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미드하트 파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드하트 파샤는 1822년 이스탄불에서 태어난 오스만 제국의 정치가이자 개혁가이다. 그는 어린 시절 개인 교사와 마드라사에서 교육을 받았으며, 초기 관료 경력을 거쳐 지방 총독으로 활동했다. 니스, 다뉴브, 바그다드 총독을 역임하며 빌라예트 체계 확립, 교육 및 사회 기반 시설 건설, 토지 개혁 등 근대화 정책을 추진했다. 1872년 대재상에 임명되었으나, 재정 문제로 해임된 후 1876년 헌법 제정을 주도했다. 헌법 공포 후 다시 대재상에 올랐지만, 헌법 폐지와 함께 추방당했다. 이후 시리아 총독을 거쳐 체포되어 압둘아지즈 술탄 암살 혐의로 사형을 선고받았으나, 영국 압력으로 집행이 미뤄진 채 유배지에서 살해되었다. 그는 오스만 제국의 개혁을 위해 노력한 인물로 평가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스만 제국의 대재상 - 메르치폰루 카라 무스타파 파샤
    메르지폰루 카라 무스타파 파샤는 쾨프릴뤼 가문의 영향력 아래 오스만 제국의 대재상을 지내며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과의 전쟁에서 승리했으나, 빈 전투 패배 후 처형된 정치가이자 군인이다.
미드하트 파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미드하트 파샤 (1877년, 비엔나, 아틀리에 아델 촬영). 1878년 8월 27일, 미드하트 파샤가 서덜랜드 공작의 손님으로 방문했을 때 헌정된 사진.
출생일1822년
출생지콘스탄티노플, 오스만 제국
사망일1883년 4월 26일 (향년 60세)
사망지타이프, 헤자즈 빌라예트, 오스만 제국
국적오스만 제국
정치 경력
직책오스만 제국 대재상
재임 기간 (1차)1872년 7월 31일 – 1872년 10월 19일
재임 기간 (2차)1876년 12월 19일 – 1877년 2월 5일
군주 (1차)압둘아지즈 ()
군주 (2차)압뒬하미트 2세 ()
이전 대재상 (1차)마흐무트 네딤 파샤
다음 대재상 (1차)메흐메트 뤼슈디 파샤
이전 대재상 (2차)메흐메트 뤼슈디 파샤
다음 대재상 (2차)이브라힘 에뎀 파샤
의회오스만 제국 의회
기타 정보
로마자 표기Aḥmed Şefīḳ Midḥat Pāşā
교육 기관마드라사

2. 어린 시절

미드하트 파샤는 히즈라력 1238년 사파르 (서력 1822년 10월 18일)에 오스만 제국의 수도 이스탄불에서 태어났다.[40][50][7] 그의 처음 이름은 아흐메트 셰피크였다. 그는 명망 있는 이슬람교 학자 집안인 일미이예 가문 출신으로, 안락한 환경에서 자랐다.[40][21] 아버지는 하지즈 아이르 에펜디자드 하지즈 메흐메드 에쉬레프 에펜디(또는 루슈쿨루 메흐메트 에시레프)로, 카디(판사)이자 이슬람 학자였으며 지금의 불가리아 루스 출신이었다.[40][7] 미드하트 파샤의 가족은 벡타시교 신자였던 것으로 추정된다.[40][7] 그는 개인 교사와 마드라사를 통해 교육을 받았다.[51][22][1][2][15][3] 어린 시절에는 부모님의 집이 있는 비딘로베치에서 지냈으며, 이후 아버지가 법관(사법직)으로 근무하게 된 이스탄불에서 성장기를 보냈다.[40][7]

3. 초기 관료 경력

1834년 서기관료 수습으로 대비서원에 들어가 원래 이름 아흐메트 셰피크에서 미드하트로 개명했다. 1836년에는 대재상의 비서관으로 근무하기 시작했으며,[40][7] 1840년 18세의 나이로 정식 서기가 되어 관계에 진출했다. 이후 지방 근무를 거치며 젊은 나이에 유력 관료로 성장했다.

1854년 대재상 크브르슬르 메흐메드 파샤의 명으로 아드리아노플 주의 치안을 담당하게 되었다.[40][7] 그는 1854년부터 1856년까지 발칸 반도 지역의 산적 문제를 성공적으로 진압하는 성과를 거두었다.[51][15][22] 1858년에는 6개월 동안 서유럽으로 유학을 떠나 , 파리, 브뤼셀, 런던 등지를 방문하며 견문을 넓혔다.[40][7][4][5][24][21] 또한 최고평의회 차관보로 재직할 당시 쿨렐리 사건 조사에 참여하기도 했다.

4. 지방 총독 시절

미드하트 파샤는 오스만 제국의 지방 행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개혁가로서의 면모를 보였다. 젊은 시절 지방 근무를 거치며 능력을 인정받아 빠르게 승진했으며, 1864년에는 직접 편찬한 지방 통치법에 따라 신설된 도나우 주의 초대 주지사로 부임했다. 이곳에서 그는 지방 행정 제도를 성공적으로 개혁하며 큰 공적을 남겼다.[26][27]

1869년에는 바그다드 주지사로 임명되어 이곳에서도 주 정치 개혁을 추진하는 등, 지방 총독으로서 개혁 정치를 이끌었다.[26][27]

그러나 그의 개혁적인 성향은 중앙 정치와의 갈등을 야기하기도 했다. 1872년 대총리에 임명되었으나 자유주의적 성향으로 인해 궁정과 대립하여 3개월 만에 사임했고, 이듬해인 1873년에는 살로니카 주지사로 임명되어 중앙 정치에서 멀어졌다.[26][27][28][29]

이후 국외 추방을 당했다가 추방이 해제된 후에는 시리아 주지사, 아이든 주지사 등을 역임했다. 하지만 헌정 부활을 꾀하고 외국과 연계하여 개혁을 지속하려 했기 때문에, 결국 1881년 압둘하미트 2세에 의해 체포되는 빌미가 되었다.[34][35][36]

4. 1. 니스 총독

1861년 미드하트 파샤는 니스의 총독으로 임명되었다.[40][7] 그는 이곳에 부임하여 발칸 지역에 빌라예트 체계를 도입하고 확립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51][22]

4. 2. 다뉴브 총독

1865년 도나우 총독으로 재직 중인 미드하트 파샤 (사진: 압둘라 프레르(Abdullah Frères))


1861년 니스 총독으로 임명된 미드하트 파샤는[40][7] 발칸 지역에 빌라예트 제도를 도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51][22]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메흐메드 푸아드 파샤는 1864년 빌라예트 법의 시범 시행을 위해 다뉴브 주를 모범 빌라예트로 지정하고, 미드하트 파샤를 첫 왈리(총독)로 임명했다.[9]

미드하트 파샤는 1864년부터 1868년까지 다뉴브 주 총독을 역임하며[50][21] 주목할 만한 개혁을 추진하고 지역 발전을 이끌었다. 그는 1862년 세르비아 정부에 의해 추방된 무슬림 난민들을 수용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6] 또한, 주민들의 자발적인 기부금을 재원으로 활용하여 수많은 학교와 교육 기관, 병원, 곡물 창고, 도로와 다리 등 사회 기반 시설을 확충했다.[40][7]

총독 부임 2년 만에 미드하트 파샤는 지역 질서를 회복하고 새롭게 개혁된 행정 체계를 도입했다. 농민들을 위해 최초의 농업 신용 협동조합을 설립하여 농업 신용 제도를 마련했으며,[8] 도로, 다리, 수로를 확장하고 새로운 산업을 육성했다. 학교와 고아원을 열어 교육 기회를 넓혔고, 지역 신문을 창간했다. 이러한 노력 덕분에 다뉴브 주의 수입은 기존 26,000 푸르세에서 300,000 푸르세로 크게 증가하는 성과를 거두었다.[9]

1868년 다뉴브 주 총독 임기를 마친 후, 미드하트 파샤는 오스만 제국의 국가 평의회 의장으로 임명되었다.[26]

4. 3. 바그다드 총독

1869년, 대재상 알리 파샤와의 갈등 끝에 바그다드 총독으로 임명되었다. 이는 알리 파샤가 미드하트 파샤를 견제하기 위해 외딴 지역으로 보낸 것이라는 시각도 있다.[50]

바그다드에 부임한 미드하트 파샤는 도시에 국립 교육 기관이 전무하다는 사실을 파악하고 여러 국립 학교를 설립했다.[41][10] 또한 제6군 개혁의 일환으로 사관학교를 설립했다.[41][10] 이 사관학교들은 장기적인 영향을 미쳐, 1900년에는 사립 예비 고등학교 등록생이 96명에 불과했던 반면, 군사 예비학교에는 256명, 군사 중학교에는 846명의 학생이 등록할 정도로 성장했다.[41][10]

미드하트 파샤는 바그다드 지방의 근대화를 추진했으며,[50][21] 알하사 지역에 오스만 제국의 통치력을 재확립하고 법령을 정비했다.[50][21] 그는 바그다드에 빌라예트 행정 체계를 도입했으며,[39][17] 1858년 토지 칙령을 적용하여 '니잠 타푸'(nizam tapu) 제도를 통해 국유지(miri)를 개인에게 분배하는 토지 개혁을 단행했다.[42][39][17]

영국의 헨리 도브스 경은 미드하트 파샤가 총독으로 재임한 3년을 오스만 제국 통치 하 바그다드 역사상 가장 안정되고 안전했던 시기로 평가했다.[39][17]

1872년, 미드하트 파샤는 총독직을 마치고 이스탄불로 돌아갔다.[50][21]

5. 대재상 임명과 헌법 제정

<배니시 페어> 표지에 등장한 미드하트 파샤 (1877년 6월 30일)


1872년, 미드하트 파샤는 술탄 압둘아지즈 1세에 의해 오스만 제국의 대재상으로 임명되었다.[50][21] 하지만 그의 첫 대재상 임기는 재정 및 경제 문제를 둘러싸고 압둘아지즈 1세와 대립하면서 두 달 만에 갑작스럽게 끝났다.[53][24][50][21] 이후 1873년과 1875년에도 법무장관을 지냈으나, 헌법 체제를 지지하는 그의 성향 때문에 임기는 매우 짧았다.[51][22]

1875년부터 1876년까지 오스만 제국이 내부적, 재정적, 외교적으로 심각한 위기에 직면하면서, 미드하트 파샤에게는 새로운 헌법을 도입할 기회가 찾아왔다. 이것이 바로 1876년 오스만 제국 헌법, 일명 '미드하트 헌법' 제정으로 이어졌다.[51][22]

1876년 6월 15일, 오스만 제국 고위 장관들이 미드하트 파샤의 저택에서 회의를 하던 중, 체르케스 하산(Çerkes Hasan)이라는 오스만 보병 장교가 회의장을 습격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 공격으로 국방장관 후세인 아브니 파샤가 총상을 입었고 외무장관 메흐메드 라시드 파샤가 암살당했으며, 미드하트 파샤의 하인 아흐메드 아가(Ahmed Aga)를 포함해 총 5명이 사망하고 10명이 부상을 입었다. 주동자 하산은 사형 판결을 받았으며, 이 사건은 훗날 체르케스 하산 사건으로 불리게 되었다.[43][11]

1876년 12월 9일(또는 12월 19일[24]), 미드하트 파샤는 메흐메드 뤼슈디 파샤의 뒤를 이어 다시 한번 대재상에 임명되었다.[53] 그는 개혁을 계속 추진하겠다고 약속했으며, 1876년 12월 23일에는 헌법을 공포하고 대표 의회를 설립하겠다고 선언했다.[53][24] 비록 그가 헌법 초안 위원회 소속은 아니었지만, 헌법 채택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53][24]

미드하트 헌법은 여러 중요한 개혁 내용을 담고 있었다. 인종이나 종교에 관계없이 모든 제국 신민의 평등권을 보장하고, 노예제를 폐지했으며, 이슬람 종교법이 아닌 시민법에 기반한 독립적인 사법부를 명시했다. 또한 보통 초등 교육 실시와 함께, 술탄이 임명하는 상원과 직접 선거로 선출되는 하원으로 구성된 양원제 의회 설립을 규정했다.[53][24] 미드하트 파샤는 "이슬람의 정부 원리는 국민 주권이 인정되는 민주적 기반에 있다"고 주장하기도 했다.[12]

처음에는 헌법 제정에 대한 대중의 지지가 높았으나, 헌법이 비(非)이슬람교도에게도 이슬람교도와 동등한 권리를 보장한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지지 여론은 급격히 하락했다.[44][13] 이전까지 미드하트를 지지했던 소프타(softas, 신학생)들조차 강한 반대 입장으로 돌아섰다.[44][13] 미드하트 파샤는 술탄 압둘 하미드 2세에게 헌법 승인을 압박했지만, 술탄은 오히려 술탄에게 재판이나 별도의 법적 절차 없이 누구든 제국 밖으로 추방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는 악명 높은 제113조를 헌법에 추가하도록 명령했다.[44][13]

결국 압둘 하미드 2세는 헌법 체제에 별다른 관심을 보이지 않았고, 1877년 2월 5일 미드하트 파샤를 대재상에서 해임하고 국외로 추방했다.[53][24][33] 그는 제국 소유의 배를 타고 이탈리아 브린디시로 보내졌으며, 이후 프랑스, 스페인, 오스트리아-헝가리, 영국 등을 방문했다. 방문 기간 동안 그는 1877-1878년 러시아-튀르크 전쟁에서 오스만 제국의 입장을 지지하는 글과 오스만 제국의 개혁을 옹호하는 소책자를 저술했다.[45][14] 유럽에서 미드하트 파샤에 대한 동정 여론이 일고 영국의 압력이 더해지자, 압둘 하미드 2세는 그의 귀국을 허락했고, 미드하트 파샤는 1878년 9월 26일(또는 9월 6일[14]) 크레타 섬에 도착했다.[45]

그러나 전쟁이 끝난 후 술탄 압둘 하미드 2세는 의회를 해산하고 헌법 효력을 정지시켰으며, 다시 전제 정치로 돌아갔다.[51][22][33] 이로써 미드하트 파샤가 주도하여 수립한 오스만 제국의 제1차 입헌 정치는 불과 1년 2개월 만에 막을 내렸다.[33]

6. 추방과 귀환

압둘하미트 2세는 헌법 제정 과정에서 미드하트 파샤가 국내 개혁파와 외국의 지지를 얻어 정치적 입지를 다진 것에 반감을 품고 있었다. 전제 군주제를 원했던 압둘하미트 2세는 미드하트 파샤에 반대하는 정치 세력과 손을 잡고 반격을 준비했다.[33] 특히, 헌법 제정을 서두르는 과정에서 미드하트 파샤가 수용했던 군주 대권 조항, 즉 "황제는 국가에 대한 위험 인물을 추방할 수 있다"는 내용은 결국 미드하트 파샤 자신의 발목을 잡는 결과를 낳았다.[33]

헌법이 공포된 지 얼마 지나지 않은 1877년 2월 5일, 압둘하미트 2세는 미드하트 파샤를 바로 이 헌법 조항에 명시된 '위험 인물'로 지목하여 대총리 자리에서 해임하고 국외 추방을 명령했다.[33]

미드하트 파샤가 추방된 후, 압둘하미트 2세는 1878년 2월 14일, 러시아-터키 전쟁이 진행 중이라는 이유를 내세워 헌법에 규정된 군주의 비상 대권을 발동하여 헌법의 효력을 정지시켰다. 이로써 미드하트 파샤가 주도하여 수립했던 제1차 입헌 제도는 시행된 지 불과 1년 2개월 만에 막을 내리게 되었다.[33]

이후 미드하트 파샤는 추방에서 풀려나 시리아 주지사, 아이든 주지사 등으로 임명되어 다시 관직에 복귀했다.

7. 시리아 총독

영국의 개입으로 다시 총독직에 오를 수 있게 된 미드하트 파샤는[50][21] 1878년 11월 22일 시리아 빌라예트의 총독으로 임명되어 1881년 8월 31일까지 재임했다.[47][16] 그는 임기 동안 시리아 지역의 개혁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50][21]

교육 분야에서는 베이루트의 저명한 무슬림 시민들이 설립한 교육 자선 협회를 교육 개혁의 중심으로 삼았으며, 다마스쿠스와 다른 지역에도 비슷한 협회 설립을 장려했다.[46][15] 행정 분야에서는 카이마캄(군수)과 무타사리프(주지사)를 포함한 여러 행정직에 아랍인들을 적극적으로 등용했으며, 소수 민족에게도 폭넓은 행정 참여 기회를 제공했다.[47][16]

또한 언론 발전을 장려하여 당시 시리아 지역의 신문사 수가 12개를 넘어서게 되었다.[47][16] 도로 건설과 치안 유지에도 힘썼으며,[47][16] 트리폴리의 전차 노선 건설이나 베이루트 상공회의소 설립과 같은 지역 개발 사업에는 현지 유력 인사들의 참여를 유도했다.[47][16]

하지만 미드하트 파샤는 이스탄불 중앙 정부로부터 충분한 지원을 받지 못한다고 느껴 결국 총독직을 사임했다.[50][21] 당시 유럽에서는 그의 개혁 노력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도, 오스만 제국의 고질적인 비효율과 부패, 사회 분열 때문에 성공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시각도 있었다.[17]

8. 투옥과 사망

1881년 7월 28일, 이즈즈딘 증기선 탑승 전 부두에서 촬영된 미드하트 파샤의 유배지 타이프로 가는 모습 (사진: 바실라키스 카르고풀로스).


헤자즈 주지사이자 사령관인 오스만 누리 파샤(가지 오스만 누리 파샤와 혼동하지 말 것)의 헤자즈 근무 중 촬영 사진.


추방에서 풀려난 후 이즈미르에서 아이딘 주 총독으로 잠시 부임했지만,[48][18] 총독직에 오른 지 몇 달 되지 않은 1881년 5월 17일에 체포되었다.[38][19] 당시 법무장관이었던 아흐메드 제브데트 파샤는 미드하트 파샤를 이스탄불로 압송했고,[38] 그는 압둘아지즈 술탄을 암살했다는 혐의로 기소되었다.[38][19] 심문과 재판 절차는 일디즈 궁전에서 진행되었다.[38][19]

많은 역사학자들은 이 기소가 압둘하미트 2세의 의도에 따라 날조된 것이라고 평가한다.[50][21] 특히 미드하트 파샤의 자백은 고문을 통해 얻어졌다는 의혹이 강하게 제기되며,[38][19] 위조된 증거와 매수된 증인의 증언으로[49][20] 결국 유죄 판결과 함께 사형 선고를 받았다.[49]

그러나 영국의 압력으로 사형 집행은 미뤄졌고,[50][21] 헤자즈의 타이프에 있는 요새에 수감되었다.[51][22] (일부 기록에는 무기징역으로 감형되었다고도 한다.) 전해지는 바에 따르면, 미드하트 파샤가 요새에 도착하자마자 메카의 에미르는 이스탄불로부터 미드하트를 "사고로 위장하여" 살해하라는 비밀 지령을 받았다고 한다.[52][23] 하지만 당시 에미르였던 압둘 무탈리브는 미드하트와 가까운 사이였기 때문에 이 지령을 따르지 않았다.[52][23] 이에 분노한 헤자즈 총독 오스만 파샤는 압둘 무탈리브의 여름 별장을 포위하고 그를 체포하여 수감시켰다.[52][23]

보호자를 잃은 미드하트 파샤의 운명은 결정되었다.[52][23] 1883년 4월 26일, 그는 결국 감방 안에서 암살당했다.[50][53][24][21]

미드하트 파샤의 유해는 1951년 6월 26일 타이프에서 이스탄불로 옮겨져, 젤랄 바야르 대통령이 참석한 가운데 자유 기념비에 안치되었다.[25]

9. 유산

앙카라에 있는 미드하트 파샤 동상


영국의 역사가 캐롤라인 핀켈(Caroline Finkel)은 미드하트 파샤를 "분리주의적 경향에 맞서 효율적인 통치의 이점을 보여주는 것이 최선이라고 믿었던, 탄지마트의 낙관주의를 진정으로 대표하는 인물"이라고 평가한다.[19] 버나드 루이스(Bernard Lewis) 역시 그를 "오스만 제국에서 가장 능력 있는 관리 중 한 명"으로 꼽으며, 특히 도나우 주 총독 재직 시절은 "필요한 의지와 능력이 주어진다면 새로운 시스템이 매우 잘 작동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고 언급한다.[9] 자유주의적인 성향을 가졌던 그는 오스만 제국의 근대화 개혁을 이끈 핵심 인물로 기억된다.

다마스쿠스에 있는 미드하트 파샤 시장(Midhat Pasha Souq)은 오늘날에도 그의 이름을 간직하고 있다.[15] 또한 튀르키예의 수도 앙카라에는 그의 동상이 세워져 있다.

그의 가장 중요한 유산은 1876년 오스만 제국 헌법(일명 미드하트 헌법)의 제정을 주도한 것이다. 이 헌법은 오스만 제국이 서구식 법치 국가임을 선언하고, 제국 의회 설치, 무슬림과 비무슬림의 완전한 평등을 규정하는 등[32][33] 프랑스 제3공화국, 벨기에, 영국의 헌법을 참고하여 제정된 자유주의적 입헌군주제 헌법이었다.[33] 이는 다른 아시아 국가들에 앞서 의회 개설을 명시한 획기적인 시도였다.[33]

그러나 헌법 제정을 서두르는 과정에서, 전제 군주제를 원했던 술탄 압둘 하미드 2세의 요구로 포함된 군주 대권 조항("황제는 국가에 대한 위험 인물을 추방할 수 있다")은 결국 미드하트 파샤 자신의 발목을 잡는 결과를 낳았다.[33] 헌법 공포 후 얼마 지나지 않은 1877년 2월 5일, 그는 이 조항에 의해 '위험 인물'로 지목되어 대총리에서 해임되고 국외로 추방되었다.[33] 이듬해인 1878년에는 러시아-튀르크 전쟁을 빌미로 헌법 자체가 정지되면서, 그가 이끈 제1차 입헌 제도는 불과 1년 2개월 만에 막을 내렸다.[33] 의회가 정부 고관의 부패와 술탄과의 유착 등을 비판하자, 압둘 하미드 2세는 헌법을 정지시키고 의회를 폐쇄한 것이다.[33]

추방에서 풀려난 후 시리아 주지사 등을 역임했지만, 헌정 부활과 개혁을 계속 추진하려던 그는 결국 1881년 폐위된 술탄 압뒬라지즈 살해 혐의로 체포되어 사형을 선고받았다. 3년 뒤인 1884년, 유배지인 아라비아반도타이프에서 교살당했다. 그의 사후 압둘 하미드 2세의 전제 정치는 30년간 이어졌으나, 미드하트 파샤가 뿌린 입헌주의의 씨앗은 1908년 청년 튀르크당 혁명과 제2차 입헌 제도로 이어지게 된다.[34][35][36]

참조

[1] 서적 Reform in the Ottoman Empire, 1856-1876
[2] 서적 Re-Imagining Democracy in the Mediterranean, 1780-1860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8
[3] 서적 Inventing Iraq: The Failure of Nation-Building and a History Denied https://books.google[...] C. Hurst & Co. Publishers 2013-06-09
[4] 서적 The Young Turks in Opposition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7-05-06
[5] 서적 The Syrian Land: Processes of Integration and Fragmentation : Bilād Al-Shām from the 18th to the 20th Century https://books.google[...] Franz Steiner Verlag 2017-05-06
[6] 학술지 The Expulsion of Muslims from Serbia after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in Kanlıca and Withdrawal of the Ottoman Empire from Serbia (1862-1867) https://dergipark.or[...]
[7] 서적 E.J. Brill's First Encyclopaedia of Islam, 1913-1936 https://books.google[...] BRILL 2013-06-09
[8] 서적 The Emergence of Modern Turkey https://global.oup.c[...]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9] 서적 The Emergence of Modern Turkey https://global.oup.c[...]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10] 서적 Religion, Ethnicity and Contested Nationhood in the Former Ottoman Space https://books.google[...] BRILL 2013-06-09
[11] 서적 Crisis of the Ottoman Empire: Prelude to Collapse 1839-1878 https://books.google[...] Franz Steiner Verlag 2013-06-09
[12] 서적 The Emergence of Modern Turkey https://global.oup.c[...]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13] 서적 Nationalism, Globalization, and Orthodoxy: The Social Origins of Ethnic Conflict in the Balkans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13-06-09
[14] 서적 The Encyclopedia of Islam, Volume 6, Fascicules 114a: Preliminary Matter and Binder https://books.google[...] BRILL 2013-06-11
[15] 서적 Religion, Ethnicity and Contested Nationhood in the Former Ottoman Space https://books.google[...] BRILL 2013-06-09
[16] 서적 The Historical Formation of the Arab Nation: A Study in Identity and Consciousness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13-06-09
[17] 서적 Inventing Iraq: The Failure of Nation-Building and a History Denied https://books.google[...] C. Hurst & Co. Publishers 2013-06-09
[18] 서적 Studies in Islamic History and Civilization: In Honour of Professor David Ayalon https://books.google[...] BRILL 2013-06-09
[19] 서적 Osman's Dream: The Story of the Ottoman Empire 1300-1923 https://books.google[...] John Murray 2013-06-11
[20] 서적 House with Wisteria: Memoirs of Turkey Old and New https://books.google[...] Transaction Publishers 2013-06-09
[21] 서적 Encyclopedia of the Ottoman Empire https://books.google[...] Infobase Publishing 2013-06-09
[22] 서적 The A to Z of the Ottoman Empire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13-06-09
[23] 서적 King Husain and the Kingdom of Hejaz https://books.google[...] The Oleander Press 2013-06-11
[24] 서적 Introduction to the Modern Economic History of the Middle East https://books.google[...] Brill Archive 2013-06-09
[25] 뉴스 Hürriyet Şehidimiz Mithat Paşa Dün Toğrağa Verildi Milliyet Gazetesi 1951-06-27
[26] 서적 山内(1996)
[27] 서적 山内(1996)
[28] 서적 パーマー(1998)
[29] 서적 新井(2009)
[30] 서적 新井(2009)
[31] 서적 永田(2002)
[32] 서적 新井(2009)
[33] 서적 永田(2002)
[34] 서적 山内(1996)
[35] 서적 パーマー(1998)
[36] 서적 (제목 정보 없음)
[37] 서적 Inventing Iraq: The Failure of Nation-Building and a History Denied https://books.google[...] C. Hurst & Co. Publishers 2013-06-09
[38] 서적 Osman's Dream: The Story of the Ottoman Empire 1300-1923 https://books.google[...] John Murray 2012-07-19
[39] 서적 Inventing Iraq: The Failure of Nation-Building and a History Denied https://books.google[...] C. Hurst & Co. Publishers 2013-06-09
[40] 서적 E.J. Brill's First Encyclopaedia of Islam, 1913-1936 https://books.google[...] BRILL 2013-06-09
[41] 서적 Religion, Ethnicity and Contested Nationhood in the Former Ottoman Space https://books.google[...] BRILL 2011-12-09
[42] 기타
[43] 서적 Crisis of the Ottoman Empire: Prelude to Collapse 1839-1878 https://books.google[...] Franz Steiner Verlag 2013-06-09
[44] 서적 Nationalism, Globalization, and Orthodoxy: The Social Origins of Ethnic Conflict in the Balkans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13-06-09
[45] 서적 The Encyclopedia of Islam, Volume 6, Fascicules 114a: Preliminary Matter and Binder https://books.google[...] BRILL 2013-06-11
[46] 서적 Religion, Ethnicity and Contested Nationhood in the Former Ottoman Space https://books.google[...] BRILL 2011-12-09
[47] 서적 The Historical Formation of the Arab Nation: A Study in Identity and Consciousness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13-06-09
[48] 서적 Studies in Islamic History and Civilization: In Honour of Professor David Ayalon https://books.google[...] BRILL 2013-06-09
[49] 서적 House with Wisteria: Memoirs of Turkey Old and New https://books.google[...] Transaction Publishers 2013-06-09
[50] 서적 Encyclopedia of the Ottoman Empire https://books.google[...] Infobase Publishing 2013-06-09
[51] 서적 The A to Z of the Ottoman Empire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13-06-09
[52] 서적 King Husain and the Kingdom of Hejaz https://books.google[...] The Oleander Press 2013-06-11
[53] 서적 Introduction to the Modern Economic History of the Middle East https://books.google[...] Brill Archive 2013-06-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