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무교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무교절은 이스라엘 백성이 이집트에서 탈출한 것을 기념하는 유대교의 절기이다. 유월절 다음 날인 니산월 15일부터 7일 동안 무교병을 먹으며, 첫날과 마지막 날에는 성회를 열고 노동을 금지한다. 구약 시대부터 지켜져 왔으며, 신약 시대에는 예수와 사도들이 이 절기를 지킨 기록이 있다. 현대 이스라엘에서는 7일간의 휴일로 기념하며, 이슬람 수니파에서도 비슷한 시기에 금식을 권장한다. 유월절과 무교절의 날짜와 관련하여 논란이 있으며, 출애굽기 및 레위기의 내용 차이로 인해 두 절기가 동일한지 여부에 대한 주장이 제기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대교 용어 - 메시아 시대
    메시아 시대는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 등에서 평화와 화합, 창조주에 대한 지식 증진을 특징으로 하며, 각 종교마다 메시아의 역할과 도래 시기에 대한 다양한 믿음을 가지고 있다.
  • 무효병 - 차파티
    차파티는 인도 아대륙의 주식이자 밀빵의 하나로, 밀가루와 물을 반죽하여 얇게 펴 타바에 구워 만들며, 다양한 음식과 함께 즐기는 납작한 빵이다.
  • 무효병 - 파라타
    파라타는 인도 아대륙에서 인기 있는 무발효 플랫브레드의 일종으로, 통곡물 반죽을 구워 만들며, 속을 채워 다양한 종류로 즐겨 먹는다.
  • 기독교 용어 - 선교사
    선교사는 기독교, 이슬람교, 불교, 힌두교 등 다양한 종교에서 교리 전파나 지역 주민 지원을 위해 파견하는 사람으로, 기독교 선교사는 타문화권에 복음을 전파하고 토착 교회 설립을 추구하며, 역사적으로 서구에서 비서구 지역으로 확장되었으나 식민주의 연관, 문화적 존중 부족 등으로 비판받기도 한다.
  • 기독교 용어 - 세례명
    세례명은 기독교에서 세례를 받을 때 받는 새로운 이름으로,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새롭게 태어남을 의미하며, 성경 속 인물들의 이름 변화에서 유래하여 중세 이후 유럽에서 일반적인 이름 형태로 정착되었고, 수호성인의 이름에서 따와 이름 축일로 기념되기도 한다.
무교절
개요
마짜
마짜
다른 이름유월절
무교병절
유형유대교
중요성이집트 탈출 기념
누룩 없는 빵 (마짜) 섭취
날짜
시작일니산월 15일
기간이스라엘: 7일
디아스포라 유대인: 8일
관련 축제
관련 축제유월절
초막절
칠칠절

2. 역사적 배경 및 유래

이스라엘 백성들이 유월절을 지키고 급히 애굽에서 나오느라 누룩을 넣지 않은 떡을 가지고 나오면서 칠일간 무교병을 먹게 되었다.(출애굽기 12:17~20) 유월절 밤에 애굽 왕 바로가 장자를 멸하는 재앙을 당하고 모세아론을 불러 이스라엘 백성들을 데리고 떠나라고 하였다. (출애굽기 12:30~31) 하나님께서 약속하신 가나안으로 출발한 후에 애굽 왕 바로의 군대에게 쫓기기 시작하여 홍해 바다를 건너는 7일 동안 고생한 날들을 기억하기 위한 절기이다.(신명기 16:3) 그래서 무교병을 '고난의 떡'이라고도 불렀다.[3]

3. 구약 시대의 무교절

이스라엘 백성들이 유월절을 지키고 급히 애굽에서 나오느라 누룩을 넣지 않은 떡을 가지고 나오면서 칠일간 무교병을 먹게 되었다. (출애굽기 12:17~20) 유월절 밤에 애굽 왕 바로가 장자를 멸하는 재앙을 당하고 모세아론을 불러 이스라엘 백성들을 데리고 떠나라고 하였다. (출애굽기 12:30~31) 하나님께서 약속하신 가나안으로 출발한 후에 애굽 왕 바로의 군대에게 쫓기기 시작하여 홍해 바다를 건너는 7일 동안 고생한 날들을 기억하기 위한 절기이다. (신명기 16:3) 그래서 무교병을 '고난의 떡'이라고도 불렀다.[3]

3. 1. 구약 성경 속 무교절 준수 사례

출애굽기 12장 17절에는 모세와 이스라엘 백성들이 이집트 탈출(출애굽) 당시 무교절을 지킨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1] 역대하 8장 13절에는 솔로몬 시대에 무교절을 지킨 장면이 묘사되어 있다.[2] 역대하 30장 13절에는 히스기야 시대 남유다에서 무교절을 지킨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3] 역대하 35장 17절에는 요시야 시대 남유다에서 무교절을 지킨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4] 에스라 6장 22절에는 바벨론 포로 시절에 무교절을 지킨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5]

3. 2. 구약 시대 무교절 예법

하나님께서 모세에게 하나님의 백성들이 지켜야 할 율법을 알려 주시면서 15일부터 7일 동안 무교절임을 선포하셨다.[1] 애굽에서 나온 것을 평생 기념하기 위해 무교병을 먹으라는 율법[2]에 따라, 오늘날에도 유대인들은 무교병을 먹는다.

  • 무교절 첫날과 끝날 성회를 열고 아무 노동도 하지 않는다.[3]
  • 무교절 절기 7일간 무교병을 먹는다.[3]
  • 무교절 절기 7일간 집에서 누룩을 제거한다.[4]

4. 신약 시대의 무교절

이스라엘 백성들이 유월절을 지키고 고난을 받은 것처럼, 예수최후의 만찬으로 많이 알려져 있는 유월절을 지키시고 무교절(니산월 15일)에 십자가에 달리는 고난을 받았다.[4][5] 초대교회 성도들은 신랑을 빼앗길 날에는 금식하라는 가르침대로 무교절에 금식으로 고난에 동참했다.[6][7] 신약성경에는 무교절에 대한 기록이 있다.

4. 1. 신약 성경 속 무교절 준수 사례


  • 베드로와 그 일행 (사도행전 12:3)[1]
  • 사도 바울과 그 일행 (사도행전 20:6)[2]

4. 2. 신약 시대 무교절 예법

이스라엘 백성들이 유월절을 지키고 고난을 받은 것처럼, 예수도 최후의 만찬으로 많이 알려져 있는 유월절을 지키시고 무교절(니산월 15일)에 십자가에 달리는 고난을 받았다.[4][5] 초대교회 성도들은 신랑을 빼앗길 날에는 금식하라는 가르침대로 무교절에 금식으로 고난에 동참했다.[6][7]

  • 무교절에 금식(마가복음 2:19~20)

5. 현대 이스라엘의 무교절

현대 이스라엘에서 무교절은 7일 간의 휴일이며, 첫날과 마지막 날은 법정 공휴일이다. 이 날에는 휴일 식사, 특별 기도 서비스를 진행하며 일을 하지 않음으로써 성일로 기념한다. 이스라엘 외부에 거주하는 유대인들은 유월절을 포함하여 8일 동안 축제를 기념한다. 카라이테 유대교인들과 사마리아인들은 다른 종류의 유대력을 사용하는데, 이 달력은 종종 현대의 유대력과 하루나 이틀 정도 차이가 난다. 예를 들어 2009년에 일반 유대교에서 사용한 유대력의 니산월 15일은 4월 9일에 해당했지만, 카라이테 유대교인들과 사마리아인들이 사용한 달력에서 아빕월(니산월) 15일은 2009년 4월 11일에 해당했다. 카라이테 유대교인과 사마리아인유월절은 하루 동안 진행되며, 이어서 6일 간의 무교절 축제가 이어진다.

6. 유월절과 무교절 날짜 논란

이스라엘 백성들이 유월절을 지키고 급히 애굽에서 나오느라 누룩을 넣지 않은 떡을 가지고 나오면서 칠일간 무교병을 먹게 되었다. (출애굽기 12:17~20) 유월절 밤에 애굽 왕 바로가 장자를 멸하는 재앙을 당하자 모세아론을 불러 이스라엘 백성들을 데리고 떠나라고 하였다. (출애굽기 12:30~31) 이후 이스라엘 백성은 하나님이 약속한 가나안으로 출발하였으나, 바로의 군대에게 쫓겨 홍해를 건너는 7일 동안 고생한 날들을 기억하기 위한 절기가 무교절이다. (신명기 16:3) 그래서 무교병을 '고난의 떡'이라고도 불렀다.[3]

6. 1. 유월절과 무교절이 같은 절기라는 주장에 대한 반박

많은 이스라엘 사람들이 10일부터 유월절과 무교절 준비를 같이 시작하고,[8] 날짜도 하루 차이(유월절은 14일, 무교절은 15일로부터 7일간)이고, 봄철 대표 절기가 무교절이다 보니, 유월절과 무교절을 흔히 혼동한다.[9][10] 유월절 다음 날인 15일부터 7일간 무교절로 지내며 누룩을 넣지 않은 빵을 먹으며 15일과 7일째에 성회를 가진다. (레위기 23:6~8) 원래 이 두 축제는 별개의 축제로 취급되었으나, 누룩을 넣지 않은 빵이 노예 생활에 대한 기억이며 죄악으로부터 정결하게 된다는 것을 의미하는 데다, 실질적으로 무교절에 쓸 누룩을 넣지 않은 빵을 만들기 위해서는 유월절 전부터 준비해야 했으므로 점차 하나의 절기로 여겨졌다.[11]

출애굽기 12장 내용과 레위기 23장 내용이 일부 차이가 있어, 결국 무교절과 유월절은 같은 절기라고 주장하기도 한다.[12] 출애굽기 12장 17절 초반에는 "무교절을 지키라"는 내용이 있고, "십사일 저녁부터 이십일일 저녁까지 무교병을 먹으라"는 내용이 있다. 무교절은 명칭에서 비롯된 것처럼, 무교병을 먹는 날로 알려져 있다. 그런데, 19절에는 "칠 일 동안은 누룩을 너희 집에 있게 않게 하라"고 적혀 있다. 그러므로 14일부터 무교절이 시작하므로, 유월절은 무교절에 포함된 비독립 절기라는 주장이다.

하지만, 십사일부터 이십일일은 팔 일에 해당한다. 8일간 무교병을 먹게 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 14일 저녁 유월절에는 양고기와 무교병과 쓴 나물을 먹으라고 하였다.
  • 15일부터 21일(칠 일)은 무교절에는 무교병을 먹으라고 하였다.


즉, 유월절날 무교병을 먹게 되어 있는 절기 내용 때문에 유월절과 무교절이 같다고 여기는 것이지, 유월절은 무교절과 같지 않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7. 이슬람의 무교절

이슬람 수니파에서는 정월 10일에 금식을 권장한다. 이는 모세와 이스라엘 백성들이 이집트에서 홍해를 거쳐 탈출한 날을 기념하는 것이라고 한다.

참조

[1] 웹인용 개역한글판/신명기 16:16 https://ko.wikisourc[...] 2020-03-07
[2] 문서 레위기 23장 6-7절
[3] 웹인용 "[배경으로 읽는 ‘성경 절기’(7)] 무교병 이야기" http://www.kidok.com[...] "" 2020-02-29
[4] 웹인용 무교절(無酵節) - 그리스도의 고난(苦難)을 기념하는 하나님의 절기 https://pasteve.com/[...] "" 2020-02-29
[5] 웹인용 유월절과 무교절의 기원과 실상 http://passoveris.co[...] "" 2020-02-29
[6] 서적 교회사 초대편 대한기독교서회
[7] 웹인용 개역한글판/마가복음 2:20 https://ko.wikisourc[...] 2020-03-07
[8] 웹인용 개역한글판/출애굽기 12:3-6 https://ko.wikisourc[...] 2020-03-18
[9] 웹인용 "[배경으로 읽는 ‘성경 절기’(3)] 유월절과 무교절 날짜 이야기" http://www.kidok.com[...] "" 2021-02-05
[10] 웹인용 제 3 절 무교절 http://kcm.co.kr/bib[...] "" 2021-02-05
[11] 웹인용 두란노 http://www.duranno.c[...] 2021-02-05
[12] 웹인용 The Feast of Unleavened Bread... Wait - Isn't it Passover? https://www1.cbn.com[...] nul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