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겔 말바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겔 말바르는 필리핀의 혁명가이자 군인으로, 1865년 9월 27일에 태어나 1911년 10월 13일에 사망했다. 그는 필리핀 혁명과 필리핀-미국 전쟁에 참여하여 군사 사령관으로 활약했으며, 에밀리오 아기날두가 체포된 후 필리핀 공화국의 대통령직을 승계했다. 1902년 미국군에 항복한 후, 그는 미국 식민 정부의 제안을 거절하고 고향에서 지내다 사망했다. 그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필리핀 해군의 코르벳함 함급, 지방 자치 단체, 거리 등이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 기념 주화와 박물관이 건립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바탕가스주 출신 - 아폴리나리오 마비니
아폴리나리오 마비니는 필리핀의 사상가, 법률가, 독립운동가, 정치가로서 필리핀 혁명에 참여하여 제1 필리핀 공화국의 총리 겸 외무부 장관을 역임했으며, 소아마비에도 독립운동에 헌신하여 "혁명의 두뇌", "고결한 불구자"로 불리는 필리핀의 국민적 영웅이다. - 바탕가스주 출신 - 아이아이 델라스 알라스
아이아이 델라스 알라스는 필리핀의 배우, 코미디언, 가수, 영화 프로듀서, 탤런트 매니저로서, '앙 탕잉 이나' 영화 시리즈의 성공과 다양한 방송 활동, 수상 경력을 통해 필리핀 연예계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 필리핀 혁명 관련자 - 마르셀로 델 필라
마르셀로 델 필라는 필리핀의 작가, 변호사이자 언론인으로서 프로파간다 운동의 핵심 인물이며, 반(反)수도회 운동을 이끌고 《디아리옹 타갈로그》를 창간하여 수도회를 비판하고, 스페인에서 《라 솔리다리다드》의 편집장으로 활동하며 "필리핀 저널리즘의 아버지"로 불린다. - 필리핀 혁명 관련자 - 마리아노 폰세
마리아노 폰세는 필리핀의 의사이자 작가, 독립운동가로서, 스페인 유학 중 《라 솔리다리다드》 창간에 기여하고 필리핀 혁명 당시 무기 조달을 위해 일본에 파견되었으며, 귀국 후 필리핀 의회 의원으로 활동하며 회고록을 집필했고, 그의 업적을 기리는 기념관이 건립되었다. - 필리핀의 장군 - 에밀리오 아기날도
에밀리오 아기날도는 필리핀 혁명의 지도자이자 초대 대통령으로, 스페인 식민 지배에 저항하며 독립을 선언하고 미국과의 전쟁을 치렀으나, 논쟁적인 사건들과 일본과의 협력 등으로 그의 업적에 대한 평가는 엇갈린다. - 필리핀의 장군 - 피델 V. 라모스
피델 V. 라모스는 필리핀의 정치인이자 군인으로, 1992년부터 1998년까지 제12대 대통령을 역임하며 경제 개혁과 국가 통합을 추진했고, 한국 전쟁과 베트남 전쟁에 참전, 에둘사 혁명에 참여하여 마르코스 축출에 기여, 코라손 아키노 정부에서 육군 참모총장과 국방장관을 역임했다.
미겔 말바르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존칭 | 각하 장군 |
이름 | 미겔 말바르 이 카르피오 |
![]() | |
출생 | 1865년 9월 27일 |
출생지 | 산토토마스, 바탕가스, 필리핀 제도, 스페인 제국 |
사망 | 1911년 10월 13일 (46세) |
사망지 | 마닐라, 필리핀 제도 도서 정부 |
배우자 | 파울라 말롤레스 |
자녀 | 11명 |
경력 | |
소속 | 필리핀 혁명군 |
복무 기간 | 1896년–1902년 |
최종 계급 | 장군 |
지휘 부대 | 바탕가스 여단 (말바르 여단) |
주요 전투 | 필리핀 혁명 필리핀-미국 전쟁 |
정치 활동 | |
직위 | 필리핀 대통령 |
상태 | 비공식 |
임기 시작 | 1901년 4월 19일 |
임기 종료 | 1902년 4월 16일 |
이전 대통령 | 에밀리오 아기날도 |
다음 대통령 | 마카리오 사카이(타갈로그 공화국 대통령) |
2. 초기 생애와 교육
미겔 말바르는 바탕가스 주 산토 토마스에서 태어나 마을 학교와 바탕가스 주 타나우안 및 바탕가스 주 바우안의 사립 학교에서 교육을 받았다. 아폴리나리오 마비니와 동급생으로 만나기도 했다. 마닐라에서 고등 교육을 받는 대신 농부로 정착하여 동생의 학업을 지원했고, 이후 고향의 '카피탄 무니시팔'로 선출되었다.[3] 1891년 파울라 말로레스와 결혼하여 11명의 자녀를 두었다.[5]
2. 1. 출생과 가족 배경
미겔 말바르는 1865년 9월 27일 바탕가스 주 산토 토마스의 산 미겔이라는 작은 마을에서 막시모 말바르(현지에서는 '카피탄 이모이'로 알려짐)와 티부르시아 카르피오(현지에서는 '카피타나 티보'로 알려짐) 사이에서 태어났다. 말바르의 가족은 부유할 뿐만 아니라 관대하고 근면하기로 마을에서 잘 알려져 있었다.[3]
말바르는 산토 토마스에 있는 마을 학교에 다녔다. 이후 바탕가스에서 명망 있는 교육 기관이었던 바탕가스 주 타나우안에 있는 발레리오 말라바난 신부[4]가 운영하는 사립 학교에 다녔다. 이곳에서 말바르는 혁명가 동료인 아폴리나리오 마비니와 동급생으로 만났다. 이후 그는 바탕가스 주 바우안에 있는 다른 학교로 전학했다. 마닐라에서 고등 교육을 받는 대신 농부로 정착하기로 결정했고, 학구적인 동생 포텐시아노가 스페인에서 의학을 공부하도록 도왔다. 말바르는 나중에 고향의 '카피탄 무니시팔'로 선출되었다.[3]
1891년, 말바르는 산토 토마스의 '카피탄 무니시팔'이었던 돈 암브로시오 말로레스의 딸 파울라 말로레스와 결혼했다. '돈' 암브로시오는 말바르의 '카피탄 무니시팔' 후임이었다. 현지에서 '울레이'로 알려진 그녀는 말바르에게 13명의 자녀를 낳았지만, 베르나베, 아우렐리아, 마르시아노, 막시모, 크리스피나, 마리키타, 루스 콘스탄시아, 미겔(주니어), 파블로, 파울라, 이사벨 등 11명만 살아남았다.[5] 말바르는 필리핀 혁명과 필리핀-미국 전쟁 동안 전투에 나갈 때 가족을 데리고 가는 습관이 있었다.
2. 2. 교육 과정
미겔 말바르는 산토 토마스에 있는 마을 학교에 다녔다. 이후 바탕가스 주 타나우안에 있는 발레리오 말라바난 신부[4]가 운영하는 사립 학교에 다녔는데, 이 학교는 당시 바탕가스에서 명망 있는 교육 기관이었다. 여기서 말바르는 혁명가 동료인 아폴리나리오 마비니를 동급생으로 만났다. 이후 그는 바탕가스 주 바우안에 있는 다른 학교로 전학했다. 그는 마닐라에서 고등 교육을 받는 대신 농부로 정착하기로 결정했고, 학구적인 동생 포텐시아노가 스페인에서 의학을 공부하도록 도왔다.[3]2. 3. 결혼과 가족
1891년, 말바르는 산토 토마스의 '카피탄 무니시팔'이었던 돈 암브로시오 말로레스의 딸 파울라 말로레스와 결혼했다. 돈 암브로시오는 말바르의 '카피탄 무니시팔' 후임이었다. 현지에서 '울레이'로 알려진 파울라는 말바르와의 사이에서 13명의 자녀를 낳았지만, 그 중 베르나베, 아우렐리아, 마르시아노, 막시모, 크리스피나, 마리키타, 루스 콘스탄시아, 미겔(주니어), 파블로, 파울라, 이사벨 등 11명만 살아남았다.[5] 말바르는 필리핀 혁명과 필리핀-미국 전쟁 동안 전투에 나갈 때 가족을 데리고 가는 습관이 있었다.3. 호세 리살과의 관계
말바르와 그의 가족은 호세 리잘과 그의 가족과 친분이 있었다. 리잘은 말바르 아내의 언청이를 치료해 주었고, 사투르니나 리잘은 말바르가 사업을 시작할 초기 자본으로 1000PHP를 빌려주었다.[3] 사투르니나의 남편인 마누엘은 말바르의 친척이었으며, 솔레다드 리잘 킨테로의 딸 아멜리아는 말바르의 장남 베르나베와 결혼했다. 또한, 파시아노는 말바르의 혁명 동지였다.[3]
4. 필리핀 혁명
안드레스 보니파시오가 살해된 후, 스페인은 페르난도 프리모 데 리베라 총독의 지휘 아래 공세를 재개하여 에밀리오 아기날도를 카비테에서 몰아냈다. 아기날도는 스페인 포위망을 빠져나와 500명의 정예 부대와 함께 불라칸의 비악나바토로 향했다.[8][9] 아기날도가 그곳에 도착했다는 소식이 루손 섬 중부의 마을에 퍼지자 이로코스 지방, 누에바 에시하, 팡가시난, 타를락, 삼발레스에서 온 사람들이 스페인에 대한 무장 저항을 재개했다.[8]
1897년 11월 1일, 비악나바토 공화국 임시 헌법이 서명되었다.[10] 프리모 데 리베라 총독은 무력으로 혁명을 진압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깨닫고 아기날도와 평화 협상을 시도했다. 마닐라 출신의 변호사 페드로 A. 파테르노가 중재자로 나서 1897년 8월 9일부터 여러 차례 협상을 진행한 끝에 비악나바토 조약이 체결되었다. 이 조약은 1897년 12월 14일과 15일에 걸쳐 세 개의 문서로 서명되어 비악나바토 공화국을 종식시켰다.[12]
말바르는 마리아노 트리아스, 파시아노 리살, 마누엘 티니오, 아르테미오 리카르테와 같은 다른 장군들과 함께 이 조약에 반대하며, 스페인이 혁명을 쉽게 제거하려는 술책이라고 믿고 군사 공세를 재개했다. 아기날도는 말바르와 그의 동조자들의 완강한 저항을 보고 혁명 장군들에게 전투를 중단하라는 지시를 내렸다. 1898년 1월 6일, 말바르는 공세를 중단했다.[3]
4. 1. 카티푸난 가입과 초기 활동
미겔 말바르는 필리핀 혁명 이전부터 카티푸난에 가입한 인물이었다. 1896년 8월 혁명이 시작되자 70명의 병력을 이끌던 말바르는 바탕가스의 군사 사령관으로 부상했다. 그는 카비테의 혁명 지도자인 에밀리오 아기날도, 라구나 주의 혁명 지도자인 파시아노 리살과 협력하여 군사 작전을 펼쳤다.[3]1897년 2월 17일, 자포테 다리 전투에서 상관 에딜베르토 에반젤리스타 장군이 전사하자, 말바르는 그의 직위를 계승했다. 이후 인다앙, 카비테에 본부를 설치하고 테헤로스 협약까지 그곳에 머물렀다.[3]
테헤로스 협약 이후 아기날도가 대통령으로 당선되자, 말바르는 카티푸난의 ''수장''인 안드레스 보니파시오를 지지했다. 보니파시오는 말바르의 지원에 대한 보답으로 전투 지원을 제공했다. 아기날도는 이러한 관계를 이용하여 바탕가스와 말바르를 자신의 관할 하에 두려고 했다.[3] 말바르는 보니파시오와의 관계를 끊지 않으면 처벌받을 것이라는 위협을 받았지만, 실제로 실행되지는 않았다.
4. 2. 자포테 다리 전투와 에반젤리스타의 죽음
1897년 2월 17일, 말바르는 그의 상관이었던 에딜베르토 에반젤리스타 장군과 함께 자포테 다리 전투에 참전했으나, 이 전투에서 에반젤리스타는 전사했다.[3] 에반젤리스타의 뒤를 이어 장군이 된 말바르는 인다앙, 카비테에 본부를 설치하고 테헤로스 협약 때까지 그곳에 머물렀다.[3]4. 3. 테헤로스 협약과 안드레스 보니파시오와의 관계
미겔 말바르는 필리핀 혁명 이전부터 카티푸난에 가입한 인물이었다. 1896년 8월 혁명이 시작되자 70명의 병력을 이끌던 그는 바탕가스의 군사 사령관으로 부상했다. 그는 카비테의 혁명 지도자인 에밀리오 아기날도, 라구나 주의 혁명 지도자인 파시아노 리살과 공세를 조율했다.[3]테헤로스 협약에서 아기날도가 대통령으로 당선되자, 말바르는 카티푸난의 수장이었던 안드레스 보니파시오를 지지했다. 보니파시오는 말바르의 지원에 대한 보답으로 그들의 전투를 돕기 위해 지원을 제공했다. 아기날도는 이들의 관계를 보고 바탕가스와 말바르를 자신의 관할 하에 두려고 했다.[3] 말바르는 보니파시오와의 관계를 끊지 않으면 처벌을 받겠다는 위협을 받았지만, 실행되지는 않았다. 보니파시오와 그의 형제 프로코피오는 증거 부족에도 불구하고 유죄 판결을 받고 사형이 권고되었다. 아기날도는 1897년 5월 8일 추방으로 형을 감형했지만, 피오 델 필라와 마리아노 노리엘 등은 아기날도에게 명령 철회를 설득했다.[6] 결국 보니파시오 형제는 1897년 5월 10일 마라곤돈 산에서 살해되었다.[6][7]
4. 4. 비악나바토 조약과 혁명 재개
카티푸난 회원이던 미겔 말바르는 1896년 8월 필리핀 혁명 발발 당시 70명의 병력을 이끌고 바탕가스의 군사 사령관으로 부상했다. 그는 카비테의 혁명 지도자 에밀리오 아기날도, 라구나 주의 혁명 지도자 파시아노 리살과 협력하여 군사 작전을 펼쳤다.[3] 1897년 2월 17일, 말바르는 자포테 다리 전투에서 그의 상관 에딜베르토 에반젤리스타 장군과 함께 싸웠으나, 이 전투에서 에반젤리스타 장군이 전사했다. 이후 말바르는 에반젤리스타의 지위를 계승하여 인다앙에 본부를 설치하고 테헤로스 협약까지 그곳에 머물렀다.[3]테헤로스 협약에서 아기날도가 대통령으로 선출되자, 말바르는 카티푸난의 수장이었던 안드레스 보니파시오를 지지하였다. 보니파시오는 말바르의 지원에 대한 보답으로 군사적 지원을 제공했다. 아기날도는 말바르와 보니파시오의 관계를 견제하고 바탕가스를 자신의 관할 하에 두려고 했다.[3] 보니파시오는 반역죄로 유죄 판결을 받고 처형되었는데, 이 과정에서 아기날도는 형을 감형하려 했으나, 피오 델 필라, 마리아노 노리엘 등의 설득으로 철회되었다. 보니파시오 형제는 1897년 5월 10일 마라곤돈 산에서 살해되었다.[6][7]
보니파시오 사후, 스페인군의 공세가 강화되면서 아기날도는 페르난도 프리모 데 리베라 총독의 지휘 아래 카비테에서 쫓겨나 불라칸의 비악나바토로 피신했다.[8][9] 아기날도의 비악나바토 도착 소식은 루손 섬 중부 지역에 퍼져 이로코스 지방, 누에바 에시하, 팡가시난, 타를락, 삼발레스 등지에서 스페인에 대한 무장 저항이 다시 시작되었다.[8]
1897년 11월 1일, 비악나바토 공화국 임시 헌법이 체결되었다.[10] 그러나 프리모 데 리베라 총독은 무력으로 혁명을 진압하는 것이 불가능함을 깨닫고 아기날도와 평화 협상을 시도했다. 마닐라 출신의 변호사 페드로 A. 파테르노가 중재자로 나서 1897년 8월 9일부터 여러 차례 협상을 진행한 끝에 비악나바토 조약이 체결되었다. 이 조약은 1897년 12월 14일과 15일에 걸쳐 세 개의 문서로 서명되어 비악나바토 공화국을 종식시켰다.[12]
그러나 말바르는 마리아노 트리아스, 파시아노 리잘, 마누엘 티니오, 아르테미오 리카르테 등과 함께 이 조약에 반대하며 스페인의 계략이라고 판단, 군사 행동을 계속했다. 아기날도는 이들의 저항을 무마하기 위해 전투 중단을 지시했고, 결국 1898년 1월 6일 말바르는 공격을 중단했다.[3]
5. 필리핀-미국 전쟁
1898년 5월 19일, 에밀리오 아기날도는 미국의 세관선 "맥컬로흐"를 타고 군 참모 13명과 함께 필리핀으로 돌아왔다. 4일 후, 홍콩에서 소총 2,000정과 탄약 20만 발에 달하는 첫 번째 무기 수송이 도착했다.[3] 미국-스페인 전쟁에서 스페인 국기를 들고 참전했던 약 12,000명에 달하는 필리핀인들이 아기날두의 귀환과 함께 그의 깃발 아래로 돌아섰다. 6월까지 필리핀 독립이 카비테 주의 카위트에서 선포되었고, 마닐라는 아기날두 군대에 포위되었다. 그러나 1898년 8월 13일, 마닐라를 점령한 것은 미국이었다.[3]
5. 1. 전쟁 발발과 초기 활동
1899년 2월 4일, 미국과 필리핀 간의 적대 행위가 시작되었다. 2월 7일, 말바르는 남부 루손에서 필리핀군의 총사령관인 트리아스 장군의 부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3] 2월 23일, 안토니오 루나 장군은 필리핀의 반격에 말바르와 그의 부대가 참여하도록 요청했으나, 필리핀의 공세는 주로 카위트 대대의 불복종으로 인해 실패했다.[13]그 후 몇 달 동안, 말바르는 마닐라 남쪽에서 미국군을 괴롭혔으며, 3,000명의 병력으로 문틴루파에서 공세를 펼쳤다. 1899년 7월, 로버트 홀 장군 휘하의 미국군은 라구나 주의 칼람바를 점령했다. 칼람바에는 미국군 10개 중대(약 2,000명)가 주둔했고, 말바르는 1899년 8월부터 12월까지 칼람바를 포위했지만 실패했다.[3]
5. 2. 칼로오칸 전투와 문틴루파 공세
1899년 2월 23일, 안토니오 루나 장군은 필리핀의 반격에 말바르와 그의 부대가 참여하도록 요청했다. 이 반격은 필리핀군이 이전에 잃었던 지역을 되찾고 마닐라를 점령하기 위한 계획이었다.[13] 그러나 필리핀의 공세는 주로 카위트 대대의 불복종으로 인해 실패했다.[13] 그 후 몇 달 동안, 말바르는 마닐라 남쪽에서 미국군을 괴롭혔고, 3,000명의 병력으로 문틴루파에서 공세를 펼쳤다.[3]5. 3. 아기날도 체포와 필리핀 공화국 지도자 역할
1899년 11월 13일, 에밀리오 아기날도는 필리핀 혁명군 정규군을 해산하고 팡가시난 주 바얌방에서 게릴라 부대를 조직한 후, 1900년 9월 6일까지 이사벨라 주 팔라난으로 도주했다.[14] 아기날도는 스페인군을 상대로는 성공적이었던 전술 변화를 꾀했지만, 미국을 상대로는 효과적이지 못했고, 1901년 3월 23일 프레데릭 펀스톤 장군에게 체포되었다. 체포에는 일부 마카베베 정찰병들의 도움이 있었다. 필리핀군의 대통령이자 총사령관으로 아기날도가 선택한 후계자인 마리아노 트리아스 장군은 이미 1901년 3월 15일에 항복한 상태였다. 따라서 아기날도가 정한 승계 라인에 따라 말바르는 필리핀 공화국의 대통령이 되었다. 홍콩 호헌 위원회는 아기날도의 뒤를 잇는 말바르의 권위를 확인했다.[3] 말바르는 공화국의 업무를 맡으면서 남부 루손의 필리핀군을 재편성하고, 결합된 군대를 "해방군"으로 개명했다. 그는 또한 마리아나 제도를 별도의 주로 포함하는 공화국의 지역 부서를 재편성했다.[3]
1902년 1월부터, 미국 장군 J. 프랭클린 벨은 바탕가스 주에서 초토화 작전을 펼쳤고, 이 작전은 게릴라 전투원과 민간인 모두에게 큰 피해를 입혔다. 말바르는 변장을 하여 미국군의 순찰을 피했다. 그래서 1901년 8월 초부터 미국은 말바르의 정확한 신체적 특징을 공개했다.[3] 공개된 설명에 따르면, 말바르는 어두운 피부를 가졌고 키는 약 약 1.52m 정도였다. 그의 몸무게는 약 약 65.77kg였고, 5 또는 6 사이즈의 신발을 신었다.[3] 그는 1902년 4월 16일 바탕가스 주 로사리오에서 벨에게 항복했는데, 이는 주로 그의 최고 지휘관들의 탈영과 동포들의 고통을 끝내기 위해서였다.[3]
5. 4. 초토화 작전과 항복
1899년 2월 7일, 말바르는 남부 루손에서 필리핀군의 총사령관인 트리아스 장군의 부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3] 그 후 몇 달 동안, 말바르는 마닐라 남쪽에서 미국군을 괴롭혔고, 3,000명의 병력으로 문틴루파에서 공세를 펼쳤다. 1899년 7월까지, 로버트 홀 장군 휘하의 미국군은 라구나 주의 칼람바를 점령했고, 말바르는 1899년 8월부터 12월까지 칼람바를 포위했지만 실패했다.[3]1899년 11월 13일, 아기날두는 필리핀 혁명군 정규군을 해산하고 게릴라 부대를 조직한 후, 1900년 9월 6일까지 이사벨라 주의 팔라난으로 도주했다.[14] 1901년 3월 23일, 아기날두는 프레데릭 펀스톤 장군에게 체포되었고, 아기날두가 필리핀군의 대통령이자 총사령관으로 선택한 후계자인 트리아스 장군은 이미 1901년 3월 15일에 항복했다. 따라서 아기날두가 정한 승계 라인에 따라 말바르는 필리핀 공화국의 대통령이 되었다.[3]
1902년 1월부터, 미국 장군 J. 프랭클린 벨은 바탕가스에서 초토화 작전을 펼쳤고, 이 작전은 게릴라 전투원과 민간인 모두에게 큰 피해를 입혔다. 말바르는 변장을 하여 미국군의 순찰을 피했다. 1901년 8월 초, 미국은 말바르의 정확한 신체적 특징을 공개했다. 공개된 설명에 따르면, 말바르는 어두운 피부를 가졌고 키는 약 약 1.52m 정도였다. 그의 몸무게는 약 약 65.77kg였고, 5 또는 6 사이즈의 신발을 신었다.[3] 그는 1902년 4월 16일 바탕가스 주의 로사리오에서 벨에게 항복했는데, 이는 주로 그의 최고 지휘관들의 탈영과 동포들의 고통을 끝내기 위해서였다.[3]
6. 전쟁 이후의 삶과 죽음
전쟁 후, 그는 미국 식민 정부가 제안한 어떤 자리도 거절했다.[16] 그는 1911년 10월 13일 마닐라에서 사망했다.
7. 대통령 직무 수행에 대한 논란
2007년 9월 18일, 오리엔탈 민도로 제1선거구 국회의원 로돌포 발렌시아는 미겔 말바르를 필리핀의 두 번째 대통령으로 선언하는 하원 법안 2594호를 제출했다. 이 법안은 에밀리오 아기날도 이후 필리핀 공화국의 두 번째 대통령을 마누엘 L. 케손으로 간주하는 것이 잘못되었다고 주장했다. "말바르 장군은 공화국의 초대 대통령인 에밀리오 아기날도 장군이 1901년 3월 23일 체포되어 미국 식민 정부에 의해 홍콩으로 추방된 후 혁명 정부를 이어받았습니다. 그는 지휘 체계상 다음 순위였기 때문입니다."[17] 2011년 10월, 부통령 제조마르 비나이는 혁명 장군 미겔 말바르를 필리핀의 정당한 두 번째 대통령으로 선포하는 데 역사학자들의 도움을 구했다.[18]
8. 기념 사업
- 필리핀 해군의 초계 코르벳함 함급인 미겔 말바르급 코르벳함은 말바르의 이름을 딴 것으로, 현재 해군에서 가장 오래된 코르벳함 함급이다.[19]
- 엑스트라 마일 프로덕션은 미겔 말바르 장군 서거 100주년을 기념하여 미겔 말바르 장군 에세이 쓰기 대회를 개최했다.[19]
- 필리핀의 2급 지방 자치 단체인 말바르는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 다양한 거리도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 2015년, 필리핀 국립 역사 위원회는 9월 27일 말바르의 150번째 생일을 기념하기 위해 산토 토마스에 박물관을 개관할 예정이었다.[20]
- 2015년, 필리핀 중앙은행은 말바르의 150번째 생일을 기념하여 10페소 기념 주화를 발행했다.[21]
참조
[1]
웹사이트
General Miguel Malvar
http://malacanang.go[...]
Malacaňan Palace - Presidential Museum & Library
2022-02-13
[2]
간행물
Miguel Malvar Was the Forgotten President of the Philippine Republic
https://www.esquirem[...]
2019-09-09
[3]
서적
Miguel Malvar and the Philippine Revolution
[4]
웹사이트
Who is Valerio Malabanan?
https://thephilippin[...]
The Philippines Today
2020-07-08
[5]
웹사이트
Learn about Miguel's Children
http://www.malvar.ne[...]
2020-09-15
[6]
문서
[7]
문서
[8]
문서
[9]
웹사이트
Biak na Bato
http://www.newsflash[...]
Newsflash.org
2010-01-09
[10]
문서
[11]
서적
Manila, My Manila
Vera Reyes Publishing
[12]
문서
[13]
서적
Rise and Fall of Antonio Luna
Solar Publishing Corporation
[14]
서적
Malolos: The Crisis of the Republic
[15]
웹사이트
Proclamation No. 173. s. 2002
https://www.official[...]
Official Gazette of the Philippine Government.
2002-04-09
[16]
서적
Jose P. Laurel: National Leader and Political Philosopher
https://books.google[...]
Jose P. Laurel Memorial Corporation
[17]
웹사이트
Lawmaker: History wrong on Gen. Malvar
http://www.manilatim[...]
2008-01-02
[18]
뉴스
Binay seeks help from historians for overlooking Malvar as 2nd RP president
http://taga-ilog-new[...]
2011-10-24
[19]
웹사이트
General Miguel Malvar Essay Writing Contest
http://deped.net/gen[...]
2012-09-23
[20]
웹사이트
At last, proper recognition for a revolutionary war hero - Yahoo News Philippines
https://ph.news.yaho[...]
2014-10-06
[21]
뉴스
BSP issues limited edition P10-Miguel Malvar coin
http://www.rappler.c[...]
2015-12-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