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물장군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물장군은 납작하고 타원형의 몸체와 포획을 위한 앞다리를 가진 수생 곤충으로, 전 세계적으로 발견되며, 특히 열대 지역에 다양하게 분포한다. 물고기, 양서류, 달팽이 등을 잡아먹는 육식성 포식자이며, 주둥이로 독성 소화액을 주입하여 먹이를 액화시켜 흡입한다. 수컷은 알을 부화할 때까지 보호하는 부성애적인 특징을 보이며, 분류학적으로는 장구애비아과와 물자라아과를 포함한 2개의 아과로 나뉜다. 한국에는 타가메가 서식하며, 동남아시아에서는 식용으로도 이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물장군과 - 물자라
    물자라는 뾰족한 입으로 작은 동물의 체액을 빨아먹고 암컷이 수컷 등에 알을 낳아 수컷이 보호하며 한국에 서식하는 곤충으로, 서울시 보호 야생 생물 대상종이다.
  • 곤충 식품 - 누에나방
    누에나방은 견사 생산을 위해 사육되어 온 누에의 성충으로, 뽕잎을 먹고 자란 유충이 고치를 만드는 곤충이며 유전자 공학 연구에도 활용되고 실크 생산 외 다양한 용도로 쓰인다.
  • 곤충 식품 - 땅벌
    땅벌은 동아시아와 일본이 원산지인 말벌의 일종으로 한국, 일본, 프리모르스키 지방 남부 등지에 서식하며, 일본에서는 식용 곤충으로 인기가 높고 특히 유충은 진미로 여겨진다.
물장군과 - [생물]에 관한 문서
분류
학계리치, 1815
형태
크기2cm ~ 12cm
생태
서식지담수
식성포식성
분포
발견 장소트라이아스기 후기 ~ 현재

2. 형태

물장군은 납작하고, 거꾸로 된 달걀 모양에서 타원형으로 길쭉한 몸체를 가지고 있으며, 다리는 보통 납작하다.[4] 머리에는 두 개의 큰 겹눈이 있지만, 많은 노린재류와는 달리 홑눈은 없다. 짧은 더듬이는 눈 뒤의 홈에 접혀 있다. 짧은 호흡관은 복부 안으로 집어넣을 수 있다.[7] 성충은 물 속에서 숨을 쉴 수 없으므로 공기를 위해 주기적으로 호흡관을 표면에 위치시켜야 한다(스노클과 유사).[12]



물장군의 뒷다리 발목마디에는 두 개의 끝부분 갈고리가 있다. 앞다리는 먹이를 잡는 데 사용하는 포획 부속지로 변형되며, "정상적인" 앞다리를 가지고 달팽이만 전문적으로 잡아먹는 아프리카의 ''Limnogeton''을 제외하면 그렇다.[4] 일단 먹이를 잡으면, 주둥이로 찌르고 강력한 단백질 분해[8] 타액을 주입하여, 물장군이 액화된 잔해를 빨아들일 수 있게 한다.[3] 날개 패드는 등쪽에서 볼 수 있다. Lethocerinae 아과 구성원은 비행으로 이동할 수 있지만,[1] ''Abedus herberti''를 포함한 다른 종들은 비행 장치가 크게 줄어들어 날지 못한다.[2][9] 물장군은 유충에서 성충으로 발달하면서 근육 퇴행을 보이며, 더 에너지 효율적인 포식 생활 방식에 맞춰 근육을 적응시키며, 이는 사냥 전략과 생태적 상호 작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10]

3. 생태

물장군은 포식자로서, 어류, 양서류, 달팽이, 갑각류 등 물속 무척추동물을 잡아먹는다. 가장 큰 종은 아기 거북이나 물뱀을 먹기도 한다.[11] 물장군은 물속에 잠복하여 먹잇감이 가까이 오기를 기다리다가, 주둥이를 사용하여 독성 소화 타액을 주입한다. 물리면 매우 아프지만, 의학적으로 큰 문제는 없다.[12] 때때로 물장군은 큰 동물이나 사람을 만나면 "죽은 척"을 하기도 하며, 항문에서 액체를 배출하기도 한다.[4][12]

3. 1. 번식

수컷 ''Abedus herberti''가 등에 알을 지고 있다


물장군은 부성애를 보이며, 이러한 측면은 북아메리카의 ''Belostoma flumineum''과 동아시아의 ''Lethocerus (Kirkaldyia) deyrollei'' 등을 포함하여 광범위하게 연구되어 왔다. Belostomatinae 아과 종에서는 수컷의 날개에 알을 낳아 부화할 때까지 운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기간 동안 수컷은 짝짓기를 할 수 없다. 수컷은 생식에 상당한 시간과 에너지를 투자하고, 암컷은 짝짓기를 위해 수컷을 적극적으로 찾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역할 변화는 R. L. 트리버스의 부모 투자 이론의 예측과 일치한다. Lethocerinae 아과에서는 알이 수생 식물에 낳아지고 수컷이 이를 보호한다.[13]

수컷은 알을 부화할 때까지 보호하는 습성이 있다.[22] 물장군아과에서는 암컷이 수컷의 등에 알을 낳고, 수컷은 알을 등에 지고 돌본다.[22] 물자라아과에서는 수면 위의 줄기 등에 암컷이 알 덩어리를 낳고, 수컷이 알 덩어리 주변에 머물면서 알에 물을 공급하고, 다른 개체의 암컷이나 포식자로부터 방어한다.[22]

4. 분류

BioLib영어은 3개의 현존하는 아과와 다수의 화석 분류군을 나열하고 있다. 현생군은 장구애비아과와 물자라아과 2개의 아과로 구분된다.[14][15]

라우크(Lauck) & 멩케(Menke) (1961)는 Horvathinia영어속만으로 구성된 Horvathiniinae 아과를 포함한 3 아과로 분류했지만[21], 히베이루(Ribeiro) ''et al.'' (2018)은 Horvathinia영어속이 Limnogeton영어속이나 Hydrocyrius영어속과 단일 계통군을 형성한다고 하여 장구애비아과에 포함시켰다.[14]

4. 1. Belostomatinae (물장군아과)


  • 아베두스속(Abedus)
  • * ''Abedus breviceps''
  • * ''Abedus herberti''
  • 물자라속(Appasus)
  • * 물자라(''Appasus japonicus'')[23]
  • * 큰물자라 (''Appasus major'')[24]
  • 벨로스토마속(Belostoma)
  • * ''Belostoma dilatatum''
  • * ''Belostoma flumineum''
  • * ''Belostoma gigas''
  • * ''Belostoma lutarium''
  • * ''Belostoma micantulum''
  • 각시물자라속(Diplonychus)
  • * 각시물자라 (''Diplonychus esakii'')[25]
  • * ''Diplonychus indicus''
  • * ''Diplonychus rusticus''
  • 물장군속(Lethocerus)
  • * ''Lethocerus americanus''
  • * 물장군 (''Lethocerus deyrollei'')
  • * ''Lethocerus distinctifemur''
  • * ''Lethocerus indicus''

4. 2. Horvathiniinae

히베이루(Ribeiro) ''et al.'' (2018)은 Horvathinia영어속이 Limnogeton영어속이나 Hydrocyrius영어속과 단일 계통군을 형성한다고 하여 장구애비아과에 포함시켰다.[14]

4. 3. Lethocerinae (물자라아과)


  • 물자라속(''Appasus'')
  • * 물자라(''Appasus japonicus'')[23]
  • * 큰물자라 (''Appasus major'')[24]
  • 각시물자라속(''Diplonychus'')
  • * 각시물자라 (''Diplonychus esakii'')[25]
  • * ''Diplonychus indicus''
  • * ''Diplonychus rusticus''
  • 물장군속(''Lethocerus'')
  • * ''Lethocerus americanus''
  • * 물장군 (''Lethocerus deyrollei'')
  • * ''Lethocerus distinctifemur''
  • * ''Lethocerus indicus''

4. 4. 화석 분류군


  • Abedus영어
  • * Abedus breviceps영어
  • * Abedus herberti영어
  • 물자라속 (Appasusla)
  • * 물자라 (Appasus japonicusla)[23]
  • * 큰물자라 (Appasus majorla)[24]
  • Belostoma영어
  • * Belostoma dilatatum영어
  • * Belostoma flumineum영어
  • * Belostoma gigas영어
  • * Belostoma lutarium영어
  • * Belostoma micantulum영어
  • 각시물자라속 (Diplonychusla)
  • * 각시물자라 (Diplonychus esakiila)[25]
  • * Diplonychus indicus영어
  • * Diplonychus rusticus영어
  • 물장군속 (Lethocerusla)
  • * Lethocerus americanus영어
  • * 물장군 (Lethocerus deyrolleila)
  • * Lethocerus distinctifemur영어
  • * Lethocerus indicus영어
  • 아과 Stygeonepinae Popov, 1971 †
  • * ''Aenictobelostoma'' Polhemus, 2000 †
  • * ''Belostomates'' Schöberlin, 1888 †
  • * ''Lethopterus'' Popov, 1989 †
  • * ''Manocerus'' Zhang, 1989 †
  • * ''Scarabaeides'' Germar, 1839 †
  • * ''Triassonepa'' Criscione & Grimaldi, 2017 †

5. 한국의 물장군

물장군과일본어에는 일본에 4속 5종이 분포한다.[22]


  • 코오이무시
  • 오오코오이무시
  • 타이완코오이무시
  • 타가메
  • 타이완타가메


코오이무시

6. 식용

물장군은 주로 동남아시아 시장에서 판매되며, 특히 인도물장군( ''Lethocerus indicus'')이 많이 거래된다.[5] 동남아시아에서는 주로 연못에 대형 부유식 트랩을 설치하고 블랙 라이트를 사용하여 벌레를 유인하여 채집한다. 성충은 많은 수생 곤충과 마찬가지로 밤에 날아다니며 번식기에는 빛에 이끌린다.

참조

[1] 학술지 Taxonomic revision of the subfamily Lethocerinae Lauck & Menke (Heteroptera: Belostomatidae)
[2] 서적 Thorp and Covich's Freshwater Invertebrates: Ecology and General Biology Elsevier
[3] 학술지 Bites caused by giant water bugs belonging to Belostomatidae family (Hemiptera, Heteroptera) in humans: A report of seven cases 2010
[4] 서적 True Bugs of the World (Hemiptera:Heteroptera): Classification and Natural History Cornell University Press
[5] 서적 Edible Insects of the World CRC Press
[6] 학술지 The oldest predaceous water bugs (Insecta, Heteroptera, Belostomatidae), with implications for paleolimnology of the Triassic Cow Branch Formation https://ui.adsabs.ha[...] 2017-11-01
[7] 서적 An Introduction to the Aquatic Insects of North America Kendall/Hunt Company
[8] 학술지 The salivary gland and salivary enzymes of the giant waterbugs (Heteroptera; Belostomatidae) https://pubmed.ncbi.[...]
[9] 학술지 Dispersal ability and habitat requirements determine landscape-level genetic patterns in desert aquatic insects
[10] 간행물 Muscle Regression in Belostomatid Bugs (Heteroptera: Belostomatidae). https://doi.org/10.1[...]
[11] 웹사이트 BBC Nature - Giant water bug photographed devouring baby turtle https://www.bbc.co.u[...]
[12] 학술지 Lethocerus americanus, the "toe biter" http://escholarship.[...]
[13] 서적 The Evolution of Social Behavior in Insects and Arachnids Sociality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7
[14] 간행물 Phylogenetic analysis and revision of subfamily classification of Belostomatidae genera (Insecta: Heteroptera: Nepomorpha) https://doi.org/10.1[...] Linnean Society of London
[15] 문서 林正美・宮本正一「半翅目」、川合禎次・谷田一三 編『日本産水生昆虫 科・属・種への検索』東海大学出版会、2005年、291-378頁。
[16] 서적 Thorp and Covich's Freshwater Invertebrates: Ecology and General Biology Elsevier
[17] 간행물 Taxonomic revision of the subfamily Lethocerinae Lauck & Menke (Heteroptera: Belostomatidae)
[18] 학술지 Bites caused by giant water bugs belonging to Belostomatidae family (Hemiptera, Heteroptera) in humans: A report of seven cases 2010
[19] 서적 True Bugs of the World (Hemiptera:Heteroptera): Classification and Natural History Cornell University Press
[20] 문서 世界大百科事典(旧版),【コオイムシ(子負虫)】
[21] 간행물 The Higher Classification of the Belostomatidae (Hemiptera) https://doi.org/10.1[...] Entomological Society of America
[22] 문서 中島淳・林成多・石田和男・北野忠・吉富博之「コオイムシ科」『ネイチャーガイド 日本の水生昆虫』文一総合出版、2020年、230-233頁。
[23] 웹인용 Muljarus japonicus - 물자라 http://www.kobis.re.[...] 2014-12-07
[24] 웹인용 Appasus major - 큰물자라 http://www.kobis.re.[...] 2014-12-07
[25] 웹인용 Diplonychus esakii Miyamoto & Lee, 1966 - 각시물자라 http://www.kobis.re.[...] 2014-12-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