755년 포트 보세주르가 로버트 멍크턴 중령 지휘 하의 영국군에게 점령되고,[15] 찰스 로렌스 총독의 아카디아인 추방령으로 대격변이 일어났다.[17]1766년, 필라델피아 토지 회사 통제 하에 펜실베이니아 독일인 정착민들이 르 쿠드에 도착하여 'The Bend'로 개명하고 농업 공동체를 재건했다.[18] 1836년 웨스트모어랜드 로드가 개통되고 세인트 존과 핼리팩스 간 정기 우편 마차 서비스가 시작되면서 The Bend는 중요한 환승 및 휴게소가 되었다.[21]
1847년 조셉 살터가 The Bend의 조선소를 인수하면서 전환점을 맞았다.[21] 조선소는 약 400명을 고용하며 성장했고, The Bend는 서비스 기반 경제를 발전시켰다. 1855년, 목재 조선 산업의 번영으로 The Bend는 멍크턴 시로 통합되었으며, 도시 이름은 로버트 멍크턴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나, 사무적 오류로 철자가 잘못 표기되었다.[14] 초대 시장은 조셉 살터였다.
1857년 유럽 북미 철도가 멍크턴- 쉐디악 노선을, 1859년에는 멍크턴-세인트 존 노선을 개통했다.[22] 그러나 증기선으로 인해 목재 조선 시대가 종말을 맞이하면서 1858년 살터 조선소가 폐쇄되었고, 1862년 멍크턴은 시 헌장을 포기했다.[14]
|thumb|left|이 도시의 경제는 1871년 캐나다 대륙간 철도의 본부로 선정되면서 활력을 되찾았다.]]
1871년 멍크턴이 캐나다 대륙간 철도(ICR)의 본부로 선정되면서 두 번째 번영 시대가 시작되었다.[14] 1875년 멍크턴은 다시 시로 통합되었고,[14] 1890년 시의 지위를 얻었다.[23]
|thumb|1927년의 캐나다 국립 철도역]]
20세기 초 멍크턴은 국가 대륙간 철도 프로젝트의 동부 종착역이 되면서 빠르게 성장했다.[24] 1918년 ICR과 국가 대륙간 철도는 캐나다 국립 철도(CNR)로 병합되었고, 멍크턴은 CNR 해양 부서의 본부가 되었다.[25] T. 이튼 컴퍼니 카탈로그 창고 이전(1920년대)으로 700명 이상이 고용되었다.[26] 제2차 세계 대전 중 캐나다 육군은 군수 기지를 건설했다. 멍크턴의 철도 고용은 1950년대에 정점을 찍었다.[27]
|thumb|left|Aliant 타워는 대서양 캐나다에서 통신 및 교통 허브로서 멍크턴의 위치를 상징한다.]]
1960년대 초 2번 국도 건설로 캐나다 횡단 고속도로 네트워크에 포함되었고, 15번 국도 건설 및 쁘띠코디악 강 제방 건설이 이루어졌다.[28] 멍크턴 대학교는 1963년에 설립되어 아카디아 문화 발전에 기여했다.[29]
1970년대 후반과 1980년대는 이튼스 카탈로그 부서, CNR 기관차 공장, CFB 멍크턴 폐쇄로 경제적 어려움을 겪었다.[32] [33] 1990년대 초 콜센터가 이중 언어 노동력을 활용하면서 정보 기술과 함께 경제가 다각화되었고,[34] 1990년대 후반 소매, 제조업, 서비스 확장이 시작되어 멍크턴은 고용 손실을 만회했다. 이를 "멍크턴의 기적"이라 불렀다.[35]
1990년대 이후 멍크턴은 프랑코포니 정상 회담(1999), 롤링 스톤스 콘서트(2005), 메모리얼 컵(2006), IAAF 세계 주니어 육상 선수권 대회(2010) 등 주요 행사를 개최했다.[36] 크랜들 대학교 이전(1996), 그레이터 멍크턴 로미오 르블랑 국제공항 확장(2002),[37] 건닝스빌 다리 개통(2005) 등의 발전이 있었다.[38] 2002년 캐나다 최초의 공식 이중 언어 도시가 되었고,[39] 2006년 뉴브런즈윅 최대 대도시권이 되었다.[40]
2. 4. 20세기 이후의 발전
멍크턴은 20세기 초, 특히 1912년 국가 대륙간 철도 프로젝트의 동부 종착역이 되면서 빠르게 성장했다.[24] 1918년, 연방 정부는 캐나다 대륙간 철도(ICR)와 국가 대륙간 철도(NTR)를 새로 설립된 캐나다 국립 철도(CNR)로 병합했다.[24] ICR 공장은 CNR의 주요 기관차 수리 시설이 되었고, 멍크턴은 CNR 해양 부서의 본부가 되었다.[25] 1920년대 초에는 T. 이튼 컴퍼니의 카탈로그 창고가 이전해 와 700명 이상을 고용했다.[26] 20세기 중반, 운송 및 유통은 멍크턴 경제에 점점 더 중요해졌다. 1928년에는 멍크턴에서 최초의 정기 항공 서비스가 시작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캐나다 육군은 해양 군사 시설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도시에 대규모 군수 기지를 건설했다. CNR은 계속해서 도시 경제를 지배했으며, 멍크턴의 철도 고용은 1950년대에 거의 6,000명으로 정점을 찍은 후 점진적으로 감소하기 시작했다.[27]1960년대 초, 멍크턴은 캐나다 횡단 고속도로 네트워크에 포함되었고, 이후 15번 국도가 건설되었다.[28] 동시에 쁘띠코디악 강 제방이 건설되었다.[14] 1963년에는 멍크턴 대학교가 설립되어[29] 아카디아 문화 발전에 중요한 자원이 되었다.[30]
1970년대 후반과 1980년대는 여러 주요 고용주가 폐쇄되거나 구조 조정을 거치면서 경제적 어려움을 겪었다.[31] 이튼스 카탈로그 부서, CNR 기관차 공장 시설, CFB 멍크턴이 폐쇄되어 수천 명이 일자리를 잃었다.[32] [33]
1990년대 초, 콜센터가 도시의 이중 언어 노동력을 활용하면서 정보 기술이 부상하며 경제가 다각화되었다.[34] 1990년대 후반에는 소매, 제조업, 서비스 확장이 시작되었고, CNR 기관차 공장이 폐쇄된 지 10년 안에 멍크턴은 고용 손실을 만회했다. 이러한 극적인 반전을 "멍크턴의 기적"이라고 불렀다.[35]
1990년대 이후, 멍크턴은 프랑코포니 정상 회담(1999년), 롤링 스톤스 콘서트(2005년), 메모리얼 컵(2006년), IAAF 세계 주니어 육상 선수권 대회(2010년) 등 주요 행사를 개최하며 성장을 가속화했다.[36] 크랜들 대학교가 정식 대학교 지위를 획득하고(1996년), 그레이터 멍크턴 로미오 르블랑 국제공항이 새로운 터미널 건물을 개장하고 국제공항으로 지정되었으며(2002년),[37] 리버뷰로 가는 새로운 건닝스빌 다리가 개통되었다(2005년).[38] 2002년, 멍크턴은 캐나다 최초의 공식적인 이중 언어 도시가 되었다.[39] 2006년, 멍크턴은 인구 조사 대도시권으로 지정되었고 뉴브런즈윅에서 가장 큰 대도시권이 되었다.[40]
3. 지리
멍크턴은 뉴브런즈윅 남동부에 위치하며, 마리타임 지방의 지리적 중심지에 자리 잡고 있다. 이 도시는 프티코디악 강 북쪽 강둑에 위치하며, 강이 서쪽에서 동쪽으로, 그리고 북쪽에서 남쪽으로 급격하게 굽어지는 지점에 위치해 있다.
멍크턴의 프티코디악 강 계곡은 넓고 비교적 평평하며, 북쪽으로는 긴 능선(루츠 산)이, 남쪽으로는 험준한 캘리도니아 고지가 경계를 이룬다. 멍크턴은 강을 따라 최초의 항해 지점에 위치해 있었지만, 리버뷰로 가는 둑길(1968년 건설)로 인해 하류의 강 채널에 광범위한 퇴적이 발생하여 멍크턴 지역의 수로가 항해 불가능하게 되었다.[14] 2010년 4월 14일, 실트로 뒤덮인 강을 복원하기 위해 둑길의 문이 열렸다.[41] 주의 남동부, 프티코디악 계곡에 위치하며, 대서양 연안 주 중 지리적으로 중앙부에 위치한다.
== 조석 해일 ==
프티코디악강은 북미에서 몇 안 되는 조석 해일 중 하나를 보여준다.[42] 조석 해일은 밀물이 들어오면서 강을 거슬러 올라가는 규칙적인 파도이다. 이 해일은 펀디만의 극심한 조수 간만의 차로 인해 발생한다. 원래 이 해일은 매우 인상적이어서, 높이가 1에서 2m에 달하고 멍크턴 지역의 프티코디악강 폭 1km에 걸쳐 나타나기도 했다. 이 파도는 하루에 두 번, 만조 때 발생했으며 평균 13 km/h의 속도로 이동하며 굉음을 냈다.[42]
1960년대에 프티코디악 제방이 건설되면서 강바닥에 침전물이 빠르게 쌓여 해일의 높이가 15에서 20cm를 넘는 경우가 드물게 되었다.[43] 2010년 4월 14일, 침전물로 뒤덮인 강을 복원하기 위해 제방의 수문이 열렸다.[41] 제방 수문 개방 이후 최근 조석 해일은 몇 년 동안 볼 수 없었던 2피트 높이의 파도를 기록했다.[44]
== 기후 ==
멍크턴은 쾨펜 기후 구분 ''Dfb''에 해당하는 따뜻한 여름 습윤 대륙성 기후를 가지고 있으며, 강수량은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다.[45] 겨울은 춥고 햇볕이 잘 들며, 낮 최고 기온은 보통 영하 몇 도 사이를 유지한다. 큰 눈은 노르스터 해양 폭풍으로 인해 발생하며, 20~30cm의 눈이 비나 어는 비와 섞여 내리기도 한다.[46] 봄은 세인트로렌스 만의 해빙이 녹는 데 시간이 걸려 늦어지는 경향이 있지만, 최근 해빙량이 줄어들어 봄의 냉각 효과가 약해졌다.[47] 2월 말에는 낮 기온이 영상으로 올라가며, 5월이 되어서야 나무에 잎이 무성해진다.[48]
여름은 따뜻하고 때로는 더우며, 계절풍의 영향으로 습하다.[45] 낮 최고 기온은 종종 30°C 이상에 도달하며, 7월 말과 8월에는 짧은 가뭄이 발생하기도 한다.[48] 가을 낮 기온은 10월 말까지 온화하게 유지된다.[45] 첫눈은 보통 11월 말에 내리고, 12월 말이 되어서야 땅에 눈이 쌓인다. 펀디 해안은 열대성 폭풍의 영향을 받기도 하며,[48] 가장 심한 날씨는 가을/겨울 전환기(11월~1월 중순)에 발생한다.[48]
멍크턴에서 기록된 최고 기온은 1935년 8월 18일과 19일의 37.8°C였으며,[49] 최저 기온은 1948년 2월 5일의 -37.8°C였다.[49]
3. 1. 조석 해일
프티코디악강은 북미에서 몇 안 되는 조석 해일 중 하나를 보여준다.[42] 조석 해일은 밀물이 들어오면서 강을 거슬러 올라가는 규칙적인 파도이다. 이 해일은 펀디만의 극심한 조수 간만의 차로 인해 발생한다. 원래 이 해일은 매우 인상적이어서, 높이가 1에서 2m에 달하고 멍크턴 지역의 프티코디악강 폭 1km에 걸쳐 나타나기도 했다. 이 파도는 하루에 두 번, 만조 때 발생했으며 평균 13 km/h의 속도로 이동하며 굉음을 냈다.[42]
1960년대에 프티코디악 제방이 건설되면서 강바닥에 침전물이 빠르게 쌓여 해일의 높이가 15에서 20cm를 넘는 경우가 드물게 되었다.[43] 2010년 4월 14일, 침전물로 뒤덮인 강을 복원하기 위해 제방의 수문이 열렸다.[41] 제방 수문 개방 이후 최근 조석 해일은 몇 년 동안 볼 수 없었던 2피트 높이의 파도를 기록했다.[44]
3. 2. 기후
멍크턴은 쾨펜 기후 구분 ''Dfb''에 해당하는 따뜻한 여름 습윤 대륙성 기후를 가지고 있으며, 강수량은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다.[45] 겨울은 춥고 햇볕이 잘 들며, 낮 최고 기온은 보통 영하 몇 도 사이를 유지한다. 큰 눈은 노르스터 해양 폭풍으로 인해 발생하며, 20~30cm의 눈이 비나 어는 비와 섞여 내리기도 한다.[46] 봄은 세인트로렌스 만의 해빙이 녹는 데 시간이 걸려 늦어지는 경향이 있지만, 최근 해빙량이 줄어들어 봄의 냉각 효과가 약해졌다.[47] 2월 말에는 낮 기온이 영상으로 올라가며, 5월이 되어서야 나무에 잎이 무성해진다.[48]여름은 따뜻하고 때로는 더우며, 계절풍의 영향으로 습하다.[45] 낮 최고 기온은 종종 30°C 이상에 도달하며, 7월 말과 8월에는 짧은 가뭄이 발생하기도 한다.[48] 가을 낮 기온은 10월 말까지 온화하게 유지된다.[45] 첫눈은 보통 11월 말에 내리고, 12월 말이 되어서야 땅에 눈이 쌓인다. 펀디 해안은 열대성 폭풍의 영향을 받기도 하며,[48] 가장 심한 날씨는 가을/겨울 전환기(11월~1월 중순)에 발생한다.[48]
멍크턴에서 기록된 최고 기온은 1935년 8월 18일과 19일의 37.8°C였으며,[49] 최저 기온은 1948년 2월 5일의 -37.8°C였다.[49]
4. 도시 경관
멍크턴은 일반적으로 "저층" 도시로 남아 있지만, 도시의 스카이라인은 다양한 시대의 다양한 건축 양식을 가진 건물과 구조물을 포함한다. 도시에서 가장 두드러진 구조물은 1971년에 건설된 127m 높이의 마이크로파 통신 타워인 벨 알리안트 타워이다.[58] 이 타워는 건설 당시 북미에서 이 종류의 가장 높은 마이크로파 통신 타워였으며, 멍크턴에서 가장 높은 구조물이다. 벨 알리안트 타워는 대서양 4개 주 전체에서 가장 높은 독립형 구조물이기도 하다.[58]
어섬션 플레이스는 20층짜리 사무실 건물이며, 어섬션 상호 생명 보험의 본사이다. 이 건물은 81m 높이이며, 세인트존의 브런즈윅 스퀘어와 함께 이 주에서 가장 높은 건물이다.[59] 블루 크로스 센터는 멍크턴 시내에 있는 9층 건물으로, 건축학적으로 독특하며 도시 전체 블록을 포함하고 있고 면적 기준으로 도시에서 가장 큰 사무실 건물이다.[60] 이곳은 메다비 블루 크로스와 멍크턴 공립 도서관의 본부이다. 델타 보세주르 및 브런즈윅 크라운 플라자 호텔과 터미널 플라자 오피스 단지를 포함하여 멍크턴에는 8층에서 12층 사이의 다른 건물도 약 6개 정도 있다.
4. 1. 스카이라인
멍크턴은 일반적으로 "저층" 도시로 남아 있지만, 도시의 스카이라인은 다양한 시대의 다양한 건축 양식을 가진 건물과 구조물을 포함한다. 도시에서 가장 두드러진 구조물은 1971년에 건설된 127m 높이의 마이크로파 통신 타워인 벨 알리안트 타워이다.[58] 이 타워는 건설 당시 북미에서 이 종류의 가장 높은 마이크로파 통신 타워였으며, 멍크턴에서 가장 높은 구조물이다. 벨 알리안트 타워는 대서양 4개 주 전체에서 가장 높은 독립형 구조물이기도 하다.[58]
어섬션 플레이스는 20층짜리 사무실 건물이며, 어섬션 상호 생명 보험의 본사이다. 이 건물은 81m 높이이며, 세인트존의 브런즈윅 스퀘어와 함께 이 주에서 가장 높은 건물이다.[59] 블루 크로스 센터는 멍크턴 시내에 있는 9층 건물으로, 건축학적으로 독특하며 도시 전체 블록을 포함하고 있고 면적 기준으로 도시에서 가장 큰 사무실 건물이다.[60] 이곳은 메다비 블루 크로스와 멍크턴 공립 도서관의 본부이다. 델타 보세주르 및 브런즈윅 크라운 플라자 호텔과 터미널 플라자 오피스 단지를 포함하여 멍크턴에는 8층에서 12층 사이의 다른 건물도 약 6개 정도 있다.
4. 2. 도시 공원
센테니얼 공원은 멍크턴에서 가장 인기 있는 공원이다. 센테니얼 공원에는 조명이 있는 크로스컨트리 스키 및 하이킹 트레일, 시에서 가장 큰 놀이터, 잔디 볼링 및 테니스 시설, 보트 연못, 트리탑 어드벤처 코스, 인조 잔디를 갖춘 2,500석 규모의 시립 축구 경기장인 로키 스톤 필드(Moncton Minor Football Association의 홈구장)가 있다.[61]멍크턴의 다른 주요 공원으로는 도시 북쪽에 위치한 맵플턴 공원, 아이리스타운 자연 공원(캐나다에서 가장 큰 도시 자연 공원 중 하나), 디에프에 위치한 생탕셀름 공원이 있다. 멍크턴 광역권 전역의 수많은 동네 공원에는 프티코디악 강을 내려다보는 보어 뷰 공원과 밴드셸, 꽃 정원, 분수, 시의 전몰자 기념비가 있는 시내의 빅토리아 공원이 있다.[62] 멍크턴 광역권에는 광범위한 하이킹 및 자전거 트레일 시스템이 있다. 리버프런트 트레일은 캐나다 횡단 트레일 시스템의 일부이며, 다양한 기념물과 정자가 그 길을 따라 발견될 수 있다.[63]
5. 인구 통계
캐나다 통계청이 실시한 2021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멍크턴 시의 인구는 79,470명으로, 37,318채의 개인 주택 중 35,118채에 거주하고 있으며, 이는 2016년 인구 71,889명에서 10.5% 증가한 수치이다. 면적은 140.67km2이며, 2021년 인구 밀도는 565.0명/km2이다.[64]
멍크턴의 도시 지역(인구 중심지)은 110.73km2 면적에 총 119,785명이 거주하고 있다. 주민들은 총 54,519채의 개인 주택 중 51,830채에 거주했다.[4]
광역 멍크턴 (CMA, 인구 조사 대도시권)은 총 157,717명이 70,460채의 개인 주택 중 67,179채에 거주하고 있으며, 이는 2016년 인구 144,810명에서 8.9% 증가한 수치이다. 이 CMA에는 인접 도시인 디에프와 리버뷰를 비롯하여 웨스트모어랜드 및 앨버트 카운티의 인접한 교외 지역이 포함된다.[65] 면적은 2,562.47km2이며, 2021년 인구 밀도는 61.5명/km2이다.[66]
멍크턴의 도시 지역은 노바스코샤 주 핼리팩스, 뉴펀들랜드 래브라도 주 세인트존스 다음으로 대서양 캐나다에서 세 번째로 크며, 해양 주에서는 두 번째로 크다.
2016년 멍크턴의 중간 연령은 41.4세로, 전국 중간 연령인 41.2세와 비슷했다.
2021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이민자 (캐나다 외 출생자)는 멍크턴 전체 인구의 8,460명 또는 10.9%를 차지한다. 전체 이민자 중 출생 국가 상위 국가는 필리핀 (795명 또는 9.4%), 인도 (655명 또는 7.7%), 미국 (555명 또는 6.6%), 중국 (475명 또는 5.6%), 나이지리아 (470명 또는 5.6%), 영국 (395명 또는 4.7%), 시리아 (385명 또는 4.6%), 대한민국 (380명 또는 4.5%), 프랑스 (290명 또는 3.4%), 콩고 민주 공화국 (270명 또는 3.2%)이다.[67]
연도 | 인구 (명) | 증가율 (%) |
---|---|---|
2016년 | 71,889 | 4.1 |
2011년 | 69,074 | 7.7 |
2006년 | 64,128 | 5.0 |
2001년 | 61,046 | 2.9 |
1996년 | 59,313 | 4.4 |
1991년 | 56,823 | - |
* 증가율은 과거 5년간의 인구 증가율을 의미한다. |
==== 민족 구성 (2021년) ====
2021년 기준으로 멍크턴 주민의 약 82.4%가 유럽계 조상이며, 14.9%가 유색 인종, 2.7%가 원주민이었다.[67] 주요 소수 민족 집단은 흑인(5.3%), 남아시아인(3.0%), 아랍인(1.5%), 필리핀인(1.3%), 중국인(0.9%), 동남아시아인(0.8%), 한국인(0.7%), 라틴 아메리카인(0.7%)이었다.[67]
범민족 그룹 | 2021[67] | 2016[68] | 2011[69] | 2006 | 2001[71] | |||||
---|---|---|---|---|---|---|---|---|---|---|
인구 | 인구 | 인구 | 인구 | 인구 | ||||||
유럽인 | 63,780 | 82.4% | 63,130 | 90.0% | 62,730 | 93.0% | 60,575 | 96.2% | 58,450 | 97.3% |
아프리카인 | 4,075 | 5.3% | 1,830 | 2.6% | 1,180 | 1.7% | 710 | 1.1% | 555 | 0.9% |
남아시아인 | 2,310 | 3.0% | 330 | 0.5% | 490 | 0.7% | 265 | 0.4% | 145 | 0.2% |
원주민 | 2,080 | 2.7% | 1,795 | 2.6% | 1,415 | 2.1% | 640 | 1.0% | 470 | 0.8% |
동남아시아인 | 1,595 | 2.1% | 665 | 0.9% | 505 | 0.7% | 115 | 0.2% | 95 | 0.2% |
동아시아인 | 1,300 | 1.7% | 1,085 | 1.5% | 690 | 1.0% | 275 | 0.4% | 215 | 0.4% |
중동인 | 1,260 | 1.6% | 950 | 1.4% | 270 | 0.4% | 185 | 0.3% | 65 | 0.1% |
라틴 아메리카인 | 565 | 0.7% | 195 | 0.3% | 85 | 0.1% | 55 | 0.1% | 25 | 0.0% |
기타/다민족 | 440 | 0.6% | 135 | 0.2% | 85 | 0.1% | 150 | 0.2% | 65 | 0.1% |
총 응답 | 77,405 | 97.4% | 70,115 | 97.5% | 67,450 | 97.7% | 62,965 | 98.2% | 60,080 | 98.4% |
총 인구 | 79,470 | 100.0% | 71,889 | 100.0% | 69,074 | 100.0% | 64,128 | 100.0% | 61,046 | 100.0% |
==== 언어 (2021년) ====
멍크턴은 이중 언어 도시로, 2021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주민의 58.52%가 영어를 모국어로 사용하고, 27.33%가 프랑스어를 사용한다. 2.85%는 영어와 프랑스어를 모두 제1 언어로 배웠으며, 10.83%는 다른 언어를 모국어로 사용한다.[72] 도시 인구의 약 46%가 이중 언어 구사자이며 영어와 프랑스어를 모두 이해한다.[73] 멍크턴은 2002년 캐나다 최초의 공식 이중 언어 도시가 되었으며, 모든 시정 서비스, 공지 사항 및 정보가 프랑스어와 영어로 모두 제공된다.[39]
모국어로 사용되는 일반적인 비공식 언어는 아랍어 (1.4%), 펀자브어 (0.7%), 중국어 (0.7%), 타갈로그어 (0.6%), 한국어 (0.6%), 스페인어 (0.6%), 베트남어 (0.5%), 포르투갈어 (0.5%)이다. 1.2%의 주민은 영어와 비공식 언어를 모두 모국어로 표기했고, 0.4%는 프랑스어와 비공식 언어를 모두 표기했다.
2016년 통계에 따르면 시내 주민의 모국어 비율은 영어가 64.6%, 프랑스어가 31.9%이며, 그 외 언어가 6.9%를 차지한다. 주민의 절반이 영어와 프랑스어를 구사하지만, 프랑스어만 이해하는 층은 3.4%에 불과하고, 영어만 이해하는 층은 48.4%에 달하는 등 격차가 존재한다.
인접 도시인 디에프는 주민의 모국어 73%가 프랑스어인 프랑스어권이며, 리버뷰는 영어가 90%를 차지하는 영어권이다.
==== 종교 (2021년) ====
2021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멍크턴의 종교는 다음과 같다.[75]
종교 | 인구 | 비율(%) |
---|---|---|
기독교 | 45,645명 | 59.0% |
무종교 | 26,615명 | 34.4% |
이슬람교 | 2,485명 | 3.2% |
힌두교 | 995명 | 1.3% |
시크교 | 605명 | 0.8% |
유대교 | 205명 | 0.3% |
불교 | 180명 | 0.2% |
원주민 영성 | 10명 | 0.1% 미만 |
기타 | 660명 | 0.9% |
5. 1. 민족 구성 (2021년)
2021년 기준으로 멍크턴 주민의 약 82.4%가 유럽계 조상이며, 14.9%가 유색 인종, 2.7%가 원주민이었다.[67] 주요 소수 민족 집단은 흑인(5.3%), 남아시아인(3.0%), 아랍인(1.5%), 필리핀인(1.3%), 중국인(0.9%), 동남아시아인(0.8%), 한국인(0.7%), 라틴 아메리카인(0.7%)이었다.[67]범민족 그룹 | 2021[67] | 2016[68] | 2011[69] | 2006 | 2001[71] | |||||
---|---|---|---|---|---|---|---|---|---|---|
유럽인 | 63,780 | 82.4% | 63,130 | 90.0% | 62,730 | 93.0% | 60,575 | 96.2% | 58,450 | 97.3% |
아프리카인 | 4,075 | 5.3% | 1,830 | 2.6% | 1,180 | 1.7% | 710 | 1.1% | 555 | 0.9% |
남아시아인 | 2,310 | 3.0% | 330 | 0.5% | 490 | 0.7% | 265 | 0.4% | 145 | 0.2% |
원주민 | 2,080 | 2.7% | 1,795 | 2.6% | 1,415 | 2.1% | 640 | 1.0% | 470 | 0.8% |
동남아시아인 | 1,595 | 2.1% | 665 | 0.9% | 505 | 0.7% | 115 | 0.2% | 95 | 0.2% |
동아시아인 | 1,300 | 1.7% | 1,085 | 1.5% | 690 | 1.0% | 275 | 0.4% | 215 | 0.4% |
중동인 | 1,260 | 1.6% | 950 | 1.4% | 270 | 0.4% | 185 | 0.3% | 65 | 0.1% |
라틴 아메리카인 | 565 | 0.7% | 195 | 0.3% | 85 | 0.1% | 55 | 0.1% | 25 | 0.0% |
기타/다민족 | 440 | 0.6% | 135 | 0.2% | 85 | 0.1% | 150 | 0.2% | 65 | 0.1% |
총 응답 | 77,405 | 97.4% | 70,115 | 97.5% | 67,450 | 97.7% | 62,965 | 98.2% | 60,080 | 98.4% |
총 인구 | 79,470 | 100.0% | 71,889 | 100.0% | 69,074 | 100.0% | 64,128 | 100.0% | 61,046 | 100.0% |
5. 2. 언어 (2021년)
멍크턴은 이중 언어 도시로, 2021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주민의 58.52%가 영어를 모국어로 사용하고, 27.33%가 프랑스어를 사용한다. 2.85%는 영어와 프랑스어를 모두 제1 언어로 배웠으며, 10.83%는 다른 언어를 모국어로 사용한다.[72] 도시 인구의 약 46%가 이중 언어 구사자이며 영어와 프랑스어를 모두 이해한다.[73] 멍크턴은 2002년 캐나다 최초의 공식 이중 언어 도시가 되었으며, 모든 시정 서비스, 공지 사항 및 정보가 프랑스어와 영어로 모두 제공된다.[39]모국어로 사용되는 일반적인 비공식 언어는 아랍어 (1.4%), 펀자브어 (0.7%), 중국어 (0.7%), 타갈로그어 (0.6%), 한국어 (0.6%), 스페인어 (0.6%), 베트남어 (0.5%), 포르투갈어 (0.5%)이다. 1.2%의 주민은 영어와 비공식 언어를 모두 모국어로 표기했고, 0.4%는 프랑스어와 비공식 언어를 모두 표기했다.
2016년 통계에 따르면 시내 주민의 모국어 비율은 영어가 64.6%, 프랑스어가 31.9%이며, 그 외 언어가 6.9%를 차지한다. 주민의 절반이 영어와 프랑스어를 구사하지만, 프랑스어만 이해하는 층은 3.4%에 불과하고, 영어만 이해하는 층은 48.4%에 달하는 등 격차가 존재한다.
인접 도시인 디에프는 주민의 모국어 73%가 프랑스어인 프랑스어권이며, 리버뷰는 영어가 90%를 차지하는 영어권이다.
5. 3. 종교 (2021년)
2021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멍크턴의 종교는 다음과 같다.[75]종교 | 인구 | 비율(%) |
---|---|---|
기독교 | 45,645명 | 59.0% |
무종교 | 26,615명 | 34.4% |
이슬람교 | 2,485명 | 3.2% |
힌두교 | 995명 | 1.3% |
시크교 | 605명 | 0.8% |
유대교 | 205명 | 0.3% |
불교 | 180명 | 0.2% |
원주민 영성 | 10명 | 0.1% 미만 |
기타 | 660명 | 0.9% |
6. 경제
멍크턴의 경제는 상업, 유통, 운송, 소매 중심지로서의 역사적 기반을 두고 있다.[76] 멍크턴은 대서양 캐나다에서 가장 큰 유역을 가지고 있으며, 도시에서 차로 3시간 거리에 160만 명이 거주하고 있다.[76] 보험, 정보 기술, 교육, 의료 분야도 현지 경제의 주요 요인이며, 도시의 두 병원만 해도 5,000명 이상을 고용하고 있다.[79] 나노픽스(Nanoptix), 국제 게임 기술(International Game Technology), OAO 기술 솔루션, BMM 테스트 랩, TrustMe,[78] BelTek 시스템 디자인[79]과 같은 회사가 포함된 하이테크 부문도 성장하고 있다.
멍크턴은 경제력으로 전국적인 관심을 받아왔으며, 현지 실업률은 약 6%로 전국 평균보다 낮다.[80] 2004년 캐나다 비즈니스(Canadian Business) 잡지는 멍크턴을 "캐나다 최고의 비즈니스 도시"로 선정했고,[81] 2007년에는 FDi 잡지에서 북미에서 5번째로 비즈니스 친화적인 소규모 도시로 선정했다.[82]
멍크턴은 높은 비율의 이중 언어 구사 근로자와 프랑스어/영어 사용 지역 경계에 위치하여 연방 고용과 캐나다 기업의 콜센터 배치에 매력적인 중심지이다.[83] 캐나다 교정 서비스(Correctional Service Canada), 캐나다 교통부(Transport Canada), 걸프 어업 센터, 대서양 캐나다 기회국(Atlantic Canada Opportunities Agency)과 같은 여러 캐나다 연방 기관의 지역 본부가 있다.[83] 37개의 콜 센터가 있으며, 5,000명 이상을 고용하고 있다. 아수리온(Asurion), 누메리스(Numeris), 엑손모빌(ExxonMobil), 캐나다 왕립 은행(Royal Bank of Canada), 탠저린 뱅크(Tangerine Bank), UPS, 페어몬트 호텔 & 리조트(Fairmont Hotels & Resorts), 로저스 커뮤니케이션(Rogers Communications), 노르디아(Nordia Inc.) 등이 주요 콜센터이다.[83]
대서양 복권 공사(Atlantic Lottery Corporation), 어섬션 생명(Assumption Life), 메다비 블루 크로스(Medavie Blue Cross), 아머 운송 시스템(Armour Transportation Systems), 메이저 드릴링 그룹 인터내셔널(Major Drilling Group International) 등 많은 전국 또는 지역 주요 기업이 멍크턴에 본사를 두고 있다.[84] TD 은행(TD Bank)은 2018년에 1,000명 이상을 고용할 새로운 은행 서비스 센터를 발표했다.[84] 어빙 기업의 여러 부서(미들랜드 운송, Majesta/Royale 티슈, 어빙 개인 관리, 마스터 패키징, 브런즈윅 뉴스, 캐번디시 팜스)가 멍크턴 광역 지역에 본사 및/또는 주요 사업을 두고 있으며, 켄트 빌딩 서플라이(어빙 자회사)는 2014년 칼레도니아 산업 단지에 주요 유통 센터를 열었다. 어빙 그룹의 기업은 멍크턴 지역에서 수천 명을 고용하고 있다.[85]
수도권에는 3개의 대규모 산업 단지가 있다. 어빙 사업은 디에프 산업 단지에 집중되어 있고, 도시 서쪽 끝에 있는 멍크턴 산업 단지가 확장되었다. 몰슨 쿠어스(Molson Coors)는 2007년 칼레도니아 산업 단지에 50년 만에 처음으로 새로운 양조장을 열었다.[86] 세 산업 단지 모두 창고와 지역 트럭 시설이 집중되어 있다.
2005년에 개통된 4차선 건닝스빌 다리(Gunningsville Bridge)는 다운타운 리버뷰와 다운타운 멍크턴을 직접 연결하며, 보건 하비 대로의 연장선과 어섬션 대로와 연결되어 다운타운 지역의 경제 성장을 촉진할 것이다.[87] 블루 크로스 센터 확장(2006년), 메리어트 레지던스 인 개장(2008년), 어섬션 대로의 새로운 지역 법원 개장(2011년), 8,800석 규모의 다운타운 경기장(아베니어 센터) 개장(2018년 9월) 등이 এরই 예이다. 리버뷰 쪽에서는 건닝스빌 다리가 도시 주변의 새로운 순환 도로와 연결되어 리버뷰 동쪽 개발의 촉매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87]
멍크턴의 소매 부문은 현지 경제의 가장 중요한 기둥 중 하나이며, 디에프의 샴플레인 플레이스와 트리니티 드라이브의 휠러 파크 파워 센터와 같은 주요 소매 프로젝트는 현지인과 관광객 모두에게 주요 목적지가 되었다.[88][89]
관광은 멍크턴의 중요한 산업이며, 페티코디악 강의 조수 간만과 매그네틱 힐의 착시 현상에 기인한다. 1960년대 페티코디악 제방 건설로 조수 간만의 매력이 사라졌지만,[42] 매그네틱 힐은 도시에서 가장 유명한 명소이다. 매그네틱 힐 지역에는 골프장, 대규모 워터파크, 동물원, 야외 콘서트 시설이 있다. 9,000만 달러 규모의 카지노/호텔/엔터테인먼트 단지가 2010년 매그네틱 힐에 개장했다.
7. 문화
멍크턴의 캐피톨 극장은 메인 스트리트에 있는 1920년대에 복원된 800석 규모의 보드빌 극장으로, 이 도시의 주요 문화 엔터테인먼트 중심지이다.[90][91] 이 극장은 공연 예술 시리즈를 주최하고, 다양한 연극 공연과 심포니 뉴브런즈윅 및 캐나다 대서양 발레단의 공연 장소를 제공한다.[90] 인접한 엠프레스 극장은 소규모 공연과 리사이틀을 위한 공간을 제공한다.[90] 카지노 뉴브런즈윅의 몰슨 캐나디안 센터는 주요 투어 아티스트와 공연 단체를 위한 2,000석 규모의 장소를 제공한다.
멍크턴에 본사를 둔 캐나다 대서양 발레단은 주로 캐나다 대서양 연안에서 투어하지만, 때때로 국내 및 국제적으로도 투어한다.[92] 테아트르 레스카우에트(테아트르 레스카우에트/Théâtre l'Escaouette프랑스어)는 보츠포드 스트리트에 자체 강당과 공연 공간을 갖춘 프랑스어 연극 회사이다. 앵글로폰 라이브 베이트 극장은 인근 대학 도시인 세이빌에 기반을 두고 있다. 캐피톨 극장의 자체 공연 예술 학교를 포함하여 광역 지역에는 여러 사립 댄스 및 음악 아카데미가 있다.
아버딘 문화 센터는 여러 스튜디오와 갤러리를 포함하는 주요 아카디아 문화 협동조합이다. 다른 입주자들과 함께, 이 센터는 도시의 주요 사립 미술관인 갈레리 상 노(갈레리 상 노/Galerie Sans Nom프랑스어)를 수용하고 있다.[93]
이 도시의 두 주요 박물관은 마운틴 로드의 레스르고 플레이스에 있는 멍크턴 박물관[94]과 멍크턴 대학교의 무제 아카디앙이다.[95] 멍크턴 박물관은 대대적인 개조 공사를 거쳐 교통 발견 센터를 포함하도록 확장한 후 재개관했다. 발견 센터에는 도시의 운송 유산을 강조하는 많은 실습 전시물이 포함되어 있다. 이 도시에는 여러 개의 인정받는 역사 유적지도 있다. 1821년에 지어진 프리 미팅 하우스는 멍크턴 박물관 옆에 위치한 뉴잉글랜드 스타일의 회관이다.[96] 1883년에 지어진 전 시 산업가의 저택인 토마스 윌리엄스 하우스는 현재 시대 양식으로 유지되고 있으며 계보 연구 센터로 사용되며 여러 다문화 단체의 본거지이기도 하다.[96]
트레이츠 하우스는 보어 뷰 공원 옆 강가에 위치하고 있으며, 건축 양식과 연륜 연대기를 통해 1769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97] 이 건물은 펜실베이니아 더치 시대의 유일하게 남아있는 건물이며, 뉴브런즈윅 주에서 가장 오래된 건물이다.
영화 제작과 관련하여, 이 도시는 1974년부터 캐나다 국립 영화 위원회의 프랑스어 스튜디오 아카디(스튜디오 아카디/Studio Acadie프랑스어)의 본거지였다.[98]
멍크턴은 세계적으로 유명한 문학 평론가이자, 지역 출신인 노스럽 프라이를 기리기 위해 매년 열리는 이중 언어 문학 축제인 프라이 페스티벌의 본고장이다. 이 행사는 전 세계의 저명한 작가와 시인을 유치하며 4월에 열린다.[99]
매년 7월에 열리는 애틀랜틱 내셔널 자동차 엑스트라바간자는 캐나다에서 가장 큰 연례 클래식 자동차 축제이다.[100] 다른 주목할 만한 행사로는 8월의 애틀랜틱 해산물 축제[101], 허브캡 코미디 페스티벌[102] 및 세계 와인 축제가 있으며, 둘 다 봄에 열린다.
성모 승천 대성당은 해석 센터, 21세기 인정을 위한 기념물(MR21)의 위치이다.[103]
7. 1. 공연 예술
멍크턴의 캐피톨 극장은 메인 스트리트에 있는 1920년대에 복원된 800석 규모의 보드빌 극장으로, 이 도시의 주요 문화 엔터테인먼트 중심지이다.[90][91] 이 극장은 공연 예술 시리즈를 주최하고, 다양한 연극 공연과 심포니 뉴브런즈윅 및 캐나다 대서양 발레단의 공연 장소를 제공한다.[90] 인접한 엠프레스 극장은 소규모 공연과 리사이틀을 위한 공간을 제공한다.[90] 카지노 뉴브런즈윅의 몰슨 캐나디안 센터는 주요 투어 아티스트와 공연 단체를 위한 2,000석 규모의 장소를 제공한다.
멍크턴에 본사를 둔 캐나다 대서양 발레단은 주로 캐나다 대서양 연안에서 투어하지만, 때때로 국내 및 국제적으로도 투어한다.[92] 테아트르 레스카우에트(Théâtre l'Escaouette)는 보츠포드 스트리트에 자체 강당과 공연 공간을 갖춘 프랑스어 연극 회사이다. 앵글로폰 라이브 베이트 극장은 인근 대학 도시인 세이빌에 기반을 두고 있다. 캐피톨 극장의 자체 공연 예술 학교를 포함하여 광역 지역에는 여러 사립 댄스 및 음악 아카데미가 있다.
아버딘 문화 센터는 여러 스튜디오와 갤러리를 포함하는 주요 아카디아 문화 협동조합이다. 다른 입주자들과 함께, 이 센터는 도시의 주요 사립 미술관인 갈레리 상 노(Galerie Sans Nom)를 수용하고 있다.[93]
이 도시의 두 주요 박물관은 마운틴 로드의 레스르고 플레이스에 있는 멍크턴 박물관[94]과 멍크턴 대학교의 무제 아카디앙이다.[95] 멍크턴 박물관은 대대적인 개조 공사를 거쳐 교통 발견 센터를 포함하도록 확장한 후 재개관했다. 발견 센터에는 도시의 운송 유산을 강조하는 많은 실습 전시물이 포함되어 있다. 이 도시에는 여러 개의 인정받는 역사 유적지도 있다. 1821년에 지어진 프리 미팅 하우스는 멍크턴 박물관 옆에 위치한 뉴잉글랜드 스타일의 회관이다.[96] 1883년에 지어진 전 시 산업가의 저택인 토마스 윌리엄스 하우스는 현재 시대 양식으로 유지되고 있으며 계보 연구 센터로 사용되며 여러 다문화 단체의 본거지이기도 하다.[96]
트레이츠 하우스는 보어 뷰 공원 옆 강가에 위치하고 있으며, 건축 양식과 연륜 연대기를 통해 1769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97] 이 건물은 펜실베이니아 더치 시대의 유일하게 남아있는 건물이며, 뉴브런즈윅 주에서 가장 오래된 건물이다.
영화 제작과 관련하여, 이 도시는 1974년부터 캐나다 국립 영화 위원회의 프랑스어 스튜디오 아카디(Studio Acadie)의 본거지였다.[98]
멍크턴은 세계적으로 유명한 문학 평론가이자, 지역 출신인 노스럽 프라이를 기리기 위해 매년 열리는 이중 언어 문학 축제인 프라이 페스티벌의 본고장이다. 이 행사는 전 세계의 저명한 작가와 시인을 유치하며 4월에 열린다.[99]
매년 7월에 열리는 애틀랜틱 내셔널 자동차 엑스트라바간자는 캐나다에서 가장 큰 연례 클래식 자동차 축제이다.[100] 다른 주목할 만한 행사로는 8월의 애틀랜틱 해산물 축제[101], 허브캡 코미디 페스티벌[102] 및 세계 와인 축제가 있으며, 둘 다 봄에 열린다.
성모 승천 대성당은 해석 센터, 21세기 인정을 위한 기념물(MR21)의 위치이다.[103]
7. 2. 박물관 및 유적지
멍크턴의 주요 문화 엔터테인먼트 중심지는 메인 스트리트에 있는 1920년대에 복원된 800석 규모의 보드빌 극장인 캐피톨 극장이다.[90][91] 이 극장은 공연 예술 시리즈를 주최하고, 다양한 연극 공연과 심포니 뉴브런즈윅 및 캐나다 대서양 발레단의 공연 장소를 제공한다.[90] 카지노 뉴브런즈윅의 몰슨 캐나디안 센터는 주요 투어 아티스트와 공연 단체를 위한 2,000석 규모의 장소를 제공한다. 멍크턴에 본사를 둔 캐나다 대서양 발레단은 주로 캐나다 대서양 연안에서 투어하지만, 때때로 국내 및 국제적으로도 투어한다.[92]아버딘 문화 센터는 여러 스튜디오와 갤러리를 포함하는 주요 아카디아 문화 협동조합이다. 이 센터는 도시의 주요 사립 미술관인 갈레리 상 노(Galerie Sans Nom)를 수용하고 있다.[93]
이 도시의 두 주요 박물관은 마운틴 로드의 레스르고 플레이스에 있는 멍크턴 박물관[94]과 멍크턴 대학교의 무제 아카디앙이다.[95] 멍크턴 박물관은 대대적인 개조 공사를 거쳐 교통 발견 센터를 포함하도록 확장했다. 발견 센터에는 도시의 운송 유산을 강조하는 많은 실습 전시물이 포함되어 있다. 1821년에 지어진 프리 미팅 하우스는 멍크턴 박물관 옆에 위치한 뉴잉글랜드 스타일의 회관이다.[96] 1883년에 지어진 전 시 산업가의 저택인 토마스 윌리엄스 하우스는 현재 시대 양식으로 유지되고 있으며 계보 연구 센터로 사용되며 여러 다문화 단체의 본거지이기도 하다.[96]
트레이츠 하우스는 보어 뷰 공원 옆 강가에 위치하고 있으며, 건축 양식과 연륜 연대기를 통해 1769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97] 이 건물은 펜실베이니아 더치 시대의 유일하게 남아있는 건물이며, 뉴브런즈윅 주에서 가장 오래된 건물이다.
이 도시는 1974년부터 캐나다 국립 영화 위원회의 프랑스어 스튜디오 아카디(Studio Acadie)의 본거지였다.[98] 멍크턴은 세계적으로 유명한 문학 평론가이자, 지역 출신인 노스럽 프라이를 기리기 위해 매년 열리는 이중 언어 문학 축제인 프라이 페스티벌의 본고장이다. 이 행사는 전 세계의 저명한 작가와 시인을 유치하며 4월에 열린다.[99] 매년 7월에 열리는 애틀랜틱 내셔널 자동차 엑스트라바간자는 캐나다에서 가장 큰 연례 클래식 자동차 축제이다.[100] 성모 승천 대성당은 해석 센터, 21세기 인정을 위한 기념물(MR21)의 위치이다.[103]
7. 3. 영화 제작
멍크턴은 1974년부터 캐나다 국립 영화 위원회(NFB)의 프랑스어 스튜디오 아카디(Studio Acadie)의 본거지였다.[98]7. 4. 축제
멍크턴은 다양한 축제와 문화 행사가 열리는 도시이다. 매년 4월에는 세계적으로 유명한 문학 평론가 노스럽 프라이를 기리는 이중 언어 문학 축제인 프라이 페스티벌이 열린다.[99] 이 행사에는 전 세계의 저명한 작가와 시인들이 참여한다.7월에는 캐나다에서 가장 큰 연례 클래식 자동차 축제인 애틀랜틱 내셔널 자동차 엑스트라바간자가 열린다.[100] 8월에는 애틀랜틱 해산물 축제[101]가 열리고, 봄에는 허브캡 코미디 페스티벌[102]과 세계 와인 축제가 개최된다.
멍크턴의 캐피톨 극장은 1920년대에 복원된 800석 규모의 보드빌 극장으로, 도시의 주요 문화 엔터테인먼트 중심지 역할을 한다.[90][91] 캐나다 대서양 발레단과 뉴브런즈윅 극단의 공연을 개최한다. 카지노 뉴브런즈윅의 몰슨 캐나디안 센터는 주요 투어 아티스트와 공연 단체를 위한 2,000석 규모의 장소를 제공한다.
아버딘 문화 센터는 여러 스튜디오와 갤러리를 포함하는 주요 아카디아 문화 협동조합이다.[93] 이 센터는 도시의 주요 사립 미술관인 갈레리 상 노(Galerie Sans Nom)를 수용하고 있다.
레스르고 플레이스에 있는 멍크턴 박물관[94]과 멍크턴 대학교의 무제 아카디앙[95]은 이 도시의 두 주요 박물관이다. 1769년에 지어진 트레이츠 하우스는 펜실베이니아 더치 시대의 유일하게 남아있는 건물이며, 뉴브런즈윅 주에서 가장 오래된 건물이다.[97]
7. 5. 기타
멍크턴의 캐피톨 극장은 메인 스트리트에 있는 1920년대에 복원된 800석 규모의 보드빌 극장으로, 이 도시의 주요 문화 엔터테인먼트 중심지이다.[90][91] 이 극장은 공연 예술 시리즈를 주최하고, 다양한 연극 공연과 심포니 뉴브런즈윅 및 캐나다 대서양 발레단의 공연 장소를 제공한다.[90] 카지노 뉴브런즈윅의 몰슨 캐나디안 센터는 주요 투어 아티스트와 공연 단체를 위한 2,000석 규모의 장소를 제공한다. 멍크턴에 본사를 둔 캐나다 대서양 발레단은 주로 캐나다 대서양 연안에서 투어하지만, 때때로 국내 및 국제적으로도 투어한다.[92]아버딘 문화 센터는 여러 스튜디오와 갤러리를 포함하는 주요 아카디아 문화 협동조합이다. 이 센터는 도시의 주요 사립 미술관인 갈레리 상 노(Galerie Sans Nom)를 수용하고 있다.[93]
이 도시의 두 주요 박물관은 마운틴 로드의 레스르고 플레이스에 있는 멍크턴 박물관[94]과 멍크턴 대학교의 무제 아카디앙이다.[95] 멍크턴 박물관은 대대적인 개조 공사를 거쳐 교통 발견 센터를 포함하도록 확장한 후 재개관했다. 발견 센터에는 도시의 운송 유산을 강조하는 많은 실습 전시물이 포함되어 있다. 1821년에 지어진 프리 미팅 하우스는 멍크턴 박물관 옆에 위치한 뉴잉글랜드 스타일의 회관이다.[96] 1883년에 지어진 전 시 산업가의 저택인 토마스 윌리엄스 하우스는 현재 시대 양식으로 유지되고 있으며 계보 연구 센터로 사용되며 여러 다문화 단체의 본거지이기도 하다.[96]
트레이츠 하우스는 보어 뷰 공원 옆 강가에 위치하고 있으며, 건축 양식과 연륜 연대기를 통해 1769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97] 이 건물은 펜실베이니아 더치 시대의 유일하게 남아있는 건물이며, 뉴브런즈윅 주에서 가장 오래된 건물이다. 영화 제작과 관련하여, 이 도시는 1974년부터 캐나다 국립 영화 위원회의 프랑스어 스튜디오 아카디(Studio Acadie)의 본거지였다.[98]
멍크턴은 세계적으로 유명한 문학 평론가이자, 지역 출신인 노스럽 프라이를 기리기 위해 매년 열리는 이중 언어 문학 축제인 프라이 페스티벌의 본고장이다. 이 행사는 전 세계의 저명한 작가와 시인을 유치하며 4월에 열린다.[99]
매년 7월에 열리는 애틀랜틱 내셔널 자동차 엑스트라바간자는 캐나다에서 가장 큰 연례 클래식 자동차 축제이다.[100] 다른 주목할 만한 행사로는 8월의 애틀랜틱 해산물 축제[101], 허브캡 코미디 페스티벌[102] 및 세계 와인 축제가 있으며, 둘 다 봄에 열린다. 성모 승천 대성당은 해석 센터, 21세기 인정을 위한 기념물(MR21)의 위치이다.[103]
8. 스포츠
8. 1. 시설
아베니르 센터[104]는 8,800석 규모의 경기장으로 주요 콘서트 및 스포츠 경기의 장소이며, 퀘벡 마리티메스 주니어 하키 리그의 멍크턴 와일드캐츠와 캐나다 내셔널 농구 리그의 멍크턴 매직의 홈 구장이다. CN 스포츠플렉스는 이전 CN 상점 부지에 건설된 주요 레크리에이션 시설이다. 여기에는 10개의 야구장, 6개의 축구장, 4개의 아이스 링크(수페리어 프로판 센터)가 있는 실내 링크 단지, 실내 공기 지지 다목적 건물인 던디 스포츠 돔이 있다.
8. 2. 스포츠 팀
멍크턴 와일드캣츠는 퀘벡 메이저 주니어 하키 리그(QMJHL)에서 활동하는 메이저 주니어 하키 팀이다. 2006년과 2010년에 프레지던트 컵에서 우승했다.[108] 디에프 코만도스(구 멍크턴 비버스)는 해양 주니어 A 하키 리그 소속이었으나 2017 시즌 종료 후 에드먼드스턴으로 이전했다.[109] 멍크턴은 1978년부터 1994년까지 프로 아메리카 하키 리그 프랜차이즈의 본거지였으며, 뉴브런즈윅 호크스는 1981-1982년에 AHL 캘더 컵에서 우승했다.멍크턴 메츠는 뉴브런즈윅 시니어 야구 리그에서 활동하며 2006년 캐나다 시니어 야구 챔피언십에서 우승했다.[110] 2015년에는 멍크턴 메츠와 허브 시티 브루어스의 합병으로 결성된 멍크턴 피셔 캣츠가 리그에서 활동을 시작했다.
캐나다 전국 농구 리그의 창립 프랜차이즈 중 하나였던 멍크턴 미라클스는 2011년에 활동을 시작했으나 2016/17 시즌 말에 실패했고, 2017/18 시즌에 창단한 멍크턴 매직으로 교체되었다.[111]
멍크턴 대학교는 캐나다 대학 스포츠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하키, 축구, 배구 등 다양한 CIS 대학 스포츠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112][113]
클럽 | 스포츠 | 리그 | 경기장 | 창단 | 우승 |
---|---|---|---|---|---|
멍크턴 매직 | 농구 | NBL 캐나다 | 아베니르 센터 | 2017 | 1 – NBLC 챔피언십 2019[114] |
멍크턴 와일드캣츠 | 아이스하키 | QMJHL | 아베니르 센터 | 1996 | 2 – 프레지던트 컵 (QMJHL) |
멍크턴 피셔 캣츠 | 야구 | NBSBL | 키와니스 공원 | 2015 | 1 – NBSBL 챔피언십 (2017)[115] |
멍크턴 머스탱스 | 풋볼 | MFL | 로키 스톤 필드 | 2004 | 5 – 해양 볼 |
멍크턴 매버릭스 | 라크로스 | ECJLL (JR A) | 수페리어 프로판 센터 | 2006 | 1 (Jr.B 2008) |
멍크턴 대학교 아이글 블루 | 아이스하키 (남/여) 축구 (남/여) 배구 (여) 육상 (남/여) 크로스컨트리 달리기 (남/여) | AUS | 아레나 장루이 레베스크 멍크턴 대학교 CEPS 스타드 멍크턴 스타디움 | 1964 | 남자 하키 – 11 (AUS), 4 (CIS) 여자 하키 – 1 (AUS) 여자 배구 – 5 (AUS) 남자 육상 – 6 (AUS) 여자 육상 – 2 (AUS) |
크랜달 챠저스 | 야구 (남) 축구 (남/여) 농구 (남/여) 크로스컨트리 달리기 (남/여) | ACAA CIBA | 다양한 캠퍼스 시설 | 1949 | 1 – CIBA 지역 챔피언십 |
8. 3. 주요 스포츠 행사 개최
멍크턴은 다양한 대형 엔터테인먼트 및 스포츠 행사를 개최해왔다. 2006년 기념컵이 멍크턴에서 개최되었으며, 홈팀인 멍크턴 와일드캐츠는 결승전에서 퀘벡 렘파츠에게 패했다.[116] 2007년과 2008년에는 캐나다 대학 스포츠(CIS) 남자 대학 하키 선수권 대회가 개최되었다.[117] 2009년 포드 세계 남자 컬링 선수권 대회는 멍크턴에서 개최되었는데, 이는 이 도시에서 열린 두 번째 세계 남자 컬링 선수권 대회였다.
2010년 IAAF 세계 주니어 육상 선수권 대회는 170개국 이상에서 선수들이 참가한, 대서양 캐나다에서 열린 가장 큰 스포츠 행사였다. 이 대회를 위해 멍크턴 대학교 캠퍼스에 10,000석 규모의 멍크턴 스타디움이 건설되었다.[118] 이 경기장 건설로 멍크턴은 CFL 경기를 유치했으며, 2010년 9월 26일 토론토 아르고노츠와 에드먼턴 에스키모스 간의 정규 시즌 중립 경기가 20,750명의 관중 앞에서 열렸다.[119] 이는 CFL 역사상 최초의 중립 경기였다. 이후 2011년, 2013년, 그리고 2019년 8월 25일에도 추가 CFL 정규 시즌 경기가 열렸다.[120]
멍크턴은 2015 FIFA 여자 월드컵을 개최한 6개의 캐나다 도시 중 하나였다.
멍크턴에서 개최된 주요 스포츠 행사는 다음과 같다.
- 1968년 캐나다 주니어 야구 선수권 대회
- 1974년 캐나다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 1975년 맥도날드 래시스 선수권 대회
- 1975년 인터컨티넨탈컵 (야구, 몬트리올과 공동 개최)
- 1977년 스케이트 캐나다 인터내셔널
- 1978년 CIS 유니버시티컵 (하키)
- 1980년 세계 남자 컬링 선수권 대회
- 1982년 세계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 1982년 CIS 유니버시티컵
- 1983년 CIS 유니버시티컵
- 1984년 캐나다 남자 및 여자 브룸볼 선수권 대회
- 1985년 캐나다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 1985년 라바트 브라이어 (컬링)
- 1992년 캐나다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 1997년 세계 주니어 야구 선수권 대회
- 2000년 캐나다 주니어 컬링 선수권 대회
- 2004년 캐나다 시니어 야구 선수권 대회
- 2006년 기념컵 (하키)
- 2007년 CIS 유니버시티컵
- 2008년 CIS 유니버시티컵
- 2009년 세계 남자 컬링 선수권 대회
- 2009년 프레드 페이지 컵 (하키)
- 2010년 IAAF 세계 주니어 육상 선수권 대회
- 2010년 CFL 정규 시즌 중립 경기 (토론토와 에드먼턴)
- 2011년 CFL 정규 시즌 중립 경기 (해밀턴과 캘거리)
- 2012년 캐나다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 2013년 캐나다 육상 선수권 대회
- 2013년 풋볼 캐나다 컵 (전국 U18 풋볼 선수권 대회)
- 2013년 CFL 정규 시즌 중립 경기 (해밀턴 & 몬트리올)
- 2014년 캐나다 육상 선수권 대회
- 2014년 FIFA U20 여자 월드컵
- 2015 FIFA 여자 월드컵
- 2017년 캐나다 U18 컬링 선수권 대회
- 2019년 CFL 정규 시즌 중립 경기 (토론토와 몬트리올)
- 2023년 세계 주니어 아이스하키 선수권 대회 (핼리팩스와 공동 개최)
- 2024년 캐나다 시니어 컬링 선수권 대회
9. 정치
wikitext
시 정부는 시장 1명과 4년 임기의 시의원 10명으로 구성된다. 의회는 비당파적이며, 시장은 의장 역할을 하며 동점일 경우에만 투표한다. 4개의 선거구에서 각각 2명의 시의원을 선출하고, 일반 유권자가 2명의 시의원을 추가로 선출한다. 시의 일상적인 운영은 시 매니저가 관리한다.
멍크턴은 멍크턴-리버뷰-디에프 연방 선거구에 속한다. 디에프의 일부는 보세주르 연방 선거구에 속하며, 리버뷰의 일부는 펀디 로열 선거구에 속한다. 현재 연방 의회에서 대도시 지역 출신 의원 2명은 자유당 소속이며, 1명은 보수당 소속이다.
연도 | 자유당 | 보수당 | 신민당 | 녹색당 | |||||
---|---|---|---|---|---|---|---|---|---|
2021 | 48% | 16,670 | 24% | 8.266 | 17% | 5,974 | 4% | 1,538 | |
2019 | 42% | 16,621 | 24% | 9,369 | 12% | 4,812 | 18% | 7,027 |
연도 | 진보 보수당 | 자유당 | 녹색당 | 인민 연합 | |||||
---|---|---|---|---|---|---|---|---|---|
2020 | 43% | 13,210 | 33% | 10,105 | 16% | 5,112 | 6% | 1,720 | |
2018 | 32% | 9,983 | 44% | 13,600 | 10% | 3,064 | 3% | 1,034 |
9. 1. 시 정부
시 정부는 시장 1명과 4년 임기의 시의원 10명으로 구성된다. 의회는 비당파적이며, 시장은 의장 역할을 하며 동점일 경우에만 투표한다. 4개의 선거구에서 각각 2명의 시의원을 선출하고, 일반 유권자가 2명의 시의원을 추가로 선출한다. 시의 일상적인 운영은 시 매니저가 관리한다.
멍크턴은 멍크턴-리버뷰-디에프 연방 선거구에 속한다. 디에프의 일부는 보세주르 연방 선거구에 속하며, 리버뷰의 일부는 펀디 로열 선거구에 속한다. 현재 연방 의회에서 대도시 지역 출신 의원 2명은 자유당 소속이며, 1명은 보수당 소속이다.
연도 | 자유당 | 보수당 | 신민당 | 녹색당 | |||||
---|---|---|---|---|---|---|---|---|---|
2021 | 48% | 16,670 | 24% | 8.266 | 17% | 5,974 | 4% | 1,538 | |
2019 | 42% | 16,621 | 24% | 9,369 | 12% | 4,812 | 18% | 7,027 |
연도 | 진보 보수당 | 자유당 | 녹색당 | 인민 연합 | |||||
---|---|---|---|---|---|---|---|---|---|
2020 | 43% | 13,210 | 33% | 10,105 | 16% | 5,112 | 6% | 1,720 | |
2018 | 32% | 9,983 | 44% | 13,600 | 10% | 3,064 | 3% | 1,034 |
9. 2. 연방/주 선거구
멍크턴은 멍크턴-리버뷰-디에프 연방 선거구에 속한다.[122] 디에프의 일부는 보세주르 연방 선거구에 속하며, 리버뷰의 일부는 펀디 로열 선거구에 속한다. 현재 연방 의회에서 대도시 지역 출신 의원 2명은 자유당 소속이며, 1명은 보수당 소속이다.[122]연도 | 자유당 | 보수당 | 신민당 | 녹색당 | |||||
---|---|---|---|---|---|---|---|---|---|
rowspan="2" | 2021 | 48% | 16,670 | 24% | 8.266 | 17% | 5,974 | 4% | 1,538 |
2019 | 42% | 16,621 | 24% | 9,369 | 12% | 4,812 | 18% | 7,027 |
연도 | 진보 보수당 | 자유당 | 녹색당 | 인민 연합 | |||||
---|---|---|---|---|---|---|---|---|---|
2020 | 43% | 13,210 | 33% | 10,105 | 16% | 5,112 | 6% | 1,720 | |
2018 | 32% | 9,983 | 44% | 13,600 | 10% | 3,064 | 3% | 1,034 |
10. 군사
제2차 세계 대전 이전에는 지역 민병대를 제외하고 캐나다군은 멍크턴 지역에 주둔하지 않았다. 1940년, 시내 북쪽 철도 지선에 대규모 군사 보급 기지(후에 CFB 멍크턴)가 건설되어 해양 지역 군사 시설의 주요 보급 창고 역할을 했다.[124] 전쟁 중 멍크턴 지역에는 두 개의 영국 연방 항공 훈련 계획 기지가 건설되었고, RCAF는 제5 보급창을 운영했다.[124] 1941년에는 커버데일(리버뷰)에 해군 청취 기지가 건설되어 북대서양 레이더 활동을 조정했다.[124]
전쟁 후 군사 비행 훈련은 종료되었고, 해군 청취 기지는 1971년에 폐쇄되었다. CFB 멍크턴은 냉전이 끝날 때까지 운영되었다.[124] 1990년대 초 CFB 멍크턴이 폐쇄되면서 군사 주둔이 줄었다.[125] 기지 북쪽은 재개발 중이며,[126] 남쪽은 국방부(DND) 소유로 멍크턴 주둔지로 불리며 CFB 개지타운과 관련이 있다.[125] 제8 캐나다 후사르(공주 루이즈)를 포함한 제37 캐나다 여단 그룹 본부 등이 주둔하고 있다.[125] 2013년 마지막 정규군 부대가 떠났지만, 예비군 부대는 계속 활동 중이다.[125]
11. 기반 시설
11. 1. 의료 시설
멍크턴에는 두 개의 주요 지역 진료 및 교육 병원이 있다. 멍크턴 병원은 약 381개의 입원 병상을 갖추고 있으며[127], 달하우지 대학교 의과대학과 제휴 관계에 있다. 노섬벌랜드 가정 의학 레지던시 수련 프로그램이 운영되며, 달하우지 뉴브런즈윅 의학 훈련 프로그램의 3, 4학년 의대생을 위한 임상 훈련 장소이기도 하다. 이 병원은 간호학, 의료 엑스레이 기술 분야의 UNB 학위 프로그램을 주최하며, 영양학과 같은 분야에서 전문적인 인턴십을 제공한다. 신경 외과, 말초 및 신경 중재 방사선학, 혈관 외과, 흉부 외과, 간담도 외과, 정형 외과, 외상, 화상 치료 부서, 의료 종양학, 신생아 중환자실, 청소년 정신 의학 등이 이 병원의 특수 의료 서비스에 포함된다.[128] 2009년에 4,800만 달러 규모의 병원 확장이 완료되어 새로운 실험실, 외래 진료 센터, 주 수준의 외상 센터가 설치되었고,[128] 2014년 말에는 새로운 종양학 클리닉이 문을 열었다. 멍크턴 병원은 호라이즌 헬스 네트워크(구 동남부 지역 보건 당국)에서 관리한다.
조르주-L.-듀몽 대학교 병원 센터는 약 302개의 병상을 갖추고 있으며[129], 지역 CFMNB를 통해 의학 훈련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셰르브루크 대학교/셰르브루크 대학교프랑스어 의과대학과 원격 교육을 실시한다. 멍크턴 대학교에서는 간호학, 의료 엑스레이 기술, 의료 실험실 기술, 흡입 요법과 같은 학위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특수 의료 서비스에는 의료 종양학, 방사선 종양학, 정형 외과, 혈관 외과, 신장학 등이 있다.

심장 카테터 검사실이 병원에 설치될 예정이며, 새로운 PET/CT 스캐너가 설치되었다. 외래 진료, 수술실 확장, 의료 훈련을 위한 7,500만 달러 규모의 확장이 현재 건설 중이다.[130] 이 병원은 대서양 암 연구소의 위치이기도 하다.[131] 이 병원은 프랑스어를 사용하는 바이탈리테 헬스 네트워크에서 관리한다.
병원 내부의 사용 언어는 멍크턴 병원(호라이즌 헬스 네트워크)의 경우 영어, 듀몽 병원(바이탈리테)의 경우 프랑스어이다. 그러나 두 헬스 네트워크와 그 병원은 뉴브런즈윅 공용어법에 따라 두 공식 언어로 대중에게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132]
12. 교통
12. 1. 항공

멍크턴은 그레이터 멍크턴 로메오 르블랑 국제공항(YQM)의 지원을 받는다.[133] 2016년에는 전 캐나다 총독이자 지역 출신인 로메오 르블랑의 이름을 따서 개명되었다. 2002년에는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이 국제선 도착 구역을 갖춘 새로운 공항 터미널을 개장했다. GMIA는 연간 약 677,000명의 승객을 처리하며, 승객 수 기준으로 대서양 연안 지역에서 두 번째로 붐비는 공항이다.[133] GMIA는 화물 운송량 기준으로 캐나다에서 10번째로 붐비는 공항이다. 정기적인 운항 목적지로는 핼리팩스, 몬트리올, 오타와, 토론토가 있다. 정기 운항 서비스 제공업체로는 에어 캐나다, 에어 캐나다 루즈, 웨스트젯 및 포터 항공이 있다. 계절별 직항 항공 서비스는 쿠바, 멕시코, 도미니카 공화국, 자메이카, 플로리다로 제공되며, 운영업체로는 선윙 항공, 에어 트랜셋, 웨스트젯이 있다.[134] 페덱스, UPS, 푸롤레이터는 모두 이 시설에 대서양 캐나다 항공 화물 기지를 두고 있다. GMIA는 멍크턴 비행 대학의 본거지이며, 캐나다에서 가장 큰 조종사 훈련 기관[135]이기도 하며, 또한 지역 RCMP 항공 서비스, 뉴브런즈윅 항공 구급 서비스, 지역 교통부 캐나다 격납고 및 보관소의 기지이기도 하다.
도시 북쪽에는 일반 항공에 사용되는 개인 비행장인 멍크턴/맥이웬 비행장(CCG4)이 있다.
멍크턴 관제 구역은 캐나다에 있는 7개의 지역 항공 교통 관제 센터 중 하나이다.[136] 이 센터는 연간 430,000편 이상의 항공편을 감시하며, 그중 80%가 북미 영공을 드나든다.[136]
12. 2. 도로
멍크턴은 동쪽으로는 노바스코샤로, 서쪽으로는 프레데릭턴과 퀘벡으로 이어지는 캐나다 횡단 고속도로의 2번 국도에 위치해 있다.[137] 15번 국도는 멍크턴 동쪽 외곽에서 2번 국도와 교차하며, 북동쪽으로 셰디액과 뉴브런즈윅 북부로 향한다. 16번 국도는 셰디액에서 15번 국도와 연결되어 스트레이트 해안과 프린스에드워드아일랜드로 이어진다. 1번 국도는 도시에서 서쪽으로 15 km 떨어진 지점에서 2번 국도와 교차하며, 세인트존과 미국 국경으로 이어진다.[137] 휠러 대로(15번 국도)는 쁘띠코디악 강 둑길에서 디에프까지 뻗어 도시를 벗어나 셰디액으로 향하는 내부 순환 도로 역할을 한다. 도시 내부에서는 양쪽 끝이 로터리로 연결된 고속도로이다.[137]12. 3. 대중교통

그레이터 멍크턴은 멍크턴 시에서 운영하는 코디악 트랜스포의 서비스를 받는다.[138] 이 버스 시스템은 멍크턴, 디에프, 리버뷰 전역에 걸쳐 운행된다.[138]
마리타임 버스는 이 지역에 시외 버스 서비스를 제공한다. 멍크턴은 이 시스템에서 가장 큰 허브이다. 뉴브런즈윅의 다른 모든 주요 도시뿐만 아니라 샬럿타운, 핼리팩스 및 트루로도 멍크턴 터미널에서 서비스를 제공한다.
12. 4. 철도

멍크턴의 화물 철도 운송은 캐나다 국립 철도(Canadian National Railway)(CNR)가 제공한다.[139] 1970년대 이후 멍크턴에서 CNR의 존재는 크게 줄었지만, 이 철도는 여전히 도시 서쪽에 대규모 조차장과 복합 운송 시설을 유지하고 있으며, 캐나다 대서양 연안 지역 본부도 이곳에 있다.[139] 여객 철도 운송은 비아 레일(Via Rail) 캐나다가 제공하며, 이 회사의 열차인 ''오션''이 멍크턴 철도역을 일주일에 사흘 핼리팩스와 몬트리올까지 운행한다.[139] 시내에 있는 비아 철도역은 개조되었으며, 도시 간 버스 서비스인 Maritime Bus의 터미널 역할도 한다.[139]
캐나디안 내셔널 철도는 멍크턴의 역사에 큰 영향을 미쳤지만, 1970년대 이후 그 존재가 점차 희미해졌다.[139] 그러나 현재는 화물 수송만을 하고 있지만, 도시 서쪽에는 조차장과 복합 운송 터미널이 넓게 펼쳐져 있으며, 대서양 연안 지역 본부를 멍크턴에 두고 있다.[139] 여객 수송은 VIA 철도가 담당하며, 멍크턴역에 정차하는 오션호가 몬트리올 - 핼리팩스 간을 주 6회 운행하고 있다.
13. 교육
사우스 교육청은 고등학교 École Mathieu-Martin 및 École L'Odyssée를 포함한 10개의 프랑스어 학교를 관리한다.
Université de Moncton은 공립 종합 대학교이며, 퀘벡 외 지역에서 가장 큰 프랑스어 사용 캐나다 대학교이다.[140] Crandall University는 사립 침례교 기독교 자유 인문 대학이다.[140] University of New Brunswick는 간호학 학위를 제공하는 멍크턴에 위성 건강 과학 캠퍼스를 두고 있다. New Brunswick Community College 멍크턴 캠퍼스에는 1,600명의 풀타임 학생과 수백 명의 파트타임 학생이 있다. Collège communautaire du Nouveau-Brunswick는 직업 및 기술 교육을 제공한다.
Medavie Health Services의 자회사인 Medavie HealthEd는 캐나다 의학 협회의 인증을 받은 학교로, 1차 및 고급 응급 의료 파라메딕 교육과 캐나다 국방부의 고급 응급 치료(AEC)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Eastern College는 비즈니스 및 행정, 예술 및 디자인, 의료, 사회 과학 및 정의, 관광 및 접객업, 직업 분야의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Moncton Flight College는 캐나다에서 가장 오래되고 큰 비행 학교 중 하나이다.[141] McKenzie College는 그래픽 디자인, 디지털 미디어 및 애니메이션을 전문으로 한다. 사립 Oulton College는 간호, 비즈니스, 응급 의료, 치과 과학, 약학, 수의학, 청소년 관리 및 법률 보조 프로그램 교육을 제공한다.
13. 1. 초·중등 교육
사우스 교육청은 École Mathieu-Martin 및 École L'Odyssée를 포함한 10개의 프랑스어 학교를 관리한다. 이스트 교육청은 멍크턴 고등학교, 해리슨 트림블 고등학교, 버니스 맥노튼 고등학교, 리버뷰 고등학교를 포함한 25개의 영어 학교를 관리한다.
13. 2. 고등 교육
Université de Moncton은 공립 종합 대학교이며, 퀘벡 외 지역에서 가장 큰 프랑스어 사용 캐나다 대학교이다.[140] Crandall University는 사립 침례교 기독교 자유 인문 대학이다.[140] University of New Brunswick는 간호학 학위를 제공하는 멍크턴에 위성 건강 과학 캠퍼스를 두고 있다. New Brunswick Community College 멍크턴 캠퍼스에는 1,600명의 풀타임 학생과 수백 명의 파트타임 학생이 있다. Collège communautaire du Nouveau-Brunswick는 직업 및 기술 교육을 제공한다.Medavie Health Services의 자회사인 Medavie HealthEd는 캐나다 의학 협회의 인증을 받은 학교로, 1차 및 고급 응급 의료 파라메딕 교육과 캐나다 국방부의 고급 응급 치료(AEC)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Eastern College는 비즈니스 및 행정, 예술 및 디자인, 의료, 사회 과학 및 정의, 관광 및 접객업, 직업 분야의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Moncton Flight College는 캐나다에서 가장 오래되고 큰 비행 학교 중 하나이다.[141] McKenzie College는 그래픽 디자인, 디지털 미디어 및 애니메이션을 전문으로 한다. 사립 Oulton College는 간호, 비즈니스, 응급 의료, 치과 과학, 약학, 수의학, 청소년 관리 및 법률 보조 프로그램 교육을 제공한다.
사우스 교육청은 고등학교 École Mathieu-Martin 및 École L'Odyssée를 포함한 10개의 프랑스어 학교를 관리한다. 이스트 교육청은 멍크턴 고등학교, 해리슨 트림블 고등학교, 버니스 맥노튼 고등학교, 리버뷰 고등학교를 포함한 25개의 영어 학교를 관리한다.
14. 미디어
멍크턴의 일간 신문은 ''Times & Transcript''로, 뉴브런즈윅에서 가장 많은 부수를 발행한다.[142] 멍크턴 가구의 60% 이상이 매일 구독하며, 멍크턴 주민의 90% 이상이 일주일에 한 번 이상 Times & Transcript를 읽는다. 뉴브런즈윅 북부 카라켓에서 발행되는 프랑스어 신문 ''L'Acadie Nouvelle''도 멍크턴에서 발행된다.
다양한 장르와 관심사를 다루는 17개의 방송 라디오 방송국이 있으며, 모두 FM 방송 또는 스트리밍 미디어를 통해 방송된다. 이 중 11개는 영어 방송국이고 6개는 프랑스어 방송국이다.
로저스 케이블(Rogers Cable)은 멍크턴에 주 본부와 주요 제작 시설을 두고 있으며, 프랑스어 채널인 케이블 9와 영어 채널인 케이블 10의 두 개의 커뮤니티 채널에서 방송한다. 캐나다 방송 공사(CBC)의 프랑스어 방송 부문인 라디오-캐나다(Radio-Canada)는 멍크턴에 대서양 캐나다 본부를 두고 있다. 멍크턴에는 세 개의 다른 방송 텔레비전 방송국이 있으며, 이들은 모든 주요 전국 네트워크를 대표한다.
15. 유명 인물
멍크턴은 여러 유명 인사들의 고향이다. NHL 명예의 전당 헌액자이자 NHL 득점왕인 고디 드릴론,[143] 세계 및 올림픽 챔피언 컬링 선수인 러스 하워드,[144] 저명한 문학 평론가이자 이론가인 노스럽 프라이,[145] 전 캐나다 총독 로메오 르블랑,[146] 그리고 랜드 공식 개발자이자 유엔 스코프 위원회의 캐나다 대표였던 전 대법관 아이반 클리블랜드 랜드가 멍크턴 출신이다.[147]
왕립 학회[148]와 미국 과학 아카데미[149] 회원이며, 농업 분야에서 권위 있는 울프상[150] (2016년)을 수상한 저명한 수량 유전학자인 트루디 맥케이 FRS도 멍크턴에서 태어났다.[151]
쇼케이스 히트 코미디 ''트레일러 파크 보이즈''에서 리키 역을 맡은 배우 로브 웰스,[152][153] 인디 록 음악가인 줄리 도이론,[154][155] CTV 시리즈 ''휘슬러''에서 니콜 밀러 역을 맡은 여배우 홀리 디그나드도 멍크턴 출신이다.[156]
저명한 캐나다 지휘자, 음악가, 교육자, 언론인 및 작가인 해리 커리도 멍크턴에서 태어나 MHS를 졸업했다.[157] 캐나다 훈장과 프랑스 문학 최고 영예인 "콩쿠르상"을 수상한 프랑코폰 작가인 안토닌 마예 역시 멍크턴 출신이다.[158]
또 다른 호평을 받는 아카디아 소설가이자 극작가인 프랑스 데이글은 멍크턴에서 태어나 거주하고 있으며, 아카디아 문학에서 시아크의 선구적인 사용으로 유명하며, 소설 ''Pour Sûr''(영어 번역 제목 "For Sure")으로 2012년 프랑스 소설 부문 총독 문학상을 수상했다.
캐나다 하키 스타 시드니 크로스비는 멍크턴의 해리슨 트림블 고등학교를 졸업했다.
16. 자매 도시
참조
[1]
뉴스
Major employment forum held this week in Moncton
https://archive.toda[...]
Rogers Communications
2012-10-22
[2]
웹사이트
Census Profile, 2021 Census of Population Data table
https://www12.statca[...]
Statistics Canada
2022-02-09
[3]
웹사이트
Census Profile, 2021 Census of Population Data table
https://www12.statca[...]
Statistics Canada
2022-02-09
[4]
웹사이트
Census Profile, 2021 Census of Population Data table
https://www12.statca[...]
Statistics Canada
2022-02-09
[5]
웹사이트
Weatherbase: Historical Weather for Moncton, New Brunswick, Canada
http://www.weatherba[...]
Weatherbase
null
[6]
간행물
[7]
웹사이트
Table 36-10-0468-01 Gross domestic product (GDP) at basic prices, by census metropolitan area (CMA) (x 1,000,000)
https://www150.statc[...]
Statistics Canada
2017-01-27
[8]
웹사이트
N.B.cities see major population growth
https://tj.news/tele[...]
Daily Gleaner
2023-01
[9]
웹사이트
Moncton's motto Resurgo holds historic importance to city
https://www.cbc.ca/n[...]
2014-06-13
[10]
웹사이트
Local Governments Establishment Regulation – Local Governance Act
https://laws.gnb.ca/[...]
2022-10-12
[11]
웹사이트
RSC 7 Southeast Regional Service Commission
https://www2.gnb.ca/[...]
2022-01-31
[12]
문서
Boudreau 12
[13]
문서
Boudreau 16
[14]
백과사전
Moncton
http://www.thecanadi[...]
2007-03-13
[15]
웹사이트
Parks Canada – Fort Beauséjour – Fort Cumberland National Historic Site of Canada – Natural Wonders & Cultural Treasures – Cultural Heritage
https://web.archive.[...]
Parks Canada
[16]
문서
Larracey 30
[17]
백과사전
Acadia, History of
http://www.thecanadi[...]
2007-03-13
[18]
문서
Larracey 32
[19]
웹사이트
The German Origins of Charles Jones, aka Johann Carl Schantz, of Philadelphia, Pennsylvania and Monckton, New Brunswick
http://www.onelibrar[...]
2008-11
[20]
웹사이트
The History of Moncton
https://web.archive.[...]
2008
[21]
문서
Larracey 45
[22]
서적
Dictionary of Canadian Biography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Toronto Press
[23]
문서
Larracey 25
[24]
백과사전
National Transcontinental Railway
http://www.thecanadi[...]
2007-03-13
[25]
문서
Larracey 28
[26]
웹사이트
Company Histories: Eaton's
http://www.civilizat[...]
Virtual Museum of Canada
[27]
문서
Larracey 46
[28]
문서
Larracey 52
[29]
웹사이트
Musée acadien de l'Université de Moncton – Canada –
https://web.archive.[...]
virtualmuseum.ca
[30]
웹사이트
University of Moncton
https://archive.toda[...]
2006-03-13
[31]
문서
Larracey 62
[32]
백과사전
Moncton
http://www.bartleby.[...]
2001-03-13
[33]
웹사이트
CFB Gagetown Support Detachment Moncton
http://www.army.forc[...]
2006-09-12
[34]
뉴스
When cheaper is better
1997-10-27
[35]
웹사이트
Turner and Drake newsletter: Spring 1994
http://www.turnerdra[...]
Turner Drake & Partners Ltd
[36]
웹사이트
Organization internationale de la Francophonie: Choronologie
http://www.francopho[...]
Francophonie
2009-01-24
[37]
웹사이트
GMIA Home
https://web.archive.[...]
Greater Moncton International Airport
2007-07-15
[38]
웹사이트
Gunningville Bridge opens to traffic (05/11/19)
http://www.gnb.ca/cn[...]
Communications New Brunswick
2005-11-19
[39]
뉴스
Moncton votes to become Canada's first bilingual city
https://www.cbc.ca/n[...]
CBC News
2002-08-07
[40]
웹사이트
2006 Community Profiles
http://www12.statcan[...]
2007-07-20
[41]
웹사이트
After 42 Years, a River Finally Runs Through it
http://telegraphjour[...]
2010-03-15
[42]
웹사이트
Legion Magazine : The Tidal Bore
http://www.legionmag[...]
2007-06-26
[43]
웹사이트
Info on the Tidal bore in Moncton
http://www.legionmag[...]
2007-03-13
[44]
웹사이트
Tidal Bore Makes Waves
https://web.archive.[...]
2010-03-27
[45]
웹사이트
Moncton Climate data
http://atlantic-web1[...]
2007-03-13
[46]
웹사이트
Nor'easters
https://web.archive.[...]
2007-03-13
[47]
웹사이트
Global warming disaster as thousands of harp seal pups perish: Experts call for annual seal hunt to be cancelled
http://www.ifaw.org/[...]
International Fund for Animal Welfare
2009-01-24
[48]
웹사이트
Canadian Climate Normals 1971–2000, Moncton Airport
http://www.climate.w[...]
Environment Canada
2012-03-24
[49]
웹사이트
Monthly Record, Meteorological Observations in Canada
https://books.google[...]
Environment Canada
1935
[50]
웹사이트
Moncton, NB
http://climate.weath[...]
Environment Canada
2013-09-25
[51]
웹사이트
Daily Data Report for September 2010
http://climate.weath[...]
Environment Canada
2011-10-31
[52]
웹사이트
Daily Data report for March 2012
http://climate.weath[...]
Environment Canada
2011-10-31
[53]
웹사이트
Canadian Climate Normals 1991–2020
https://climate.weat[...]
Environment and Climate Change Canada
2024-06-12
[54]
웹사이트
Moncton A
http://climate.weath[...]
Environment Canada
2011-10-31
[55]
웹사이트
September 2010
http://climate.weath[...]
Environment Canada
2011-10-31
[56]
웹사이트
October 2011
http://climate.weath[...]
Environment Canada
2011-10-31
[57]
웹사이트
March 2012
http://climate.weath[...]
Environment Canada
2011-10-31
[58]
웹사이트
Bell Aliant Tower
http://www.historicp[...]
2007-04-20
[59]
웹사이트
Assumption Life and the Drop Zone Create Some Extreme Thrills
https://web.archive.[...]
2006-08-31
[60]
웹사이트
Blue Cross Centre
https://web.archive.[...]
2006-04-20
[61]
웹사이트
Centennial Park
https://web.archive.[...]
2008-04-06
[62]
웹사이트
Community Parks
https://web.archive.[...]
2008-04-06
[63]
문서
Merlin 4
[64]
웹사이트
Population and dwelling counts: Canada, provinces and territories, census divisions and census subdivisions (municipalities), New Brunswick
https://www150.statc[...]
Statistics Canada
2022-02-09
[65]
웹사이트
Geographical hierarchy
https://web.archive.[...]
2009-01-19
[66]
웹사이트
Population and dwelling counts: Canada, provinces and territories, census metropolitan areas and census agglomerations
https://www150.statc[...]
Statistics Canada
2022-02-09
[67]
웹사이트
Census Profile, 2021 Census of Population
https://www12.statca[...]
2022-10-26
[68]
웹사이트
Census Profile, 2016 Census
https://www12.statca[...]
2021-10-27
[69]
웹사이트
NHS Profile
https://www12.statca[...]
2015-11-27
[71]
웹사이트
2001 Community Profiles
https://www12.statca[...]
2023-05-19
[72]
웹사이트
Profile table, Census Profile, 2021 Census of Population - Moncton, City (C) [Census subdivision], New Brunswick
https://www12.statca[...]
2022-12-25
[73]
웹사이트
2011 Community Profiles
http://www12.statcan[...]
2014-05-19
[74]
웹사이트
Participation in French immersion, bilingualism and the use of French in adulthood, 2021
https://www12.statca[...]
2024-10-06
[75]
웹사이트
Census Profile, 2021 Census of Population
https://www12.statca[...]
2022-11-11
[76]
웹사이트
Downtown Moncton at a Glance
http://downtownmonct[...]
DMCI
2007-06-18
[77]
웹사이트
nanoptix
http://www.nanoptix.[...]
nanoptix
2008-02-18
[78]
웹사이트
TrustMe
http://www.trustmese[...]
TrustMe Security
2008-02-19
[79]
웹사이트
The Greater Moncton Economy "Towards a Vision"
http://www.greatermo[...]
greatermoncton.org
2007-06-18
[80]
웹사이트
Selected trend data for Moncton (CMA), 2006, 2001 and 1996 censuses
http://www12.statcan[...]
2009-01-14
[81]
웹사이트
The best cities for business in Canada
http://www.canadianb[...]
2007-06-25
[82]
웹사이트
Moncton ranked among most business-friendly cities, Times and Transcript May 9, 2007
http://www.colliersm[...]
Colliers International
2007-06-25
[83]
웹사이트
Colliers International (Atlantic) Inc. – Moncton
http://www.colliersm[...]
Colliers International
2007-06-18
[84]
웹사이트
TD Bank announces new banking services centre in Moncton
http://www.cbc.ca/ne[...]
2018-05-26
[85]
웹사이트
Irving Group Moncton
http://www.irvingmon[...]
JD Irving
2007-06-18
[86]
뉴스
Molson to establish small brewery in Moncton by 2007
https://www.theglobe[...]
2009-01-24
[87]
웹사이트
Gunningsville Bridge information
http://www12.statcan[...]
2007-07-15
[88]
웹사이트
The operative word for Moncton during 2006 was "up"! Moncton for Business – Moncton en Affaires
http://www.mid.nb.ca[...]
Moncton for Business
2007-06-18
[89]
웹사이트
Living in Greater Moncton
http://www.moncton.o[...]
2007-06-26
[90]
웹사이트
Capitol History
http://www.capitol.n[...]
2007-07-19
[91]
웹사이트
Defining 'Culture' in Moncton
http://herenb.canada[...]
2009-01-30
[92]
웹사이트
Atlantic Ballet Theatre of Canada
http://connection.eb[...]
2009-01-31
[93]
웹사이트
About The Aberdeen Cultural Centre (French)
http://www.centrecul[...]
Aberdeen Cultural Centre
2007-07-20
[94]
웹사이트
Resurgo Place
http://resurgo.ca/
2018-12-09
[95]
웹사이트
Musée acadien | Campus de Moncton
https://www.umoncton[...]
[96]
웹사이트
Moncton Museum
http://www.moncton.c[...]
2008-05-08
[97]
문서
Treitz Haus
2009-01-30
[98]
웹사이트
L'ONF en Acadie, 35 ans de création
https://www.onf.ca/s[...]
2017-04-18
[99]
웹사이트
Frye Festival History
http://www.frye.ca/e[...]
2007-07-20
[100]
웹사이트
Car star revs up auto show
http://timestranscri[...]
2008-02-18
[101]
뉴스
Seafood festival looks for best fried clams, fish cakes, chowder
2008-08-08
[102]
웹사이트
The Government of Canada Supports HubCap Comedy Festival
http://www.canadianh[...]
2009-01-27
[103]
웹사이트
Notre-Dame-de-l'Assomption: une cathédrale numérique
https://www.acadieno[...]
2020-07-07
[104]
웹사이트
Avenir Centre
http://dngeg6k1ej-fl[...]
[105]
웹사이트
CEPS – Français
http://www2.umoncton[...]
Universite de Moncton
2007-07-20
[106]
웹사이트
Dieppe closes velodrome because of safety concerns
https://www.cbc.ca/n[...]
CBC News
2018-05-22
[107]
웹사이트
Facilities
http://www.atlanticc[...]
Atlantic Cycling Centre
2009-01-24
[108]
뉴스
Moncton wraps up Quebec series at home
https://www.theglobe[...]
2006-05-15
[109]
뉴스
Dieppe Commandos hockey franchise moving to Edmundston
http://www.cbc.ca/ne[...]
2017-04-17
[110]
뉴스
Moncton wins national senior baseball championship
https://www.cbc.ca/n[...]
2006-08-28
[111]
뉴스
Magic retire Miracles
http://www.cbc.ca/ne[...]
2017-06-22
[112]
웹사이트
Aigles Bleus
http://www2.umoncton[...]
2008-09-19
[113]
웹사이트
CIS Membership Directory
http://www.universit[...]
2008-09-19
[114]
간행물
2019 NBLC Playoffs
http://www.nblcanada[...]
2019-12-08
[115]
뉴스
Fisher Cats Savour City's First Senior Baseball Championship in 12 Years
https://www.telegrap[...]
Moncton Times & Transcript
2017-09-30
[116]
웹사이트
MasterCard Memorial Cup
http://www.chl.ca/CH[...]
Canadian Hockey League
2007-06-25
[117]
웹사이트
2007 CIS Men's Hockey Championships
http://www.cisport.c[...]
Canadian Interuniversity Sport
2007-06-25
[118]
웹사이트
Moncton awarded 2010 IAAF World Junior Championships
http://www.moncton.o[...]
City of Moncton
2007-06-25
[119]
웹사이트
CFL's Touchdown Atlantic
http://www.newswire.[...]
Newswire.ca
2010-07-30
[120]
웹사이트
LeBlanc: TD Atlantic bringing added hype to Maritime expansion effort
https://www.cfl.ca/2[...]
cfl.ca
2019-08-23
[121]
웹사이트
Moncton City Council (2004–2008)
http://www.moncton.c[...]
City of Moncton
2008-08-08
[122]
웹사이트
Official Voting Results Raw Data (poll by poll results in Moncton)
https://www.election[...]
Elections Canada
2022-04-07
[123]
웹사이트
Official Voting Results by polling station (poll by poll results in Moncton)
https://www.election[...]
Elections NB
2014-02-05
[124]
웹사이트
Canadian Military History Page
http://www.geocities[...]
2007-07-20
[125]
웹사이트
CFB Gagetown Support Detachment Moncton
http://www.army.forc[...]
2007-07-20
[126]
웹사이트
CLC Corporate Plan 1999–2004
http://www.clcl.ca/e[...]
2007-07-20
[127]
웹사이트
The Moncton Hospital
http://www.horizonnb[...]
Horizon Health Network
2017-10-09
[128]
웹사이트
SERHA's Health: Taking a large step into the future
http://www.serha.ca/[...]
SERHA
2007-07-15
[129]
웹사이트
Dr. Georges-L-Dumont Hospital Centre
http://www.vitaliten[...]
2017-12-24
[130]
뉴스
Georges Dumont Hospital to host new cardiac lab
https://www.cbc.ca/n[...]
CBC News
2007-01-23
[131]
웹사이트
R&D Facilities
http://www.gnb.ca/03[...]
New Brunswick
2009-01-30
[132]
웹사이트
Your language rights in New Brunswick. Factsheet 2 – Health Care
http://officiallangu[...]
Office of the Commissioner of Official Languages of New Brunswick
2017-03
[133]
웹사이트
GMIA 2006 Report
http://www.gmia.ca/e[...]
2007-07-09
[134]
웹사이트
GMIA Airlines
http://www.gmia.ca/e[...]
2007-07-15
[135]
웹사이트
Moncton Flight College Receives Civil Aviation Authority of China Approval to Train Chinese Pilots
http://www.canlinkgl[...]
2007-07-09
[136]
웹사이트
NAV CANADA Presence in Atlantic Canada
http://navcanada.ca/[...]
2007-11-13
[137]
웹사이트
Google maps: Moncton
https://maps.google.[...]
2007-07-15
[138]
웹사이트
Codiac Transit Commission
http://www.codiactra[...]
Codiac Transit
2007-07-15
[139]
웹사이트
Via Rail Canada / Halifax-Montreal train (the Ocean)
http://www.viarail.c[...]
Via Rail
2007-07-15
[140]
웹사이트
Reseau Sesame Network: City Close-Up
http://www.reseauses[...]
2007-07-04
[141]
웹사이트
CAE Global Academy: Global strength
http://www.cae.com/c[...]
CAE
2009-01-24
[142]
웹사이트
Weekly Readership by Resident Market newspaper readership
https://web.archive.[...]
NADBank
2008-01-09
[143]
웹사이트
Gordie Drillon
http://www.hockeydb.[...]
2007-07-25
[144]
웹사이트
Our Background
https://web.archive.[...]
2007-07-25
[145]
간행물
Moncton
http://www.thecanadi[...]
2007-07-04
[146]
간행물
LeBlanc, Romeo A.
http://www.thecanadi[...]
2007-07-04
[147]
간행물
Rand, Ivan Cleveland
http://www.thecanadi[...]
2007-07-04
[148]
웹사이트
Trudy Mackay
https://royalsociety[...]
2018-05-16
[149]
웹사이트
Trudy Mackay
http://www.nasonline[...]
2018-05-16
[150]
웹사이트
Mackay, Trudy Frances Charlene
http://www.wolffund.[...]
2018-05-16
[151]
뉴스
Tar Heel: Trudy Mackay works with fruit flies to solve genetic mysteries
http://www.newsobser[...]
2018-05-16
[152]
웹사이트
Robb Wells
https://web.archive.[...]
2009-02-05
[153]
웹사이트
Robb Wells
http://www.tv.com/ro[...]
2009-02-05
[154]
웹사이트
Julie Doiron Doing Three Things At Once This Month
http://www.chartatta[...]
2009-01-31
[155]
웹사이트
Julie Doiron
https://web.archive.[...]
2009-01-31
[156]
웹사이트
Holly Dignard – About
https://web.archive.[...]
2009-02-05
[157]
웹사이트
Conductor of The Convocation Winds retiring after 38 years
https://uwaterloo.ca[...]
University of Waterloo
2021-02-06
[158]
서적
Antonine Maillet
http://www.bookrags.[...]
2009-01-31
[159]
웹사이트
Lafayette's twinning with Moncton in 1970s caused 'ruckus'
https://www.theadvoc[...]
The Acadiana Advocate
2020-06-17
[160]
웹사이트
About North Bay
https://web.archive.[...]
City of North Bay
2020-06-17
[161]
뉴스
Major employment forum held this week in Moncton
http://www.news919.c[...]
ロジャーズ・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2012-11-05
[162]
웹사이트
Population and dwelling counts, for Canada, provinces and territories, and census subdivisions (municipalities), 2006 and 2001 censuses - 100% data
http://www12.statcan[...]
2007-06-26
[163]
웹사이트
Population and dwelling counts, for urban areas, 2006 and 2001 censuses - 100% data
http://www12.statcan[...]
2007-06-26
[164]
웹사이트
Population and dwelling counts, for census metropolitan areas and census agglomerations, 2006 and 2001 censuses - 100% data
http://www12.statcan[...]
Statistics Canada
2007-06-26
[165]
웹사이트
Moncton, City [Census subdivision], New Brunswick and Westmorland, County [Census division], New Brunswick
https://www12.statca[...]
Statistics Canada
2020-04-28
[166]
웹사이트
Moncton [Census metropolitan area], New Brunswick and New Brunswick [Province]
https://www12.statca[...]
Statistics Canada
2020-04-28
[167]
웹사이트
Weatherbase: Historical Weather for Moncton, New Brunswick, Canada
http://www.weatherba[...]
Weatherbase
2007-06-26
[168]
웹사이트
Moncton, NB
http://climate.weath[...]
Environment Canada
2016-03-19
[169]
웹사이트
Daily Data Report for September 2010
http://climate.weath[...]
Environment Canada
2016-06-26
[170]
웹사이트
Daily Data report for March 2012
http://climate.weath[...]
Environment Canada
2016-06-26
[171]
웹인용
Population estimates, July 1, by census subdivision, 2016 boundaries
https://www150.statc[...]
2021-01-26
[172]
웹인용
Moncton, NB
http://climate.weath[...]
Environment Canada
2016-03-19
[173]
웹인용
Daily Data Report for September 2010
http://climate.weath[...]
Environment Canada
2016-06-26
[174]
웹인용
Daily Data report for March 2012
http://climate.weath[...]
Environment Canada
2016-06-26
[175]
웹인용
Monthly Record, Meteorological Observations in Canada
https://books.google[...]
Environment Canada
2016-11-15
[176]
웹인용
Moncton A
http://climate.weath[...]
Environment Canada
2014-05-12
[177]
웹인용
September 2010
http://climate.weath[...]
Environment Canada
2016-03-18
[178]
웹인용
October 2011
http://climate.weath[...]
Environment Canada
2016-03-18
[179]
웹인용
March 2012
http://climate.weath[...]
Environment Canada
2016-03-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