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란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모란정》은 명나라 시대 탕현조의 대표적인 희곡으로, 남안 태수의 딸 두리냥이 꿈속에서 만난 서생 류몽매와 사랑에 빠져 죽음과 부활을 겪는 이야기를 그린다. 두리냥은 꿈속에서 류몽매와 정을 나누고 죽음을 맞이하지만, 류몽매의 도움으로 부활하여 부부가 된다. 이 작품은 억압된 여성의 욕망과 자유 연애를 다루며, 곤극의 절정으로 평가받는다. 《모란정》은 다양한 언어로 번역되었으며, 곤극, 발레, 오페라 등 다양한 형태로 재해석되어 공연되었다. 또한, 영화, 소설, 대중음악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598년 희곡 - 십인십색
《십인십색》은 1598년 벤 존슨이 런던에서 초연한 희극으로, 아들의 도덕적 발달을 걱정하는 신사와 질투심 많은 상인의 이야기를 다루며, 1600년에 출판되고 1616년 개정판에서 배경이 런던으로 변경되었다. - 꿈을 소재로 한 연극 - 인생은 꿈
인생은 꿈은 페드로 칼데론 데 라 바르카가 1635년에 발표한 철학극으로, 왕자로 태어났지만 갇혀 지낸 세히스문도의 이야기를 통해 꿈과 현실, 자유 의지와 운명, 인간 본성 등 심오한 주제를 탐구하는 스페인 황금 시대 문학의 대표작이다. - 꿈을 소재로 한 연극 - 꿈 연극
《꿈 연극》은 아우구스트 스트린드베리가 쓴 희곡으로, 인간 세상을 경험하는 인드라의 딸 아그네스를 통해 인간 내면 심리를 탐구하며 물질주의, 계급 투쟁, 성 역할 갈등을 다룬다.
모란정 | |
---|---|
기본 정보 | |
![]() | |
원제 | 還魂記 (환혼기) |
작가 | 탕현조 |
창작 시기 | 1598년 |
장르 | 전기극 |
배경 | 명나라 |
언어 | 중국어 |
등장인물 | |
주요 등장인물 | 두려낭 유몽매 |
조연 | 춘향 진최 화판관 석도고 |
구성 | |
막 | 55절 |
전개 방식 | 전기 |
주제 | |
주제 | 사랑과 환생 |
영향 | |
영향 | 중국 희곡사, 문학, 예술 전반에 걸쳐 지대한 영향을 미침 |
관련 작품 | |
관련 작품 | 《자차기》 《남가기》 《감해기》 |
기타 정보 | |
기타 정보 |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 중국 10대 희극 중 하나 |
2. 줄거리
남송 말기, 남안태수의 딸 두리냥은 봄날의 정취에 취해 뜰에서 낮잠을 자다 꿈을 꾼다. 꿈속에서 류몽매라는 젊은 선비를 만나 사랑을 나누지만, 떨어진 꽃잎에 놀라 잠에서 깬다. 꿈속의 사랑을 잊지 못한 두리냥은 상사병에 걸려 쇠약해지다 결국 죽음을 맞이한다. 그녀는 자신의 초상화를 남기고, 유언에 따라 매화나무 아래 묻힌다.[13]
연극에는 약 160명의 등장인물이 있으며, 주요 등장인물은 30명이다.[2]
한편, 광동의 선비 류몽매는 과거를 보러 가는 길에 병을 얻어 남안에 머무르게 된다. 그는 우연히 두리냥의 초상화를 발견하고, 꿈에 나타난 두리냥의 부탁을 받아 그녀의 무덤을 파헤친다. 놀랍게도 두리냥은 산 사람처럼 되살아나고, 두 사람은 부부가 된다.
이후 류몽매는 과거 시험을 치르기 위해 두리냥과 함께 수도로 올라간다. 그러나 도적의 침입으로 시험 결과 발표가 연기되고, 그 사이 두리냥의 부모가 두 사람의 관계를 반대한다. 류몽매는 무덤을 파헤친 죄인으로 몰려 고문을 받지만, 과거에 장원으로 합격했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위기를 모면한다. 중국 황제의 판결로 두리냥은 망령이 아닌 환생한 것으로 증명되고, 마침내 두 사람은 정식 부부가 된다.
3. 등장인물
기타 등장인물은 다음과 같다.3. 1. 두리냥
杜麗娘|두리냥중국어은 두보의 딸로, 16세의 어린 아가씨이다. 연극의 여성 주인공이다.[2]
화창한 봄날, 시녀는 고위 관리인 두보의 16세 딸 두리냥에게 정원에서 산책을 나가도록 설득하고, 그곳에서 잠이 들어 꿈을 꾼다. 그 운명적인 꿈에서 두리냥은 젊은 학자(나중에 극에서 柳夢梅|류몽매중국어로 밝혀지고, 실제로는 만난 적이 없는)를 만난다. 류몽매의 대담한 접근은 두 사람 사이의 열정적인 사랑을 촉발하고 빠르게 번성한다. 두리냥에게 떨어진 꽃잎은 낭만적인 꿈에서 그녀를 놀라게 한다. 그러나 두리냥은 꿈속의 사랑을 마음에서 떨쳐낼 수 없고, 그녀의 사랑의 병은 그녀를 빠르게 쇠약하게 만든다. 그녀는 집착에서 회복할 수 없어 얼마 지나지 않아 죽는다.
3. 2. 류몽매
柳夢梅|류몽매중국어는 광둥의 서생으로, 두리냥의 연인이다. 꿈속에서 두리냥을 만나고, 그녀를 살리기 위해 위험을 무릅쓰는 용감한 인물이다.[2] 과거를 보기 위해 수도 임안으로 가던 중 병에 걸려 남안에 머무르게 되고, 그곳에서 꿈에 나타난 두리냥의 부탁을 받아 묘를 파헤쳐 그녀를 다시 살린다.[2]
3. 3. 두보
두보는 난안(현재 장시성간저우 시의 일부)의 태수이자 두리냥의 아버지로, 조정 관리로서 엄격한 면모를 보인다.
딸 두리냥이 죽은 후 슬픔에 잠기지만, 딸이 류몽매와 사랑에 빠져 환생했다는 사실을 처음에는 믿지 못한다. 류몽매를 묘도굴꾼이자 사기꾼으로 의심하여 감옥에 가두고 고문까지 한다.[2] 그러나 류몽매가 과거 시험에 장원으로 합격하고, 황제의 판결을 통해 두리냥의 환생이 증명되자 결국 두 사람의 결혼을 인정한다.
금과 국경을 접한 회양의 안무사로 임명되어 양저우로 부임하기도 했으며, 도적 이전을 송나라에 귀순시키는 데 성공하여 평장 (재상)에 임명되는 등 정치적인 능력도 보여준다.
3. 4. 춘향
春香|춘향중국어은 두리냥의 시녀로, 두리냥의 꿈과 현실을 이어주는 조력자 역할을 한다.[2]
3. 5. 천주량
천주량은 유교 신봉자로, 평생 15번이나 과거에 낙방했으며, 이후 두리냥의 가정교사가 된다.[2]
3. 6. 기타 등장인물
4. 구성
《모란정》은 총 55개의 장면(齣)으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은 장광천이 번역한 판본을 기준으로 한 장면 목록이다.[1] 굵은 글씨로 표시된 장면은 일반적으로 무대에서 각색되거나 공연되는 장면이다.
순서 | 장면 | 순서 | 장면 | 순서 | 장면 |
---|---|---|---|---|---|
1 | 서막 | 2 | 야심찬 생각 | 3 | 딸을 훈육하다 |
4 | 샌님의 불평 | 5 | 가정교사 고용 | 6 | 암울한 전망 |
7 | 가문 학교 | 8 | 농업 감독 | 9 | 정원 정리 |
10 | 놀라운 꿈 | 11 | 왕의 경고 | 12 | 꿈의 되짚어 가기 |
13 | 출발 | 14 | 자화상 그리기 | 15 | 침략자 |
16 | 문의 | 17 | 도교 여승 | 18 | 진단 |
19 | 여강도 | 20 | 때 이른 죽음 | 21 | 사절 만남 |
22 | 도중에 | 23 | 저승 재판관 | 24 | 초상화 발견 |
25 | 딸을 회상하며 | 26 | 초상화를 감상하며 | 27 | 방황하는 영혼 |
28 | 비밀 만남 | 29 | 의심을 불러일으키다 | 30 | 사랑을 방해함 |
31 | 전쟁 준비 | 32 | 맹세 | 33 | 계획을 털어놓다 |
34 | 처방 | 35 | 부활 | 36 | 신혼부부의 도주 |
37 | 충격받은 샌님 | 38 | 공격 계획 | 39 | 임안에 도착 |
40 | 곱추 첩자 | 41 | 시험 지연 | 42 | 회안으로 이송 |
43 | 회안 방어 | 44 | 효심 | 45 | 두 사기꾼 |
46 | 강도를 속여 넘기기 | 47 | 포위 공격의 종말 | 48 | 어머니와의 재회 |
49 | 회수 강변의 숙소 | 50 | 초대받지 않은 손님 | 51 | 결과 발표 |
52 | 장원을 찾아서 | 53 | 고문 하에 | 54 | 기쁜 소식 |
55 | 명에 의한 재회 |
이 작품은 남송 시대를 배경으로 하지만, 시대착오적인 요소들이 나타난다. 예를 들어 금나라 완안량이 송나라를 멸망시키려 하고, 이전에게 회안을 공격하게 하는 장면이 나오는데, 완안량은 12세기 인물이고 이전은 13세기 인물이다. 또한 33번째 장면에서는 대명률을 인용하기도 한다.
4. 1. 주요 장면
남송 말기를 배경으로, 화창한 봄날 두리냥은 정원에서 산책하다 잠이 들어 꿈을 꾼다. 꿈속에서 류몽매를 만나 사랑을 나누지만, 꿈에서 깬 후 상사병으로 죽는다. 저승의 판관은 두 사람의 인연을 인정하고, 두리냥은 류몽매의 꿈에 나타나 자신의 부활을 돕도록 한다. 류몽매는 두리냥의 무덤을 파헤쳐 그녀를 살려내고, 두 사람은 부부가 된다. 이후 류몽매는 과거 시험에 합격하고, 황제의 판결로 두리냥의 환생이 인정되어 정식 부부가 된다.- '''제10출 놀라운 꿈(驚夢)'''
두리냥은 시녀 춘향의 권유로 화원에 나들이를 갔다가 모란정 옆에서 낮잠을 자게 된다. 꿈속에서 류몽매라는 젊은 선비를 만나 사랑을 나누게 된다.[1]
- '''제12출 꿈의 되짚어 가기(尋夢)'''
꿈에서 깬 두리냥은 꿈속의 일을 잊지 못하고 다시 화원을 찾아가지만, 꿈속의 장면을 찾을 수 없어 슬퍼한다.[1]
- '''제14출 자화상 그리기(寫眞)'''
두리냥은 꿈속의 사랑을 잊지 못하고 병들어 쇠약해진다. 죽음을 예감하고 자신의 초상화를 남긴다.[1]
- '''제23출 저승 재판관(判冥)'''
저승의 판관은 두리냥과 류몽매의 인연이 깊다는 것을 알고 두리냥에게 현세로 돌아갈 것을 명한다.[1]
- '''제35출 부활(還魂)'''
류몽매는 두리냥의 꿈을 꾸고, 그녀의 부탁에 따라 무덤을 파헤쳐 두리냥을 다시 살려낸다.[1]
5. 해석 및 비판
《모란정》은 뛰어난 서정성과 정교하고 화려한 가사로 중국 문학의 정점으로 꼽힌다. 곤곡 음악으로 장식된 산문 대본은 자연의 아름다움과 인간 내면의 감정 및 욕망 사이의 경계를 넘나드는 미묘함과 은유를 엮어내어, 관객을 매혹적인 섬세함과 중독적인 아름다움, 그리고 젊음의 낙관주의와 유쾌함 속으로 빠져들게 한다.[1]
극의 핵심은 초월적인 경험이며, 극의 전개는 관객에게 일상생활은 거의 의미가 없으며 궁극적인 현실은 극이 창조한 초월적 영역에 존재한다는 확신을 심어준다. 이 영역에서는 물리적 세계를 특징짓고 인간의 마음을 괴롭히는 이분법 일부가 사라진다.[2] 관객은 객관적 본질과 주관적 감정의 모호함, 두리냥과 류몽매의 로맨스를 특징짓는 꿈과 현실 사이의 경계, 삶과 죽음 사이의 간극을 초월하는 주인공들의 상호 작용, 아름다움의 영원한 본질과 덧없는 모습의 동시적 제시 등을 마주한다.[2] 작가 탕현조는 이러한 이분법을 이성이 아닌 공존하는 것으로 제시하고, 초월적 경험을 통해 그 경계를 넘나들 수 있다고 제시한다. 이러한 구성의 근본에는 탕현조의 철학 사상인 '유정(唯情)'이 있으며, 인간의 본질은 우주나 신유학이 옹호하는 사회와 같은 거대한 계획에서의 위치가 아니라, 개별적인 감수성과 감정이라고 주장한다.[2]
곤곡 음악은 관객에게 이 세상 밖의 경험을 창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텍스트는 음악을 통해 전달되며, 《모란정》은 텍스트와 음악을 독특하게 통합하여 관객을 감수성과 감정의 영역인 '정(情)'의 영역으로 인도한다.[3] 이러한 이유로 《모란정》은 중국 오페라와 고전 중국 극의 정점으로 평가받는다.[3]
탕현조는 이 사랑 이야기를 통해 민주적 사상과 개인 해방에 대한 열망을 가진 젊은 커플의 모습을 묘사하여 여성 관객들의 공감을 얻었고, 두리냥을 자유 연애의 우상으로 여겼다.[5]
일부에서는 탕현조의 《사몽》이 프로이트의 꿈의 해석과 어느 정도 유사하다는 의견을 제기하기도 한다.[1] 정신분석학적 관점에서 볼 때, 《유원경몽》의 내용은 두리냥의 억압된 욕망과 인식하지 못한 감정의 각성을, 《경몽》 장면은 그녀의 성적 만족에 대한 환상을 정확히 나타낸다.[1]
5. 1. 각본과 무대 연출
《모란정》은 서정성 면에서 독특하며, 정교하고 화려한 가사가 특징인 중국 문학의 절정으로 꼽힌다. 당시 아직 발전 중이던 곤곡 음악으로 장식되고 강조된 《모란정》의 산문 대본은 자연의 아름다움과 인간의 내면적 감정과 욕망의 우주 사이의 경계를 매끄럽게 넘어가는 미묘함과 은유의 구조를 민첩하게 엮어낸다. 곤곡 음악의 여유롭고 굴곡진 멜로디 속에 담긴 오페라의 가사는 관객을 은유의 산문적 향연, 상상의 황홀한 춤, 그리고 억제되지 않은 감수성의 축제에 몰입시킨다.극의 핵심은 초월적인 경험이다. 극의 전개는 관객에게 일상생활은 거의 의미가 없으며, 궁극적인 현실은 극이 창조한 초월적 영역에 존재한다는 확신을 심어준다. 작가 탕현조는 이러한 개념적 이분법을 이성으로 해결하려 하기보다는, 필연적으로 공존하는 것으로 제시하고, 극이 창조한 것과 같은 초월적 경험을 통해 그 사이의 경계를 넘나들 수 있고 넘어야 한다는 것을 제시하려 한다. 이러한 아름다움과 초월의 구성의 근본에는 탕현조의 철학적 사상인 '유정(唯情)'이 자리 잡고 있으며, 이는 인간의 본질은 우주나 신유학이 옹호하는 사회와 같은 어떤 거대한 계획에서의 위치가 아니라, 그의 개별적인 감수성과 감정이라고 주장한다.
곤곡 음악은 관객을 위해 이 세상 밖의 경험을 창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텍스트와 음악을 독특하게 통합하여 함께 공명하고, 감수성과 감정을 통해 도달하는 영역인 정(情)의 영역으로 관객을 인도한다. 텍스트가 음악과 분리된다면 이 초월적인 경험을 제공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러한 이유로 《모란정》은 의심할 여지 없이 중국 오페라와 고전 중국 극의 정점으로 자리매김했다.
1598년부터 탕현조가 사망한 해인 1616년까지 《모란정》은 항상 전체 장면으로 무대에서 공연되었다. 그러나 이후에는 전편을 공연하는 데 상당한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므로, 여러 장면에 초점을 맞춘 각색이 무대에서 채택되는 경우가 늘어났다. "유원(遊園/游园)"과 "경몽(驚夢/惊梦)"은 원본 텍스트의 "경몽(驚夢/惊梦)"이라는 한 장면에서 파생된 두 장면이며, "심몽(尋夢/寻梦)"과 함께 문학적 성취뿐만 아니라 음악성, 안무, 모든 구성 요소의 통합 측면에서 곤극의 절정으로 일반적으로 간주된다.
5. 2. 휴머니즘
봉건 예교(禮敎)를 뛰어넘어 죽음으로써 사랑을 쟁취하려 한 여랑의 이야기는, 당시 봉건적 질곡(桎梏)에 억눌려 있던 여성들에게 개성 해방의 문제를 제기하며 큰 충격을 주었다고 한다. 이 작품은 감미로운 표현 기교와 몽환적(夢幻的)·낭만적 세계를 극한으로 끌어올려 명나라 시대 희곡사에 새로운 지평을 열었으며, 이후 명나라와 청나라 시대의 극예술에 큰 영향을 끼쳤다.《모란정》은 서정성 면에서 독특하며, 정교하고 화려한 가사가 특징인 중국 문학의 정점으로 꼽힌다.[1] 당시 발전 중이던 곤곡 음악으로 장식된 《모란정》의 산문 대본은 자연의 아름다움과 인간 내면의 감정 및 욕망 사이의 경계를 넘나드는 미묘함과 은유를 엮어낸다.[1] 이러한 서정적 구조를 통해 매혹적인 섬세함과 중독적인 아름다움이 드러나며, 젊음의 낙관주의와 유쾌함이 극 전체에 깔려 있다.[1]
극의 핵심은 초월적인 경험이다.[2] 극의 전개는 관객에게 일상생활은 거의 의미가 없으며, 궁극적인 현실은 극이 창조한 초월적 영역에 존재한다는 확신을 심어준다.[2] 이 영역에서는 물리적 세계를 특징짓고 인간의 마음을 괴롭히는 이분법 일부가 사라진다.[2] 관객은 객관적 본질과 주관적 감정의 모호함, 두리냥과 류몽매의 로맨스를 특징짓는 꿈과 현실 사이의 경계, 삶과 죽음 사이의 간극을 초월하는 주인공들의 상호 작용, 아름다움의 영원한 본질과 덧없는 모습의 동시적 제시 등을 마주한다.[2] 작가 탕현조(湯顯祖)는 이러한 이분법을 이성이 아닌 공존하는 것으로 제시하고, 초월적 경험을 통해 그 경계를 넘나들 수 있다고 제시한다.[2] 이러한 구성의 근본에는 탕현조의 철학 사상인 '유정(唯情)'이 있으며, 인간의 본질은 우주나 신유학이 옹호하는 사회와 같은 거대한 계획에서의 위치가 아니라, 개별적인 감수성과 감정이라고 주장한다.[2]
곤곡 음악은 관객에게 이 세상 밖의 경험을 창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3] 텍스트는 음악을 통해 전달되며, 《모란정》은 텍스트와 음악을 독특하게 통합하여 관객을 감수성과 감정의 영역인 '정(情)'의 영역으로 인도한다.[3] 이러한 이유로 《모란정》은 중국 오페라와 고전 중국 극의 정점으로 평가받는다.[3]
탕현조는 이 사랑 이야기를 통해 민주적 사상과 개인 해방에 대한 열망을 가진 젊은 커플의 모습을 묘사하여 여성 관객들의 공감을 얻었고, 두리냥을 자유 연애의 우상으로 여겼다.[5] "사회적 어둠을 파헤치고 사람들의 고통을 보살핌", "영웅적 자질", "봉건주의와 결혼 제도 공격", "여성의 비참한 운명 폭로", "가족 및 사회 윤리 반영" 등의 주제는 고대 중국 드라마에서 일반적으로 논의되었으며, 《모란정》에서도 나타난다.[5]
5. 3. "꿈"에 대한 해석
일부에서는 탕현조의 《사몽》이 프로이트의 꿈의 해석과 어느 정도 유사하다는 의견을 제기하기도 한다.[1] 정신분석학적 관점에서 볼 때, 《유원경몽》의 내용은 두리냥의 억압된 욕망과 인식하지 못한 감정의 각성을, 《경몽》 장면은 그녀의 성적 만족에 대한 환상을 정확히 나타낸다.[1]
6. 영향
봉건 예교를 뛰어넘어 죽음으로써 살려고 한 여랑의 연애는 같은 봉건적 질곡에 시달리고 있던 당시의 여성층에게 개성 해방의 문제를 환기시켜 심각한 충격을 주었다고 한다. 이 곡은 감미로운 표현 기교와 몽환적·낭만적 세계를 통해 명대 희곡사의 새로운 면을 개척했으며, 이후 명·청 극계에 커다란 영향을 끼쳤다.
6. 1. 문학적 영향
탕현조가 지은 4편의 희곡, 이른바 "옥명당사몽" 중 두 번째 작품인 《모란정》은 만력 26년 (1598년)에 탈고되었다[13] . 정을 주제로, 생과 사, 꿈과 현실을 교묘하게 교차시키고, 아름다운 곡조를 가진 《모란정》은 후세에 큰 영향을 미쳤다. 홍루몽 제23회에서도 임대옥이 《모란정》 제10컷 (꿈에서 두리냥이 류멍메이와 인연을 맺는 회)의 곡조에 마음을 빼앗긴다[13] .6. 2. 사회적 영향
봉건 예교(禮敎)를 뛰어넘어 죽음으로써 살려고 한 여랑의 연애는 같은 봉건적 질곡(桎梏)에 시달리고 있던 당시의 여성층에게 개성 해방의 문제를 환기시켜 심각한 충격을 주었다고 한다. 이 곡은 감미로운 표현 기교와 몽환적·낭만적 세계를 통해 명대 희곡사의 새로운 면을 개척했으며, 이후 명·청 극계에 커다란 영향을 끼쳤다.이 연극은 초연 당시 대중과 평론가들로부터 널리 호평을 받았으며, "로미오와 줄리엣"의 중국판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탕현조는 고통스러운 사랑 이야기를 통해 민주적 사상과 개인 해방에 대한 강한 열망을 가진 젊은 커플의 모습을 묘사하여, 특히 여성 관객들의 공감을 불러일으켰고, 두리냥을 자유 연애의 우상으로 여겼다. "사회적 어둠을 파헤치고 사람들의 고통을 보살핌", "영웅적 자질", "봉건주의와 결혼 제도 공격", "여성의 비참한 운명 폭로" 및 "가족 및 사회 윤리 반영" 등과 같은 주제는 고대 중국 드라마에서 일반적으로 논의되었으며, 이는 ''모란정''에서도 분명히 나타난다.
7. 한국어 번역 및 참고 자료
이정재·이창숙이 옮기고 소명출판에서 2014년 4월 15일에 출간한 《모란정》 한국어 번역본이 있다.
7. 1. 한국어 번역
이정재·이창숙 옮김, 《모란정》, 소명출판, 2014년 4월 15일8. 현대적 재해석
현대에 들어 《모란정》은 다양한 방식으로 각색되고 재해석되었다. 원작의 긴 공연 시간과 비용 문제로 인해, 여러 장면을 중심으로 한 각색이 주로 무대에 올려졌다. 특히 〈유원〉, 〈경몽〉, 〈심몽〉은 곤극의 정수로 꼽히며 많은 사랑을 받았다.[4]
1998년 탄둔 작곡, 피터 셀라스 연출의 실험적인 《모란정》이 초연되었고,[8] 1999년에는 링컨 센터 공연 예술에서 20시간 분량의 《모란정》 전막 공연이 300년 만에 이루어졌다.[3] 2004년 바이 시엔융은 청소년판 《모란정》을 제작하여 전통 연출에 활력을 불어넣고자 했다.[3] 이 외에도 중국 국립 발레단의 발레 각색판(2008년),[5]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의 야외 공연(2012년) 등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졌다.
《모란정》은 대중문화에도 영향을 미쳤다. 2001년 영화 모란정이 개봉되었고, 왕리홍의 노래 "매화 옆에서"(在梅邊),[9] 중국 인디 밴드 Carrchy의 노래 "정원에서 꾼 낭만적인 꿈"(遊園驚夢)[10][11] 등에서 《모란정》을 소재로 활용했다.
하위 섹션인 '공연'과 '대중문화'에서 다루는 내용과 겹치지 않도록, 현대의 다양한 각색 및 재해석 시도와 그 의의, 그리고 대중문화에 미친 영향만을 간략하게 언급했다.
8. 1. 공연
1598년부터 탕현조가 사망한 해인 1616년까지 《모란정》은 항상 전체 장면으로 무대에서 공연되었다. 그러나 이후에는 전편을 공연하는 데 상당한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므로, 전체 극보다는 여러 장면에 초점을 맞춘 각색이 무대에서 채택되는 경우가 늘어났다. 〈유원(遊園/游园)〉과 〈경몽(驚夢/惊梦)〉은 원본 텍스트의 〈경몽(驚夢/惊梦)〉이라는 한 장면에서 파생된 두 장면이며, 〈심몽(尋夢/寻梦)〉과 함께 문학적 성취뿐만 아니라 음악성, 안무, 모든 구성 요소의 통합 측면에서 곤극의 절정으로 일반적으로 간주된다.[4] 가사, 리듬, 고대 산문 스타일의 독특성 때문에 번역은 문학 학자들과 연극 실무자들에게 어려운 과제가 되었다.최근의 각색은 현대 관객을 위한 더욱 접근하기 쉬운 대본, 새로운 안무 또는 새로운 연극 기술과 같은 새로운 생명을 주입하려 시도해왔지만, 이러한 노력은 곤극 전통주의자들의 반대에 부딪혔고, 일부 학자들은 이를 심각하게 비판하고 있다. 전통을 유지할 것인가, 현대화할 것인가는 중국 연극에서 논란이 되고 있는 주제이다.
최근의 주요 공연들은 다음과 같다:
연도 | 내용 |
---|---|
1998년 | 탄둔(Tan Dun)이 작곡하고, 피터 셀라스(Peter Sellars)가 연출하고, 쿤 오페라 극단이 공연하는 실험적인 《모란정》이 빈에서 초연되었고, 이후 런던, 로마, 파리, 버클리로 순회 공연되었다. CD 음반 "비터 러브"가 발매되었다. |
1999년 | 링컨 센터 공연 예술(Lincoln Center for the Performing Arts)은 첸이 연출하고 첸이가 두리냥 역을 맡은 20시간 분량의 《모란정》을 제작했다. 300년 만에 처음으로 완전한 길이로 무대에 올려진 작품으로 추정된다. 뉴욕, 파리, 밀라노, 싱가포르, 캉, 찰스턴, 오르후스, 베를린, 퍼스, 빈을 포함한 광범위한 투어를 진행했다.[5] |
2004년 | 바이 시엔융의 청소년판 《모란정》은 전통적인 무대 연출에 활력을 불어넣는 것을 목표로 했다. 캘리포니아 대학교, 샌타바버라의 중국 학자 바이와 그의 동료들은 5개월 동안 탕의 대본을 편집했다. 장쑤 쑤저우 쿤취 극장에서 작업하면서 원래 55개 장면을 27개 장면으로, 20시간의 공연 시간을 9시간으로 압축하고 각색했다. 바이 시엔융은 사랑이라는 보편적인 메시지 때문에 《모란정》을 선택했고, 자신의 연출이 젊은이들을 쿤취에 끌어들이기를 바랐다. 중국 최고의 대학 투어에서 이 쇼는 청소년판 모란정으로 홍보되었다.[3] 타이페이, 홍콩, 마카오, 중국 본토의 7개 도시, 캘리포니아 버클리의 젤러바흐 극장에서도 투어 공연을 했다. |
2007년 | 베이징 황궁 창고의 《모란정》은 쿤취 오페라 거장 왕시유가 연출하고, 린자오화가 무대 디자인을 맡아 상설 레지던시 공연으로 진행되었다. (약 5년간) |
2008년 5월 | 중국 국립 발레단은 베이징에서 《모란정》을 2장으로 구성한 발레 각색판을 초연했다. 리리유이가 재작 및 연출을 맡았고, 페이 보가 안무했으며, 음악은 궈원징이 작곡했다. 2008년 데이비드 H. 코흐 극장에서 열린 링컨 센터 페스티벌과 2011년 8월 에든버러 국제 페스티벌에도 참가했다. |
2008년 6월 | 쑤저우 쿤취 오페라단은 영국 초연으로 새들러스 웰스 극장(Sadler's Wells)에서 《모란정》을 공연했다. 3부로 구성되어 3일 연속 공연되었으며, 각 공연은 3시간 동안 진행되었지만, 원래 20시간보다 훨씬 짧았다. |
2012년 | 중화인민공화국 문화부 산하 창작 단체인 중국 예술 & 엔터테인먼트 그룹은 난징의 중국 진링 무용단이 제작한 새로운 무용극 《모란정》의 미국 초연이 링컨 센터의 데이비드 H. 코흐 극장에서 4차례 공연될 것이라고 발표했다. |
2012년 | 메트로폴리탄 미술관(Metropolitan Museum of Art) 갤러리 야외 공연에서 탄둔(Tan Dun)이 개발하고 연출하고, 황더우두가 안무한 70분 분량의 축약된 《모란정》을 메트의 아스터 코트(17세기 정원을 본뜬 안뜰)에서 선보였다. |
8. 2. 대중문화
- 1998년, 탄둔(Tan Dun)이 작곡하고 피터 셀라스(Peter Sellars)가 연출한 실험적인 ''모란정''이 빈에서 초연되었고, 이후 런던, 로마, 파리, 버클리 등에서 공연되었다. "비터 러브"라는 제목의 CD 음반도 발매되었다.[8]
- 1999년, 링컨 센터 공연 예술(Lincoln Center for the Performing Arts)은 첸이 연출하고 첸이가 두리냥 역을 맡은 20시간 분량의 ''모란정''을 제작했다. 이는 300년 만에 처음으로 완전한 길이로 무대에 올려진 것으로 추정된다. 링컨 센터 버전은 뉴욕, 파리, 밀라노, 싱가포르 등 세계 각지를 순회했다.[3]
- 2001년, 영화 모란정(遊園驚夢)이 개봉되었다. 원작과 직접적인 관련은 없지만, 음악을 광범위하게 사용했다.
- 2004년, 바이 시엔융은 전통적인 무대 연출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 청소년판 ''모란정''을 제작했다. 원래 55개 장면, 20시간 분량의 공연을 27개 장면, 9시간으로 압축했다.
- 왕리홍(Leehom Wang)은 앨범 개세영웅(Heroes of Earth)의 수록곡 "매화 옆에서" (在梅邊)에서 ''모란정''을 언급했다. 이 곡은 경극과 곤극에서 영감을 받았으며, 뮤직 비디오는 ''모란정''의 주제 및 스타일 요소와 힙합 이미지를 결합했다.[9]
- 중국 인디 밴드 Carrchy[10]는 "정원에서 꾼 낭만적인 꿈" (遊園驚夢)이라는 노래에서 ''모란정''을 가사의 영감으로 사용했다.[11]
- 2007년, 베이징 황궁 창고에서 쿤취 오페라 거장 왕시유가 연출하고 린자오화가 무대 디자인을 맡은 ''모란정''이 약 5년간 상설 공연되었다.
- 2008년 5월, 중국 국립 발레단은 ''모란정''을 2장으로 구성한 발레 각색판을 베이징에서 초연했다.[5]
- 2008년 6월, 쑤저우 쿤취 오페라단은 새들러스 웰스 극장(Sadler's Wells)에서 ''모란정''을 3부작(각 3시간)으로 구성하여 영국 초연을 가졌다.[4]
- 2012년, 메트로폴리탄 미술관(Metropolitan Museum of Art)에서 탄둔(Tan Dun)이 연출한 70분 분량의 축약된 ''모란정''이 공연되었다.[3]
- 2012년, 중국 예술 & 엔터테인먼트 그룹은 난징의 중국 진링 무용단이 제작한 새로운 무용극 ''모란정''의 미국 초연을 링컨 센터에서 가졌다.
- 2010년 상하이 엑스포 장쑤관에서는 장쑤 공연예술단 유한공사 곤극부가 제작한 ''모란정'' 13분짜리 단편 영화가 상영되었다.[12]
- 대만 영화 ''나의 아름다움과 슬픔'' (Wǒ de měilì yǔ āichóu)은 천궈푸 감독, 크리스토퍼 도일 촬영, 뤄루오잉 주연으로 ''모란정''과 같은 영어 제목을 사용했다.
8. 3. 유명 배우
매란방은 유진비(俞振飛)와 짝을 이루어 유몽미 역을 맡기도 했으며, 섬세한 두리냥 묘사로 유명했다.[2] 장쑤성 곤극단의 장계청(張繼靑)은 전통적인 접근 방식으로 유명하다.[2] 상하이에서는 화문의(華文漪)가 이 역할로 매우 인기가 많았고, 해외에서도 여러 차례 이 역할을 연기했다.[2]9. 기타
모란정은 여러 언어로 번역되었으며, 특히 일본어 번역본이 다양하게 존재한다.
번역자 | 제목 | 출판 정보 |
---|---|---|
미야하라 민페이 | 환혼기 | 『국역 한문대성』 문학부 제10권, 1921년 |
스즈키 히코지로, 사사키 세이코 (공역) | 환혼기 | 『지나문학대관』 제2·3권, 1926년 |
이와키 히데오 | 환혼기 | 헤이본샤 『중국고전문학대계』 제53권 희곡집(하), 1971년 |
9. 1. 일본어 번역
- 미야하라 민페이 역, 「환혼기」(『국역 한문대성』 문학부 제10권), 1921년
- 스즈키 히코지로・사사키 세이코 공역, 「환혼기」(『지나문학대관』 제2·3권), 1926년
- 이와키 히데오 역, 「환혼기」(헤이본샤 『중국고전문학대계』 제53권 희곡집(하)), 1971년
참조
[1]
서적
The peony pavilion
[2]
서적
Library of Chinese Classics - The Peony Pavilion
Human People’s Publishing House and Foreign Language Press
2000
[3]
뉴스
Sprawling Love Story, Abridged
https://www.nytimes.[...]
2023-11-24
[4]
웹사이트
Kunqu Opera, The Peony Pavilion : Suchow Kunqu Opera Company/ Orchestra conducted by Zhou Youliang Sadler's Wells, London
http://www.musicweb-[...]
[5]
뉴스
The Stage is Set
http://www.chinadail[...]
ChinaDaily.com
2011-04-19
[6]
간행물
"Die Chinesische Liebe. [In German]"
1929
[7]
서적
https://books.google[...]
[8]
웹사이트
Asia Finest Alexander Lee-Hom Wang
2009-02-11
[9]
음악
Beside the Plum Tree
2005
[10]
웹사이트
2007-12-29 Band Carrchy
https://web.archive.[...]
2017-12-08
[11]
뉴스
Band Carrchy
http://english.cri.c[...]
CRIENGLISH.com
2007-12-29
[12]
뉴스
China's version of 'Romeo and Juliet' refreshed
http://www.chinadail[...]
[13]
서적
中国戯曲演劇研究
創文社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