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무주초등학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무주초등학교는 1909년 9월 3일 사립 명륜학교로 개교하여, 1912년 무주공립보통학교로, 1996년 현재의 무주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했다. 일제강점기에는 무주제일공립심상소학교, 무주공립동국민학교, 무주공립국민학교로 불렸다. 여러 분교가 설립되었으며, 1967년에는 무주중앙초등학교가 분리되었다. 1969년과 2009년에 개교 기념 행사를 가졌으며, 2012년 병설유치원이 폐원되었다. 2015년 2월 13일 제103회 졸업생을 배출하여 총 12,346명의 졸업생을 배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무주군의 초등학교 - 괴목초등학교
    괴목초등학교는 1949년에 개교하여 1954년에 첫 졸업생을 배출하고 1983년 병설 유치원을 개원했으며, 1996년 교명 변경 후 1999년 다목적 강당을 준공, 2015년까지 총 3,732명의 졸업생을 배출한 대한민국의 초등학교이다.
  • 무주군의 초등학교 - 구천초등학교 (전북)
    구천초등학교 (전북)는 1934년 설천공립보통학교 부설 심곡간이학교로 개교하여 1996년 현재의 교명으로 변경되었으며, 전라북도교육청 지정 혁신학교로 운영되다가 2013년부터 2015년까지 졸업식을 진행했다.
  • 1909년 개교 - 가와바타 미술학교
    가와바타 미술학교는 다양한 분야의 예술가를 배출한 일본의 미술 학교이다.
  • 1909년 개교 - 평양고등보통학교
    평양고등보통학교는 일제강점기 평양에 설립되어 해방 후 남북한 여러 분야에서 활동한 인물들을 배출했으며, 독립운동가를 배출하여 민족의식을 고취하는 데 기여한 교육기관이다.
무주초등학교 - [지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무주초등학교
한자 표기茂朱初等學校
영문 표기Muju Elementary School
무주초등학교 이미지
교훈고운 마음씨, 깨끗한 맵시, 뛰어난 슬기
개교1909년 9월 3일
설립 형태공립
교장강종완
국가대한민국
위치전북특별자치도 무주군 무주읍 향한로 43
학생 수188명 (2022년 5월 1일 기준)
교직원 수21명 (2022년 5월 1일 기준)
상징교목: 주목, 교화: 무궁화, 교조: 까치
관할 관청전북특별자치도무주교육지원청
웹사이트무주초등학교 웹사이트

2. 학교 연혁


  • 1909년 9월 3일, 차산리 출신 황종경(黃鍾)이 사재를 들여 무주향교 명륜당에 '사립(私立) 명륜학교(明倫學校)' 개교
  • 1911년 5월 1일, 사립 보통학교 인가 신청
  • 1911년 6월 23일, 무주사립보통학교로 인가를 받음 (정식 개교)
  • 1912년 1월 21일, 무주공립보통학교 설립 신청 (4월 29일 인가 받음)
  • 1912년 6월 27일, '''무주공립보통학교'''(茂朱公立普通學校)로 개칭 (2학급 31명, 수학 기간 4년)
  • 1913년 3월 25일, 제1회 졸업생 배출 (7명)
  • 1921년 4월 1일, 6년제로 변경 (5학급 편성)
  • 1935년 1월 1일, 신축 학사(學舍) 완공 (현재 학교 소재지로 이전)
  • 1938년 4월 1일, '''무주제일공립심상소학교'''(茂朱公立第一尋常小學校)로 개칭
  • 1941년 4월 1일, '''무주공립동국민학교'''(茂朱公立東國民學校)로 개칭 : 일제 강점기 국민학교령(國民學校令) 시행
  • 1947년 1월 24일, '''무주공립국민학교'''(茂朱公立國民學校)로 개칭
  • 1947년 3월 6일, 용포분교장(龍浦分敎場) 설립 (1963년 4월 8일에 옥포(용포)국민학교로 승격 분리)
  • 1947년 3월 10일, 장백분교장(長白分敎場) 설립
  • 1947년 4월 12일, 내도분교장(內島分敎場) 설립 (1953년 4월 30일에 내도국민학교로 승격 분리)
  • 1960년 4월 5일, 대차분교장(大車分敎場) 설립 (1993년 3월 1일 폐교되어 본교로 편입)
  • 1962년 5월 27일, 가옥분교장(佳玉分敎場) 설립 (1963년 4월 8일에 옥포초등학교로 이관)
  • 1967년 3월 1일, 오산분교장(吾山分敎場) 설립 (1972년 3월 1일에 장오(무주동)국민학교로 승격 분리)
  • 1967년 3월 1일, 무주중앙초등학교 분리 (무주초등학교 12학급 분리)
  • 1969년 9월 3일, 개교 60주년 기념 행사
  • 1973년 3월 5일, 전도분교장(前島分敎場) 설립 (1991년 3월 1일 폐교되어 본교로 편입)
  • 1981년 1월 18일, 특수학급 1학급 편성
  • 1981년 3월 9일, 병설유치원 개원
  • 1995년 3월 1일, 14학급 477명 재학
  • 1996년 3월 1일, '''무주초등학교'''(茂朱初等學校)로 개칭
  • 1999년 3월 1일, 13학급 424명 재학
  • 2000년 3월 1일, 13학급 435명 재학
  • 2004년 3월 1일, 13학급 305명 재학
  • 2008년 3월 1일, 13학급 251명 재학
  • 2009년 9월 3일, 개교 100주년 기념 행사
  • 2012년 2월 15일, 제100회 졸업생 43명 배출 (개교 이래 졸업생 12,233명 배출)
  • 2012년 3월 1일, 12학급 228명 재학
  • 2012년 8월 31일, 병설유치원 폐원
  • 2013년 3월 1일, 12학급 223명 재학
  • 2015년 2월 13일, 제103회 졸업생 30명 배출 (개교 이래 졸업생 12,346명 배출)

2. 1. 설립 초기 (1909년 ~ 1945년)

1909년 9월 3일, 황종경(黃鍾)이 사재를 들여 무주향교 명륜당에 사립(私立) 명륜학교(明倫學校)를 개교하였다. 1911년 6월 23일, 무주사립보통학교로 인가를 받았다. 1912년 6월 27일, '''무주공립보통학교'''(茂朱公立普通學校)로 개칭되었으며, 2학급 31명으로 4년제였다. 1913년 3월 25일, 제1회 졸업생 7명을 배출하였다.

1921년 4월 1일, 6년제로 변경되어 5학급이 편성되었다. 1935년 1월 1일, 신축 학사(學舍)를 완공하여 현재 학교 소재지로 이전하였다. 1938년 4월 1일, '''무주제일공립심상소학교'''(茂朱公立第一尋常小學校)로, 1941년 4월 1일에는 '''무주공립동국민학교'''(茂朱公立東國民學校)로 개칭되었다. 이는 국민학교령(國民學校令) 시행에 따른 것이었다.

2. 2. 해방 이후 (1945년 ~ 현재)

해방 이후, 무주공립국민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1] 용포분교장과[1] 내도분교장을[2] 설립하였으며, 이들은 각각 옥포(용포)국민학교와 내도국민학교로 승격, 분리되었다.[1][2] 대차분교장과[3] 가옥분교장이[3] 설립되었으나, 대차분교장은 1993년 3월 1일 폐교되어 본교로 편입되었고, 가옥분교장은 옥포초등학교로 이관되었다.[3] 오산분교장은 장오(무주동)국민학교로 승격, 분리되었으며, 1967년 3월 1일에는 무주중앙초등학교가 무주초등학교에서 분리되었다. 1973년 3월 5일 설립된 전도분교장은 1991년 3월 1일 폐교되어 본교로 편입되었다. 1981년에는 특수학급 1학급이 편성되었고, 병설유치원이 개원하였다. 1996년 3월 1일, 현재의 교명인 무주초등학교로 개칭되었다. 1969년 9월 3일과 2009년 9월 3일에는 각각 개교 60주년 및 100주년 기념 행사가 열렸다.[1][2][3] 2012년 8월 31일, 병설유치원은 폐원되었다. 2015년 2월 13일, 제103회 졸업생 30명을 배출하여, 개교 이래 총 12,346명의 졸업생을 배출하였다.

3. 역대 교장


  • 1912년 7월 2일 제1대 시게지 데루이(重枝照衛) 교장이 부임하였다.
  • 1921년 4월 6일 제2대 岡本護童 교장이 부임하였다.
  • 1922년 4월 6일 제3대 호리노부로(堀昇) 교장이 부임하였다.
  • 1925년 3월 31일 제4대 柿原幹太郞 교장이 부임하였다.
  • 1927년 1월 19일 제5대 黑川漸 교장이 부임하였다.
  • 1931년 3월 31일 제6대 日比弘 교장이 부임하였다.
  • 1934년 9월 21일 제7대 노마지 다미오(野町民雄) 교장이 부임하였다.
  • 1939년 3월 31일 제8대 近藤林平 교장이 부임하였다.
  • 1941년 3월 31일 제9대 후류간 도시오(古閑俊男) 교장이 부임하였다.
  • 1943년 3월 31일 제10대 眞本雄次郞 교장이 부임하였다.
  • 1944년 3월 26일 제11대 의가사 겐꼬(衣笠源吾) 교장이 부임하였다.
  • 1945년 10월 31일 제12대 임종성 교장이 부임하였다.
  • 1947년 1월 24일 제13대 김환형 교장이 부임하였다.
  • 1954년 7월 10일 제14대 조창주 교장이 부임하였다.
  • 1958년 9월 15일 제15대 김환형 교장이 부임하였다.
  • 1970년 10월 1일 제16대 조용만 교장이 부임하였다.
  • 1972년 4월 1일 제17대 신민철 교장이 부임하였다.
  • 1976년 9월 1일 제18대 황선기 교장이 부임하였다.
  • 1981년 3월 26일 제19대 이주희 교장이 부임하였다.
  • 1986년 9월 1일 제20대 신용우 교장이 부임하였다.
  • 1989년 9월 1일 제21대 하달수 교장이 부임하였다.
  • 1992년 9월 1일 제22대 백성식 교장이 부임하였다.
  • 1995년 3월 1일 제23대 오세진 교장이 부임하였다.
  • 1999년 3월 1일 제24대 이인래 교장이 부임하였다.
  • 2000년 9월 1일 제25대 임종윤 교장이 부임하였다.
  • 2004년 3월 1일 제26대 이정세 교장이 부임하였다.
  • 2008년 9월 1일 제27대 김종철 교장이 부임하였다.
  • 2013년 3월 1일 제28대 조용현 교장이 부임하였다.

4. 학교 동문

자세한 내용은 분류:무주초등학교 동문 문서를 참고하면 된다.

참조

[1] 학교 1995-03-01
[2] 학교 1997-03-01
[3] 학교 1992-03-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