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드 멘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모드 멘텐은 캐나다 출신의 생화학자이자 의사로, 효소 반응 속도론 연구와 알칼리성 인산가수분해효소 연구 등에서 중요한 업적을 남겼다. 그녀는 레오노르 미카엘리스와 함께 미카엘리스-멘텐 식을 유도했으며, 세균 독소 연구와 단백질의 전기영동 분리에도 기여했다. 멘텐은 토론토 대학교에서 의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록펠러 의학 연구소에서 연구했으며, 피츠버그 대학교에서 병리학자로 근무했다. 그녀는 과학 연구 외에도 다양한 예술적, 문화적 활동을 즐겼으며, 사후 캐나다 의학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캐나다의 화학자 - 존 폴라니
존 폴라니는 화학 반응 역학 연구로 1986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한 헝가리계 캐나다인 화학자이자 토론토 대학교 명예 교수로, 사회 문제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다양한 활동을 펼쳤다. - 캐나다의 화학자 - 게르하르트 헤르츠베르크
독일 태생의 캐나다 물리학자이자 화학자인 게르하르트 헤르츠베르크는 분자 분광학, 특히 자유 라디칼 연구에 기여한 공로로 1971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으며, 나치의 박해를 피해 캐나다로 이주 후 여러 대학에서 교수 및 캐나다 국립 연구 위원회 국장을 역임하며 분광학 분야에 업적을 남겼다. - 캐나다의 여자 과학자 - 캐시 라이크스
캐시 라이크스는 미국의 법의인류학자이자 소설가로, 노스캐롤라이나 대학교 샬럿의 인류학 명예교수이며, '템퍼런스 브레넌' 시리즈를 통해 베스트셀러 작가가 되었고, 폭스 방송 드라마 《본즈》의 영감을 제공하고 프로듀서 및 작가로도 참여했다. - 캐나다의 여자 과학자 - 도나 스트리클런드
캐나다 물리학자 도나 스트리클런드는 제라르 무루와 함께 첩 펄스 증폭 기술을 개발하여 고강도 펄스 레이저 연구에 기여한 공로로 2018년 노벨 물리학상을 공동 수상했으며, 이는 여성으로서는 역대 세 번째 수상이다. - 캐나다의 의학자 - 랠프 스타인먼
랠프 스타인먼은 수지상 세포 연구에 기여하여 2011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한 캐나다 출신 면역학자이다. - 캐나다의 의학자 - 윌리엄 오슬러
윌리엄 오슬러는 캐나다 출신의 저명한 의사이자 의학 교육 혁신가로, 존스 홉킨스 병원의 초대 주치의를 역임하며 환자 중심 교육을 강조하고 의학 레지던트 제도를 확립하는 데 기여했으며, 대표 저서인 《의학의 원리와 실천》으로도 널리 알려져 1911년에는 준남작에 서임되었다.
모드 멘텐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모드 레오노라 멘텐 |
출생 | 1879년 3월 20일 |
출생지 | 캐나다 온타리오주 포트 램턴 |
사망 | 1960년 7월 17일 |
사망지 | 캐나다 온타리오주 레밍턴 |
국적 | 캐나다 |
학력 | |
출신 대학 | 토론토 대학교, 시카고 대학교 |
박사 학위 논문 제목 | 악성 종양 및 기타 병리학적 상태에서의 혈액의 알칼리성; 기압과 혈액의 알칼리성의 관계에 대한 관찰과 함께 |
박사 학위 논문 연도 | 1916년 |
박사 지도 교수 | 알려지지 않음 |
경력 | |
직장 | 토론토 대학교 록펠러 대학교 뉴욕-프레스비테리안 로어 맨해튼 병원 베를린 대학교 시카고 대학교 피츠버그 대학교 브리티시 컬럼비아 의학 연구소 |
업적 | |
주요 업적 | 미카엘리스-멘텐 식, 아조 염료 결합 반응의 발명, 혈액의 헤모글로빈 단백질의 전기영동 분리, 효소 반응속도론 및 조직화학에서의 기여 |
수상 | |
수상 | 알려지지 않음 |
2. 어린 시절 및 교육
모드 멘텐은 캐나다 온타리오주 포트 램턴에서 태어났다. 그녀의 가족은 브리티시컬럼비아주 해리슨 밀스로 이사했고, 그곳에서 어머니는 우체국장으로 근무했다. 중등학교를 마친 후 멘텐은 토론토 대학교에 진학하여 1904년에 인문학 학사 학위를, 1907년에 생리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대학원 과정을 이수하는 동안, 그녀는 대학 생리학 연구실에서 조교로 일했다.
멘텐은 의학 연구를 더 진행하고 싶었지만, 당시 캐나다에서는 여성에게 주어지는 기회가 부족했다. 그 결과, 록펠러 의학 연구소의 연구원직을 수락하고 1907년 미국 뉴욕으로 갔다. 그곳에서 쥐의 암 종양에 대한 브롬화 라듐의 효과를 연구했고, 다른 두 명의 과학자와 함께 실험 결과를 발표하여 록펠러 의학 연구소의 첫 번째 논문을 작성했다.[37] 뉴욕 여성 및 아동병원에서 인턴으로 근무한 후, 1911년 토론토 대학교에서 의무박사 학위를 취득하여 캐나다 최초의 여성 의무박사 중 한 명이 되었다.[36] 1916년에는 시카고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2. 1. 초기 연구 경력
멘텐은 캐나다 온타리오주 포트 램턴(Port Lambton, Ontario)에서 태어났다. 그녀의 가족은 브리티시컬럼비아주 해리슨 밀스(Harrison Mills, British Columbia)로 이주했고, 어머니는 우체국장으로 일했다. 중등학교를 졸업한 후, 멘텐은 토론토 대학교에 입학하여 1904년 예술학사 학위를, 1907년에는 생리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대학원 과정을 이수하는 동안, 그녀는 대학 생리학 연구실에서 조교로 일했다.멘텐은 의학 연구를 더욱 발전시키고 싶었지만, 당시 캐나다에서는 여성에게 주어지는 기회가 부족했다. 그 결과, 그녀는 록펠러 의학 연구소(Rockefeller Institute for Medical Research)의 연구원직을 수락하고 캐나다를 떠나 1907년 뉴욕시에 도착했다. 그곳에서 그녀는 쥐의 암 종양에 대한 브롬화 라듐(radium bromide)의 효과를 연구했다. 멘텐과 다른 두 명의 과학자는 그들의 실험 결과를 발표하여 록펠러 연구소가 발간한 최초의 단행본을 저술했다.[7] 멘텐은 뉴욕 여성 및 어린이 병원(New York Infirmary for Women and Children)에서 인턴으로 일했다. 연구소에서 1년을 보낸 후, 멘텐은 캐나다로 돌아와 토론토 대학교에서 공부를 시작했고, 1911년 캐나다 최초의 여성 의사 자격을 취득한 사람들 중 한 명이 되었다.[6] 1912년, 멘텐은 베를린으로 건너가 레오놀 미카엘리스와 함께 연구했다.
3. 주요 연구 업적
모드 멘텐은 효소 반응속도론 연구, 알칼리성 인산가수분해효소를 사용한 아조 염료 결합 반응 개발, 세균 독소 특성화, 그리고 최초의 단백질 전기영동 분리 성공 등 다양한 연구 업적을 남겼다.
멘텐은 레오노르 미카엘리스와 함께 미카엘리스-멘텐 식을 유도하여 효소 반응 속도론 연구에 크게 기여했다. 이 식은 효소 반응의 특성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기초를 제공했다.
알칼리성 인산가수분해효소 연구를 통해 멘텐이 발명한 아조 염료 결합 반응은 조직화학 분야에서 현재까지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멘텐은 ''B. paratyphosus''(''파라티푸스균''), ''Streptococcus scarlatina''(''성홍열 원인균''), ''살모넬라'' 등 다양한 세균의 독소를 특성화하여, 1930년대와 1940년대 피츠버그에서 성홍열 예방 접종 프로그램을 성공으로 이끄는데 기여하였다.
1944년에는 혈액 헤모글로빈 단백질의 전기영동 분리에 최초로 성공하여, 단백질 연구 분야에 획기적인 발전을 가져왔다. 비록 이 발견은 라이너스 폴링의 업적으로 알려져 있지만, 멘텐의 선구적인 연구가 있었기에 가능했다.
멘텐은 헤모글로빈의 특성, 혈당 수치 조절, 신장 기능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연구를 수행하여 생화학 및 의학 발전에 공헌했다.
3. 1. 효소 반응속도론: 미카엘리스-멘텐 식
레오노르 미카엘리스와 멘텐은 효소 반응속도론을 연구하면서 기질 농도 와 상수 , (현대적 기호)을 사용하여 초기 반응 속도 를 계산하는 다음 방정식을 제시했다.[39]::
이 식은 빅토르 앙리가 박사 학위 논문에서 이미 언급했지만, 앙리는 정상 상태나 초기 반응 속도의 중요성을 간과했다.[39][40] 이 방정식은 효소가 기질에 특이적이며, 기질 농도가 증가하면 반응 속도가 포화 상태에 도달함을 보여준다. 여기서 상수 은 미카엘리스 상수로 불린다.[41] 미카엘리스-멘텐 식을 도출한 이 논문은 멘텐의 가장 유명한 업적이다.
3. 2. 조직화학: 알칼리성 인산가수분해효소 연구
알칼리성 인산가수분해효소에 대한 광범위한 연구의 일환으로,[46][47][48] 멘텐은 조직화학에서 여전히 사용되는 아조 염료 결합 반응을 발명했다. 이는 1950년대의 주요 교과서에 다음과 같은 용어로 설명되어 있다.[49]3. 3. 세균학 및 전기영동 연구
멘텐은 알칼리성 인산가수분해효소에 대한 광범위한 연구를 하면서 조직화학에서 여전히 사용되는 아조 염료 결합 반응을 발명했다.[46][47][48] 이 반응은 1950년대의 주요 교과서에 "이 원리를 활용한 것은 천재적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라고 설명되어 있다.[49]멘텐은 ''B. paratyphosus'', ''Streptococcus scarlatina'', ''살모넬라''의 세균 독소를 특성화했으며, 이는 1930년대~1940년대에 피츠버그에서 성홍열에 대한 성공적인 예방접종 프로그램에 사용되었다.[50] 1944년에는 혈액의 헤모글로빈 단백질을 전기영동으로 분리하는 데 최초로 성공했다.[51] 이는 라이너스 폴링과 그의 공동연구자들이 수년에 걸쳐 이룬 결과를 예측한 것이지만,[52] 보통 폴링이 발견한 것으로 인정받고 있다.
멘텐은 헤모글로빈의 특성, 혈당량 조절, 신장 기능에 대해서도 연구했다.[58]
4. 피츠버그 대학교 시절과 말년
베를린에서 연구를 마친 후 멘텐은 시카고 대학교에 입학하여 1916년에 생화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42] 1923년에는 캐나다에서 여성을 위한 학술직을 찾을 수 없었다. 그래서 피츠버그 아동병원에서 임상병리학자로 일하면서 피츠버그 대학교 의과대학 교수직을 맡았다. 두 가지 업무를 모두 수행하면서도 멘텐은 활발한 연구를 계속하여[43][44][45] 70개 이상의 출판물을 저술하거나 공동 집필하였다. 조교수에서 부교수로 승진은 적절한 때에 이루어졌지만, 정교수가 된 것은 경력의 마지막 해인 69세가 된 1948년이었다.[41]
알칼리성 인산가수분해효소에 대한 광범위한 연구의 일환으로[46][47][48] 멘텐은 조직화학에서 여전히 사용되는 아조 염료 결합 반응을 발명했다. 이는 1950년대의 주요 교과서에 "이 원리를 활용한 것은 천재적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라고 설명되어 있다.[49]
멘텐은 ''B. paratyphosus'', ''Streptococcus scarlatina'', ''살모넬라 ssp.''의 세균 독소를 특성화했는데, 이는 1930년대~1940년대에 피츠버그에서 성홍열에 대한 성공적인 예방접종 프로그램에 사용되었다.[50] 또한 1944년에 최초로 혈액의 헤모글로빈 단백질의 전기영동 분리를 수행했다.[51] 이 점에서 그녀는 수년에 걸쳐 라이너스 폴링과 그의 공동연구자들의 결과를 예상했지만[52] 보통 폴링이 발견한 것으로 인정받고 있다.
멘텐은 헤모글로빈의 특성, 혈당량의 조절, 신장 기능에 대해서도 연구했다.[58] 특히 어린이의 암[53]과 기타 어린이 질병에 대한 연구를 계속했다.[54][55]
1950년대에 피츠버그 대학교에서 퇴직한 후 캐나다로 돌아와 브리티시 컬럼비아 의학 연구소에서 암 연구(1951년~1953년)를 계속했다.[56]
건강상의 이유로 1955년에 은퇴했고 1960년 7월 17일에 캐나다 온타리오주 레밍턴에서 향년 81세의 나이로 사망했다.[36][59]
5. 개인적인 삶
레베카 스클루트는 멘텐을 "파리 모자, 스테인드 글라스 색조의 파란색 드레스, 버스터 브라운 신발"을 착용한 몸집이 작은 여성으로 묘사했다.[36] 멘텐은 약 32년 동안 모델 T 포드를 몰고 피츠버그 대학교 인근을 누비며 모험적이고 예술적인 취미를 많이 즐겼다. 클라리넷을 연주하고, 미술 전시회에 출품할 만한 그림을 그렸으며,[59] 등산, 북극 탐험, 천문학을 즐겼다. 러시아어, 프랑스어, 독일어, 이탈리아어 등 여러 언어를 구사했으며, 아메리카 원주민 언어 중 하나인 할코멜렘어를 마스터했다.[57] 대부분의 연구를 미국에서 수행했지만, 평생 캐나다 시민권을 유지했다.[57]
6. 사후 평가 및 유산
멘텐은 평생 동안 많은 과학 학회와 관련을 맺었다.
멘텐이 사망하자 동료인 에이런 H. 스톡(Aaron H. Stock)과 안나-메리 카펜터(Anna-Mary Carpenter)는 네이처지 부고 기사에서 멘텐을 다음과 같이 기렸다. "멘텐은 병든 아이들을 위해 끊임없이 노력했습니다. 그녀는 의학도, 레지던트 의사, 연구원들을 최선을 다하도록 자극한 영감을 주는 스승이었습니다. 그녀는 날카로운 지성, 특유의 위엄 있는 태도, 눈에 띄지 않는 겸손, 재치, 그리고 무엇보다도 연구에 대한 열정으로 동료들에게 오랫동안 기억될 것입니다."[28]
1998년, 멘텐은 사후에 캐나다 의학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29] 또한 토론토 대학교에서 기념 명판이 세워졌다. 피츠버그 대학교에서는 그녀의 이름을 딴 교수직과 기념 강좌가 설립되었다.[6] 멘텐의 출생지인 캐나다 포트 램턴(Port Lambton)에는 2015년 그녀를 기리는 기념 청동 명판이 설치되었다.[30]
참조
[1]
논문
Die Kinetik der Invertinwirkung
1913
[2]
논문
The kinetics of invertin action
2013
[3]
논문
The Original Michaelis Constant: Translation of the 1913 Michaelis–Menten Paper
2011
[4]
웹사이트
Leonor Michaelis and Maud Menten
https://www.scienceh[...]
2016-06-01
[5]
논문
A Study of the Oxidase Reaction with α-Naphthol and Paraphenylenediamine
[6]
웹사이트
Some called her Miss Menten
http://pittmed.healt[...]
University of Pittsburgh School of Medicine magazine
2000-10-01
[7]
서적
Tumors of animals
Rockefeller Institute for Medical Research
1910
[8]
논문
Studies on the hydrogen-ion concentration in blood under various abnormal conditions
1915
[9]
논문
Commemorating the 1913 Michaelis-Menten paper ''Die Kinetik der Invertinwirkung'': Three perspectives
[10]
논문
Victor Henri: 111 years of his equation
2014
[11]
웹사이트
Leonor Michaelis and Maud Leonora Menten
https://www.scienceh[...]
2017-12-12
[12]
논문
A study of the oxidase reaction with α-naphthol and paraphenylenediamine
1919
[13]
논문
The influence of vitamin C level upon resistance to diphtheria toxin I. Changes in body weight and duration of life
[14]
논문
Changes in the blood sugar of the cod, sculpin, and pollock during asphyxia
[15]
논문
Pathological lesions produced in the kidney by small doses of mercuric chloride
[16]
논문
Changes in alkaline phosphatase of kidney following renal damage with alloxan
[17]
논문
Distribution of alkaline phosphatase in kidney following the use of histochemical azo dye test
[18]
논문
A coupling histochemical azo dye test for alkaline phosphatase in the kidney
[19]
서적
Histochemistry: Theoretical and Applied
Churchill
1953
[20]
뉴스
Scarlet fever deaths avoided in city
The Pittsburgh Press
1942-05-19
[21]
논문
Sedimentation constants and electrophoretic mobilities of adult and fetal carbonylhemoglobin
[22]
논문
Sickle cell anemia, a molecular disease
1949
[23]
논문
Tumors of the thymus in children
[24]
논문
Coronary sclerosis in infancy - report of 3 autopsied cases, 2 in siblings
[25]
논문
Salicylate poisoning - report of 4 cases
[26]
논문
Nucleic acid content of splenic lymphocytes in normal and leukemic mice
[27]
논문
Maud Leonora Menten: A woman at the dawn of biochemistry
https://portlandpres[...]
2013-12-01
[28]
논문
Prof. Maud Menten
1961
[29]
웹사이트
Dr. Maud Menten
https://cdnmedhall.c[...]
The Canadian Medical Hall of Fame
[30]
뉴스
Plaques for historical figures approved for St. Clair Twp
http://www.wallacebu[...]
Wallaceburg Courier Press
2014-10-09
[31]
논문
Die Kinetik der Invertinwirkung
1913
[32]
논문
The kinetics of invertin action
2013
[33]
논문
The Original Michaelis Constant: Translation of the 1913 Michaelis–Menten Paper
2011
[34]
웹사이트
Leonor Michaelis and Maud Menten
https://www.scienceh[...]
2016-06-01
[35]
논문
A Study of the Oxidase Reaction with α-Naphthol and Paraphenylenediamine
[36]
웹인용
Some called her Miss Menten
http://pittmed.healt[...]
University of Pittsburgh School of Medicine magazine
2000-10-14
[37]
서적
Tumors of animals
Rockefeller Institute for Medical Research
1910
[38]
저널
Studies on the hydrogen-ion concentration in blood under various abnormal conditions
https://archive.org/[...]
1915
[39]
저널
Commemorating the 1913 Michaelis-Menten paper ''Die Kinetik der Invertinwirkung'': Three perspectives
[40]
저널
Victor Henri: 111 years of his equation
2014
[41]
웹인용
Leonor Michaelis and Maud Leonora Menten
https://www.scienceh[...]
2017-12-12
[42]
저널
A study of the oxidase reaction with α-naphthol and paraphenylenediamine
1919
[43]
저널
The influence of vitamin C level upon resistance to diphtheria toxin I. Changes in body weight and duration of life
https://archive.org/[...]
[44]
저널
Changes in the blood sugar of the cod, sculpin, and pollock during asphyxia
https://archive.org/[...]
[45]
저널
Pathological lesions produced in the kidney by small doses of mercuric chloride
[46]
저널
Changes in alkaline phosphatase of kidney following renal damage with alloxan
[47]
저널
Distribution of alkaline phosphatase in kidney following the use of histochemical azo dye test
[48]
저널
A coupling histochemical azo dye test for alkaline phosphatase in the kidney
[49]
서적
Histochemistry: Theoretical and Applied
Churchill
1953
[50]
뉴스
Scarlet fever deaths avoided in city
The Pittsburgh Press
1942-05-19
[51]
저널
Sedimentation constants and electrophoretic mobilities of adult and fetal carbonylhemoglobin
https://archive.org/[...]
[52]
저널
Sickle cell anemia, a molecular disease
1949
[53]
저널
Tumors of the thymus in children
[54]
저널
Coronary sclerosis in infancy - report of 3 autopsied cases, 2 in siblings
https://archive.org/[...]
[55]
저널
Salicylate poisoning - report of 4 cases
[56]
저널
Nucleic acid content of splenic lymphocytes in normal and leukemic mice
https://archive.org/[...]
[57]
저널
Maud Leonora Menten: A woman at the dawn of biochemistry
http://bip.cnrs-mrs.[...]
2013-12
[58]
저널
Prof. Maud Menten
1961
[59]
웹인용
Dr. Maud Menten
https://cdnmedhall.c[...]
The Canadian Medical Hall of Fame
2021-12-20
[60]
뉴스
Plaques for historical figures approved for St. Clair Twp
http://www.wallacebu[...]
Wallaceburg Courier Press
2014-10-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