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미하일 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하일 안은 소련의 축구 선수였다. 16세에 선수 생활을 시작하여 FC 파흐타코르 타슈켄트에서 활약하며 소련 축구 리그 1부에서 233경기에 출전, 50골을 기록했다. 1974년부터 1978년까지 5년 연속 소련 축구 리그 베스트 11에 선정되었으며, 1978년 고려인 최초로 소련 축구 국가대표팀에 선출되었다. 1979년 드니프로제르진스크 항공기 공중 충돌 사고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계 우즈베키스탄인 - 비탈리 펜
    한국계 고려인 출신 우즈베키스탄 외교관 비탈리 펜(1948~2024)은 주한 우즈베키스탄 대사 및 대한민국 주재 외교단장으로 재임하며 한국-우즈베키스탄 관계 발전에 기여했고, 양국 대통령 간 정상회담 주최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 한국계 우즈베키스탄인 - 니콜라이 신
    니콜라이 신은 고려인 강제 이주의 고통을 예술로 승화시킨 화가로, 1957년 모스크바 국제청년축제 대상 수상, 1982년 대작 《레퀴엠》 완성, 1997년 대한민국 문화훈장 수여 등의 활동을 했다.
  • 타슈켄트주 출신 - 라피크 니쇼노프
    라피크 니쇼노프는 우즈베키스탄의 정치인이자 외교관으로, 우즈베키스탄 공산당 제1서기와 소련 최고회의 국가평의회 의장을 역임했으며, 농장 노동자에서 공직 생활을 시작하여 외무장관, 최고회의 의장, 소련 대통령 고문 등을 지냈다.
  • 타슈켄트주 출신 - 알렉산드르 게인리흐
    알렉산드르 게인리흐는 우즈베키스탄의 축구 선수로, 공격수와 공격형 미드필더를 소화하며 파흐타코르 타슈켄트에서 리그 우승과 컵 우승을 여러 차례 기록하고, 국가대표팀으로도 활약하며 AFC 아시안컵 4강 진출에 기여, 우즈베키스탄 올해의 축구 선수상을 수상했다.
  • 한국계 소련인 - 남일
    남일은 소련군 장교 출신으로, 북한으로 파견되어 조선인민군 창설에 기여하고 한국 전쟁 당시 참모총장, 외무상, 부총리 등을 역임한 북한 군인이자 정치인이다.
  • 한국계 소련인 - 허가이
    허가이는 소련파 북한 정치인으로, 해방 후 북한 정권 수립에 핵심 역할을 했으나 김일성과의 권력 투쟁에서 밀려나 사망했으며, 그의 죽음에는 암살 의혹이 있다.
미하일 안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원어 이름Михаи́л Ива́нович Ан (러시아어)
로마자 표기Mikhail Ivanovich An (러시아어)
1.78 m
출생일1952년 2월 19일
출생지우즈베크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타슈켄트 주 오르타 치르치크 지구
사망일1979년 8월 11일
사망지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드니프로페트로우스크 주 카미얀스케
포지션미드필더
클럽 경력
유소년 클럽해당 정보 없음
클럽1968–1969: 폴리토트델
1970–1979: 파흐타코르
출전/득점 (클럽)폴리토트델: 정보 없음
파흐타코르: 233/50
국가대표 경력
국가대표팀1978: 소련
출전/득점 (국가대표팀)소련: 2/0

2. 생애

16세에 폴리토델 타슈켄트 오블라스티와 계약하여 2년간 선수로 활동했다. 이후 당시 소련 축구 리그 1부 소속이던 FC 파흐타코르 타슈켄트로 이적했다. 파흐타코르 타슈켄트 소속으로 소련 축구 리그 1부에서 233경기에 출전해 50골을 기록했다. 또한 1974년부터 1978년까지 5년 연속으로 소련 축구 리그 베스트 11에 선정되었다.

1978년에는 고려인 최초로 소련 축구 국가대표팀에 발탁되었다. FC 파흐타코르 타슈켄트의 핵심 선수로 활약하던 중, 1979년 드니프로제르진스크 상공에서 발생한 비행기 공중 충돌 사고로 사망했다.

3. 선수 경력

미하일 안은 FC 파흐타코르 타슈켄트의 핵심 선수로 활약했으며, 고려인 최초로 소련 축구 국가대표팀에 발탁되어 A매치 2경기에 출전했다.

3. 1. 클럽 경력

안은 16세에 폴리토델 타슈켄트 오블라스티와 계약을 맺고 2년 동안 선수 생활을 했다. 이후 당시 소련 축구 리그 1부에 소속되어 있던 FC 파흐타코르 타슈켄트로 이적했다. 파흐타코르 타슈켄트 소속으로 소련 축구 리그 1부에서 233경기에 출전하여 50골을 기록했다. 이러한 활약을 바탕으로 1974년부터 1978년까지 5년 연속으로 소련 축구 리그 베스트 11에 선정되는 영예를 안았다.

1978년에는 고려인으로서는 처음으로 소련 축구 국가대표팀에 선출되기도 했다. FC 파흐타코르 타슈켄트에서 선수 생활을 이어가던 중, 1979년 드니프로제르진스크 항공기 공중 충돌 사고로 안타깝게 사망했다.

3. 2. 국가대표팀 경력

미하일 안은 소련 축구 국가대표팀 소속으로 총 2번의 A매치 경기에 출전하였다.

3. 2. 1. 국가대표팀 출전 기록

wikitext

#날짜장소홈 팀최종
결과
원정팀대회득점비고
11978년 9월 6일테헤란이란0 - 1소련친선 경기-73분 교체 투입
21975년 3월 19일예레반소련2 - 0그리스UEFA 유로 1980 예선-71분 교체 투입



미하일 안은 1978년 9월 6일 이란과의 친선 경기에서 소련 대표팀 데뷔전을 치렀으며, UEFA 유로 1980 예선에서는 그리스와의 경기에 출전했다.

4. 비극적인 죽음

FC 파흐타코르 타슈켄트 소속으로 활약하던 중, 1979년 팀 원정 이동 중에 발생한 드니프로제르진스크 항공기 공중 충돌 사고로 사망했다.[1] 이 사고로 안을 포함한 파흐타코르 타슈켄트 선수단 대부분이 희생되었다. 고려인 최초로 소련 축구 국가대표팀에 발탁되는 등[2] 뛰어난 기량을 인정받았으나, 이 사고로 인해 젊은 나이에 안타깝게 생을 마감했다.

참조

[1] 웹사이트 Destiny Deferred: The Mikhail An Story (2018) https://www.imdb.com[...]
[2] 웹사이트 An, Mikhail http://www.national-[...]
[3] 문서 ラテン翻字: Mikhail Ivanovich A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