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물멸속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물멸속(Chirocentrus)은 청어목 물멸과에 속하는 어류 속이다. 물멸속에는 물멸(Chirocentrus dorab)과 살색물멸(Chirocentrus nudus) 두 종이 있다. 물멸은 홍해에서 일본, 오스트레일리아에 이르는 따뜻한 연안 해역에서 발견되며, 한국 남해 연안에서도 서식한다. 살색물멸은 물멸과 분포 지역이 유사하며, 등지느러미에 검은 반점이 있고 게를 먹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2013년 기준 계통 분류에서 물멸과는 청어아목에 속하며, 눈퉁멸과, 준치과와 가까운 관계를 가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도양의 물고기 - 숭어
    숭어는 전 세계 열대 및 온대 해역 연안과 기수역에 서식하는 잡식성 어류로, 가로줄이 있는 몸과 얇은 입술, 지방눈꺼풀이 특징이며, 해조류 등을 섭취하고 무리 생활을 하며, 식용으로 널리 이용되고 알은 가공식품으로도 쓰인다.
  • 인도양의 물고기 - 스톤피쉬
    스톤피쉬는 인도양과 태평양에 서식하며 위장술과 독성을 가진 물고기로, 식용 및 관상어로 이용되나 독성으로 인해 취급에 주의가 필요하며, 서식지 파괴 등으로 개체 수 감소가 우려되어 보호 노력이 요구되고, 문화적으로 은밀함 등을 상징한다.
  • 태평양의 물고기 - 송어
    송어는 연어과에 속하며 흑색 반점을 가진 어류로, 강해형과 육봉형이 있으며 동해안에서 어업 대상이며, 개체 수 감소로 보전 노력이 필요한 종이다.
  • 태평양의 물고기 - 연어
    연어는 태평양과 북극해에 분포하며 강에서 태어나 바다에서 성장 후 산란을 위해 다시 강으로 돌아오는 어류로, 몸 색깔이 변하고 기름지느러미가 있으며 물렁뼈 비중이 높은 골격 구조를 가진 중요한 수산 자원이지만, 개체 수 감소가 심각한 문제이다.
물멸속 - [생물]에 관한 문서
물멸속
[[도라브물멸]]
도라브물멸
학명Chirocentrus
명명자Cuvier, 1816
속 유형Clupea dorab
속 유형 명명자Fabricius, 1775
이명Neosudis Castelnau, 1873
상위 분류물멸과 (Chirocentridae)
상위 분류 명명자Cuvier & Valenciennes, 1846
화석 범위에오세 ~ 현재
하위 분류
물멸 (C. dorab)
살색물멸 (C. nudus)

2. 하위 종


  • 물멸 (''Chirocentrus dorab'')
  • 살색물멸 (''Chirocentrus nudus'')
  • 치로켄트루스 도랍la (요한 크리스티안 파브리시우스de, 1775) - 도랍 울프헤링, 홍해에서 일본, 오스트레일리아에 이르는 따뜻한 연안 해역에서 발견된다. 한국 남해 연안에서도 서식한다.
  • 치로켄트루스 누두스la (윌리엄 존 스와인슨영어, 1839) - 화이트핀 울프헤링, 물멸과 유사한 분포 지역에서 발견된다. (이 종은 ''C. dorab''와 구별하기 어려우며, 등지느러미에 검은 반점이 있다. 또한 작은 물고기를 주식으로 하는 것 외에도 를 먹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2. 1. 물멸 (''Chirocentrus dorab'')

물멸(''Chirocentrus dorab'')은 홍해에서 일본, 오스트레일리아에 이르는 따뜻한 연안 해역에서 발견되는 어종이다. 한국 남해 연안에서도 서식한다. 등지느러미에 검은 반점이 없는 것이 특징이다.

2. 2. 살색물멸 (''Chirocentrus nudus'')

살색물멸(''Chirocentrus nudus'')은 물멸(''Chirocentrus dorab'')과 분포 지역이 유사하다. 스와인슨이 1839년에 처음 기재했다. 등지느러미에 검은 반점이 있는 것이 특징이며, 작은 물고기 외에 를 먹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3. 계통 분류

2013년 기준 계통 분류는 다음과 같다.[5][6][7]

청어목은 크게 이빨청어아목청어아목으로 나뉜다.[5][6][7] 물멸과는 청어아목에 속하며, 멸치과, 준치과, 눈퉁멸과 등과 함께 분류된다.[5][6][7]

2013년 기준으로, 청어아목 내에서 물멸과는 눈퉁멸과 및 Spratelloidinae, 준치과와 가까운 관계를 가진다.[5][6][7] 청어과는 별도의 분지군을 형성한다.

3. 1. 청어목 내 계통

청어목은 크게 이빨청어아목청어아목으로 나뉜다.[5][6][7] 물멸과는 청어아목에 속하며, 멸치과, 준치과, 눈퉁멸과 등과 함께 분류된다.[5][6][7]

3. 2. 청어아목 내 계통

2013년 기준으로, 청어아목 내에서 물멸과는 눈퉁멸과 및 Spratelloidinae, 준치과와 가까운 관계를 가진다.[5][6][7] 청어과는 별도의 분지군을 형성한다.

참조

[1] 간행물 A compendium of fossil marine animal genera http://strata.ummp.l[...] 2008-01-08
[2] 간행물 Family-group names of Recent fishes 2014-11-11
[3] family 2024-11-19
[4] 서적 Encyclopedia of Fishes Academic Press
[5] 간행물 Mitogenomic Evidence for an Indo-West Pacific Origin of the Clupeoidei (Teleostei: Clupeiformes). http://www.plosone.o[...]
[6] 서적 Progress in Clupeiform Systematics. CRC Press
[7] 간행물 The phylogenetic position of an undescribed paedomorphic clupeiform taxon: mitogenomic evidence. http://www.plosone.o[...] 2008-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