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무체강형동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무체강형동물은 무장강과 유악강으로 분류되는 좌우대칭동물이다. 이들은 소화관, 순환계, 호흡계, 배설계가 없고 체강, 후장 또는 항문이 없는 단순한 해부학적 구조를 가진다. 무체강형동물은 과거 편형동물로 여겨졌으나, 분자 계통 발생학 연구를 통해 제노투르벨라강과 함께 제노무체강동물을 구성하며 좌우대칭동물의 기저 분기를 형성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해수어 사육 시 수조 내에서 번식할 수 있으며, 제거 방법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무장동물 - 네메르토데르마강
    네메르토데르마강은 아스코파리과와 네메르토데르마과를 포함하며, 6개의 속으로 분류되지만 숨은 다양성으로 인해 실제 종의 수는 더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
  • 무장동물 - 무장류
    무장류는 해양, 기수, 담수 환경에 적응하여 살아가며 2mm 미만의 크기를 가진 작은 생물로, 융합조직 내 액포를 통해 소화하고 일부 종은 미세 조류와 공생하며, 과거 편형동물문으로 여겨졌으나 분자 분석 기술로 별개의 분류군으로 인정받아 양측 대칭 동물 진화 연구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Bursalia, Crucimusculata, Prosopharyngida 등으로 나뉜다.
  • 진무장동물 - 진와충속
    진와충속은 뇌나 체강 없이 섬모로 덮인 표면과 산재신경계를 가진 단순한 체제의 해양 무척추동물로, 진무장동물문에 속하며 후구동물의 자매군으로 분류된다.
  • 진무장동물 - 진무체강형동물
    진무체강형동물은 진와충동물, 무장동물, 진와충동물을 포함하는 해양 생물 분류군으로, 분자생물학적 분석과 직접 발생형이라는 공통점을 가지며 단순한 신경망을 지닌다.
무체강형동물
개요
플레로기라 종 산호 위에 있는 무체강형동물 와미노아 종
플레로기라(Plerogyra) 종 산호 위에 있는 와미노아(Waminoa) 종
학명Acoelomorpha
명명자울리히 에러스(Ehlers, 1985)
동물계(Animalia)
아계진정후생동물(Eumatazoa)
계통군좌우대칭동물(Bilateria)
진무장동물문(Xenacoelomorpha)
하위 분류
무장류(Acoela)
피중신경강(Nemertodermatida)

2. 분류

무체강아문은 무장강과 유악강의 두 강으로 나뉜다. 최소 408종이 기술되어 있으며, 이 중 대다수는 무장강에 속하는 십자근상목에 속한다.[5]



유악강형동물의 다양한 종들.

  • '''무장강'''은 12개 과로 분류되는 작고 납작한 벌레로 구성된다.[6]
  • '''유악강'''은 수 밀리미터 크기의, 주로 간극에 서식하는 벌레로 구성되며 두 개의 과로 분포한다.[7]


다양한 무장류. A-D: 과의 , E-G: 컨볼루타과의 , H: 과의 。


무장동물에는 무장목과 피중신경목이 포함된다[38]。2018년 현재 무장목에는 약 380종, 피중신경목에는 약 10종이 포함되어 있다[38]

다음은 과까지의 하위 분류를 나타낸다. 무장목의 분류는 Tyler & Schilling in Zhang (2011)에 따른다[46][47]

  • '''무장동물'''
  • * 무장목
  • **
  • **
  • **
  • ** []
  • **
  • **
  • **



*
**
**
**
*
*
**
**
** ( 및 포함)
**
*** ( 포함)
*** 컨볼루타과[48] ( 및 포함) - 나이카이무초우우즈무시 [48][40]、와미노아무초우우즈무시 [49]

  • * 피중신경목
  • **
  • **

2. 1. 무장강 (Acoela)

무장강(Acoela)은 작고 납작한 형태를 가진 동물로, 12개 과로 분류된다.[6] 무장강에는 십자근상목을 포함하여 다양한 종들이 속해있다.[5]

2. 2. 유악강 (Nemertodermatida)

유악강(Nemertodermatida)은 수 밀리미터 크기의 벌레 모양으로, 주로 간극에 서식하며 아스코파리스과와 네메르토데르마과의 두 과로 나뉜다.[7]

3. 계통 발생

무체강형동물은 부드러운 몸체와 몇 가지 주요한 좌우대칭동물 특징이 없어[8][9] 분류하기 어렵다. 과거에는 표현형 특징을 기반으로 편형동물 문에 속하는 것으로 여겨졌고, 편형동물은 오랫동안 다른 모든 좌우대칭동물 문들의 자매군으로 간주되었다.[10] 그러나 20세기 말과 21세기 초 사이에 분자 계통 발생학 연구를 통해 무체강형동물이 편형동물과 관련이 없는 빠르게 진화하는 유기체이며,[11][12][13][14] 다계통군의 편형동물을 포함하게 되었다는 것이 밝혀졌다.[15][16][17][18]

''제노투르벨라''는 무체강형동물의 자매군이다.


무체강형동물은 좌우대칭동물 진화의 핵심인 별도의 기저 분기 문을 구성한다.[19] 이들의 진화적 유연성은 수수께끼로 남아 있는데, 다른 모든 좌우대칭동물[15][16][17] 또는 모든 후구동물의 자매군일 수 있기 때문이다.[18] 만약 무체강형동물이 좌우대칭동물의 자매군이라면, 최초의 좌우대칭동물은 단순한 몸체 형태를 가졌을 것이고, 후구동물과 관련이 있다면, 구조는 2차적 단순화의 결과일 것이다.[20]

형태학, 발달학 및 분자적 특징의 비교 분석을 통해 제노투르벨라강은 무체강형동물의 자매군이며, 이들은 제노무체강동물 분류군을 구성한다는 것이 밝혀졌다.[21] 무체강형동물과 ''제노투르벨라'' 사이의 밀접한 진화적 관계는 형태학(표피 섬모의 구조[22]), 발생학(섭식 유충 단계를 거치지 않는 직접 발달[23]), 그리고 수백 개의 단백질 연결을 통해 뒷받침된다.[24][21][25]

좌우대칭동물 중에서 제노무체강동물의 계통 발생학적 위치는, 분류군 및 유전자 표본 추출이 증가하고, 공개된 데이터 집합의 (재)분석이 이루어지고, 계통유전체학 연구에서 더 정교한 치환 모델을 사용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 잘 정의되지 않았다. 제노걷붙이동물 가설과[26] 신원생동물 가설[25][27][28] 사이에 충돌이 있다. 신원생동물 가설은 계통유전체학적 추론에서 모델 위반으로 인한 방법론적 오류를 반영할 수 있다.[26]

4. 생태

5. 해부학적 구조

무체강형동물은 여러 면에서 편형동물과 유사하지만, 소화관조차 없어 더 단순한 해부학적 구조를 가지고 있다.[1] 소화계, 순환계, 호흡계가 없고, 배설계 또한 없다. 체강(무체강 구조), 후장 또는 항문이 없다.[1]

''Symsagittifera roscoffensis''


무체강형동물의 표피 세포는 증식할 수 없는데, 이는 선충류와 공유하는 특징이며, 한동안 무체강형동물이 편형동물 내에 위치한다는 강력한 증거로 여겨졌다. 두 그룹 모두에서 표피는 중배엽 줄기 세포로부터 갱신된다.[29]

무체강형동물의 신경계는 섬모가 있는 표피 아래에 있는 일련의 종방향 신경 다발로 형성된다. 앞쪽 끝 근처에서 이러한 다발은 환상 연합으로 연결되지만 진정한 뇌를 형성하지는 않는다.[30] 이러한 조직은 더 파생된 양측 대칭 동물에서 신경계의 두부화의 전구체였다고 추정된다.[30] 머리가 잘린 후, '대뇌 신경절'은 몇 주 안에 재생된다.[31]

감각 기관에는 평형기와, 경우에 따라 빛을 감지할 수 있는 원시 색소 반점 눈이 포함된다.[32]

무체강형동물은 자웅동체이지만, 생식선이 없고 여성 생식 시스템과 관련된 관도 없다. 대신, 배우자는 표피와 소화액포 사이의 몸을 채우는 중간엽 세포에서 생성된다.[32] 매우 작고 납작한 생물로, 보통 2mm 이하의 길이를 갖는다. 장을 가지지 않으며,[44] 소화는 합포체에 의해 이루어진다. 소화를 위한 강을 덮는 상피 세포는 없지만, 입에서 합포체로 이어지는 짧은 인두를 가진 경우도 있다.

6. 인간과의 관계

해수어를 사육할 때, 산호나 돌(리빙 블록), 해조류 등에 섞여 유입되어 수조 내에서 대량 번식하는 경우가 있다. 꾸준히 스포이트로 빨아들이거나, 담수욕을 시키거나, 포식하는 생물을 넣는 방법으로 제거한다. 망둑어과 어류나 니세모치노우오, 니시키츠바메가이, 벨벳갯민숭달팽이 등이 포식자로 알려져 있지만, 효과는 개체에 따라 다를 수 있다. 담수욕은 효과적이지만 산호 등 다른 생물에게도 피해를 줄 수 있다. 다른 해수에서 리빙 블록이나 자갈 등을 가져오는 경우에는, 담수에 잠시 담가 약품 등으로 소독하면 된다.

참조

[1] 서적 Turbellaria of the World. A guide to families and genera Queensland Museum 1986
[2] 서적 Structure and evolution of invertebrate nervous systems Oxford University Press 2016-01-01
[3] 서적 Abrégé du dictionnaire grec français Hachette 1981-01-01
[4] 웹사이트 Greek-french dictionary online http://www.tabulariu[...] 2020-02-27
[5] 논문 The Acoela: on their kind and kinships, especially with nemertodermatids and xenoturbellids (Bilateria incertae sedis) 2013-06-01
[6] 웹사이트 World List of turbellarian worms: Acoelomorpha, Catenulida, Rhabditophora. Acoela http://www.marinespe[...] WoRMS - World Register of Marine Species 2020-02-12
[7] 웹사이트 World List of turbellarian worms: Acoelomorpha, Catenulida, Rhabditophora. Nemertodermatida http://www.marinespe[...] WoRMS - World Register of Marine Species 2020-02-12
[8] 논문 Comparative morphology of the bursal nozzles in acoels (Acoela, Acoelomorpha)
[9] 웹사이트 Why You Should Care About Acoelomorph Flatworms https://www.smithson[...] 2020-03-02
[10] 서적 The Origins and relationships of lower invertebrates Clarendon Press 1985
[11] 논문 Phylogenetic Position of Acoel Turbellarians Inferred from Partial 18S rDNA Sequences https://repository.k[...]
[12] 논문 Phylogenetic Position of the Dicyemid Mesozoa Inferred from 18S rDNA Sequences https://www.biodiver[...] 1995-10-01
[13] 논문 Are the Platyhelminthes a monophyletic primitive group? An assessment using 18S rDNA sequences. https://academic.oup[...] 1997-05-01
[14] 논문 Acoel Flatworms: Earliest Extant Bilaterian Metazoans, Not Members of Platyhelminthes 1999-03
[15] 논문 Molecular phylogeny of the Platyhelminthes
[16] 논문 The dawn of bilaterian animals: the case of acoelomorph flatworms
[17] 논문 Mitochondrial genome data support the basal position of Acoelomorpha and the polyphyly of the Platyhelminthes
[18] 논문 Acoel Flatworms Are Not Platyhelminthes: Evidence from Phylogenomics 2007-08-08
[19] 논문 Plathelminthes and Plathelminthomorpha — paraphyletic taxa 1996
[20] 논문 Acoelomorpha: earliest branching bilaterians or deuterostomes? 2016-06-01
[21] 논문 Acoelomorph flatworms are deuterostomes related to ''Xenoturbella''
[22] 논문 The epidermal ciliary rootlets of ''Xenoturbella bocki'' (Xenoturbellida) revisited: new support for a possible kinship with the Acoelomorpha (Platyhelminthes)
[23] 논문 "''Xenoturbella bocki'' exhibits direct development with similarities to Acoelomorpha"
[24] 논문 Assessing the root of bilaterian animals with scalable phylogenomic methods 2009-12-22
[25] 논문 Higher-level metazoan relationships: Recent progress and remaining questions http://www.brown.edu[...]
[26] 논문 Mitigating Anticipated Effects of Systematic Errors Supports Sister-Group Relationship between Xenacoelomorpha and Ambulacraria
[27] 논문 Whole-Body Acoel Regeneration is Controlled by Wnt and Bmp-Admp Signaling
[28] 논문 Xenacoelomorpha is the sister group to Nephrozoa http://urn.kb.se/res[...]
[29] 논문 To Be or Not to Be a Flatworm: The Acoel Controversy
[30] 논문 The nervous system of Xenacoelomorpha: a genomic perspective
[31] 논문 Functional brain regeneration in the acoel worm ''Symsagittifera roscoffensis''
[32] 서적 Invertebrate Zoology Holt-Saunders International
[33] 논문 海産小型渦虫類研究の現状 https://doi.org/10.5[...] 日本ベントス学会 1984
[34] 논문 Molecular phylogeny of the Platyhelminthes http://www.cababstra[...] 2004
[35] 논문 The epidermal ciliary rootlets of Xenoturbella bocki (Xenoturbellida) revisited: new support for a possible kinship with the Acoelomorpha (Platyhelminthes) 1998
[36] 논문 An immunocytochemical and ultrastructural study of the nervous and muscular systems of Xenoturbella westbladi (Bilateria inc. sed.)
[37] 간행물 Assessing the root of bilaterian animals with scalable phylogenomic methods
[38] 서적 珍無腸形動物 ―左右相称動物の祖先に迫る?, 『動物学の百科事典』 丸善出版 2018
[39] 웹사이트 Acoelomorpha 無腸動物亜門 2020-08-09
[40] 문서 珍無腸動物門 - 岡山県 http://www.pref.okay[...]
[41] 논문 Acoelomorph flatworms are deuterostomes related to ''Xenoturbella'' https://doi.org/10.1[...] 네이처 2011
[42] 간행물 Dismissal of Acoelomorpha: Acoela and Nemertodermatida are separate early bilaterian clades https://doi.org/10.1[...] 2007-09
[43] 논문 Comparative morphology of the bursal nozzles in acoels (Acoela, Acoelomorpha)
[44] 웹사이트 The Platyhelminthes and the Acoela http://devbio.umesci[...] 2009-03-21
[45] 서적 Invertebrate Zoology Holt-Saunders International
[46] 논문 Animal biodiversity: An outline of higher-level classification and survey of taxonomic richness http://www.mapress.c[...] Magnolia Press 2011-12-23
[47] 웹사이트 Acoela http://turbellaria.u[...] 2016-02-03
[48] 논문 瀬戸内海産無腸動物 ''Praesagittifera naikaiensis''の飼育システム http://ir.lib.hirosh[...] 広島大学大学院総合科学研究科 2015
[49] 웹사이트 ワミノアムチョウウズムシに共生している渦鞭毛藻の母系遺伝のメカニズム - 日本動物学会 http://www.zoology.o[...] 日本動物学会
[50] 서적 Laboratory Studies in Animal Diversity 라이프사이언스 2020-09-01
[51] 간행물 Molecular phylogeny of the Platyhelminthes http://www.cababstra[...]
[52] 웹인용 The Platyhelminthes and the Acoela https://web.archive.[...] 2009-03-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