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테스키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몽테스키외는 프랑스의 계몽주의 시대의 사상가로, 법학 연구에 역사적, 비교적, 사회학적 방법을 적용하여 법학 발전에 기여했다. 그는 《페르시아인의 편지》를 통해 사회를 풍자하고, 《로마인의 흥망성쇠 원인론》으로 유럽에 이름을 알렸다. 1748년에는 정치 사상에 큰 영향을 미친 《법의 정신》을 출판하여 삼권 분립과 같은 사상을 제시했다. 몽테스키외는 기후가 인간과 사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기후 이론을 제시하기도 했으며, 사회학의 아버지로 여겨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랑스의 법철학자 - 테오도르 드 베즈
테오도르 드 베즈는 프랑스 개신교 신학자이자 종교 개혁가로, 법학을 공부했으나 개혁 신앙에 귀의하여 제네바 아카데미 교수로 활동하며 칼뱅의 후계자가 되어 제네바 교회를 이끌었고, 칼뱅주의 신학 발전에 기여하다가 1605년에 사망했다. - 프랑스의 자유주의 - 에마뉘엘 마크롱
에마뉘엘 마크롱은 프랑스의 정치인이자 "앙 마르슈!(En Marche!)"를 창당하여 중도주의 정책을 표방하며 2017년과 2022년 대통령 선거에서 당선된 프랑스의 현직 대통령이다. - 프랑스의 자유주의 - 볼테르
볼테르는 이성, 자유, 관용을 옹호하며 종교적 불관용과 전제 정치를 비판하고 프랑스 사회 개혁을 촉구한 프랑스의 계몽주의 사상가, 작가, 역사가이다.
몽테스키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몽테스키외 |
본명 | 샤를루이 드 스콩다, 라 브레드 남작 몽테스키외 |
로마자 표기 | Charles-Louis de Secondat, Baron de La Brède et de Montesquieu |
출생일 | 1689년 1월 18일 |
출생지 | 라브레드 성, 라 브레드, 아키텐, 프랑스 |
사망일 | 1755년 2월 10일 |
사망지 | 프랑스 파리 |
![]() | |
학문적 배경 | |
지역 | 서양 철학 |
시대 | 18세기 철학 |
사상 | 계몽주의 , 고전 자유주의 |
주요 관심사 | 정치철학 |
주요 사상 | 권력 분립: 행정부, 입법부, 사법부; 원칙에 기반한 정부 시스템 분류 |
개인 정보 | |
배우자 | 잔 드 라르티그 (1715년 결혼) |
자녀 | 3명 |
영향 | |
영향을 준 인물 | 아리스토텔레스 ,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 , 폴리비오스 , 토마스 홉스 , 르네 데카르트 , 니콜라 드 말브랑슈 , 존 로크 , 장 보댕 외 다수 |
영향을 받은 인물 | 데이비드 흄 , 토머스 페인 , 장자크 루소 , 에드먼드 버크 , 미국 헌법 , 게오르크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 , 알렉시 드 토크빌 , 에밀 뒤르켐 , 한나 아렌트 외 다수 |
기타 | |
작품 | 법의 정신 |
소속 | 왕립학회 회원 |
2. 생애
몽테스키외는 프랑스 남서부 보르도 근교 샤토 드 라 브레드에서 태어났다.[4] 그의 아버지 자크 드 몽테스키외는 오랜 귀족 가문 출신의 군인이었고, 어머니 마리 프랑수아즈 드 페넬은 몽테스키외가 7세 때 사망했다.[5] 몽테스키외 가문은 위그노 출신이었다.[6][7] 그는 가톨릭계 쥐이 대학에서 1700년부터 1711년까지 수학했다.[8] 1713년 아버지가 사망한 후, 백부의 후견인이 되었다.[9] 1714년 보르도 의회의 고문이 되었고, 1715년에는 개신교도였던 잔 드 라르티그와 결혼하여 세 자녀를 두었다.[12] 1716년 백부가 사망하면서 재산, 작위, 보르도 의회의 프레지당 아 모르티에 직책을 12년 동안 물려받았다.[13]
몽테스키외의 초기 삶은 명예혁명으로 입헌군주제가 선포되고, 1707년 연합법으로 그레이트 브리튼 왕국이 세워진 격변기였다. 프랑스 왕국에서는 루이 14세가 1715년에 사망하고 루이 15세가 즉위하면서 앙시앵 레짐이 여러 문제점을 드러내기 시작했다. 이러한 국가적 변화는 몽테스키외에게 큰 영향을 미쳤고, 그의 작품에서 반복적으로 언급된다.
1721년 페르시아인의 편지를 발표하여 당시 사회를 풍자하고, 1726년 의회에 염증을 느껴 자신의 직책을 매각하고 파리로 이주하여 학문과 글쓰기에 전념했다. 1734년에는 로마인의 흥망성쇠 원인론을 출판하여 유럽 전체에 이름을 알렸다.
1728년 4월, 월드그레이브 경과 함께 유럽 그랜드 투어를 시작하여 오스트리아, 헝가리, 이탈리아를 여행하고, 1729년 10월 말 체스터필드 경과 함께 영국으로 건너가 프리메이슨에 입문했다.[14] 1731년 봄 브레드 성으로 돌아와 연구에 매달렸고, 여행 중의 성찰은 주요 정치 철학 저술의 원천이 되었다.[15] 1748년에는 법의 정신을 출판하여 정치 사상에 큰 영향을 미쳤다. 프랑스에서는 소르본느와 1751년 가톨릭 교회(금서 목록)에 의해 비난받았지만, 영국을 포함한 다른 유럽 국가에서는 최고의 찬사를 받았다.[34]
몽테스키외는 영국 북아메리카의 영국 식민지에서 자유의 옹호자로 높이 평가받았다. 그는 미국 건국의 아버지들에게 성경 다음으로 많이 인용된 권위자였으며,[16] 미국 독립 전쟁 이후에도 제임스 매디슨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정부는 어떤 사람도 다른 사람을 두려워할 필요가 없도록 설립되어야 한다"는[17] 그의 철학은 권력 분립의 필요성을 상기시켰다.
말년에 몽테스키외는 백내장으로 고통받았고 실명을 두려워했다. 1755년 2월 10일 열병으로 사망하여 파리 생술피스 교회에 묻혔다.
2. 1. 출생과 성장
몽테스키외는 프랑스 남서부 샤토 드 라 브레드에서 태어났다.[4] 그의 아버지 자크 드 스공(Jacques de Secondat)은 오랜 귀족 가문 출신의 군인이었다.[4] 어머니 마리 프랑수아즈 드 페넬(Marie Françoise de Pesnel)은 몽테스키외가 7세 때 사망하였는데, 라 브레드(La Brède) 남작 작위를 상속받았다.[5] 그의 가문은 위그노 출신이었다.[6][7]
어머니가 돌아가신 후, 몽테스키외는 로마 가톨릭교회에서 운영하였던 쥐이 대학(College of Juilly)에서 1700년부터 1711년까지 수학했다.[8] 1713년 아버지가 사망한 후, 백부의 후견인이 되었다.[9] 1714년에는 보르도 의회(Parlement)의 고문이 되었고,[9] 1715년에는 개신교도였던 장 드 라르티귀와 결혼하여 세 자녀를 두었다.[12]
1716년 백부가 사망하면서 몽테스키외는 백부의 작위와 봉토를 계승하여 제2대 몽테스키외 남작(Baron de secondat Montesquieu, 바론 드 세콘다 몽테스키외프랑스어)이 되었고, 보르도 지방법원의 원장직 역시 계승하게 되었다.[13]
몽테스키외가 보르도 지방법원의 원장에 취임할 무렵, 잉글랜드에서는 명예혁명이 일어나 입헌군주제가 선포되었고, 1707년 연합법에 의해 스코틀랜드가 합병되어 그레이트 브리튼 왕국이 세워졌다.[39] 1715년 루이 14세가 사망하고 루이 15세가 즉위하면서 프랑스 왕국의 앙시앵 레짐은 여러 부문에서 파열음을 일으키기 시작하였는데, 이는 몽테스키외의 저작에서 여러 차례 반복되어 서술되고 있다.
몽테스키외는 1721년 페르시아인의 편지를 발표하여 당시의 정치와 사회를 풍자했다.[39], 이 작품은 두 명의 페르시아인 무슬림이 프랑스를 방문하여 본국의 지인에게 편지를 통해 프랑스의 풍속과 사건들을 소개하는 형식을 취한 풍자 작품으로 큰 반향을 불러일으켰다.[32]
2. 2. 법관 생활과 저술 활동
몽테스키외는 프랑스 남서부 샤토 드 라 브레드에서 태어났다. 그는 로마 가톨릭교회에서 운영하였던 줄리아 컬리지를 졸업한 후 26세에 개신교도였던 장 드 라르티귀와 결혼하였다.[12] 그의 가문은 위그노 출신이었다.[6][7] 결혼 이듬해 백부가 사망하면서, 그의 유서에 따라 백부의 작위와 봉토를 계승하여 제2대 몽테스키외 남작(Baron de secondat Montesquieu, 바론 드 세콘다 몽테스키외프랑스어)가 되었다. 백부의 작위를 상속하기 전 몽테스키외의 원래 이름은 '''샤를 루이 드 스공'''이었다. 백부의 작위를 상속한 몽테스키외는 백부가 맡고 있었던 보르도 지방법원의 원장직 역시 계승하게 되었다.[39] 1714년에는 보르도 의회(Parlement)의 고문이 되었다.[9]
몽테스키외가 보르도 지방법원의 원장에 취임하게 된 무렵 잉글랜드에서는 명예혁명이 일어나 입헌군주제가 선포되었다. 그 후 1707년 연합법에 의해 스코틀랜드가 합병되어 그레이트 브리튼 왕국이 세워졌다. 1715년에 오랫동안 재위하였던 루이 14세가 사망하고 루이 15세가 즉위하였다. 이러한 국가적 변화는 몽테스키외에게 큰 영향을 미쳤고, 그는 자신의 작품에서 이러한 변화들을 반복적으로 언급했다.
1721년에 《페르시아인의 편지》를 발표하여 당시의 정치와 사회를 비꼬았다.[32] 이 책은 두 명의 페르시아 방문객의 눈을 통해 사회를 풍자적으로 보여주는 작품으로, 당대 프랑스 사회의 부조리를 날카롭게 비판했다. 1726년 그는 의회에 염증을 느끼고 파리로 눈을 돌리면서 자신의 직책을 매각했다. 시간이 지나면서 그는 몇 가지 장애에도 불구하고 1728년 1월 프랑스 아카데미(Académie Française) 회원으로 선출되었다.
1728년 4월, 월드그레이브 경을 여행 동반자로 삼아 몽테스키외는 유럽 그랜드 투어를 시작했고, 그 기간 동안 일기를 남겼다. 그의 여행에는 오스트리아와 헝가리, 그리고 1년간의 이탈리아 여행이 포함되어 있었다. 그는 1729년 10월 말 체스터필드 경과 함께 영국에 갔으며, 웨스트민스터의 ''혼 타번''(Horn Tavern) 로지에서 프리메이슨에 입문했다.[14] 그는 1731년 봄에 라 브레드로 돌아올 때까지 영국에 머물렀다. 1734년에 선보인 《로마인의 흥망성쇠 원인론》은 몽테스키외의 이름이 유럽 전체에 알려지게 된 계기가 되었다.
2. 3. 유럽 여행과 《법의 정신》 집필
몽테스키외는 프랑스 남서부의 샤토 드 라 브레드에서 태어났다. 로마 가톨릭교회에서 운영하였던 줄리아 컬리지를 졸업한 후 개신교도였던 아내와 결혼하였다.[39] 결혼 이듬해에 백부가 사망하였고, 그의 유서에 따라 백부의 작위와 봉토, 보르도 지방법원의 원장직을 계승하였다.[39]몽테스키외가 보르도 지방법원의 원장에 취임할 무렵, 잉글랜드에서는 명예혁명이 일어나 입헌군주제가 선포되었고, 1707년 연합법에 의해 스코틀랜드가 합병되어 그레이트 브리튼 왕국이 세워졌다.[39] 1715년 루이 14세가 사망하고 루이 15세가 즉위하면서 프랑스 왕국의 앙시앵 레짐은 여러 부문에서 파열음을 일으키기 시작하였는데, 이는 몽테스키외의 주요 관심사가 되었다.[39]
1721년 《페르시아인의 편지》를 발표하여 당시의 정치와 사회를 비꼬았다.[39] 세습하여 물려받은 법원 원장직을 경매로 처분하고 파리로 이주하여 연구와 저술에만 전념하였다.[39] 1734년에는 《로마인의 흥망성쇠 원인론》을 출판하여 유럽 전체에 이름을 알렸다.
1728년 4월부터 유럽 그랜드 투어를 시작하여 오스트리아, 헝가리, 이탈리아를 여행하고, 1729년 10월 말 체스터필드 경과 함께 영국에 갔다.[14] 그는 1731년 봄에 라 브레드로 돌아올 때까지 영국에 머물렀다.[15] 영국 체류 중 프리메이슨(franc-maçon)이 되었다.
1748년, 익명으로 『법의 정신』(De l'esprit des lois)을 출판하였다. 이 책은 유럽과 미국의 정치 사상에 깊은 영향을 미쳤다. 프랑스에서는 소르본느와 1751년 가톨릭 교회(금서 목록)에 의해 비난을 받았지만, 영국에서는 최고의 찬사를 받았다.[34]
2. 4. 말년과 사망
몽테스키외는 프랑스 남서부 보르도 근교 샤토 드 라 브레드에서 태어났다.[4] 그의 아버지 자크 드 몽테스키외는 오랜 귀족 가문 출신의 군인이었고, 어머니 마리 프랑수아즈 드 페넬은 몽테스키외가 7세 때 사망했다.[5] 몽테스키외 가문은 위그노 출신이었다.[6][7] 그는 가톨릭계 쥐이 대학에서 1700년부터 1711년까지 수학했다.[8] 1713년 아버지가 사망한 후, 백부의 후견인이 되었다.[9] 1714년 보르도 의회의 고문이 되었고, 1715년에는 개신교도였던 잔 드 라르티그와 결혼하여 세 자녀를 두었다.[12] 1716년 백부가 사망하면서 재산, 작위, 보르도 의회의 프레지당 아 모르티에 직책을 12년 동안 물려받았다.[13]몽테스키외의 초기 삶은 명예혁명으로 입헌군주제가 선포되고, 1707년 연합법으로 그레이트 브리튼 왕국이 세워진 격변기였다. 프랑스 왕국에서는 루이 14세가 1715년에 사망하고 루이 15세가 즉위하면서 앙시앵 레짐이 여러 문제점을 드러내기 시작했다. 이러한 국가적 변화는 몽테스키외에게 큰 영향을 미쳤고, 그의 작품에서 반복적으로 언급된다.
1721년 페르시아인의 편지를 발표하여 당시 사회를 풍자하고, 1726년 의회에 염증을 느껴 자신의 직책을 매각하고 파리로 이주하여 학문과 글쓰기에 전념했다. 1734년에는 로마인의 흥망성쇠 원인론을 출판하여 유럽 전체에 이름을 알렸다.
1728년 4월, 월드그레이브 경과 함께 유럽 그랜드 투어를 시작하여 오스트리아, 헝가리, 이탈리아를 여행하고, 1729년 10월 말 체스터필드 경과 함께 영국으로 건너가 프리메이슨에 입문했다.[14] 1731년 봄 브레드 성으로 돌아와 연구에 매달렸고, 여행 중의 성찰은 주요 정치 철학 저술의 원천이 되었다.[15] 1748년에는 법의 정신을 출판하여 정치 사상에 큰 영향을 미쳤다. 프랑스에서는 소르본느와 1751년 가톨릭 교회(금서 목록)에 의해 비난받았지만, 영국을 포함한 다른 유럽 국가에서는 최고의 찬사를 받았다.[34]
몽테스키외는 영국 북아메리카의 영국 식민지에서 자유의 옹호자로 높이 평가받았다. 그는 미국 건국의 아버지들에게 성경 다음으로 많이 인용된 권위자였으며,[16] 미국 독립 전쟁 이후에도 제임스 매디슨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정부는 어떤 사람도 다른 사람을 두려워할 필요가 없도록 설립되어야 한다"는[17] 그의 철학은 권력 분립의 필요성을 상기시켰다.
말년에 몽테스키외는 백내장으로 고통받았고 실명을 두려워했다. 1755년 2월 10일 열병으로 사망하여 파리 생술피스 교회에 묻혔다.
3. 주요 사상
1748년에 《법의 정신》을 발표하였는데, 이 책에서 그는 법학 연구에 처음으로 역사 법학적, 비교 법학적, 사회학적 방법을 적용하여 법학의 발전에 기여하였다. 《법의 정신》은 당시 정치 사상에 커다란 영향을 끼쳤다.[40] 그는 여기서 군주정, 귀족정, 민주정이라는 과거 이론가들의 고전적 구분법을 버리고 자신의 고유한 분석틀에 따라 각 정부형태들의 활동원리를 정의했다. 그는 공화정은 덕, 군주정은 명예, 독재정은 공포에 기초하고 있다고 보았다.[40] 그는 또 최초로 입법권, 사법권, 행정권으로 권력을 나누는 삼권분립설, 입헌 군주 제도론 등을 전개하는 한편, 전제주의를 극력 공격하면서 법은 각국의 여러 환경에 적합한 고유한 것이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의 이런 주장은 인권 선언과 미국 헌법에도 영향을 미쳤다.[40]
로마 가톨릭교회는 《법의 정신》을 금서 목록에 올려 금서로 지정하였다. 몽테스키외는 이에 항의해 1750년《법의 정신에 대한 변론》이라는 책을 출판했다.[41]
그는 디드로, 달랑베르 등이 편찬한 《백과전서》에도 협력하는 등 프랑스 혁명의 사상적 토대를 만드는 데 공헌하였다. 혁명이 시작되자 그의 사상이 실현되는 듯하였으나, 삼권 분립론을 제외하고는 그 영향력을 잃었다.
몽테스키외는 물레방아가 농업 노동자의 일을 빼앗아갔다고 비난한 바 있다.[42]
3. 1. 권력분립론
몽테스키외는 1748년 자신의 저서 《법의 정신》에서 권력분립론을 주장했다.[40] 그는 법학 연구에 역사 법학적, 비교 법학적, 사회학적 방법을 처음으로 적용하여 법학 발전에 기여하였다.[40] 그는 군주정, 귀족정, 민주정 대신 공화정은 덕, 군주정은 명예, 독재정은 공포에 기초하고 있다고 보았다.[40]몽테스키외는 최초로 입법권, 사법권, 행정권으로 권력을 나누는 삼권분립설을 주장하고, 입헌 군주 제도론 등을 전개하며 전제주의를 비판했다. 그는 법은 각국의 환경에 맞는 고유한 것이어야 한다고 주장했는데, 이는 인권 선언과 미국 헌법에도 영향을 미쳤다.[40] 로마 가톨릭교회는 《법의 정신》을 금서 목록에 올려 금서로 지정하였으나, 몽테스키외는 1750년《법의 정신에 대한 변론》을 출판해 항의했다.[41]
그는 디드로, 달랑베르 등이 편찬한 《백과전서》에도 협력하여 프랑스 혁명의 사상적 토대를 만드는 데 공헌하였다.[40] 몽테스키외는 물레방아가 농업 노동자의 일을 빼앗아갔다고 비난하기도 했다.[42]
몽테스키외는 헤로도토스와 타키투스를 포함한 인류학의 선구자 중 한 명으로 여겨진다.[19] 그는 인간 사회의 정치 형태에 비교 분류 방법을 처음으로 확장한 사람들 중 한 명이었다.[19] 조르주 발랑디에르는 몽테스키외를 "문화 및 사회 인류학의 역할을 수행했던 과학적 기업의 개시자"로 간주했고,[19] D. F. 포콕은 『법의 정신』을 "인간 사회의 다양성을 조사하고, 분류하고, 비교하고, 사회 내에서 제도의 상호 작용을 연구하려는 최초의 일관된 시도"라고 평가했다.[20] 데이비드 W. 캐리더스는 "에밀 뒤르켐은 사회 현상의 상호 연관성에 대한 이러한 깨달음이 바로 사회 과학을 탄생시켰다고 제안하기까지 했다"고 지적한다.[21]
몽테스키외의 정치 인류학은 정부 형태가 통치 원칙(공화국은 미덕, 군주국은 명예, 전제정은 공포)에 의해 뒷받침된다는 견해를 낳았다.[22] 미국의 건국자들은 몽테스키외의 권력 분립에 대한 견해를 연구했고, 예카테리나 2세는 『나카즈』(교령)를 쓸 때 『법의 정신』을 많이 차용했다.[22]
몽테스키외는 프랑스 사회를 군주, 귀족, 평민의 세 계급(삼권 분립)으로 나누었다. 그는 주권과 행정적 권력(행정부, 입법부, 사법부)이 분리되어 서로 의존해야 한다고 보았다. 이는 봉건적 구조의 마지막 흔적을 지운 급진적인 생각이었다.
권력 분립 이론은 주로 『법의 정신』에서 비롯된다. 몽테스키외는 각 권력이 자체 기능만 수행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입법권과 행정권이 결합되거나 사법권이 분리되지 않으면 자유가 없다고 강조했다. 또한, 입법부가 행정부와 사법부를 임명하면 권력 분리/분할이 없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몽테스키외는 『법의 정신』에서 노예 제도 개혁을 옹호하면서, 모든 인간은 평등하게 태어났기 때문에 노예 제도가 본질적으로 잘못되었다고 주장했다.[23] 다만, 노동자들이 자발적으로 일하기 힘든 극심한 열대 기후에서는 정당화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23] 그는 노예 제도에 대한 풍자적인 가설 목록을 제시하며, 노예의 무료 노동 없이는 설탕이 비싸질 것이라는 주장을 포함했다.[23]
존 메이너드 케인스는 몽테스키외를 "아담 스미스의 진정한 프랑스 동등자"라고 묘사했다.[24]
3. 2. 법의 정신
1748년에 발표된 《법의 정신》은 법학 연구에 역사 법학적, 비교 법학적, 사회학적 방법을 처음으로 적용하여 법학 발전에 기여하였다.[40] 이 책은 당시 정치 사상에 커다란 영향을 끼쳤다. 몽테스키외는 군주정, 귀족정, 민주정이라는 고전적 구분법 대신, 공화정은 덕, 군주정은 명예, 독재정은 공포에 기초하고 있다는 자신만의 분석틀을 제시했다. 그는 최초로 입법권, 사법권, 행정권으로 권력을 나누는 삼권분립설과 입헌 군주 제도론을 주장하였고, 전제주의를 비판하며 법은 각국의 환경에 맞는 고유한 것이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주장은 인권 선언과 미국 헌법에도 영향을 미쳤다.[40]로마 가톨릭교회는 《법의 정신》을 금서 목록에 올려 금서로 지정하였으나, 몽테스키외는 이에 항의해 1750년《법의 정신에 대한 변론》을 출판했다.[41]
그는 디드로, 달랑베르 등이 편찬한 《백과전서》에도 협력하여 프랑스 혁명의 사상적 토대를 만드는 데 공헌하였다. 혁명이 시작되자 그의 사상이 실현되는 듯하였으나, 삼권 분립론을 제외하고는 그 영향력을 잃었다.
몽테스키외는 물레방아가 농업 노동자의 일을 빼앗아갔다고 비난한 바 있다.[42]
3. 3. 기후와 정치 체제
몽테스키외는 기후가 인간과 사회의 본성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기후 이론을 제시하였다.[25] 그는 프랑스의 온화한 기후가 이상적이라고 보았으며, 너무 더운 나라의 사람들은 "너무 흥분하기 쉽고", 북쪽 나라의 사람들은 "냉담하거나" "뻣뻣하다"고 주장했다. 따라서 중부 유럽의 기후가 최적이라고 보았다.[40] 이러한 주장은 헤로도토스의 『역사』, 히포크라테스 문헌의 "공기, 물, 장소에 관하여", 타키투스의 『게르마니아』 등에서 유사한 언급을 찾아볼 수 있다.몽테스키외는 이용 가능한 에너지원, 조직화된 생산 시스템, 기술과 같은 물질적 조건이 복잡한 사회문화 시스템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현대 인류학의 관심을 예견했다. 루이 알튀세르는 몽테스키외가 기후와 같은 물질적 요인을 사회 역학과 정치 형태 설명에 포함시킨 것은 인류학의 획기적인 성격이라고 언급했다.[25] 필립 M. 파커는 그의 저서 『피지오이코노믹스』에서 몽테스키외의 이론을 지지하며, 국가 간 경제적 차이의 상당 부분이 서로 다른 기후의 생리적 영향에 의해 설명된다고 주장한다.
4. 영향과 유산
존 로크처럼 몽테스키외의 작품인 《법의 정신》은 실험적이며, 장황하고, 불일치적인 면으로 파편적인 지식을 제공하였다. 그는 이신론자였을 것으로 추측되며, 종교를 상대적으로 묘사하였고, 실용주의적인 면에서는 영국의 관용주의자와 같았다.[43]
1981년부터 1994년까지 200 프랑(French franc) 지폐에는 몽테스키외의 모습이 그려져 있었다.[26]
1989년부터 프랑스 정치 사상사 학회는 정치 사상사에 관한 최고의 프랑스어 논문에 매년 몽테스키외 상을 수여하고 있다.[27]
2007년 유럽의 날에 네덜란드 헤이그에 몽테스키외 연구소가 설립되어 유럽 연합과 회원국의 의회 역사와 정치 문화에 대한 연구와 교육을 진흥하는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28]
룩셈부르크의 몽테스키외 타워는 2008년 유럽 사법 재판소의 본부인 사법궁에 추가 건물로 완공되었다.[29] 이 건물에는 기관의 번역 서비스 부서가 많이 있다. 2019년까지 이 건물은 자매 건물인 코메니우스 타워와 함께 룩셈부르크에서 가장 높은 건물이었다.[29]
- 장 스타로반스키 『몽테스키외: 그 생애와 사상』 고가 에이사부로·다카하시 마코토 역, 법정대학출판국 叢書·우니벨시타스, 1993년
- 니시지마 코우스케 『문명 비평가 몽테스키외: 『페르시아 사람의 편지』를 읽는다』 규슈대학출판회, 1996년
- 나카에 케이코 『불협화음의 우주로: 몽테스키외의 사회학』 신요샤, 2017년
5. 저작
보르도 아카데미 회고록 및 논문 (1718–1721)에는 메아리, 신장, 물체의 무게, 물체의 투명성, 자연사에 관한 논문이 포함되어 있으며, ''Œuvres complètes'' 8권과 9권에 서문과 비평 장치와 함께 수록되었다.(옥스퍼드 및 나폴리, 2003–2006)[30] ''Spicilège''(선집, 1715년 이후), ''Lettres persanes''(''페르시아 편지'', 1721), ''Le Temple de Gnide''(''그니도스의 신전'', 산문시; 1725), ''Histoire véritable''(''진실된 역사'', "동양" 이야기; 약 1723년–약 1738년), ''Considérations sur les causes de la grandeur des Romains et de leur décadence''(''로마인의 위대함과 몰락에 대한 고찰'', 1734), ''Arsace et Isménie''(''아르사스와 이스메니'', 소설; 1742), ''De l'esprit des lois''(''(On) 법의 정신'', 1748), ''Défense de "L'Esprit des lois"''(''"법의 정신"에 대한 변호'', 1750), ''Essai sur le goût''(''미에 대한 에세이'', 1757년 사후 출판), ''Mes Pensées''(''나의 생각'', 1720–1755) 등이 있다.
몽테스키외의 작품에 대한 비평판은 몽테스키외 학회에서 출판되고 있으며, 총 22권으로 계획되었고 2022년 2월 기준으로 5권을 제외하고 모두 출판되었다.[30]
''페르시아 편지''는 대암 마사루(大岩誠) 역, 이와나미 문고(岩波文庫)(상하) / 네기시 쿠니타카(根岸国孝) 역, 치쿠마쇼보(筑摩書房) 〈세계 문학 대계 16〉, 타구치 타쿠오미(田口卓臣) 역, 고단샤가쿠주쓰분코(講談社学術文庫)(2020년) 등으로 번역 출판되었다. ''로마인의 위대함과 몰락에 대한 고찰''은 타나카 하루오(田中治男) 외 역, 이와나미 문고, 이노우에 고우지(井上幸治) 역, 츄오코론 신샤(中公クラシックス)(신판) 등으로 번역 출판되었다. ''법의 정신''은 네기시 쿠니타카(根岸国孝) 편역 「세계의 대사상 16 몽테스키외」카와데쇼보 신샤(河出書房新社)(1969년), 노다 요시유키(野田良之) 외 6명 역, 이와나미 쇼텐(岩波書店), 후에 이와나미 문고(岩波文庫)(전3권), 츄오코론 신샤(중공클래식스)(요약본) 등에서 번역 출판되었다. ''미에 대한 에세이''는 다카하시 마사히사(高橋昌久) 역, 경록사(京緑社)에서 『쾌에 관한 논고』(2021년)로 출판되었다.
6. 평가
몽테스키외는 사회학의 아버지로 여겨진다. 그는 보수주의자였다.[35] 『페르시아인의 편지』의 한 구절에서는 비기독교 국가의 높은 출산율이 이혼을 허용하기 때문이라고 하였고, “부부 상호의 애정에 무엇보다 기여하는 것은 이혼의 가능성이다”라고 논술하였다(여성의 이혼권만을 주장).[36]
그의 초상화는 구 프랑스 프랑 200프랑 지폐에 그려진 적이 있었다.
참조
[1]
서적
Montesquieu
https://dictionary.r[...]
Random House Webster's Unabridged Dictionary
[2]
LPD
[3]
논문
[4]
웹사이트
Bordeaux · France
https://www.google.c[...]
[5]
서적
Montesquieu
George Routledge & Sons
[6]
서적
Enlightenment Contested: Philosophy, Modernity, and the Emancipation of Man 1670-1752
https://books.google[...]
OUP Oxford
2006-10-12
[7]
서적
Agreeable Connexions: Scottish Enlightenment Links with France
https://books.google[...]
Casemate Publishers
2012-11-05
[8]
서적
[9]
서적
[10]
서적
Montesquieu's Liberalism and the Problem of Universal Politic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8-08-23
[11]
서적
Civil Religion: A Dialogue in the History of Political Philosoph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0-10-25
[12]
서적
[13]
서적
[14]
논문
https://books.google[...]
[15]
학술지
The space of the sea in Montesquieu's political thought
2018-09-25
[16]
논문
[17]
웹사이트
The Spirit of Law, Book 11, Chapter 6, "On the English Constitution"
https://etext.lib.vi[...]
[18]
웹사이트
Considerations on the Causes of the Greatness of the Romans and their Decline
http://www.constitut[...]
The Free Press
[19]
논문
[20]
논문
https://archive.org/[...]
[21]
서적
[22]
논문
[23]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French Thought
Cambridge University Press
[24]
웹사이트
The General Theory of Employment, Interest, and Money preface
https://www.scribd.c[...]
[25]
논문
[26]
웹사이트
200 Francs Montesquieu {{!}} Grand choix de billets de collection de la BDF
https://www.boursedu[...]
2023-10-01
[27]
웹사이트
Prix Montesquieu - Association Française des Historiens des idées politiques
https://univ-droit.f[...]
2023-10-01
[28]
웹사이트
Start Montesquieu Instituut
https://www.montesqu[...]
2023-10-01
[29]
웹사이트
Montesquieu Tower
https://curia.europa[...]
Europa (web portal)
2023-10-01
[30]
웹사이트
Œuvres complètes
https://montesquieu.[...]
[31]
백과사전
2023-01-17
[32]
서적
モンテスキューの生涯と著作
中央公論社
[33]
서적
モンテスキューの生涯と著作
中央公論社
[34]
서적
モンテスキューの生涯と著作
中央公論社
[35]
학술지
モンテスキューの作品における法と正義―法制史と法理論の交差する読解
[36]
서적
Lettres Persanes
[36]
서적
Untying the Knot: A Short History of Divor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1
[37]
서적
법사회학
도서출판 아르케
2000-02-28
[38]
서적
Sociology of Law
https://archive.org/[...]
[39]
서적
거침없이 빠져드는 역사이야기 - 철학편
시그마북스
[40]
서적
근대의 탄생
브리태니커 편찬위원회
[41]
서적
위 책
브리태니커 편찬위원회
[42]
서적
물질문명과 자본주의Ⅰ-2 일상생활의 구조 下
까치
[43]
서적
The Enlightenment in America
https://www.worldcat[...]
Oxford University Press
197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