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모하맛 하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모하맛 하타는 1902년 부키팅기에서 태어난 인도네시아의 독립 운동가이자 정치인이다. 네덜란드 유학 후 귀국하여 수카르노와 함께 인도네시아 독립을 선언하고, 초대 부통령을 역임했다. 독립 후에는 수상, 외무 장관, 국방 장관을 맡아 외교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했으며, 1956년 부통령직에서 사임한 후에는 수카르노의 권위주의를 비판했다. 그는 '인도네시아 협동조합의 아버지'로 불리며, 외교 정책의 기본 원칙을 제시하는 등 인도네시아의 발전에 기여했다. 1980년 사망했으며, 수카르노와 함께 독립 영웅으로 지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도네시아의 혁명가 - 수카르노
    수카르노는 인도네시아의 초대 대통령이자 독립운동가로서, 네덜란드 식민 통치에 저항하며 인도네시아 민족당을 창당하고 독립운동을 이끌어 인도네시아 독립을 선언했으나, 집권 후반기 권위주의적 체제 구축으로 비판받았으며, 그의 정치적 이념인 빤차실라는 오늘날까지 인도네시아의 국가 이념으로 남아있다.
  • 인도네시아의 외무장관 - 아담 말릭
    아담 말릭은 인도네시아 독립운동에 참여한 언론인이자 정치인, 외교관으로, 안타라 통신사 설립 후 외무부 장관, 유엔 총회 의장, 인민대표의회·국민협의회 의장을 거쳐 인도네시아 부통령을 지냈으며, 수하르토 정권에 비판적인 목소리를 내다 국민영웅으로 추서되었다.
  • 인도네시아의 외무장관 - 레트노 마르수디
    레트노 마르수디는 인도네시아의 외교관이자 정치인으로, 현재 유엔 물 특별 대사이며, 가자 마다 대학교에서 국제 관계를 전공하고 외무부 장관을 역임하며, 코로나19 팬데믹 대응과 미얀마 문제 해결에도 기여했다.
  • 인도네시아의 경제학자 - 부디오노
    인도네시아의 경제학자이자 정치인인 부디오노는 가자 마다 대학교 경제학 교수, 인도네시아 중앙은행 부총재, 국가 계획 개발 장관, 재무 장관, 경제조정장관 등을 역임하고 2009년 인도네시아의 부통령을 지냈으며, 다수의 명예 학위와 훈장을 받았다.
  • 인도네시아의 경제학자 - 마리 엘카 팡에스투
    인도네시아 최초의 중국계 여성 장관인 마리 엘카 팡에스투는 경제학자이자 정치인으로서 관광창조경제부 장관을 역임하며 창조 경제 육성과 관광 산업 발전에 기여했고, WTO 사무총장 후보로 지명되기도 했으며, 인도네시아 대학교 국제 경제학 교수와 오스트레일리아 국립 대학교 명예 박사 학위를 받았다.
모하맛 하타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954년 인도네시아 도서 주간의 모하마드 하타
공식 초상화, 1954년경
출생 이름모하마드 아타르
별칭붕 하타
출생일1902년 8월 12일
출생지네덜란드령 동인도 서커스트 반 수마트라 포트 드 코크
사망일1980년 3월 14일
사망지자카르타, 인도네시아
배우자라흐미 라힘(1945년 11월 18일 결혼)
자녀3명 ( 메우티아 하타 포함)
모교네덜란드 경제 고등학교 (Drs.)
직업정치인
경제학자
서명Signature of Mohammad Hatta.png
정치 경력
소속 정당무소속
이전 소속 정당인도네시아 국민당(1929년까지)
직책
초대 인도네시아 부통령재임 기간: 1945년 8월 18일 – 1956년 12월 1일
대통령: 수카르노
전임: "자리 신설"
후임: 하멩쿠부워노 9세(1973년)
제3대 인도네시아 총리재임 기간: 1948년 1월 29일 – 1949년 12월 20일
대통령: 수카르노
부통령: 샤프루딘 프라위라네가라
전임: 아미르 샤리푸딘
후임:
인도네시아 연방 총리재임 기간: 1949년 12월 20일 – 1950년 9월 6일
대통령: 수카르노
전임: "자리 신설"
후임: 모하마드 나시르(인도네시아 총리)
인도네시아 국방부 장관 (대행)재임 기간: 1948년 1월 29일 – 1948년 7월 15일
대통령: 수카르노
전임: 아미르 샤리푸딘
후임: 하멩쿠부워노 9세
인도네시아 연방 외무부 장관재임 기간: 1949년 12월 20일 – 1950년 9월 6일
대통령: 수카르노
전임:
후임: 모하마드 룸
초대 인도네시아 적십자사 회장재임 기간: 1945년 – 1946년
전임: "자리 신설"
후임: 수타르조 카르토하디쿠수모

2. 초기 생애와 가족, 교육

모하맛 하타는 1902년 8월 12일 포르트 데 코크(현재의 부키팅기)의 명망 있고 독실한 이슬람 가문에서 태어났다.[1] 그의 할아버지 셰이크 압두라흐만은 파야쿰부 근처 바투함파의 존경받는 나크쉬반디-할리디 무르시드였다. 아버지 하지 모하마드 자밀은 그가 생후 8개월 때 사망했고, 그는 여섯 명의 누이와 어머니와 함께 남겨졌다. 미낭카바우족 전통의 모계 사회에서 그는 어머니의 가족 밑에서 자랐다. 어머니의 가족은 부유했기에, 하타는 학교를 마친 후 쿠란뿐만 아니라 네덜란드어도 공부할 수 있었다.

붕 하타의 생가, 현재는 부키팅기의 수카르노-하타 거리에 위치


하타는 부키팅기에서 ''Sekolah Melayu''(말레이 학교)를 졸업하고, 1913년부터 1916년까지 파당의 네덜란드어 초등학교(ELS 또는 ''유럽어 학교'')에 다녔다.[1] 13세에 바타비아(현재 자카르타)의 네덜란드 중등학교(HBS 또는 ''고등 시민 학교'') 입학 자격 시험에 합격했으나, 어머니가 아직 너무 어리다고 판단하여 파당의 중학교(MULO 또는 ''더 넓은 초등 교육'')에 진학했다.

여가 시간에는 우체국에서 아르바이트를 했는데, MULO 학생은 일할 수 없었지만 하타는 HBS 시험 자격 덕분에 가능했다. 축구에 관심이 많아 학교 축구팀 회장을 맡았으며, 이 지위를 이용해 연락 범위를 넓혔다.

16세에 정치와 민족 운동에 관심을 갖기 시작하여, 1918년 파당에서 처음 설립된 ''Jong Sumatranen Bond''(수마트라 청년 연합) 지부의 재무로 선출되었다.[1]

2. 1. 초기 생애와 가족

모하맛 하타는 1902년 8월 12일 포르트 데 코크(현재의 부키팅기)에서 명망 있고 독실한 이슬람 가문에서 태어났다.[1] 그의 할아버지 셰이크 압두라흐만은 파야쿰부 근처 바투함파의 존경받는 나크쉬반디-할리디 무르시드였다. 그의 아버지 하지 모하마드 자밀은 그가 생후 8개월 때 사망했고, 그는 여섯 명의 누이와 어머니와 함께 남겨졌다. 미낭카바우족 전통의 모계 사회에서 그는 어머니의 가족 밑에서 자랐다. 그의 어머니의 가족은 부유했고, 하타는 학교를 마친 후 쿠란뿐만 아니라 네덜란드어도 공부할 수 있었다.

하타는 네덜란드령 동인도 (현재의 인도네시아) 서수마트라 부키팅기 출신으로, "상재에 뛰어나다"고 평가받는 미낭카바우족 출신이다. 그의 집안은 식민지 정부로부터 우편 수송 등을 위탁받는 상가였다.

어릴 적부터 이슬람교 학원에서 코란을 암송하는 동시에 현지의 네덜란드인 자제들을 위한 초등학교에도 다니며 네덜란드어 교육을 받았다. 그 후, 서수마트라의 중심 도시 파당의 보통 중학교에 진학했고, 더 나아가 수도 바타비아 (현재의 자카르타)에서 중등 상업학교에 진학했다. 1921년, 네덜란드로 건너가 로테르담 상과대학에 유학했다.

2. 2. 초기 교육



하타는 부키팅기에서 ''Sekolah Melayu''(말레이 학교)를 졸업하고, 1913년부터 1916년까지 파당의 네덜란드어 초등학교(ELS 또는 ''유럽어 학교'')에 다녔다.[1] 13세에 바타비아(현재 자카르타)의 네덜란드 중등학교(HBS 또는 ''고등 시민 학교'') 입학 자격 시험에 합격했으나, 어머니가 아직 너무 어리다고 판단하여 반대했기 때문에 파당의 중학교(MULO 또는 ''더 넓은 초등 교육'')에 진학했다.

여가 시간에는 우체국에서 아르바이트를 했는데, 원래 MULO 학생은 일할 수 없었지만 하타는 HBS 시험 자격 덕분에 가능했다. 축구에 관심이 많아 학교 축구팀 회장을 맡았으며, 이 지위를 이용해 연락 범위를 넓혔다.

16세에 정치와 민족 운동에 관심을 갖기 시작하여, 1918년 파당에서 처음 설립된 ''Jong Sumatranen Bond''(수마트라 청년 연합) 지부의 재무로 선출되었다.[1]

3. 네덜란드 유학 시절

모하맛 하타는 1919년 바타비아의 HBS(고등시민학교)를 졸업하고, 로테르담 에라스뮈스 대학교(당시 네덜란드 상업학교)로 유학을 떠났다.[1]

3. 1. 학업

1919년, 하타는 바타비아의 HBS에 입학했다. 1921년에 우수한 성적으로 학업을 마쳤고,[1] 로테르담 에라스뮈스 대학교(당시에는 네덜란드 상업학교로 알려짐)에서 공부를 계속할 수 있었다. 그는 경제학을 전공으로 선택했고, 1932년에 ''doctorandus'' 학위를 받았다. 이 학위는 그가 박사 과정에 진학할 수 있게 해주었다. 그는 박사 학위를 계속해서 취득하려 했고, 수여받기 위한 모든 요건을 충족했지만, 정치가 하타의 삶을 장악했기 때문에 논문을 끝내지는 못했다.

4. 인도네시아 귀국 후

1932년 수카르노의 체포와 투옥으로 인도네시아 민족주의 운동이 둔화된 상황에서, 하타는 인도네시아로 귀국했다. 수카르노가 이끌던 인도네시아 국민당(PNI)의 구성원 대다수는 인도네시아 당(Partindo)에 합류했고, 더 급진적인 PNI 구성원들은 네덜란드에서 교육받은 수탄 샤흐리르와 함께 새로운 PNI를 결성했다. 이 새로운 PNI는 인도네시아 국민 교육(Indonesian National Education)을 의미하며, 간부 양성에 집중했다. 하타는 1932년 8월 네덜란드에서 돌아온 후 새로운 PNI의 의장이 되었다.[1]

1932년 12월, 수카르노가 석방되면서 사람들의 관심은 그가 어떤 당을 선택할지에 쏠렸다. 수카르노는 인도네시아 독립을 위해 단결된 전선을 원했고, 어느 한 쪽을 선택하면 분열을 조장할 것이라고 생각하여 결정을 내리지 못했다. 하타는 이러한 상황에 대해 수카르노를 비판했다. 그는 Partindo의 급진적이고 대중적인 접근 방식과 새로운 PNI의 온건하고 간부 중심적인 접근 방식 사이의 갈등을 현실적으로 인지하고 있었다. 수카르노는 Partindo와 새로운 PNI의 통합을 위한 협상을 시도했지만 실패했고, 결국 Partindo에 합류했다.[1]

1932년에서 1933년 사이, 하타는 새로운 PNI의 신문인 ''Daulat Rakyat''(인민의 권위)에 정치 및 경제에 관한 기사를 기고했다. 이 기사들은 인도네시아 지도자를 위한 새로운 간부들을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1]

이 시기에 하타는 수카르노에 대해 매우 비판적이었다. 1933년 8월, 수카르노가 다시 체포되어 재판을 받게 되자, 하타는 "수카르노가 체포되다", "수카르노의 비극"(1933년 11월), "지도자의 자세"(1933년 12월)라는 제목의 기사를 썼다.[1]

4. 1. 네덜란드령 동인도에서의 투쟁

1932년 수카르노의 체포와 투옥으로 인도네시아 민족주의 운동이 둔화된 상황에서 하타는 인도네시아로 귀국했다. 수카르노가 이끌던 인도네시아 국민당(PNI)의 구성원 대다수는 인도네시아 당(Partindo)에 합류했고, 더 급진적인 PNI 구성원들은 네덜란드에서 교육받은 수탄 샤흐리르와 함께 새로운 PNI를 결성했다. 이 PNI는 인도네시아 국민 교육(Indonesian National Education)을 의미하며, 간부 양성에 집중했다. 하타는 1932년 8월 네덜란드에서 돌아온 후 새로운 PNI의 의장이 되었다.[1]

1932년 12월, 수카르노가 석방되면서 사람들의 관심은 그가 어떤 당을 선택할지에 쏠렸다. 수카르노는 인도네시아 독립을 위해 단결된 전선을 원했고, 어느 한 쪽을 선택하면 분열을 조장할 것이라고 생각하여 결정을 내리지 못했다. 하타는 이러한 상황에 대해 수카르노를 비판했다. 하타는 Partindo의 급진적이고 대중적인 접근 방식과 새로운 PNI의 온건하고 간부 중심적인 접근 방식 사이의 갈등을 현실적으로 인지하고 있었다. 수카르노는 Partindo와 새로운 PNI의 통합을 위한 협상을 시도했지만 실패했고, 결국 Partindo에 합류했다.[1]

1932년에서 1933년 사이, 하타는 새로운 PNI의 신문인 ''Daulat Rakyat''(인민의 권위)에 정치 및 경제에 관한 기사를 기고했다. 이 기사들은 인도네시아 지도자를 위한 새로운 간부들을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1]

이 시기에 하타는 수카르노에 대해 매우 비판적이었다. 1933년 8월, 수카르노가 다시 체포되어 재판을 받게 되자, 하타는 "수카르노가 체포되다", "수카르노의 비극"(1933년 11월), "지도자의 자세"(1933년 12월)라는 제목의 기사를 썼다.[1]

4. 2. 체포와 유배

1934년 2월, 네덜란드 식민 정부는 하타를 포함한 자카르타 지부와 반둥 지부의 신 PNI 지도자들을 체포했다. 이들은 1년 동안 치피낭과 글로도크의 감옥에 수감되었으며, 하타는 글로도크에서 시간을 보냈다. 하타는 감옥에 있는 동안 "경제 위기와 자본주의"라는 제목의 책을 썼다.[3]

1935년 1월, 하타와 샤흐릴을 포함한 신 PNI 동료 지도자들은 파푸아의 보벤 디골로 유배되었다. 하타는 그곳에서 두 가지 선택을 받았다. 첫 번째는 하루 40센트를 받고 네덜란드 식민 정부를 위해 일하며 유배에서 돌아올 희망을 갖는 것이었고, 두 번째는 유배 생활을 하며 음식을 받지만 유배에서 돌아올 희망은 없는 것이었다. 하타는 자카르타에서 공무원으로 직업을 선택했다면 많은 돈을 벌었을 것이라며 두 번째 선택을 했다.[3]



유배 생활 동안 하타는 ''페만당안''(The View) 신문에 기고하여 생계를 유지하고 재정적 어려움을 겪는 동료들을 지원했다. 또한, 자카르타에서 가져온 책들을 활용하여 동료들에게 경제, 역사, 철학을 가르쳤다. 이 수업들은 나중에 "지식으로 가는 길에 대한 소개"와 "그리스 사상의 본질"(4권)이라는 책으로 만들어졌다.[3]

1936년 1월, 하타와 샤흐릴은 말루쿠 제도의 반다 네이라로 이송되었다. 그곳에서 이와 쿠수마수만트리 박사, 치프토 망운쿠수모 등 다른 민족주의자들과 합류했다. 하타와 샤흐릴은 더 많은 자유를 얻어 현지인들과 교류할 수 있었고, 지역 아이들에게 정치와 역사를 가르쳤다. 하타는 반다네이라에서 현지 소년 데스 알위를 아들로 입양했다. 알위는 훗날 저명한 인도네시아 역사학자이자 외교관이 되었다.[3]

1942년 2월, 하타와 샤흐릴은 서자바의 수카부미로 이송되었다.[3]

4. 3. 일본 점령기

1942년 태평양 전쟁에서 일본군네덜란드령 동인도를 침공하여 네덜란드군을 몰아내고 점령했다. 일본 군정 당국은 현지 민중의 협력을 얻기 위해 저명한 민족주의자인 수카르노와 하타를 활용하고자 했다. 하타는 유배지에서 풀려나 정계에 복귀하여 일본 군정의 고문으로 협력했다. 그러나 민족주의자들의 의도는 일본이 부여한 지위를 이용하여 민족 의식을 고취하는 것이었다. 하타는 수카르노와 함께 민중 운동의 최전선에 섰으며, 일본의 선전을 되풀이하면서도 독립에 대한 열망을 장려했다.

1943년 하타와 수카르노는 일본으로부터 인민력 중심지(푸테라) 결성을 승인받았고, 자와 중앙 자문 위원회에 임명되었다. 같은 해, 히로히토 천황으로부터 훈장을 받았다.[3] 1944년 일본이 인도네시아에 독립을 부여할 것이라고 발표하자, 하타는 마에다 타다시 해군 소장의 지원을 받아 민족주의 강연을 했다. 1945년에는 독립 준비 조사 위원회(BPUPK)가 결성되어 헌법 등을 논의했다.

5. 독립 선언

1945년 일본 제국의 패전 직후, 수카르노와 함께 8월 17일 인도네시아 독립을 선언했다.[8] 이후 네덜란드와의 인도네시아 독립 전쟁에서 수상, 외무 장관, 국방 장관을 역임하며, 특히 외교 분야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휴전 후 헤이그에서 열린 원탁 회의에 인도네시아 공화국 대표로 참석, 1949년 12월 27일[8] 헤이그 협정 발효를 통해 인도네시아는 독립 국가로 첫 발을 내디뎠다.

5. 1. 일본의 항복

독립 선언문을 낭독하는 수카르노. 오른쪽에 있는 사람이 하타이다.(1945년 8월 17일)


1945년 8월 14일, 하타는 샤흐리르로부터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 원자 폭탄이 투하되었다는 소식을 들었다.[8] 샤흐리르는 일본이 며칠 안에 감독할 수 없게 될 수 있으므로, 수카르노에게 즉시 인도네시아의 독립을 선언하도록 권고해야 한다고 하타에게 말했다.[8] 샤흐리르는 국민들이 그들 편이 될 것이기 때문에 일본 당국에 대해 걱정하지 말라고 했다.[8] 하타는 연합국이 그들을 일본 협력자로 볼까 봐 걱정된다고 말했고, 수카르노도 이에 동의했다.[8]

1945년 8월 15일, 일본은 연합국에 항복했다.[8] 하타와 수카르노는 자카르타에 있는 일본 점령 정부 사무실을 방문했지만, 그곳은 비어 있었다.[8] 그들은 마에다를 만나 일본이 항복했음을 확인했다.[8] 오후에 하타와 수카르노는 가능한 한 빨리 독립을 선언해 달라고 요구하는 인도네시아 청년들과 대면했다.[8] 격렬한 논쟁 끝에, 하타는 수카르노 없이는 독립을 선언할 수 없다는 것을 인지시키고, 수카르노와 함께 독립을 선언하기로 결심했다.[8]

5. 2. 납치와 선언

1945년 8월 16일 아침, 인도네시아 청년들은 하타와 수카르노를 납치하여 렝아스뎅클록으로 데려가 독립 선언을 강요하려 했지만 실패했다. 자카르타에서는 인도네시아 독립 준비 위원회(PPKI)가 그날 회의를 시작하여 수카르노를 의장으로, 하타를 부의장으로 선출할 계획이었기 때문에 혼란이 일었다. 하타와 수카르노의 행방이 알려지고 일본의 항복이 확인되자, PPKI 대표인 아흐마드 수바르조가 렝아스뎅클록으로 가서 하타와 수카르노에게 이 소식을 알렸다. 그날 밤, 하타와 수카르노는 자카르타로 돌아와 마에다 타다시의 집에서 독립 선언문을 작성했다. 마침내 1945년 8월 17일, 수카르노의 자택에서 수카르노와 하타가 서명한 짧은 문서로 인도네시아의 독립이 선포되었다.[8]

6. 독립 혁명

1945년 8월 17일, 수카르노와 함께 "인도네시아 독립 선언"에 서명했다.[8] 독립 전쟁 동안, 하타는 외교 면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했다. 1945년 8월 18일, 인도네시아 헌법 제정 위원회(PPKI)에 의해 인도네시아 초대 부통령으로 선출되었다.[8] 하타는 공화국 초기, 인도네시아 중앙 국가 위원회(KNIP)에 입법 권한을 부여하고, 정당 결성을 승인했으며, 총리에게 정부 수반 역할을 이관하는 등 세 가지 중요한 결정을 내렸다.

네덜란드가 인도네시아에 다시 군대를 투입하자, 하타는 수카르노, 샤흐릴과 함께 외교적 해결을 모색했다. 1946년 린가자티 협정이 체결되었으나, 네덜란드의 일방적인 수정으로 인해 협정 이행이 거부되었다. 하타는 인도로 건너가 네루마하트마 간디에게 도움을 요청했고, 네루는 인도네시아를 지원하겠다고 약속했다.

1948년 렌빌 협정이 체결되었으나, 아미르 샤리푸딘 총리가 사임하는 등 반발을 일으켰다. 수카르노는 하타를 총리로 임명하고 비상 내각을 구성했다. 하타는 군인 제대 등 인기가 없는 결정을 내려야 했다. 1948년 12월, 네덜란드의 두 번째 "경찰 행동"으로 족자카르타가 공격받자, 하타와 수카르노는 체포되어 방카 섬으로 보내졌다.

1949년 로엠-반 로이엔 협정이 체결되어 네덜란드가 공화국 정부 지도자들을 반환하기로 약속했다. 하타는 헤이그에서 열린 원탁 회담에 대표단을 이끌었고, 1949년 11월 인도네시아 연합 결성이 합의되었다. 1949년 12월 27일, 네덜란드는 인도네시아의 주권을 인정했다.[8] 하타는 인도네시아 연합 공화국의 총리직을 수행하면서, 1950년 8월 17일 단일 국가로의 전환을 주재했다.

7. 부통령 재임 (1945년 ~ 1956년)

1945년 8월 18일, 하타는 수카르노와 함께 인도네시아 초대 부통령으로 선출되었다.[3] 하타는 공화국 초기 인도네시아 중앙 국가 위원회(KNIP)에 입법 권한을 부여하고, 정당 결성을 승인하며, 총리에게 정부 수반 역할을 이관하는 세 가지 중요한 결정을 내렸다.[3]

1948년, 하타는 총리 겸 국방부 장관으로서 군인 제대라는 어려운 결정을 내려야 했다.[3] 같은 해 12월, 네덜란드의 공격으로 욕야카르타가 함락되자 하타는 수카르노와 함께 체포되어 방카섬으로 보내졌다.[3]

1949년 3월, 술탄 하멩쿠부워노 9세의 총공세로 욕야카르타를 일시 점령하여 네덜란드에 국제적 압력을 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이후 로엠-반 로이엔 협정을 통해 하타와 수카르노는 욕야카르타로 귀환했다.[3]

1949년 8월, 하타는 헤이그 원탁 회담에 대표단을 이끌었고, 인도네시아 연합 결성에 합의했다. 1949년 12월 27일, 네덜란드는 인도네시아의 주권을 인정했다.[3] 하타는 인도네시아 연합의 총리직을 수행하며 1950년 8월 17일, 연방 국가에서 단일 국가로의 전환을 이끌었다.[3]

7. 1. 지적 활동과 협동조합

하타는 부통령으로 재임하면서 대학에서 정기적으로 강연하도록 초청받았다. 그는 또한 경제, 협동조합과 같은 주제에 대한 에세이와 책을 저술하는 등 지적 활동에 참여했다. 협동조합이 경제의 필수적인 부분이라는 생각은 하타에게 중요한 과제가 되었고, 그는 이 아이디어를 열정적으로 홍보하게 되었다. 1951년 7월, 협동조합의 날을 맞아 하타는 라디오에 출연하여 협동조합에 대한 연설을 했다. 1953년, 인도네시아 협동조합 회의에서 협동조합 진흥에 대한 하타의 기여를 인정하여 "인도네시아 협동조합의 아버지"라는 칭호를 부여했다.[3]

7. 2. 인도네시아 외교 정책 원칙 수립

1948년, 하타는 "두 바위 사이의 노"라는 연설을 통해 냉전 시대에 미국소련 사이에서 중립을 지켜야 한다는 외교 정책 원칙을 제시했다.[1] 그는 인도네시아가 어느 한쪽 편을 드는 것이 아니라, 자국의 이익을 최우선으로 고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1] 이러한 하타의 주장은 인도네시아가 냉전 시기에 독자적인 입장을 견지하겠다는 의지를 보여주는 것이었다.[1]

하타는 또한 인도네시아가 세계 정치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자국의 이익을 우선시해야 한다고 덧붙였다.[1] 이처럼 "독립적이고 적극적인" 원칙은[1] 이후 인도네시아 외교 정책의 근간이 되었다.

7. 3. 은퇴

1955년, 하타는 그 해의 총선과 의회 선거의 결과로 새로운 인민 대표 협의회(DPR)와 헌법 제정 의회가 구성되면 부통령직에서 물러나겠다고 발표했다. 그는 수카르노에게 보낸 서한에서 이 의사를 밝혔다.

표면적인 이유는 부통령 직무가 실질적으로 의미가 없다는 것과 국가가 자신의 봉급을 지급하는 데 많은 돈을 낭비하고 있다는 것이었다. 그러나 민주주의를 신봉하는 하타는 수카르노의 권위주의와 독재가 심화되는 것에 환멸을 느끼기 시작했다. 하타는 계속해서 수카르노에게 이 길을 가지 말라고 조언했지만 무시당했고, 결국 더 이상 수카르노와 함께 일할 수 없다고 생각했다. 1956년 12월 1일, 하타는 공식적으로 부통령직에서 사임했다.

하타의 사임은 인도네시아 전역, 특히 자바인이 아닌 사람들에게 충격을 주었다. 자바인이 아닌 사람들에게 하타는 자바인이 지배하는 정부에서 그들을 대표하는 주요 인물이었다. 하타의 사임의 영향은 인도네시아로부터 독립을 원했던 인도네시아 공화국 혁명 정부(PRRI) 반란과 분권을 요구했던 범국민투쟁(페르메스타) 운동에서 분명하게 드러났다. 중앙 정부와의 협상에서 PRRI와 페르메스타는 수카르노/하타 지도부의 재통합을 중앙 정부로부터 원하는 양보 사항 중 하나로 제시했다.

독립 후, 수카르노 대통령과 하타 부통령의 "쌍두 체제"(이때의 정·부통령은 실질적으로 동등하다고 여겨졌다)는 초기 국가 운영에 중요한 역할을 했지만, 점차 수카르노와 대립했다. 1956년에 부통령을 사임했다. 그 이유에 대해 하타 본인으로부터 직접 언급된 적은 없지만, 양자의 협력 관계 붕괴는 다민족 국가의 협조, 또는 국가 통일의 이상이 무너져 가는 과정이기도 했다고 볼 수 있다.

8. 부통령 퇴임 이후

정부에서 물러난 하타는 수카르노를 공개적으로 비판하기 시작했다. 그는 수카르노가 국가 발전에 헌신하지 않는다고 비판하면서, 혁명이 네덜란드의 인도네시아 주권 인정으로 끝났으며 정부는 개발에 집중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수카르노는 1959년 독립 기념 연설에서 혁명은 끝나지 않았다고 반박했다.

1960년, 하타는 ''우리의 민주주의''라는 책을 통해 수카르노의 지도 민주주의를 독재의 또 다른 형태라고 비판했다. 수카르노는 즉시 이 책을 금지했다.[1] 같은 해 인도네시아 사회당이 금지되었고, 2년 후 샤흐리르는 음모 혐의로 투옥되었다. 하타는 수카르노에게 개인적인 편지를 써서 체포를 '식민지적'이고 '비합리적'이라고 비판했지만 소용없었다.[1]

이후 하타는 1980년 사망할 때까지 정계에 복귀하지 않고, 수카르노의 "지도되는 민주주의", 9·30 사건 이후 수카르노의 실각과 죽음, 수하르토의 신질서 체제를 지켜보았다. 다만, 생전에 정계 부패에 대한 비판이 높아지면서 일부 학생과 지식인들 사이에서 하타의 정계 복귀를 주장하는 "하타 대망론"이 나타나기도 했다.

8. 1. 신질서 시대

수카르노에서 수하르토 장군으로 대통령직이 교체된 격동의 시기에 하타는 뒤로 물러나 있었다. 그러나 1970년 6월, 수카르노가 사망하기 불과 일주일 전에 침묵을 깼다. 수하르토에게 보낸 편지에서 하타는 수카르노가 재판에 회부되지 않고 가택 연금된 것에 대해 실망감을 표현했다. 하타는 악의가 있어서가 아니라, 9·30 사건 쿠데타 시도와 관련된 문제들을 정리하고 수카르노가 자신의 행동을 변호할 기회를 갖기를 원했을 뿐이었다. 많은 사람들이 수카르노의 무죄를 믿었기 때문이다.[1]

8. 2. 부패 조사 위원회

1970년 초, 수하르토 정부의 부패에 대한 항의가 제기되자 하타는 수하르토 정부와 관련된 입장에 놓이게 되었다. 1970년 1월, 수하르토는 하타를 비롯한 3명을 정부 내 부패를 조사하는 위원회 위원으로 임명했다.[1] 위원회의 조사 결과는 1970년 7월 유출될 때까지 대중에게 공개되지 않았다. 그 결과 시위대의 의혹이 사실임이 드러났다. 즉, 정부 내에 광범위한 부패가 존재했던 것이다. 그러나 논란이 되게도 1970년 8월, 수하르토는 위원회를 해체하고 단 두 건의 부패 사건만 정부가 조사하도록 허용했다.[1]

8. 3. 헌법 인식 재단 연구소

1978년 7월, 압둘 하리스 나수티온과 함께 하타는 수하르토 정권 비판을 위한 포럼 역할을 할 헌법 인식 재단 연구소(YLKB)를 설립했다.[1] 수하르토 정부는 YLKB가 1979년 1월에 첫 회의를 개최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았다.[1] YLKB는 1979년 8월, 국회의원과 인도네시아군 구성원들이 참석한 회의를 개최했다.[1] 이 회의에서 나수티온은 신질서가 판차실라 국가 이념과 1945년 헌법을 완전히 이행하지 않았다고 비판했다.[1]

9. 사망

하타는 1980년 3월 14일 18시 56분, 자카르타 칩토 망운쿠수모 병원에서 11일간의 치료를 받은 후 사망했다.[4][5] 다음 날, 그는 자카르타 잘란 디포네고로 57번지에 있는 자택에 묻혔고, 자카르타 남부의 타나 쿠시르 공공 묘지에 안장되었다. 당시 부통령이었던 아담 말리크가 직접 주도한 국장으로 자카르타는 그의 죽음을 애도했다. 그는 수하르토 정부에 의해 1986년에 독립 영웅으로 지정되었다.

10. 개인적인 삶

하타는 인도네시아가 독립할 때까지 결혼하고 싶어 하지 않았다.[6]

그의 딸인 메우티아 파리다 하타는 수실로 밤방 유도요노 내각에서 여성 권익 신장부 장관을 역임했으며, 현재 인도네시아 정의와 통일당의 총재로 재직하고 있다.

11. 유산

수카르노 하타 국제공항은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1986년에는 수카르노와 함께 "독립 선언 영웅" 칭호를 받았다. 2014년에는 에라스무스 대학교 로테르담 캠퍼스의 국제 학생 기숙사가 하타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7]

12. 저작


  • 모하마드 하타, "인도네시아 협동조합 운동", 코넬 대학교 출판부, 1957년.
  • 모하마드 하타, "식민주의와 전쟁의 위험", Asian Survey, 1961년.
  • 모하마드 하타, "말레이시아 문제에 대한 한 인도네시아인의 시각", Asian Survey, 1965년.
  • '''선집 칼랑안''' 1950년대 초에 편집된 저작집. 전 4권.
  • '''선집 피다토''' 1980년대 초에 편집된 연설집. 1942년부터 1979년까지의 연설 수록. 전 2권.
  • 『하타 회상록』 오타니 마사히코 역, 메콘 간행, 1993년 (원서는 ''MEMOIR'', 1982년)

13. 수상 및 영예

참조

[1] 웹사이트 Menilik Harta Karun Peninggalan Syaikh Abdurrahman Batuhampar Kakek Bung Hatta https://sanadmedia.c[...] 2020-11-19
[2] 웹사이트 'Sang Proklamator' https://web.archive.[...] Tokoh Indonesia 2007-08-21
[3] 뉴스 Prominent historian Des Alwi dies at 82 https://web.archive.[...] 2010-11-12
[4] 웹사이트 hariansejarah.id https://web.archive.[...] 2021-09-17
[5] 웹사이트 Bung Hatta Wafat https://soeharto.co/[...] 2013-12-29
[6] 웹사이트 Ini 5 fakta kisah cinta Bung Hatta yang tak banyak diketahui https://www.brilio.n[...] 2017-07-13
[7] 웹사이트 Erasmus Universiteit eert Mohammed Hatta http://javapost.nl/2[...] 2014-06-17
[8] 서적 アフマッド・スバルジョ著 インドネシアの独立と革命 197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