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모리셔스저삼림낮도마뱀붙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모리셔스저삼림낮도마뱀붙이(Phelsuma guimbeaui)는 낮도마뱀붙이속에 속하는 중형 도마뱀붙이로, 모리셔스 서해안의 중저고도 지역에 분포한다. 밝은 녹색 바탕에 주황색 줄무늬를 가지며, 곤충, 과일, 꽃꿀 등을 먹는다. 번식기는 3월에서 9월이며, 알을 낳아 번식한다. IUCN 적색 목록에 멸종 위기종으로 등재되어 있으며, 서식지 파괴와 애완동물 거래로 위협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로베르트 메르텐스가 명명한 분류군 - 뾰족금가루낮도마뱀붙이
    뾰족금가루낮도마뱀붙이는 몸길이 11cm까지 자라는 밝은 녹색, 황록색 또는 푸른색의 도마뱀붙이로 마다가스카르 북서부에 서식하며 곤충, 과일 등을 먹고 멸종 위기에 놓여있다.
  • 1963년 기재된 파충류 - 납작꼬리낮도마뱀붙이
    납작꼬리낮도마뱀붙이는 마다가스카르 동해안 특정 지역에 서식하며 암녹색 또는 황록색 몸 색깔과 납작한 꼬리를 가진 도마뱀붙이의 일종으로, 서식지 파괴와 불법 포획으로 멸종 위기에 처해있다.
  • 낮도마뱀붙이속 - 바버낮도마뱀붙이
    바버낮도마뱀붙이는 미국의 파충류학자 토머스 바버를 기리기 위해 이름 붙여진 낮도마뱀붙이속의 일종으로, 마다가스카르 앙카라트라 산맥 고지대에서 발견되는 중간 크기의 육상 도마뱀붙이이며, 곤충과 무척추동물을 먹고 암컷은 돌 밑에 알을 낳아 번식한다.
  • 낮도마뱀붙이속 - 공작낮도마뱀붙이
    공작낮도마뱀붙이(Phelsuma quadriocellata)는 밝은 녹색 바탕에 붉은 반점과 검은 반점을 가진 도마뱀붙이의 일종이며, 세 개의 아종으로 분류되고, 식물이 풍부한 테라리움에서 사육하며 곤충을 먹는다.
모리셔스저삼림낮도마뱀붙이
일반 정보
Phelsuma guimbeaui 114269055
학명Phelsuma guimbeaui
명명자메르텐스, 1963
낮도마뱀붙이속
보전 상태
IUCN상태: EN
참고: ""

2. 형태

모리셔스저삼림낮도마뱀붙이는 낮도마뱀붙이속(Phelsuma) 중에서는 중간 크기에 속한다. 수컷은 꼬리를 포함하여 최대 15.5cm까지 자라며, 암컷은 9cm에서 13cm 정도이다. 몸 형태는 짧고 다부진 편이다. 등은 밝은 녹색 바탕이며, 목 부위에는 다소 흐릿한 푸른색 영역이 있다. 등과 꼬리에는 불규칙한 모양의 주황색-붉은색 줄무늬와 점무늬가 있으며, 꼬리 끝은 파란색일 수 있다. 배 쪽은 황백색이다. 턱에는 한두 개의 갈색 V자 모양 줄무늬가 있다. 어린 개체는 회갈색 바탕에 작은 흰색 점무늬가 있으며, 생후 6개월이 지나면 색이 변하기 시작한다. 생후 12개월에서 15개월이 되면 성체의 외형을 갖추게 된다.

3. 분포 및 서식지

모리셔스저삼림낮도마뱀붙이는 모리셔스 서해안의 중저고도 지역에 서식한다. 샤마렐, 예멘, 타마린, 그랑드 리비에르 누아르 마을 등에서 발견된다. 또한, 하와이의 오아후섬에도 도입되어 정착했다.

주로 야자나무나 아카시아나무와 같은 큰 나무를 선호하며, 인간 거주지 근처에서는 드물게 발견된다. 모리셔스 내에서도 건조하고 따뜻한 지역을 선호한다. 원래 서식지였던 모리셔스의 저지대 삼림은 사탕수수 플랜테이션 개발로 인해 상당 부분 파괴되었다. 때때로 파랑꼬리낮도마뱀붙이(Phelsuma cepediana)나 모리셔스꾸밈낮도마뱀붙이(Phelsuma ornata)와 서식지를 공유하기도 한다.

4. 생태

모리셔스저삼림낮도마뱀붙이는 야자나무 종이나 아카시아 종과 같은 큰 나무를 선호하며, 사람의 거주지 근처에서는 거의 찾아보기 어렵다. 이 도마뱀붙이는 모리셔스의 비교적 건조하고 따뜻한 지역에 서식한다. 원래 서식지였던 모리셔스 저지대 숲의 상당 부분은 사탕수수 농장을 만들기 위해 개간되었다. 때때로 ''Phelsuma cepediana''나 ''Phelsuma ornata''와 같은 다른 도마뱀붙이 종들과 서식지를 공유하기도 한다.

4. 1. 습성

모리셔스저삼림낮도마뱀붙이는 다양한 곤충이나 다른 무척추동물을 주로 먹는다. 또한 부드럽고 달콤한 과일, 꽃가루, 꽃꿀도 섭취한다.

이 도마뱀붙이는 다양한 새들에게 자주 사냥당하기 때문에 상당히 조심성이 많은 편이다.

번식기는 3월부터 9월 첫째 주까지 이어진다. 암컷은 이 기간 동안 최대 여섯 번까지 알을 낳는다. 알은 60일에서 90일 후에 부화하며, 갓 태어난 새끼는 꼬리까지 포함하여 길이가 36mm에서 40mm 정도이다. 새끼는 태어난 후 18개월에서 20개월이 지나면 성적으로 성숙한다.

4. 2. 번식

''P. guimbeaui''의 짝짓기 시기는 3월에서 9월 초까지이다. 이 기간 동안 암컷은 최대 6쌍의 알을 낳는다. 알은 약 60일에서 90일 후에 부화하며, 갓 태어난 새끼(유체)의 크기는 36mm에서 40mm 사이이다. 모리셔스저삼림낮도마뱀붙이는 알을 특정 표면에 붙이는 습성이 있으며, 여러 마리가 함께 둥지를 만들어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집단 둥지). 주로 나무 구멍 속에 알을 낳는다. 유체는 태어난 지 18개월에서 20개월이 지나면 번식이 가능할 정도로 성적으로 성숙해진다.

5. 보전

모리셔스저삼림낮도마뱀붙이는 IUCN에 의해 멸종 위기종으로 평가받고 있다.[1] 이 종의 서식지는 작고 단편화되어 있다.[1] 또한 모리셔스 본토에서는 과거 고유종 파충류 19종 중 12종이 멸종한 바 있다.[3][7] 모리셔스저삼림낮도마뱀붙이는 테라리움용 애완동물로 상업적으로 거래되기도 하는데, 이는 종의 생존에 잠재적인 위협이 될 수 있다.[8][9] ''낮도마뱀붙이속'' 전체는 CITES 부속서 II에 등재되어 국제적인 거래가 규제되고 있다.[4][5]

6. 사육

모리셔스저삼림낮도마뱀붙이는 식물이 잘 심겨진 테라리움에서 쌍으로 키우는 것이 좋다. 낮 동안 온도는 29°C에서 32°C 사이를 유지하고, 밤에는 약 20°C까지 내려가도록 한다. 습도는 60%에서 70% 사이를 유지해야 한다. 먹이로는 귀뚜라미, 시판 과일 사료, 벌집나방 애벌레, 초파리, 밀웜, 집파리 등을 줄 수 있다.

7. 어원

종명인 ''guimbeaui''는 모식표본을 수집한 "B[ernard] Guimbeau" 씨를 기리기 위해 붙여졌다.[2]

참조

[1] 간행물 "''Phelsuma guimbeaui ''" 2021-12-22
[2] 서적 "The Eponym Dictionary of Reptiles" Baltimor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3] 논문 Isolation and characterisation of Mauritius lowland day gecko ''Phelsuma guimbeaui'' microsatellite loci https://www.research[...] 2013
[4] 논문 Taxonomic checklist of the day geckos of the genera ''Phelsuma'' Gray, 1825 and ''Rhoptropella'' Hewitt, 1937 (Squamata: Gekkonidae)
[5] 웹사이트 Appendices I, II and III valid from 22 June 2021 https://cites.org/en[...] CITES
[6] 서적 "The Eponym Dictionary of Reptiles" Baltimor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7] URL https://www.research[...]
[8]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senckenbe[...] 2020-01-07
[9] URL https://cites.org/e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