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카르파도-러시아 정교회 교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국 카르파도-러시아 정교회 교구(ACROD)는 1938년, 루테니아 그리스 가톨릭 교구의 일부가 에큐메니칼 총대주교청 관할로 전환되어 설립되었다. 19세기 말 북아메리카로 이주한 동슬라브족은 동방 정교회 또는 비잔틴 전례의 동방 가톨릭 교회 신자였는데, 라틴 전례 가톨릭 주교들의 억압과 전례 라틴화에 반발하여 동방 정교회로 개종하는 경우가 발생했다. ACROD는 루신족 정체성 유지를 위해 콘스탄티노플로부터 독자적인 관행을 허가받아 유지했으며, 2006년 기준 78개 교회와 5개 기도소, 14,372명의 신자를 보유하고 있다. 펜실베이니아주 존스타운에는 구세주 그리스도 신학교를 운영하며, 미국 정교회 주교 회의의 회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의 그리스 정교회 관구 대교구 - 미국 그리스 정교회 관구 대교구
미국 그리스 정교회 관구 대교구는 미국 내 그리스 정교회를 관할하며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청 산하에 있고, 1921년 남북미 그리스 정교회 관구 대교구로 설립, 1996년 미국만을 관할하게 되었으며, 뉴욕시에 위치한 관구 대교구를 중심으로 8개의 수도 대교구와 500개 이상의 교구, 그리고 성십자가 그리스 정교회 신학교를 운영한다. - 미국의 그리스 정교회 관구 대교구 - 샌프란시스코 그리스 정교회 수도 대교구
샌프란시스코 그리스 정교회 수도 대교구는 샌프란시스코를 관할하는 그리스 정교회 관구이며, 게라시모스 대주교가 현재 관구장직을 맡고 있다. -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청 교구 - 핀란드 정교회
핀란드 정교회는 12세기부터 핀란드에 전파된 동방 정교회로, 러시아 제국 시대에 성장하여 핀란드 독립 후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청의 자치 교회가 되었으며, 현재 핀란드에서 특별한 지위를 인정받는 두 종교 중 하나로서 세 개의 교구와 수도원을 운영하고 있다. -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청 교구 - 에스토니아 사도 정교회
에스토니아 사도 정교회는 에스토니아에 위치한 동방 정교회 자치 교회로, 10세기에서 12세기 선교 활동으로 전파되었으나 소련 시대 탄압과 모스크바 총대주교청과의 갈등을 겪은 후 1996년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청으로부터 자치권을 재확인받아 현재 활동 중이다.
미국 카르파도-러시아 정교회 교구 | |
---|---|
지도 | |
기본 정보 | |
정식 명칭 | 미국 카르파도-러시아 정교회 교구 |
약칭 | ACRD |
국가 | 미국 |
관할 지역 | 미국 |
소속 |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청 |
종교 | 동방 정교회 |
언어 | 영어 러시아어 |
역사 | |
설립일 | 1938년 |
이전 소속 | 북미 러시아 정교회 관구 (1938년~2023년) |
조직 | |
수석 주교 | 그레고리 3세 |
주교좌 성당 | 존스타운 그리스도 성심 대성당 |
교구 | 54개 |
웹사이트 | www.acrod.org |
2. 역사
19세기 말, 많은 동슬라브족이 북아메리카로 이주했다. 그들은 기독교인이었으며, 일부는 동방 정교회에 속했고, 다른 일부는 비잔틴 전례의 동방 가톨릭 교회에 속했다. 가톨릭 용어에서, 비잔틴 전례의 동슬라브 형태는 ''루테니아 전례''로 알려졌으며, 따라서 동일한 ''루테니아'' 지정이 해당 전례의 동슬라브족에게 적용되었다.
당시 북아메리카에는 동방 가톨릭 관할 구역이 없었으므로 최초의 동방 가톨릭 교구는 라틴 교회의 지역 가톨릭 주교의 관할 하에 형성되었다. 그러나 주로 아일랜드인과 폴란드인인 로마 가톨릭 계층은 기혼 사제의 존재가 자신들의 교구에 미칠 "스캔들"을 우려하여 루테니아 전례의 동방 가톨릭 신자들을 쉽게 환영하지 않았다.
비잔틴 전례의 동방 가톨릭 신자들에 대한 지배적인 라틴 전례 가톨릭 주교들의 억압, 특히 기혼 사제직과 신성한 전례 또는 미사 형태와 관련하여, 일부는 가톨릭에서 벗어나 동방 정교회로 들어갔다. 특히 라틴 전례가 아닌 관행의 강력한 반대자는 1888년부터 1918년까지 세인트 폴 대주교였던 존 아일랜드였으며, 그는 동방 가톨릭 성직자가 자신의 대교구에서 활동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았다.
이 교구는 오레스테스 초르노크 신부의 지도 아래 37개의 루테니아 동방 가톨릭 교구가 에큐메니칼 총대주교청의 관할로 받아들여지면서 1938년에 설립되었다. 그 전 해에 이 단체는 주로 교회 생활에서 발생한 전례 라틴화에 항의하여 교황청과의 유니아를 공식적으로 포기했다. 특히 분열을 초래한 문제는 교황 비오 11세가 발표한 1929년 교황 칙서 ''쿰 데이터 푸에리트''였으며, 이는 미국의 동방 전례 성직자에게 독신을 의무화했다.
이 움직임은 루테니아 전례 가톨릭 교구의 두 번째 북아메리카 그룹이 동방 정교회로 이동했음을 보여준다. 첫 번째는 1890년대에 알렉시스 토스가 윌크스-바레에서 러시아 대교구의 관할로 이끌었다. 루테니아 전례 가톨릭 신자들의 동방 정교회로의 이 두 번째 대규모 개종은 북아메리카의 러시아 존재보다는 콘스탄티노플을 향했다.
이는 주로 특정한 정체성을 보존하려는 우려에서 비롯되었는데, 루테니아 전례 가톨릭 신자들 중 많은 사람들이 스스로를 루신족으로 규정하고 자신들의 독특한 정체성을 유지하기를 원했기 때문에, 이전의 움직임에서 발생한 러시아화에 반대했다. 따라서 러시아 교회에 흡수되어 모스크바 전통을 채택해야 하는 대신, ACROD는 콘스탄티노플로부터 독특한 루신 관행을 유지하도록 허가받았다. 따라서 일반적인 루테니아 프로스토피니에 성가 및 전례 양식의 찬송가, 특히 신성한 예배에 사용되는 고대 교회 슬라브어의 특정 형태가 보존되었으며, 니케아 신조에 필리오케 조항을 추가하는 것과 같은 특정 라틴 전례 관행은 제거되었다.
2. 1. 설립 배경
19세기 말, 많은 동슬라브족이 북아메리카로 이주했다. 그들은 기독교인이었으며, 일부는 동방 정교회에 속했고, 다른 일부는 비잔틴 전례의 동방 가톨릭 교회에 속했다. 가톨릭 용어에서, 비잔틴 전례의 동슬라브 형태는 ''루테니아 전례''로 알려졌으며, 따라서 동일한 ''루테니아'' 지정이 해당 전례의 동슬라브족에게 적용되었다.당시 북아메리카에는 동방 가톨릭 관할 구역이 없었으므로 최초의 동방 가톨릭 교구는 라틴 교회의 지역 가톨릭 주교의 관할 하에 형성되었다. 그러나 주로 아일랜드인과 폴란드인인 로마 가톨릭 계층은 기혼 사제의 존재가 자신들의 교구에 미칠 "스캔들"을 우려하여 루테니아 전례의 동방 가톨릭 신자들을 쉽게 환영하지 않았다.
비잔틴 전례의 동방 가톨릭 신자들에 대한 지배적인 라틴 전례 가톨릭 주교들의 억압, 특히 기혼 사제직과 신성한 전례 또는 미사 형태와 관련하여, 일부는 가톨릭에서 벗어나 동방 정교회로 들어갔다. 특히 라틴 전례가 아닌 관행의 강력한 반대자는 1888년부터 1918년까지 세인트 폴 대주교였던 존 아일랜드였으며, 그는 동방 가톨릭 성직자가 자신의 대교구에서 활동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았다.
이 교구는 오레스테스 초르노크 신부의 지도 아래 37개의 루테니아 동방 가톨릭 교구가 에큐메니칼 총대주교청의 관할로 받아들여지면서 1938년에 설립되었다. 그 전 해에 이 단체는 주로 교회 생활에서 발생한 전례 라틴화에 항의하여 교황청과의 유니아를 공식적으로 포기했다. 특히 분열을 초래한 문제는 교황 비오 11세가 발표한 1929년 교황 칙서 ''쿰 데이터 푸에리트''였으며, 이는 미국의 동방 전례 성직자에게 독신을 의무화했다.
이 움직임은 루테니아 전례 가톨릭 교구의 두 번째 북아메리카 그룹이 동방 정교회로 이동했음을 보여준다. 첫 번째는 1890년대에 알렉시스 토스가 윌크스-바레에서 러시아 대교구의 관할로 이끌었다. 루테니아 전례 가톨릭 신자들의 동방 정교회로의 이 두 번째 대규모 개종은 북아메리카의 러시아 존재보다는 콘스탄티노플을 향했다.
이는 주로 특정한 정체성을 보존하려는 우려에서 비롯되었는데, 루테니아 전례 가톨릭 신자들 중 많은 사람들이 스스로를 루신족으로 규정하고 자신들의 독특한 정체성을 유지하기를 원했기 때문에, 이전의 움직임에서 발생한 러시아화에 반대했다. 따라서 러시아 교회에 흡수되어 모스크바 전통을 채택해야 하는 대신, ACROD는 콘스탄티노플로부터 독특한 루신 관행을 유지하도록 허가받았다. 따라서 일반적인 루테니아 프로스토피니에 성가 및 전례 양식의 찬송가, 특히 신성한 예배에 사용되는 고대 교회 슬라브어의 특정 형태가 보존되었으며, 니케아 신조에 필리오케 조항을 추가하는 것과 같은 특정 라틴 전례 관행은 제거되었다.
2. 2. 가톨릭과의 갈등 및 정교회로의 전환
19세기 말, 많은 동슬라브족이 북아메리카로 이주했으며, 이들은 동방 정교회와 비잔틴 전례의 동방 가톨릭 교회 신자였다. 가톨릭 용어로는 비잔틴 전례의 동슬라브 형태는 ''루테니아 전례''로 알려졌다. 당시 북아메리카에는 동방 가톨릭 관할 구역이 없어, 라틴 교회 주교 관할 하에 교구가 형성되었다. 그러나 로마 가톨릭 계층은 기혼 사제에 대한 우려로 루테니아 전례 신자들을 환영하지 않았다.비잔틴 전례 가톨릭 신자들에 대한 라틴 전례 가톨릭 주교들의 억압으로 인해, 일부는 가톨릭에서 벗어나 동방 정교회로 들어갔다. 특히 존 아일랜드는 동방 가톨릭 성직자의 활동을 허용하지 않았다.
1938년, 오레스테스 초르노크 신부의 지도 아래 37개의 루테니아 동방 가톨릭 교구가 에큐메니칼 총대주교청의 관할로 받아들여졌다. 이들은 교황 비오 11세가 발표한 1929년 교황 칙서 ''쿰 데이터 푸에리트''에 따른 동방 전례 성직자 독신 의무화에 반발하여 교황청과의 유니아를 포기했다.
이는 루테니아 전례 가톨릭 교구의 두 번째 북아메리카 그룹이 동방 정교회로 이동한 것이다. 첫 번째는 1890년대 알렉시스 토스가 이끌었다. 주목할 점은, 이 두 번째 개종은 콘스탄티노플을 향했다는 것이다. 이는 루신족으로서의 독특한 정체성 유지를 위한 것으로, 러시아화에 반대했기 때문이다. ACROD는 콘스탄티노플로부터 루신 관행을 유지하도록 허가받았다. 프로스토피니에 성가, 전례 양식에 사용되는 고대 교회 슬라브어, 니케아 신조에 필리오케 조항을 추가하지 않는 등의 관행이 유지되었다.
2. 3. 루신족 정체성 유지
19세기 말, 많은 동슬라브족이 북아메리카로 이주했으며, 이들은 동방 정교회 또는 비잔틴 전례의 동방 가톨릭 교회 신자였다. 가톨릭 용어로는 이들의 전례를 ''루테니아 전례''라고 불렀다.당시 북아메리카에는 동방 가톨릭 관할 구역이 없어 라틴 교회 주교 관할 하에 교구가 형성되었으나, 로마 가톨릭 계층은 기혼 사제에 대한 우려로 이들을 환영하지 않았다. 존 아일랜드 대주교와 같이 동방 가톨릭 성직자의 활동을 허용하지 않는 경우도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오레스테스 초르노크 신부의 지도 아래 37개의 루테니아 동방 가톨릭 교구가 1938년 에큐메니칼 총대주교청 관할로 받아들여졌다. 이들은 교황 비오 11세의 교황 칙서 ''쿰 데이터 푸에리트''에 따른 동방 전례 성직자 독신 의무화 등 전례 라틴화에 항의하여 교황청과의 관계를 단절했다.
이는 알렉시스 토스가 이끈 1890년대의 러시아 대교구로의 이동에 이어 두 번째로 루테니아 전례 가톨릭 교구가 동방 정교회로 이동한 사례이다. 이들은 러시아화에 반대하며 루신족 정체성을 유지하고자 콘스탄티노플로 향했다. 그 결과, ACROD는 콘스탄티노플로부터 루신 관행 유지를 허가받아 프로스토피니에 성가, 고대 교회 슬라브어 사용, 필리오케 조항 제거 등 독자성을 지킬 수 있었다.
3. 현황
2006년 미국 카르파도-러시아 정교회 교구는 78개의 교회와 5개의 기도소에 14,372명의 신도를 보유하고 있었다. 또한 펜실베이니아주 존스타운에서 구세주 그리스도 신학교를 운영하고 있다. 교회 대부분은 미국 동부 13개 주에 위치하고 있으며, 거의 절반은 펜실베이니아주에 있다. 온타리오주에는 2개의 교회와 2개의 기도소가 있다.
4. 조직
2006년, 미국 카르파도-러시아 정교회 교구(ACROD)는 78개의 교구와 5개의 선교지에 14,372명의 신자를 두고 있었다.[6] 교구 대부분은 미국 동부의 13개 주에 있으며, 온타리오에 2개의 교구와 2개의 선교지가 있다. 교구의 거의 절반이 펜실베이니아에 있다.[6]
과거에는 교구에 두 개의 수도원이 있었다. 하나는 1990년대 초에 폐쇄된 뉴욕주 터크세도 파크에 있는 수태고지 수도원이었고, 다른 하나는 1990년대 후반에 수도원장이 루테니아 가톨릭 교회(비잔틴 전례) 가톨릭으로 개종하면서 해체된 메릴랜드주 벨스빌에 있는 성 십자가 수도원이었다.[7]
교구는 미국 정교회 주교 회의의 회원이다.
5. 구세주 그리스도 신학교
펜실베이니아주 존스타운에 위치한 구세주 신학교는 미국 카르파도-러시아 정교회 교구의 신학교이다.[8] 1940년 교구의 초대 주교였던 오레스테스(초르노크)에 의해 설립되었으며, 초기에는 정식 건물이 없어 뉴욕, 펜실베이니아주 니콜슨, 코네티컷주 브리지포트 등 여러 도시를 옮겨 다니며 수업을 진행했다.[8] 1951년, 교구는 존스타운에 있는 스트레이어 저택을 매입하여 신학교로 사용하면서 강의실, 강당, 식당, 휴게 시설, 도서관, 서점 등을 갖추게 되었다.[8]
신학교는 미국과 해외의 ACROD 및 기타 정교회 교구를 위한 사제 양성을 주 목적으로 하며, 목회자 중심의 훈련을 강조한다.[8] 1960년 펜실베이니아주 교육 위원회로부터 신학 학사 학위 수여를 승인받았다.[8] 학사 학위 소지자를 위한 3년 과정의 신학 학사 프로그램, 학부 학위가 없는 늦은 소명자를 위한 신학 준학사 졸업증 프로그램, 그리고 정교회 성직자로의 서품을 받지 않을 개인을 위한 특별 입학 프로그램을 운영한다.[8]
6. 역대 주교
참조
[1]
간행물
cite fromatoz
[2]
서적
Good Victory
Holy Cross Orthodox Press
[3]
서적
Orthodox America: 1794–1976
Orthodox Church in America
[4]
문서
Barringer
[5]
웹사이트
American Carpatho-Russian Orthodox Diocese of North America | Plain Chant Hymns
https://www.acrod.or[...]
[6]
뉴스
2008 Yearbook of American & Canadian Churches
http://www.thearda.c[...]
National Council of Churches
[7]
웹사이트
Holy Cross Monastery (CR) Dissolved
http://omna.malf.net[...]
[8]
웹사이트
American Carpatho-Russian Orthodox Diocese of North America | Seminary
https://www.acrod.o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