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무라오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무라오족은 중국에 거주하는 소수 민족으로, 주로 광시 좡족 자치구에 분포한다. 진나라 시대 링족과 랴오족의 후예로 여겨지며, 원나라 때는 소수 특권 계층 중심의 사회를 이루었다. 청나라 때는 영토가 '동'으로 분할되어 행정 구역이 구성되었다. 유전자 연구에 따르면, 무라오족은 중국 남부와 동남아시아 계통의 유전적 특징을 보이며, 주변 민족과의 혼혈의 결과로 보인다. 2010년 중국 인구 조사에 따르면 216,257명의 무라오족이 있으며, 인구는 증가 추세이다. 무라오어는 따이까다이어족에 속하며, 한자를 사용한다. 전통적으로 애니미즘을 믿고, 부모가 정한 혼인을 하며, 특유의 의복과 주거 문화를 가지고 있다. 광시 좡족 자치구에 자치현이 설치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의 민족 - 우즈베크인
    우즈베크인은 중앙아시아의 튀르크계 민족으로, 기원전 2천년기부터 역사가 시작되었으며, 이슬람 문화를 받아들이고 러시아 제국과 소련을 거쳐 1991년 우즈베키스탄 공화국을 수립했으며, 농업, 목축, 수공업, 상업에 종사하며 튀르크어족의 우즈베크어를 사용하고 수니파 이슬람교를 믿는다.
  • 중국의 민족 - 투르크멘인
    투르크멘인은 투르크메니스탄을 중심으로 인접 국가에 거주하는 튀르크계 민족으로, 오구즈 투르크를 조상으로 하며 유목 생활, 여러 제국 지배,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을 거쳐 투르크메니스탄으로 독립했고, 투르크멘어를 사용하며 수니파 이슬람교를 믿고 독특한 민속 공예와 음악 전통을 지닌다.
무라오족
기본 정보
이름무라오족
원어 이름Mulam
중국어 이름 (간체)仫佬族
인구 통계
전체 인구 (2010년)216,257명
거주 지역광시
언어
사용 언어무람어
종교
종교주로 불교, 도교 및 정령 숭배의 영향을 받음
민족 관계
관련 민족둥족, 좡족

2. 역사

무라오족은 진나라 때 이 지역에 거주했던 고대 링족과 랴오족의 후손으로 여겨진다. 원나라 때 무라오족은 소수 특권계급 중심의 사회를 이루었고, 황제에게 1년에 두 번 공물을 바쳤다. 청나라 때는 영토가 행정구역으로 분할되어 '동'으로 나뉘었고, 각 동은 10호 단위로 구성되어 동장이 치안 유지와 세금 징수를 담당했다. 보통 각 동은 씨족 단위로 구성되었다.

덩충잉과 왕추안차오 등은 무라오족의 유전자 풀이 중국 남부의 특징적인 계통이라고 보고했다. 일부 고대 동남아시아 계통도 확인되었다. 무라오족은 캄-쑤이(Kam-Sui) 인구와 유사한 유전적 다양성을 보였으며, 이는 언어 분류와 일치한다. 그러나 무라오족의 기원은 더 복잡해 보이는데, 한족의 확장과 분산으로 인한 중국-티베트계 인구로부터의 유전자 흐름이 부계 측면에서 감지되었고, 모계 mtDNA는 먀오-야오(Hmong-Mien)와 군집을 이루었다. 종합적으로 볼 때, 무라오족의 기원은 주변 인구와 토착 캄-쑤이(Kam-Sui) 인구 사이의 혼합의 결과이다.[2]

21세기 중국의 무라오족 인구는 2000년 207,352명에서 2010년 216,257명으로 증가했다.[1][3]

2. 1. 고대

무라오족은 진나라 때 이 지역에 거주했던 고대 링족과 랴오족의 후손으로 여겨진다. 원나라 시대에 무라오족은 봉건 사회에서 살았으며, 황제에게 일년에 두 번 조공을 바쳤다.[2]

2. 2. 중세

무라오족은 진나라 때 이 지역에 거주했던 고대 링족과 랴오족의 후손으로 여겨진다. 원나라 때 무라오족은 소수 특권계급 중심의 봉건 사회를 이루었고, 황제에게 1년에 두 번 공물을 바쳤다.

2. 3. 근대

청나라 시대에 무라오족의 영토는 행정 구역으로 분할되었는데, 그들의 토지는 10가구 단위로 구성된 '동'으로 나뉘었다. 각 '동'에는 질서를 유지하고 세금을 징수할 책임이 있는 자체 지역 지도자가 있었다. 각 '동'은 일반적으로 같은 성씨를 가진 가족들로 구성되었다.[2]

덩충잉(Qiongying Deng)과 왕추안차오(Chuan-Chao Wang) 등은 무라오족의 대부분의 부계 및 모계 유전자 풀이 중국 남부의 특징적인 계통이라고 보고했다. 일부 고대 동남아시아 계통(Y 염색체 haplogroups C와 D, mtDNA haplogroups M*, M33, M74 및 R*)도 무라오족에서 확인되었다. 무라오족은 다른 남부 인구, 특히 캄-쑤이(Kam-Sui) 인구와 유사한 Y 염색체 및 mtDNA 다양성 패턴을 보였으며, 이는 실제로 언어 분류와 일치했다. 그러나 무라오족의 기원은 훨씬 더 복잡해 보인다. 최근 중국-티베트계 인구로부터의 유전자 흐름이 무라오족의 부계 측면에서 감지되었는데, Y 염색체 haplogroups O3a1c-002611, O3a2c1*-M134 및 O3a2c1a-M117 등이 그것으로, 아마도 한족의 확장과 분산을 통해 이루어졌을 것이다. 모계 측면에서 볼 때, 무라오족의 대부분의 mtDNA haplogroups 역시 먀오-야오(Hmong-Mien)와 함께 군집을 이루었다. 종합적으로 볼 때, 무라오족의 기원은 주변 인구와 토착 캄-쑤이(Kam-Sui) 인구 사이의 혼합의 결과이다.[2]

21세기 중국의 무라오족 인구는 2000년 207,352명에서 2010년 216,257명으로 증가했다.[1][3]

2. 4. 현대

덩충잉(Qiongying Deng)과 왕추안차오(Chuan-Chao Wang) 등은 무라오족의 부계 및 모계 유전자 풀 대부분이 중국 남부의 특징적인 계통이라고 보고했다. 일부 고대 동남아시아 계통(Y 염색체 haplogroups C와 D, mtDNA haplogroups M*, M33, M74 및 R*)도 무라오족에게서 확인되었다. 무라오족은 다른 남부 인구, 특히 캄-쑤이(Kam-Sui) 인구와 유사한 Y 염색체 및 mtDNA 다양성 패턴을 보였으며, 이는 언어 분류와 일치한다. 그러나 무라오족의 기원은 더 복잡해 보인다. 최근 중국-티베트계 인구로부터의 유전자 흐름이 무라오족의 부계 측면에서 감지되었는데, Y 염색체 haplogroups O3a1c-002611, O3a2c1*-M134 및 O3a2c1a-M117 등이 그것으로, 아마도 한족의 확장과 분산을 통해 이루어졌을 것이다. 모계 측면에서 볼 때, 무라오족의 mtDNA haplogroups 대부분 역시 먀오-야오(Hmong-Mien)와 함께 군집을 이루었다. 종합적으로 볼 때, 무라오족의 기원은 주변 인구와 토착 캄-쑤이(Kam-Sui) 인구 사이의 혼합의 결과이다.[2]

21세기 중국의 무라오족 인구는 2000년 207,352명에서 2010년 216,257명으로 증가했다.[1][3]

3. 인구 통계

2010년 중국 인구 조사에 따르면, 무라오족은 총 216,257명이며, 남성은 110,516명, 여성은 105,741명이다.[1]

3. 1. 분포

2010년 중국 인구 조사에 따르면, 중국에는 216,257명의 무라오족이 거주하며, 이들 중 대다수는 광시 좡족 자치구에 거주한다.[1] 무라오족 남성은 110,516명, 여성은 105,741명이다.[1] 무라오족은 비교적 농촌 지역에 거주하며, 2010년 기준 도시 지역에 95,703명,[1] 농촌 지역에 120,554명이 거주한다.[1]

중국 내 무라오족 분포[1]
성급 행정 구역2010년
인구중국 전체 무라오족 대비 비율
광시 좡족 자치구172,30579.68%
구이저우성24,95611.54%
광둥성10,9615.07%
저장성2,7921.29%
후난성9060.42%
기타4,3372.01%
총계216,257100.00%

3. 2. 연령별 인구 구성

2010년 중국 인구 조사 기준 무라오족 연령별 인구 구성
연령인구 (명)비율 (%)
0-4세17,6408.16
5-9세13,8796.42
10-14세13,8426.40
15-19세15,6537.24
20-24세22,22110.28
25-29세21,1909.80
30-34세17,8688.26
35-39세18,3208.47
40-44세17,9898.32
45-49세14,7476.82
50-54세9,4964.39
55-59세10,0534.65
60-64세6,9503.21
65-69세5,4892.54
70-74세4,6942.17
75-79세3,3411.54
80-84세1,8450.85
85-89세7160.33
90-94세2300.11
95-99세820.04
100세 이상120.01


4. 언어

무람어는 따이까다이어족에 속하는 언어 중 하나로, 둥족의 언어와 마찬가지로 유성파열음이 없고, 유무성 비음과 측면음을 포함한다. 모음은 7개로 구성되어 있으며, 10개의 높낮이를 가진 고저 언어이다. 무람어 어휘의 65%는[1] 티베트어 및 둥어와 공유된다. 명나라 이후 무람어를 읽고 쓰는 데 한자가 사용되기 시작했으며, 무람족 대다수는 중국어, 티베트어, 둥어를 구사할 수 있다.

물라오족은 타이-카다이어족에 속하며, 한자를 사용하는 물라오어를 사용한다.

5. 문화

무라오족은 전통적으로 애니미즘 신앙을 가지고 있었으며, 매달 다양한 축제를 열었다. 그중 가장 중요한 것은 다양한 동물 희생을 치르는 '이판'이었다. 또 다른 축제로는 단오가 있는데, 음력 5월 5일에 열리며 풍작을 기원하고 해충을 쫓는 의식을 행했다.

5. 1. 전통 의상

남성의 전통 의상은 큰 단추가 달린 재킷, 헐렁한 바지, 샌들로 구성된다. 미혼 여성은 머리를 두 갈래로 땋아 결혼하면 묶음으로 묶는다.[1]

5. 2. 주거

무라오족의 주거 양식은 진흙으로 벽돌을 만들어 사용하며, 방 세 개로 구성되어 있다. 동물은 주거지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서 키운다. 남자의 전통 의상은 큰 단추가 달린 저고리와 넓은 바지, 샌들로 구성된다. 미혼 여성은 결혼할 때까지 머리를 두 갈래로 땋는다.

5. 3. 혼인

전통적으로 무라오족의 혼인은 부모에 의해 정해졌으며, 신랑과 신부는 첫 아들이 태어나기 전까지는 함께 살지 않았다.[1]

5. 4. 축제

전통적으로 무라오족은 대부분 애니미즘 신봉자들이었고, 매달 다양한 축제를 열었다. 이 중 가장 중요한 것은 다양한 동물 희생을 치르는 축제인 ''이판''이었다.

무라오족의 또 다른 축제 중 하나는 단오로, 음력 5월 5일에 기념되었다. 이 축제 기간 동안, 무당들은 풍작을 보장하고 해충을 몰아내기 위한 의식을 행했다.

6. 종교

지금은 종교가 큰 역할을 하지 않을지라도, 전통적으로 무라오족은 보통 애니미즘을 신봉해 왔다. 매달 다양한 축제를 열었고, 가장 중요한 축제 중 하나는 동물을 잡아 제물로 바치는 이탄이라고 하는 축제였다.[1]

이들의 다른 축제 중 하나는 단오로, 음력 5월 5일에 기념되었다. 이 축제 기간 동안, 무당들은 풍작을 보장하고 해충을 몰아내기 위한 의식을 행했다.[1]

7. 자치 지방

광시 좡족 자치구 뤄청 무랴오족 자치현

참조

[1] 웹사이트 中国2020年人口普查资料 http://www.stats.gov[...] National Bureau of Statistics of China 2021-08-19
[2] 논문 Genetic affinity between the Kam-Sui speaking Chadong and Mulam people 2013
[3] 웹사이트 中国2000年人口普查资料 http://www.stats.gov[...] National Bureau of Statistics of China 2021-08-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