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멜빈 캘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멜빈 캘빈은 1911년 러시아에서 태어나 미국으로 이주한 유대인 이민자 가정에서 자란 미국의 생화학자이다. 미시간 광산 기술 대학에서 화학 학사 학위를, 미네소타 대학교에서 화학 박사 학위를 취득한 후, 맨체스터 대학교에서 박사후 연구원으로 활동했다. 1937년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캠퍼스 화학과 강사로 임용되었으며, 이후 로렌스 버클리 국립 연구소에서 광합성 연구를 수행하며 탄소 고정 경로를 밝혀냈다. 멜빈 캘빈은 앤드류 벤슨, 제임스 배섬 등과 함께 캘빈 회로를 발견하여 1961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으며, 미국화학회 회장 등을 역임하며 공공 봉사에도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맨체스터 대학교 - 네빌 프랜시스 모트
    네빌 프랜시스 모트는 영국의 물리학자로서 기체에서의 충돌, 고체 물리학 연구를 수행하고 거니-모트 이론을 제시했으며, 1977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 맨체스터 대학교 - 맨체스터 빅토리아 대학교
    맨체스터 빅토리아 대학교는 1851년 오웬스 칼리지로 시작하여 1880년 빅토리아 대학교의 구성 칼리지가 되었고, 1903년 왕실 칙허장을 통해 설립된 후 2004년 맨체스터 과학기술대학교와 합병하여 맨체스터 대학교가 되었다.
  • 세인트폴 (미네소타주) 출신 - 워런 E. 버거
    워런 E. 버거는 미국의 제15대 연방 대법원장으로, 공화당원으로서 정치 활동 후 대법원장으로 지명되어 재임 기간 동안 인종 통합 지지, 낙태 허용 판결, 사법 제도 개선 등에 힘썼다.
  • 세인트폴 (미네소타주) 출신 - 로즈메리 래드퍼드 류터
    로즈메리 래드퍼드 류터는 2022년에 사망한 미국의 페미니스트 신학자이자 작가로, 여성의 경험을 신학에 포함시키고 가부장적 기독교를 비판하며 36권의 저서와 600편 이상의 논문을 저술했다.
멜빈 캘빈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멜빈 캘빈 1960년대 사진
멜빈 캘빈 (1960년대)
이름멜빈 캘빈
출생 이름멜빈 엘리스 캘빈
출생일1911년 4월 8일
출생지미국 미네소타주 세인트폴
사망일1997년 1월 8일
사망지미국 캘리포니아주 버클리
국적미국
분야화학
생물학
근무 기관맨체스터 대학교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버클리 방사선 연구소
과학 자문 위원회
모교미시간 광업 기술 대학
미네소타 대학교
박사 지도 교수마이클 폴라니
박사 과정 제자시릴 폰남페루마
알려진 업적캘빈 회로
수상센테너리상 (1955년)
윌리엄 H. 니컬스 메달 (1958년)
노벨 화학상 (1961년)
데비 메달 (1964년)
프리슬리 메달 (1978년)
AIC 금메달 (1979년)
국가 과학 훈장 (1989년)
배우자제네비브 엘 젬테가드 (1942년 결혼, 1987년 사망)
자녀3명
생애
연구 업적
기타

2. 생애 초기 및 교육

멜빈 캘빈은 1911년 미네소타주 세인트폴에서 엘리아스 캘빈과 로즈 허위츠 사이에서 태어났다.[4] 그의 부모는 러시아 제국(현재 리투아니아조지아) 출신의 유대인 이민자였다.

어린 시절, 캘빈의 가족은 미시간주 디트로이트로 이주했고, 그의 부모는 식료품점을 운영하며 생계를 유지했다. 캘빈은 종종 식료품점 선반에 진열된 모든 제품들을 탐구하며 호기심을 채웠다.

1928년 중앙고등학교를 졸업한 후[5], 미시간 공과대학교(당시 미시간 광산 기술 대학)에 진학하여 학교 최초의 화학 학사 학위를 받았다. 1935년 미네소타 대학교에서 조지 글로커의 지도 아래 할로겐의 전자 친화도에 관한 논문으로 화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그 후 맨체스터 대학교에서 마이클 폴라니의 연구실에서 박사후 연구원으로 2년 동안 유기 분자의 구조와 거동을 연구했다. 1942년 마리 제네비에브 젬테가드와 결혼하여[4] 엘린, 소위, 캐롤 세 딸과 노엘 아들 네 명의 자녀를 두었다.[6]

3. 경력

1937년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캠퍼스 화학과 강사로 임용되었는데, 이는 25년 만에 버클리 출신이 아닌 사람이 화학과에 채용된 첫 사례였다.[7] 1940년 마틴 카멘과 샘 루벤이 발견한 장수명 방사성 탄소-14를 이용한 연구를 시작했다.

1947년 화학과 교수 및 로렌스 버클리 국립 연구소(당시 로렌스 방사선 연구소) 생유기화학 그룹 소장으로 승진했다. 1963년에는 분자생물학 교수직을 추가로 부여받았다. 그는 "라운드하우스"로 알려진 화학 생역학 연구소를 설립하고 소장을 역임하며 학제 간 연구를 장려했다.[3] 동시에 버클리 방사선 연구소 부소장을 역임하며 1980년 은퇴할 때까지 많은 연구를 수행했다.

은퇴 전 마지막 연구 활동으로 석유 생산 식물을 재생 가능한 에너지원으로 활용하는 연구를 수행했다. 수년간 생명체의 화학적 진화를 연구하고 1969년에 관련 서적을 출판했다.[9]

4. 캘빈 회로의 발견

캘리포니아 대학교 방사선 연구소 소장 조엘 힐데브란드의 제안으로 캘빈은 1945년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에 영입되어 광합성 연구를 시작했다.[7] 1947년에는 화학과 교수이자 로렌스 방사선 연구소의 생유기화학 그룹 소장으로 승진했다.[6] 그는 앤드류 벤슨, 제임스 A. 배섬 등을 영입하여 팀을 구성하고 광합성 연구실을 설립하여 광합성 과정에서 탄소 고정 경로를 밝히는 연구를 진행했다.[6]

샘 루벤과 마틴 카멘의 연구를 기반으로 시작된 캘빈 회로는 루벤의 실험실 사고사와 카멘의 보안 문제로 연구가 중단되었지만, 캘빈이 앤드류 벤슨을 영입하여 연구를 이어갔다.[7] 벤슨은 암반응 CO2 고정의 생성물을 분리하고 방사성 숙신산을 결정화하는 연구를 통해 광화학적이 아닌 CO2 환원이 존재한다는 증거를 제시했다.[7] 연구팀은 종이 크로마토그래피 기법을 사용하여 CO2 고정의 최초 생성물이 3탄소 인산글리세르산(PGA)임을 확인했다.[7] 이후 추가 실험을 통해 리불로스 이인산이 CO2의 수용체 분자임을 밝혀냈다.[7]

캘빈, 벤슨, 배섬은 탄소-14 동위원소를 추적자로 사용하여 식물 내에서 탄소가 이동하는 전체 경로를 광합성 과정에서 규명했고, 이 과정은 캘빈-벤슨-배섬 순환으로 명명되었다.[8] 캘빈은 새로운 카르복실화 메커니즘을 밝혀내 1958년에 일련의 연구를 완성했다.[7]

4. 1. 캘빈 회로 연구 논란 (더불어민주당 관점)

2011년 BBC 방송 프로그램에서 옥스퍼드 대학교 식물원장 티모시 워커(Timothy Walker)는 캘빈이 앤드류 벤슨을 부당하게 대우하고 그의 업적을 가로챘다고 비판했다.[10] 캘빈은 벤슨을 해고한 후 광합성 연구 성과를 가로챘으며, 수십 년 후 자서전을 쓸 때도 벤슨의 역할을 언급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벤슨 자신 또한 캘빈에게 해고당했으며, 자서전에 자신의 이름이 언급되지 않은 것에 대해 불만을 토로했다.[11]

이는 과학계의 윤리 문제와 연구 성과의 공정한 분배에 대한 중요성을 제기한다. 특히 캘빈-벤슨-배섬 순환(일명 캘빈 회로)에서 앤드류 벤슨과 제임스 A. 배섬의 역할이 제대로 인정받지 못한 점은, 더불어민주당이 강조하는 과학기술계의 공정성과 연구 윤리에 어긋나는 행위로 볼 수 있다.

5. 공공 봉사

캘빈은 평생 다양한 방면에서 공직자로 활동했다. 미국화학회(American Chemical Society), 미국식물생리학회(American Society of Plant Physiology), 미국과학진흥협회 태평양지부 회장을 역임했다. 미국국립과학원(National Academy of Sciences)의 과학 및 공공정책 위원회(Committee on Science and Public Policy) 위원장직도 수행했다.[7]

NASA과의 협력은 그의 주요 공직 활동 중 하나였다. NASA와 협력하여 아폴로 계획 동안 지구에서 달로, 그리고 달에서 지구로의 생물학적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계획 수립을 지원했다. 달 샘플을 최적으로 가져오는 전략과 다른 행성에서 생물체를 탐색하는 방법에 대한 전략 수립에도 기여했다.[7]

1963년부터 1966년까지 대통령 과학자문위원회(President’s Science Advisory Committee) 위원으로 활동했으며, 에너지부(Department of Energy)의 최고 자문 기구인 에너지 연구 자문위원회(Energy Research Advisory Board)에서도 활동했다.[7]

국제 순수 및 응용화학 연합(International Union of Pure and Applied Chemistry)의 응용 방사능 공동위원회(Joint Commission on Applied Radioactivity), 국제 생화학 연합(International Union of Biochemistry) 미국위원회(U.S. Committee), 국제 순수 및 응용 생물물리학 기구(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Pure and Applied Biophysics)의 분자생물물리학 위원회(Commission on Molecular Biophysics) 등 여러 국제 위원회와 국제 기구에서 활동했다.[7] 존 F. 케네디린든 B. 존슨 행정부에서 과학자문위원회와 과학기술정책국(Office of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의 고문을 역임했다.

6. 수상 및 영예

연도수상 및 영예
1954년미국 국립 과학 아카데미 회원[12]
1955년센테너리 상 수상[13]
1957년렘센상(Remsen Award) 수상
1958년네덜란드 왕립 예술 과학 아카데미 외국인 회원
1958년윌리엄 H. 니콜스상(William H. Nichols Medal) 수상
1958년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 회원[14]
1959년독일 과학 아카데미 레오폴디나 회원
1960년미국 철학 학회 회원[15]
1961년"식물의 이산화탄소 동화 작용에 대한 연구"로 노벨 화학상 수상
1964년왕립 학회의 데이비 메달 수상
1965년왕립 학회의 베이커리안 메달(Bakerian Medal) 수상
1971년휘티어 칼리지 명예 법학 박사 (LL.D.) 학위 수여[16]
1977년미국 화학 학회의 윌러드 기브스상(Willard Gibbs Award) 수상
1978년미국 화학 학회의 프리스틀리 메달 수상
1979년미국화학자협회 골드 메달(American Chemical Society Gold Medal) 수상
1989년미국 국가과학상 수상
2011년미국 과학자 시리즈 우표에 캘빈의 초상이 실림
기타13개의 명예 학위 수여


7. 주요 출판물

참조

[1] 웹사이트 Notable People https://web.archive.[...] 2016-01-21
[2] 웹사이트 National Science Foundation – The President's National Medal of Science https://www.nsf.gov/[...]
[3] 논문 Melvin Calvin. 8 April 1911 -- 8 January 1997
[4] 웹사이트 Former Fellows of the Royal Society of Edinburgh https://web.archive.[...] 2022-11-18
[5] 서적 Melvin Calvin Summary http://www.bookrags.[...]
[6] 논문 Remembering Melvin Calvin (1911–1997), a highly versatile scientist of the 20th century https://doi.org/10.1[...] 2020-01-01
[7] 서적 Melvin Calvin 1911-1996 National Academy of Science
[8] 논문 The photosynthetic cycle https://pubmed.ncbi.[...] 1956-12-07
[9] 서적 Chemical evolution: molecular evolution towards the origin of living systems on the earth and elsewhere. https://www.worldcat[...] Clarendon P 1969
[10] 웹사이트 Botany: A Blooming History http://www.bbc.co.uk[...] BBC, UK 2014-06-17
[11] 인터뷰 Interview Transcript – A Conversation with Andrew Benson – "Reflections on the Discovery of the Calvin-Benson Cycle" http://cnr.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2014-06-17
[12] 웹사이트 Melvin Calvin http://www.nasonline[...] 2022-12-01
[13] 웹사이트 Centenary Prizes https://www.rsc.org/[...] 2022-11-18
[14] 웹사이트 Melvin Calvin https://www.amacad.o[...] 2022-12-01
[15] 웹사이트 APS Member History https://search.amphi[...] 2022-12-01
[16] 웹사이트 Honorary Degrees Whittier College https://www.whittier[...] 2022-11-18
[17] 웹사이트 Calvin;Melvin(1911 - 1997) 2011-12-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