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트로파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트로파컵은 1927년부터 1992년까지 개최된 유럽 클럽 대항전으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해체 이후 프로 리그가 출범한 중앙 유럽 국가들의 클럽들이 참가했다. 1927년 첫 대회를 시작으로 1930년대 유럽 축구를 주도했으며,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중단되었다가 1951년에 재개되었지만, UEFA 주관 대회가 생기면서 위상이 약화되었다. 1980년대에는 2부 리그 우승팀들이 참가하는 대회로 격하되었고, 1992년 대회를 마지막으로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27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라이더 컵
라이더 컵은 미국과 유럽 팀 간의 골프 대항전으로, 1927년 시작되어 2년마다 매치 플레이 방식으로 진행되며, 승리 팀에게 트로피가 수여된다. - 1927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세계 스누커 선수권 대회
세계 스누커 선수권 대회는 1927년 프로 선수권 대회로 시작하여 여러 시대를 거쳐 현재의 녹아웃 토너먼트 방식으로 자리 잡았으며, 1977년부터 셰필드의 크루시블 극장에서 개최되어 스누커 역사상 가장 권위 있는 토너먼트로 인정받고 있다. - 폐지된 국제 클럽 축구 대회 - A3 챔피언스컵
A3 챔피언스컵은 한국, 중국, 일본의 프로 축구 리그 우승팀들이 참가했던 클럽 대항전으로, 2003년부터 2007년까지 5번 개최되었으며 대한민국 클럽들이 강세를 보였으나 2008년 대회 취소 후 중단되었다. - 폐지된 국제 클럽 축구 대회 - 인터시티스 페어스컵
인터시티스 페어스컵은 무역 박람회 장려를 위해 1955년부터 1971년까지 존재했던 유럽 축구 클럽 대항전으로, FC 바르셀로나가 최다 우승팀이며 UEFA컵으로 대체되었다.
미트로파컵 | |
---|---|
미트로파컵 | |
![]() | |
주최 | AFL CFA HFF FAY |
창설 | 1927년 |
지역 | 중앙유럽 |
참가 팀 수 | 4 (1992년) |
관련 대회 | 라틴컵 발칸컵 |
마지막 우승팀 | 보라츠 바냐루카 (1992년) |
최다 우승 클럽 | 버셔시 (6회) |
2. 역사
1897년 빈에서 열린 '''챌린지컵'''은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축구 클럽들을 대상으로 한 대회로, 1911년까지 개최되었으며 미트로파컵의 전신이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제국이 해체되면서 오스트리아(1924년), 헝가리(1925년), 체코슬로바키아(1926년) 등에서 프로 축구 리그가 출범하며 1920년대 유럽 축구를 주도했다. 1927년 7월 17일 후고 마이슬 오스트리아 축구 협회 회장이 이탈리아 베네치아 회의에서 미트로파컵 창설을 결정했다.
1927년 8월 14일 첫 대회는 오스트리아, 헝가리, 체코슬로바키아, 유고슬라비아 4개국 클럽들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의 토너먼트로 경기를 치렀고, 스파르타 프라하가 우승했다. 1929년 이탈리아, 1936년 스위스, 1937년 루마니아 클럽들이 참가하며 유럽에서 가장 권위 있는 국제 클럽 축구 대회로 자리매김했고, 독일어권과 동유럽에서는 UEFA 챔피언스리그의 전신으로 여기기도 한다.
1938년 오스트리아 병합으로 오스트리아 클럽이 기권했고, 1939년 8개 팀만 참가했다. 1940년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중단되었다가 1951년 재개되었으나, 유럽 축구 연맹(UEFA) 주관 대회 개최로 가치가 쇠퇴, 1980년대에는 참가국 2부 리그 우승팀 참가 대회로 격하되었다. 1992년 마지막 대회 결승전은 1,000명 관중 앞에서 열렸다.
2. 1. 챌린지컵 (1897-1911)
1897년 빈에서 빈 크리켓 앤드 풋볼 클럽의 공동 창립자인 존 그람릭 시니어의 제안으로 '''챌린지컵'''(Challenge Cup)이 창설되었다. 이 대회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모든 축구 클럽들이 참가할 수 있도록 고안되었으나, 실제로는 빈, 부다페스트, 프라하와 같이 제국의 세 주요 도시의 클럽들만 주로 참가하였다. 챌린지컵은 1911년까지 개최되었으며, 오늘날 미트로파컵과 유러피언컵 및 챔피언스 리그의 전신으로 여겨진다. 마지막 우승팀은 비너 슈포르트-클럽이었으며, 우승컵은 여전히 이 클럽에 보관되어 있다.[1][2][3]2. 2. 창설 (1927)
1897년 빈에서 열린 '''챌린지컵'''(Challenge Cup)은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축구 클럽들을 대상으로 한 축구 대회였으며 1911년까지 개최되었다. 이 대회는 미트로파컵의 전신으로 여겨진다.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해체되면서, 중앙유럽 국가들은 프로 축구 리그를 창설하기 시작했다. 1924년 오스트리아를 시작으로, 1925년 헝가리, 1926년 체코슬로바키아에서 프로 축구 리그가 출범했다. 이들 국가는 1920년대 유럽 축구를 주도했다.[1][2][3]
1927년 7월 17일, 후고 마이슬 오스트리아 축구 협회 회장은 이탈리아 베네치아에서 열린 회의에서 미트로파컵 창설을 결정했다. 이 대회는 중앙유럽 국가들의 프로 축구 클럽 간 경쟁을 통해 각국의 축구 수준을 높이고, 클럽들의 재정적 안정을 도모하기 위한 목적이었다. 첫 대회는 1927년 8월 14일에 시작되었다.
2. 3. 초기 대회 (1927-1939)
1897년 빈에서 시작된 챌린지컵은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내 축구 클럽들이 참가하는 대회로, 1911년까지 개최되었으며 미트로파컵의 전신으로 여겨진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해체되면서, 유럽 여러 국가에서 프로 축구 리그가 창설되었다. 1924년 오스트리아를 시작으로, 1925년 헝가리, 1926년 체코슬로바키아에서 프로 리그가 출범하며 이들 국가는 1920년대 유럽 축구를 주도했다.1927년 7월 17일, 후고 마이슬 오스트리아 축구 협회 회장의 주도로 이탈리아 베네치아에서 열린 회의에서 미트로파컵 창설이 결정되었다.[1][2][3] 1927년 8월 14일에 시작된 첫 대회에는 오스트리아, 헝가리, 체코슬로바키아, 유고슬라비아 4개국 클럽들이 참가하여 홈 앤드 어웨이 방식의 토너먼트 경기를 치렀고, 체코슬로바키아의 스파르타 프라하가 우승을 차지했다.
1929년에는 이탈리아 클럽들이 유고슬라비아 팀들을 대체하여 참가했고, 1934년에는 참가국당 4팀으로 규모가 확대되었다. 1936년에는 스위스, 1937년에는 루마니아와 유고슬라비아 클럽들이 추가로 참가하면서 유럽에서 가장 권위 있는 국제 클럽 축구 대회로 성장했다. 특히 독일어권과 동유럽에서는 미트로파컵을 UEFA 챔피언스리그의 전신으로 여기기도 한다.
1938년 안슐루스로 인해 오스트리아 클럽들이 대회에서 기권했고, 1939년 대회에는 8개 팀(헝가리, 체코슬로바키아, 이탈리아에서 각각 2팀, 루마니아와 유고슬라비아에서 각각 1팀)만이 참가했다.
1940년 대회는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결승전 전에 중단되었다. 헝가리의 페렌츠바로시와 루마니아의 라피드가 결승에 진출했지만, 트란실바니아 북부가 루마니아에서 헝가리로 양도되면서 경기는 열리지 못했다.
2. 4. 중단과 재개 (1940-1992)
1940년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대회가 중단되었다가 1951년에 다시 열렸다.[1][2][3] 그러나 유럽 축구 연맹(UEFA)이 주관하는 국제 클럽 축구 대회가 개최되면서 미트로파컵의 가치는 쇠퇴했고, 1980년대에는 참가국의 2부 리그 우승 팀이 참가하는 대회로 격하되고 만다. 1992년에 열린 마지막 대회의 결승전은 불과 1,000명 밖에 안 되는 관중들 앞에서 열렸다.3. 역대 대회 결과
개최 연도 | 우승 | 합계 | 준우승 | 1차전 | 2차전 |
---|---|---|---|---|---|
1927년 | 스파르타 프라하 | 7-3 | 라피트 빈 | 6-2 | 1-2 |
1928년 | 페렌츠바로시 | 10-6 | 라피트 빈 | 7-1 | 3-5 |
1929년 | 우이페슈트 | 7-3 | 슬라비아 프라하 | 5-1 | 2-2 |
1930년 | 라피트 빈 | 4-3 | 스파르타 프라하 | 2-0 | 2-3 |
1931년 | 퍼스트 비엔나 | 5-3 | 비너 | 3-2 | 2-1 |
1932년 | 볼로냐 | 퍼스트 비엔나 | [11] | ||
1933년 | 아우스트리아 빈 | 4-3 | 암브로시아나-인테르 | 1-2 | 3-1 |
1934년 | 볼로냐 | 7-4 | 아드미라 빈 | 2-3 | 5-1 |
1935년 | 스파르타 프라하 | 4-2 | 페렌츠바로시 | 1-2 | 3-0 |
1936년 | 아우스트리아 빈 | 1-0 | 스파르타 프라하 | 0-0 | 1-0 |
1937년 | 페렌츠바로시 | 9-6 | 라치오 | 4-2 | 5-4 |
1938년 | 슬라비아 프라하 | 4-2 | 페렌츠바로시 | 2-2 | 2-0 |
1939년 | 우이페슈트 | 6-3 | 페렌츠바로시 | 4-1 | 2-2 |
1940년 | 중단[11] | ||||
1941년부터 1950년까지는 열리지 않음 | |||||
1951년[12] | 라피트 빈 | 3-2 | SC 바커 빈 | - | - |
1952년부터 1954년까지는 열리지 않음 | |||||
1955년 | 뵈뢰시 로보고 | 8-1 | ÚDA 프라하 | 6-0 | 2-1 |
1956년 | 버셔시 | 4-4[13] | 라피트 빈 | 3-3 | 1-1 |
1957년 | 버셔시 | 5-2 | 보이보디나 | 4-0 | 1-2 |
1958년[14] | 츠르베나 즈베즈다 | 7-3 | 루다 흐베즈다 브르노 | 4-1 | 3-2 |
1959년 | 부다페스트 혼베드 | 6-5 | MTK 부다페스트 | 4-3 | 2-2 |
1960년에는 열리지 않음 | |||||
1961년 | 볼로냐 | 5-2 | 슬로반 니트라 | 2-2 | 3-0 |
1962년 | 버셔시 | 6-3 | 볼로냐 | 5-1 | 1-2 |
1963년 | MTK 부다페스트 | 3-2 | 버셔시 | 2-1 | 1-1 |
1964년 | 스파르타 프라하 | 2-0 | 슬로반 브라티슬라바 | 0-0 | 2-0 |
1965년 | 버셔시 | 1-0 | 피오렌티나 | - | - |
1966년 | 피오렌티나 | 1-0 | 예드노타 트렌친 | - | - |
1966-67년 | 스파르타크 트르나바 | 5-4 | 우이페슈티 도저 | 2-3 | 3-1 |
1967-68년 | 츠르베나 즈베즈다 | 4-2 | 스파르타크 트르나바 | 0-1 | 4-1 |
1968-69년 | 인테르 브라티슬라바 | 4-1 | 스클로 우니온 테플리체 | 4-1 | 0-0 |
1969-70년 | 버셔시 | 5-3 | 인테르 브라티슬라바 | 1-2 | 4-1 |
1970-71년 | 첼리크 제니차 | 3-1 | 아우스트리아 잘츠부르크 | - | - |
1971-72년 | 첼리크 제니차 | 1-0 | 피오렌티나 | 0-0 | 1-0 |
1972-73년 | 터터바녀 | 4-2 | 첼리크 제니차 | 2-1 | 2-1 |
1973-74년 | 터터바녀 | 5-2 | 질리나 | 3-2 | 2-0 |
1974-75년 | 바커 인스브루크 | 5-2 | 부다페스트 혼베드 | 3-1 | 2-1 |
1975-76년 | 바커 인스브루크 | 6-2 | 벨레주 모스타르 | 3-1 | 3-1 |
1976-77년 | 보이보디나 | [15] | 버셔시 | - | - |
1977-78년 | 파르티잔 | 1-0 | 부다페스트 혼베드 | - | - |
1979년에는 열리지 않음 | |||||
1979-80년 | 우디네세 | [15] | 첼리크 제니차 | - | - |
1980-81년 | 타트란 프레쇼우 | [15] | 체펠 | - | - |
1981-82년 | 밀란 | [15] | 비트코비체 | - | - |
1982-83년 | 버셔시 | [15] | 질리나 | - | - |
1983-84년 | 아이젠슈타트 | [15] | 프리슈티나 | - | - |
1984-85년 | 이스크라 부고이노 | [15] | 아탈란타 | - | - |
1985-86년 | 피사 | 2-0 | 데브레첸 | - | - |
1986-87년 | 아스콜리 | 1-0 | 보헤미안스 프라하 | - | - |
1987-88년 | 피사 | 3-0 | 바치 이조 | - | - |
1988-89년 | 바니크 오스트라바 | 4-2 | 볼로냐 | 2-1 | 2-1 |
1989-90년 | 바리 | 1-0 | 제노아 | - | - |
1990-91년 | 토리노 | 2-1 | 피사 | - | - |
1992년 | 보라츠 바냐루카 | 1-1 (승부차기 5-3) | 부다페스트 VSC | - | - |
- 1932년 결승전은 주세페 메아차를 비롯한 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들의 차출 문제, 준결승전에서 일어난 유벤투스 FC와 SK 슬라비아 프라하 간의 폭력 사태로 인해 중단되었다.[11]
- 1940년 결승전은 제2차 세계 대전의 여파로 인해 중단되었다.[11]
- 1951년 대회는 1949년에 오스트리아 빈에서 열린 친선 경기인 젠트로파컵 결승전에서 라피트 빈이 SC 바커 빈을 3-2로 누르고 우승을 차지했다. 젠트로파컵은 미트로파컵의 전신으로 여겨진다.[12]
- 1956년 대회는 버셔시 SC와 라피트 빈의 결승전 1, 2차전 경기 결과가 3-3, 1-1 무승부로 끝나면서 3차전 경기가 열릴 예정이었지만 1956년 헝가리 혁명의 여파로 인해 중단되었다.[13]
- 1958년 대회는 미트로파컵에서 다뉴브컵으로 명칭이 변경되어 열렸다.[14]
- 1977년, 1980년, 1981년, 1982년, 1983년, 1984년, 1985년 대회는 결승전을 치르지 않았다.[15]
3. 1. 결승전
개최 연도 | 우승 | 합계 | 준우승 | 1차전 | 2차전 |
---|---|---|---|---|---|
1927년 | 스파르타 프라하 | 7-3 | 라피트 빈 | 6-2 | 1-2 |
1928년 | 페렌츠바로시 | 10-6 | 라피트 빈 | 7-1 | 3-5 |
1929년 | 우이페슈트 | 7-3 | 슬라비아 프라하 | 5-1 | 2-2 |
1930년 | 라피트 빈 | 4-3 | 스파르타 프라하 | 2-0 | 2-3 |
1931년 | 퍼스트 비엔나 | 5-3 | 비너 | 3-2 | 2-1 |
1932년 | 볼로냐 | 퍼스트 비엔나 | [11] | ||
1933년 | 아우스트리아 빈 | 4-3 | 암브로시아나-인테르 | 1-2 | 3-1 |
1934년 | 볼로냐 | 7-4 | 아드미라 빈 | 2-3 | 5-1 |
1935년 | 스파르타 프라하 | 4-2 | 페렌츠바로시 | 1-2 | 3-0 |
1936년 | 아우스트리아 빈 | 1-0 | 스파르타 프라하 | 0-0 | 1-0 |
1937년 | 페렌츠바로시 | 9-6 | 라치오 | 4-2 | 5-4 |
1938년 | 슬라비아 프라하 | 4-2 | 페렌츠바로시 | 2-2 | 2-0 |
1939년 | 우이페슈트 | 6-3 | 페렌츠바로시 | 4-1 | 2-2 |
1940년 | 중단[11] | ||||
1941년부터 1950년까지는 열리지 않음 | |||||
1951년[12] | 라피트 빈 | 3-2 | SC 바커 빈 | - | - |
1952년부터 1954년까지는 열리지 않음 | |||||
1955년 | 뵈뢰시 로보고 | 8-1 | ÚDA 프라하 | 6-0 | 2-1 |
1956년 | 버셔시 | 4-4[13] | 라피트 빈 | 3-3 | 1-1 |
1957년 | 버셔시 | 5-2 | 보이보디나 | 4-0 | 1-2 |
1958년[14] | 츠르베나 즈베즈다 | 7-3 | 루다 흐베즈다 브르노 | 4-1 | 3-2 |
1959년 | 부다페스트 혼베드 | 6-5 | MTK 부다페스트 | 4-3 | 2-2 |
1960년에는 열리지 않음 | |||||
1961년 | 볼로냐 | 5-2 | 슬로반 니트라 | 2-2 | 3-0 |
1962년 | 버셔시 | 6-3 | 볼로냐 | 5-1 | 1-2 |
1963년 | MTK 부다페스트 | 3-2 | 버셔시 | 2-1 | 1-1 |
1964년 | 스파르타 프라하 | 2-0 | 슬로반 브라티슬라바 | 0-0 | 2-0 |
1965년 | 버셔시 | 1-0 | 피오렌티나 | - | - |
1966년 | 피오렌티나 | 1-0 | 예드노타 트렌친 | - | - |
1966-67년 | 스파르타크 트르나바 | 5-4 | 우이페슈티 도저 | 2-3 | 3-1 |
1967-68년 | 츠르베나 즈베즈다 | 4-2 | 스파르타크 트르나바 | 0-1 | 4-1 |
1968-69년 | 인테르 브라티슬라바 | 4-1 | 스클로 우니온 테플리체 | 4-1 | 0-0 |
1969-70년 | 버셔시 | 5-3 | 인테르 브라티슬라바 | 1-2 | 4-1 |
1970-71년 | 첼리크 제니차 | 3-1 | 아우스트리아 잘츠부르크 | - | - |
1971-72년 | 첼리크 제니차 | 1-0 | 피오렌티나 | 0-0 | 1-0 |
1972-73년 | 터터바녀 | 4-2 | 첼리크 제니차 | 2-1 | 2-1 |
1973-74년 | 터터바녀 | 5-2 | 질리나 | 3-2 | 2-0 |
1974-75년 | 바커 인스브루크 | 5-2 | 부다페스트 혼베드 | 3-1 | 2-1 |
1975-76년 | 바커 인스브루크 | 6-2 | 벨레주 모스타르 | 3-1 | 3-1 |
1976-77년 | 보이보디나 | [15] | 버셔시 | - | - |
1977-78년 | 파르티잔 | 1-0 | 부다페스트 혼베드 | - | - |
1979년에는 열리지 않음 | |||||
1979-80년 | 우디네세 | [15] | 첼리크 제니차 | - | - |
1980-81년 | 타트란 프레쇼우 | [15] | 체펠 | - | - |
1981-82년 | 밀란 | [15] | 비트코비체 | - | - |
1982-83년 | 버셔시 | [15] | 질리나 | - | - |
1983-84년 | 아이젠슈타트 | [15] | 프리슈티나 | - | - |
1984-85년 | 이스크라 부고이노 | [15] | 아탈란타 | - | - |
1985-86년 | 피사 | 2-0 | 데브레첸 | - | - |
1986-87년 | 아스콜리 | 1-0 | 보헤미안스 프라하 | - | - |
1987-88년 | 피사 | 3-0 | 바치 이조 | - | - |
1988-89년 | 바니크 오스트라바 | 4-2 | 볼로냐 | 2-1 | 2-1 |
1989-90년 | 바리 | 1-0 | 제노아 | - | - |
1990-91년 | 토리노 | 2-1 | 피사 | - | - |
1992년 | 보라츠 바냐루카 | 1-1 (승부차기 5-3) | 부다페스트 VSC | - | - |
3. 2. 클럽별 우승 횟수
클럽 | 우승 | 준우승 | 우승 시즌 | 준우승 시즌 |
---|---|---|---|---|
바사스 SC | 6 | 2 | 1956, 1957, 1962, 1965, 1970, 1983 | 1963, 1977 |
볼로냐 | 3 | 2 | 1932, 1934, 1961 | 1962, 1989 |
스파르타 프라하 | 3 | 2 | 1927, 1935, 1964 | 1930, 1936 |
페렌츠바로시 | 2 | 4 | 1928, 1937 | 1935, 1938, 1939, 1940 |
라피트 빈 | 2 | 3 | 1930, 1951 | 1927, 1928, 1956 |
첼리크 제니차 | 2 | 2 | 1971, 1972 | 1973, 1980 |
MTK 부다페스트 | 2 | 1 | 1955, 1963 | 1959 |
우이페슈트 | 2 | 1 | 1929, 1939 | 1967 |
피사 | 2 | 1 | 1986, 1988 | 1991 |
츠르베나 즈베즈다 | 2 | 0 | 1958, 1968 | |
오스트리아 빈 | 2 | 0 | 1933, 1936 | |
바커 인스브루크 | 2 | 0 | 1975, 1976 | |
타타바녀이 바녀스 | 2 | 0 | 1973, 1974 | |
부다페스트 혼베드 | 1 | 2 | 1959 | 1975, 1978 |
피오렌티나 | 1 | 2 | 1966 | 1965, 1972 |
스파르타크 트르나바 | 1 | 2 | 1967 | 1958, 1968 |
인테르 브라티슬라바 | 1 | 1 | 1969 | 1970 |
슬라비아 프라하 | 1 | 1 | 1938 | 1929 |
보이보디나 | 1 | 1 | 1977 | 1957 |
보라츠 바냐루카 | 1 | 0 | 1992 | |
이스크라 부고이노 | 1 | 0 | 1985 | |
파르티잔 | 1 | 0 | 1978 | |
밀란 | 1 | 0 | 1982 | |
토리노 | 1 | 0 | 1991 | |
우디네세 | 1 | 0 | 1980 | |
아스콜리 | 1 | 0 | 1987 | |
바리 | 1 | 0 | 1990 | |
SC 아이젠슈타트 | 1 | 0 | 1984 | |
퍼스트 비엔나 | 1 | 0 | 1931 | |
바니크 오스트라바 | 1 | 0 | 1989 | |
타트란 프레쇼프 | 1 | 0 | 1981 | |
ZVL 질리나 | 0 | 2 | 1974, 1983 | |
SK 아드미라 빈 | 0 | 2 | 1934, 1951 | |
비너 AC | 0 | 1 | 1931 | |
오스트리아 잘츠부르크 | 0 | 1 | 1971 | |
암브로시아나 인테르 | 0 | 1 | 1933 | |
라치오 | 0 | 1 | 1937 | |
아탈란타 | 0 | 1 | 1985 | |
제노아 | 0 | 1 | 1990 | |
우다 프라하 | 0 | 1 | 1955 | |
슬로반 니트라 | 0 | 1 | 1961 | |
슬로반 브라티슬라바 | 0 | 1 | 1964 | |
예드노타 트렌친 | 0 | 1 | 1966 | |
스클로 우니온 테플리체 | 0 | 1 | 1969 | |
TJ 비트코비체 | 0 | 1 | 1982 | |
보헤미안스 프라하 | 0 | 1 | 1987 | |
벨레즈 모스타르 | 0 | 1 | 1976 | |
프리슈티나 | 0 | 1 | 1984 | |
체펠 SC | 0 | 1 | 1981 | |
데브레체니 MVSC | 0 | 1 | 1986 | |
바치 이조 | 0 | 1 | 1988 | |
BVSC | 0 | 1 | 1992 | |
라피드 부쿠레슈티 | 0 | 1 | 1940 |
3. 3. 국가별 우승 횟수
국가 | 우승 횟수 |
---|---|
헝가리hu | 16 |
이탈리아it | 11 |
체코슬로바키아cs | 8 |
유고슬라비아sh | |
오스트리아de | 7 |
4. 최다 득점자
순위 | 선수 | 골 | 출전 | 평균 득점 |
---|---|---|---|---|
1 | {{lang | 50 | 42 | 1.19 |
2 | {{lang | 29 | 27 | 1.07 |
3 | {{lang | 24 | 19 | 1.26 |
4 | {{lang | 24 | 31 | 0.77 |
5 | {{lang | 19 | 24 | 0.79 |
4. 1. 시즌별 최다 득점자 (1927-1940)
연도 | 선수 | 골 | 출전 | 평균 |
---|---|---|---|---|
1927 | {{lang | 5 | 6 | 0.83 |
1928 | {{lang | 10 | 6 | 1.66 |
1929 | {{lang | 10 | 7 | 1.42 |
1930 | {{lang | 7 | 6 | 1.16 |
1931 | {{lang | 7 | 7 | 1.00 |
1932 | {{lang | 5 | 4 | 1.25 |
1933 | {{lang | 5 | 4 | 1.25 |
{{lang | 4 | 1.25 | ||
{{lang | 6 | 0.83 | ||
{{lang | 6 | 0.83 | ||
1934 | {{lang | 10 | 8 | 1.28 |
1935 | {{lang | 9 | 8 | 1.12 |
1936 | {{lang (3) | 10 | 6 | 1.66 |
1937 | {{lang | 12 | 9 | 1.33 |
1938 | {{lang | 10 | 8 | 1.25 |
1939 | {{lang | 9 | 6 | 1.50 |
1940 | {{lang (3) | 6 | 2 | 3.00 |
4. 2. 역대 최다 득점자 (1927-1940)
순위 | 선수 | 골 | 출전 | 평균 득점 |
---|---|---|---|---|
1 | 죄르지 샤로시 | 50 | 42 | 1.19 |
2 | 주세페 메아차 | 29 | 27 | 1.07 |
3 | 줄러 젠겔레르 | 24 | 19 | 1.26 |
4 | 마티아스 신델라 | 24 | 31 | 0.77 |
5 | 이슈트반 아바르 | 19 | 24 | 0.79 |
4. 3. 시즌별 최다 득점자 (1951-1992)
시즌 | 선수 | 클럽 | 골 |
---|---|---|---|
1951 | 에리히 프로브스트 | 라피트 빈 | 5 |
1955 | 야노시 몰나르 | 뵈뢰스 로보고 | 9 |
난도르 히데그쿠티 | 뵈뢰스 로보고 | 9 | |
1956 | 러요시 초르다시 | 바사시 | 8 |
1957 | 요한 리글러 | 라피트 빈 | 5 |
데죄 번저크 | 바사시 | 5 | |
1959 | 러요시 티히 | 부다페스트 혼베드 | 9 |
1960 | 술레이만 레바치 | 벨레즈 모스타르 | 4 |
1961 | 밀란 돌린스키 | 레드 스타 브라티슬라바 | 7 |
빌리암 흐르나르 | 슬로반 니트라 | 7 | |
1962 | 하랄드 닐센 | 볼로냐 | 11 |
1963 | 페렌츠 마호스 | 바사시 | 7 |
1964 | 바츨라프 마셰크 | 스파르타 프라하 | 7 |
1965 | 러요시 푸슈카시 | 바사시 | 3 |
1966 | 프리드리히 라프라이더 | 비너 슈포르트클럽 | 5 |
1966–67 | 안탈 두나이 | 우이페슈트 | 9 |
1967–68 | 보인 라자레비치 | FK 츠르베나 즈베즈다 | 5 |
1968–69 | 파벨 스트라틸 | 스클로 우니온 테플리체 | 7 |
1969–70 | 야노시 파르카스 | 바사시 | 6 |
1970–71 | 알로이즈 레니치 | 첼리크 제니차 | 5 |
1971–72 | 루치아노 키아루기 | 피오렌티나 | 5 |
1972–73 | 알로이즈 레니치 (2) | 첼리크 제니차 | 4 |
1973–74 | 미하이 키오미베스 | FC 타타바녀 | 6 |
1974–75 | 야로슬라프 멜리하르 | 스클로 우니온 테플리체 | 3 |
1975–76 | 쿠르트 웰츨 | FC 바커 인스브루크 | 6 |
1976–77 | Kovács István|코바치 이슈트반hu | 바사시 | 4 |
1977–78 | 모치로 부코티치 | 파르티잔 | 3 |
1979–80 | 네리오 울리비에리 | 우디네세 | 4 |
1980–81 | 라슬로 라자니 | 체펠 SC | 3 |
1981–82 | 이르지 쇼우레크 | 비트코비체 | 3 |
5. 미트로파 슈퍼컵
1989년에 1988년과 1989년 우승팀 간의 "미트로파 슈퍼컵"이 개최되었다.[1]
5. 1. 1989년 미트로파 슈퍼컵
1989년에는 1988년과 1989년 우승팀 간의 "미트로파 슈퍼컵"이 개최되었다.[1]
참조
[1]
웹사이트
Mitropa Cup
https://www.rsssf.or[...]
Rec.Sport.Soccer Statistics Foundation
2017-09-13
[2]
웹사이트
Mitropa Cup History – Ref: IFFHS.de
http://www.iffhs.de/[...]
2016-03-04
[3]
웹사이트
Mitropa Cup History – Ref: Radio.cz
http://www.radio.cz/[...]
2011-08-12
[4]
웹사이트
ARFTS – Mitropa Cup 1927–1940 Statistics
https://web.archive.[...]
2017-11-17
[5]
웹사이트
ARFTS – Mitropa Cup 1927-1940 Statistics
https://web.archive.[...]
2017-11-17
[6]
문서
헝가리의 페렌츠바로슈TC와 루마니아의 FC라피드 부카레스트가 결승에 진출했지만, 제2차 세계 대전의 영향으로 결승전은 중지되었다.
[7]
문서
쩨트로파 컵(Zentropa Cup)으로 개최되었다.
[8]
문서
2경기 합계로 동점이 되어 플레이오프가 치러졌다. 경기에서 버샤시가 9-2로 승리하며 첫 우승을 달성했다.
[9]
문서
결승전은 열리지 않고 리그전만 개최되었다.
[10]
웹사이트
Mitropa Cup
https://www.rsssf.or[...]
Rec.Sport.Soccer Statistics Foundation
2017-09-13
[11]
문서
헝가리의 페렌츠바로시와 루마니아의 FC 라피드 부쿠레슈티가 결승전에 진출했지만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열리지 못했다.
[12]
문서
1951년 대회는 첸트로파컵(Zentropa Cup)이라는 이름으로 개최되었다.
[13]
문서
1, 2차전에서 양 팀이 합계 4-4 동점을 기록함에 따라 플레이오프 경기를 치렀다. 플레이오프 경기 결과 버셔시가 라피드 빈을 9-2로 누르고 우승을 차지했다.
[14]
문서
1958년 대회는 다뉴브컵(Danube Cup)이라는 이름으로 개최되었다.
[15]
문서
결승전은 리그전 형식으로 진행되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