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가니소프테라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메가니소프테라목은 멸종된 곤충 분류군으로, 특히 석탄기 곤충의 거대화와 관련하여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과거에는 대기 중 산소 농도가 높아 곤충의 거대화가 가능했다는 가설이 제기되었으나, 페름기 후기에도 거대한 곤충이 발견되면서 산소 농도 외 다른 요인, 예를 들어 비행성 척추동물 포식자의 부재, 초식성 고시류와의 진화적 군비 경쟁 등이 거대 곤충의 존재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메가니소프테라목에는 아울레르투푸스과, 콜왈디과, 메가뉴라과, 나무로티푸스과, 파라로가과 등이 속하며, 알라님파, 아사페누라, 드라고님파 등 아직 과로 분류되지 않은 속들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메가니소프테라목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화석 범위 | 펜실베이니아기 - 로핑기: 3억 1800만 년 전 ~ 2억 5100만 년 전 |
학명 | Meganisoptera |
명명자 | Martynov, 1932 |
하위 분류군 계급 | 과 |
하위 분류군 | Aulertupidae Zessin & Brauckmann 2010 Kohlwaldiidae Guthörl 1962 Meganeuridae Handlirsch 1906 Namurotypidae Bechly 1996 Paralogidae Handlirsch 1906 |
이명 | Protodonata C. Brongniart, 1893 |
날개 길이 | 71 cm |
날개폭 | 680 mm |
다른 이름 | 원잠자리목 옛잠자리목 |
영어 이름 | meganisopteran griffinfly |
2. 크기
메가니소프테라목은 여러 과(Family)로 분류되며, 아직 특정 과에 속하지 않은 속(Genus)들도 존재한다.
석탄기 곤충이 어떻게 그토록 거대한 몸집을 가질 수 있었는지에 대해서는 오랜 논쟁이 이어져 왔다. 곤충은 기관이라는 호흡 시스템을 통해 산소를 몸 전체로 확산시키는데, 이 방식은 이론적으로 몸 크기에 상한선을 만든다. 그러나 선사 시대의 거대 곤충들은 이 한계를 훨씬 뛰어넘는 것처럼 보였다.
1911년 할레(Harlé)는 당시 대기 중 산소 농도가 현재(약 21%)보다 훨씬 높은 30~35%에 달했기 때문에 메가네우라와 같은 거대 곤충이 비행할 수 있었다는 가설을 처음 제시했다. 이 가설은 한때 다른 과학자들에 의해 비판받기도 했으나, 이후 거대증과 산소 가용성 사이의 관계에 대한 추가 연구가 진행되면서 최근 다시 주목받고 있다.[9] 이 가설에 따르면, 이 거대 곤충들은 산소 농도가 감소하는 환경 변화에 매우 취약했을 것이며, 현재의 대기 조건에서는 생존하기 어려웠을 것이다.
한편, 곤충의 호흡 방식에 대한 다른 연구에서는 곤충이 단순히 산소를 확산시키는 것이 아니라, "기관의 빠른 압축과 팽창 주기"를 통해 능동적으로 호흡한다는 사실을 밝혀내기도 했다.[10] 이는 척추동물의 폐와 유사한 방식으로, 곤충 호흡에 대한 기존 이해를 넓혔다. 또한 현대 곤충과 조류의 비행 에너지를 분석한 연구에서는 산소 농도뿐만 아니라 공기의 밀도 역시 곤충 크기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임을 시사했다.[11] 높은 산소 농도와 밀도는 초기 비행 곤충의 비행 능력과 몸집 성장에 유리했을 수 있다.
그러나 산소 농도만으로는 거대 곤충의 존재를 완전히 설명하기 어렵다는 반론도 있다. 예를 들어, 날개 길이가 45cm에 달하는 매우 큰 메가네우라과 곤충 화석이 프랑스 로데브의 상부 페름기 지층에서 발견되었는데, 이 시기는 이미 대기 중 산소 농도가 석탄기나 하부 페름기보다 상당히 낮아진 후였기 때문이다.[12]
이에 대해 베클리(Bechly, 2004)는 다른 가능성을 제시했다. 석탄기와 페름기에는 하늘을 나는 척추동물 포식자가 없었기 때문에 날개 달린 곤충들이 크기 경쟁에서 자유롭게 거대해질 수 있었으며, 특히 초식성 고시류와 이들을 잡아먹는 메가네우라 사이의 몸 크기 증가를 위한 "진화적 경쟁"이 거대화를 더욱 가속화했을 수 있다고 보았다.[13]
3. 분류
3. 1. 과 (Family)
다음은 메가니소프테라목에 속하는 과이다:3. 2. 속 (Genus)
다음은 메가니소프테라목에 속하지만 아직 특정 과로 분류되지 않은 속들이다.
속명 | 명명자 | 연도 |
---|---|---|
알라님파 (Alanympha) | 쿠칼로바-펙 | 2009 |
아사페누라 (Asapheneura) | 프루보스트 | 1919 |
드라고님파 (Dragonympha) | 쿠칼로바-펙 | 2009 |
팔레오테라테스 (Palaeotherates) | 한들리르쉬 | 1906 |
파라로고프시스 (Paralogopsis) | 한들리르쉬 | 1911 |
슐레흐텐달리올라 (Schlechtendaliola) | 한들리르쉬 | 1919 |
티포이데스 (Typoides) | 잘레스키 | 1948 |
4. 사진
참조
[1]
논문
ew basal Odonatoptera (Insecta) from the lower Carboniferous (Serpukhovian) of Argentina
https://www.research[...]
2016
[2]
서적
2005
[3]
논문
The Odonatoptera of the Late Permian Lodève Basin (Insecta)
https://revistas.ucm[...]
2008-01-01
[4]
서적
The Biology of Dragonflies
https://books.google[...]
CUP Archive
[5]
문서
トンボの翅の前線の先にある翅の膜が黒や褐色をした部分
[6]
논문
ew basal Odonatoptera (Insecta) from the lower Carboniferous (Serpukhovian) of Argentina
https://www.research[...]
2016
[7]
논문
Palaeozoic giant dragonflies were hawker predators
https://www.nature.c[...]
2018-08-14
[8]
서적
Introduction to Insect Biology and Diversity, 2nd ed.
Oxford University Press
[9]
논문
Polar gigantism dictated by oxygen availability
http://www.nature.co[...]
1999-05
[10]
논문
Tracheal respiration in insects visualized with synchrotron x-ray imaging
2003-01
[11]
논문
Atmospheric oxygen, giant Paleozoic insects and the evolution of aerial locomotion performance
null
1998-04
[12]
논문
The Odonatoptera of the Late Permian Lodève Basin (Insecta)
2008
[13]
서적
Evolution and systematics. pp. 7-16 in: Hutchins M., Evans A.V., Garrison R.W. and Schlager N. (eds): Grzimek's Animal Life Encyclopedia. 2nd Edition. Volume 3, Insects
Gale Group, Farmington Hills, MI
20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