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미하일 체호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하일 체호프는 러시아 출신의 배우, 연출가, 연기 이론가로, 안톤 체호프의 조카이다. 모스크바 예술 극장에서 연기를 시작하여 콘스탄틴 스타니슬라프스키의 제자였으며, 10월 혁명 이후 자신의 극단을 이끌었다. 스탈린 치하에서 심령주의에 대한 관심으로 체포될 위협을 느껴 유럽으로 이주, 이후 미국으로 건너가 배우 양성에 힘썼다. 심리적 제스처를 활용하는 독창적인 연기 기법을 개발했으며, 마릴린 먼로, 앤서니 퀸 등 많은 배우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영화 《스펠바운드》에 출연하여 오스카상 후보에 올랐으며, 저서로는 《배우에게》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러시아의 연극 감독 - 키릴 세레브렌니코프
    키릴 세레브렌니코프는 러시아의 연극 및 영화 감독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국제적인 인정을 받았으나 횡령 혐의로 체포되어 러시아를 떠났다.
  • 러시아의 연극 감독 - 예브게니 바흐탄고프
    예브게니 바흐탄고프는 스타니슬랍스키 시스템의 영향을 받아 독창적인 연극 스타일을 발전시킨 러시아의 배우이자 연출가로, 형식과 감정을 결합한 총체적인 연극 예술을 추구했으며, 그가 설립한 바흐탄고프 극장은 현재까지 운영되고 있다.
  • 러시아의 남자 연극 배우 - 로만 마댜노프
    러시아의 배우 로만 마댜노프는 1971년 영화 데뷔 후 145편 이상의 작품에서 폭넓은 연기를 선보이며 러시아 연방 공훈예술가 칭호를 받았고, '리바이어던' 등의 대표작으로 황금 독수리상과 니카상을 수상했으며, 2024년 폐암으로 사망했다.
  • 러시아의 남자 연극 배우 - 블라디미르 코레네프
    블라디미르 코레네프는 1940년에 태어나 2021년에 사망한 러시아의 배우이며, 영화 《물속의 인간》에서 이크티안데르 역으로 유명해졌고, 러시아 인민 예술가 칭호를 받았다.
  • 러시아의 남자 영화 배우 - 로만 마댜노프
    러시아의 배우 로만 마댜노프는 1971년 영화 데뷔 후 145편 이상의 작품에서 폭넓은 연기를 선보이며 러시아 연방 공훈예술가 칭호를 받았고, '리바이어던' 등의 대표작으로 황금 독수리상과 니카상을 수상했으며, 2024년 폐암으로 사망했다.
  • 러시아의 남자 영화 배우 - 블라디미르 코레네프
    블라디미르 코레네프는 1940년에 태어나 2021년에 사망한 러시아의 배우이며, 영화 《물속의 인간》에서 이크티안데르 역으로 유명해졌고, 러시아 인민 예술가 칭호를 받았다.
미하일 체호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체호프, 1910년대
1910년대의 체호프
본명미하일 알렉산드로비치 체호프
출생일1891년 8월 16일
출생지상트페테르부르크, 러시아 제국
사망일1955년 9월 30일
사망지베벌리힐스, 캘리포니아, 미국
활동 기간1913년–1954년
가족
배우자올가 체호바 (1914년 결혼, 1917년 이혼)
크세니아 카를로브나 질러 (1918년 결혼)
자녀아다 체호바
부모알렉산드르 체호프, 나탈리아 골든
친척안톤 체호프 (삼촌), 올가 크니페르 (고모), 베라 체호바 (손녀)
직업
직업배우, 감독

2. 생애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알렉산드르 체호프(안톤 체호프의 형)와 그의 아내 나탈리야 알렉산드로브나 골든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의 어머니는 러시아 유대인이었고, 아버지는 제국 세관에 종사하며 작가로도 활동했다.

체호프는 모스크바 예술 극장 제1 스튜디오에서 배우 올가 체호바와 결혼했다. 올가 체호바는 올가 크니퍼의 조카였다. 그들의 딸 아다 체호바는 독일 배우가 되었다. 체호프는 후에 독일 출신 제니아 카를로브나 질러와 재혼했다.

콘스탄틴 스타니슬라프스키의 제1 스튜디오에서 연기와 연출을 공부했으며, 예브게니 바흐탄고프와 레오폴드 슐레르지츠키의 영향을 받았다.[2] 10월 혁명 이후, 체호프는 스타니슬라프스키와 결별하고 자신의 극단을 이끌었다. 그는 스타니슬라프스키의 기법이 자연주의로 흐른다고 비판하며, ''페테르부르크''에서 상원의원 아블레우호프 역을 통해 자신의 이론을 입증했다.

1922년 바흐탄고프 사망 후, 제1 스튜디오의 감독이 되었고, 극장은 모스크바 예술 극장 II로 개명되었다.[2] 스타니슬라프스키는 체호프를 가장 뛰어난 제자 중 한 명으로 여겼다. 체호프의 신경쇠약은 스타니슬라프스키가 정감 기억 개념의 한계를 깨닫는 계기가 되었다.

스탈린주의가 시작된 1927년, 체호프는 공산주의 정권과 갈등을 겪었고, 심령주의에 대한 관심 때문에 체포될 위협을 받았다.[3] 1928년 모스크바를 떠나 베를린에서 막스 라인하르트와 함께 일하기 시작했다.

2. 1. 러시아 시기 (1891-1928)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알렉산드르 체호프(안톤 체호프의 형)와 그의 아내 나탈리야 알렉산드로브나 골든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의 어머니는 러시아 유대인이었고, 아버지는 제국 세관에 종사하며 작가로도 활동했다.

체호프는 모스크바 예술 극장 제1 스튜디오에서 배우 올가 체호바와 결혼했다. 올가 체호바는 올가 크니퍼의 조카였다. 그들의 딸 아다 체호바는 독일 배우가 되었다. 체호프는 후에 독일 출신 제니아 카를로브나 질러와 재혼했다.

콘스탄틴 스타니슬라프스키의 제1 스튜디오에서 연기와 연출을 공부했으며, 예브게니 바흐탄고프와 레오폴드 슐레르지츠키의 영향을 받았다.[2] 10월 혁명 이후, 체호프는 스타니슬라프스키와 결별하고 자신의 극단을 이끌었다. 그는 스타니슬라프스키의 기법이 자연주의로 흐른다고 비판하며, ''페테르부르크''에서 상원의원 아블레우호프 역을 통해 자신의 이론을 입증했다.

1922년 바흐탄고프 사망 후, 제1 스튜디오의 감독이 되었고, 극장은 모스크바 예술 극장 II로 개명되었다.[2] 스타니슬라프스키는 체호프를 가장 뛰어난 제자 중 한 명으로 여겼다. 체호프의 신경쇠약은 스타니슬라프스키가 정감 기억 개념의 한계를 깨닫는 계기가 되었다.

스탈린주의가 시작된 1927년, 체호프는 공산주의 정권과 갈등을 겪었고, 심령주의에 대한 관심 때문에 체포될 위협을 받았다.[3] 1920년대 후반, 독일로 이주하여 스튜디오를 설립하고 신체적, 상상력 기반 시스템을 가르쳤다. 그는 러시아 상징주의 이론에서 파생된 "심리적 제스처"를 개발했다. 이 기술에서 배우는 외부 제스처로 캐릭터의 필요나 내부 역학을 구체화하고, 이를 억제하여 내부적으로 통합해 연기에 영향을 미치게 한다.

1930년부터 1935년까지 리투아니아의 카우나스 국립 드라마 극장에서 일했다. 1928년 모스크바를 떠나 베를린에서 막스 라인하르트와 함께 일하기 시작했다.

2. 2. 유럽 시기 (1928-1939)

1928년, 스탈린주의가 시작되자, 체호프는 공산주의 정권과의 갈등으로 인해 체포될 위협을 받았다.[3] 그는 독일로 이주하여 자신의 스튜디오를 설립하고 배우 훈련의 신체적, 상상력 기반 시스템을 가르쳤다. 그는 벨리의 러시아 상징주의 이론에서 파생된 "심리적 제스처"의 사용을 개발했는데, 이 기술에서 배우는 외부 제스처의 형태로 캐릭터의 필요나 내부 역학을 구체화한다.[4] 그 후, 외부 제스처는 억제되어 내부적으로 통합되어 육체적 기억이 무의식적인 수준에서 연기에 영향을 미칠 수 있게 한다.[4]

모스크바를 떠나 베를린에 도착한 체호프는 연출가 막스 라인하르트와 함께 일하기 시작했다. 1930년부터 1935년까지는 리투아니아의 카우나스 국립 드라마 극장에서 일했으며, 1936년에는 영국에서 "시어터 아트 스쿨"을 개교했다.[4]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직전, 그는 미국으로 이동했다.[4]

2. 3. 미국 시기 (1939-1955)

1928년 러시아를 떠나 독일 베를린에서 막스 라인하르트와 함께 일하던 체호프는 1936년 영국에서 "시어터 아트 스쿨"을 개교했다.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직전, 그는 미국으로 이동하여 배우 양성에 힘썼다. 브로드웨이 및 할리우드에서 활동하며, 알프레드 히치콕의 『스펠바운드(1945)』, 『랩소디(1954)』 등 다수의 영화에 출연했다. 앤서니 퀸, 잉그리드 버그만, 그레고리 펙, 마릴린 먼로, 율 브리너 등 유명 할리우드 배우들을 지도하기도 했다.

독일에서 전쟁 발발 위협이 커지자, 체호프는 부부, 작가 앤 커밍, 헨리 리온 영과 함께 드라마 학교를 재건하기 위해 미국으로 이주했다.[4] 그는 오스트리아의 철학자 루돌프 슈타이너의 사상에 영향을 받아 인간 정신의 광대함과 자유로운 창조력의 가능성을 추구했다. 그의 연기 교육은 저서 『배우에게』를 통해 체계화되었으며, 명확한 이론과 실천적인 훈련을 포함하는 연기법을 제시했다.

3. 연기 이론: 심리적 제스처

링크


스타니슬라프스키의 접근법을 따라, 체호프는 분석적이지 않은 간접적인 방법을 통해 무의식적인 창의적 자아에 어떻게 접근할 것인가에 대한 질문을 탐구했다.[5] 그는 배우들이 등장인물의 신체적 핵심을 찾기 위해 사용하는 조형, 부유, 비행, 방사 등 다양한 움직임 역학을 가르쳤다.

겉으로 보기에는 외적인 접근법에도 불구하고, 체호프의 기법은 배우가 풍부한 내면의 삶을 갖도록 이끌기 위한 것이었다. 배우로서의 뛰어난 재능과 스타니슬라프스키의 획기적인 작품 개발에 대한 직접적인 경험에도 불구하고, 교사로서의 체호프는 1940년대와 1950년대에 미국의 상대자들과 스타니슬라프스키의 '시스템'에 대한 그들의 해석에 가려졌으며, 이는 메소드 연기로 알려지게 되었다. 그러나 체호프의 작품에 대한 관심은 새로운 세대의 교사들과 함께 증가했다. 그의 제자들로는 마릴린 먼로, 앤서니 퀸, 클린트 이스트우드, 도로시 댄드리지, 말라 파워스, 율 브린너, 패트리샤 닐, 스털링 헤이든, 잭 팔란스, 엘리아 카잔, 로버트 루이스, 파울라 스트라스버그, 가이 질레트, 로이드와 도로시 브리지스가 있었다.[6] 텔레비전 프로그램 《액터스 스튜디오》에서 조니 뎁과 앤서니 홉킨스와 같은 유명 배우들은 체호프의 책이 그들의 연기에 매우 큰 영향을 미쳤다고 언급했다. 비아트리스 스트레이트 또한 1976년 영화 《네트워크》에서 그녀의 연기로 오스카를 수상한 후 감사 연설에서 체호프에게 감사를 표했다.[7]

체호프의 연기 기법에 대한 설명인 《연기 기법에 관하여》는 1942년에 쓰여졌다. 1991년에 재발행되었을 때 체호프 재산 관리인 말라 파워스가 추가 자료를 덧붙였고, 1953년에는 율 브린너의 서문과 함께 《배우에게》라는 제목으로 요약본이 출판되었다. 2002년에는 사이먼 캘로우의 추가 서문과 러시아 출신의 저명한 연기 학자이자 교사인 안드레이 말라예프-바벨이 번역하고 논평한 추가적인 러시아 자료가 포함되어 재발행되었다. 그의 자서전 《배우의 길》의 영어 번역은 안드레이 키릴로프와 벨라 멀린이 편집하여 2005년 라우틀리지에서 출판되었으며, 이는 그의 사망 50주년을 기념하는 것이었다. 체호프의 강의 일부는 《연극과 연기 예술에 관하여》라는 제목으로 CD로 제공된다. 다큐멘터리 《러시아에서 할리우드까지: 체호프와 슈다노프의 100년 오디세이》는 체호프와 그의 동료 러시아 협력자인 조지 슈다노프를 조명하며, 1998년에 개봉되었고, 말라 파워스와 알프레드 히치콕의 《스펠바운드》에 출연하여 체호프가 오스카상 후보에 올랐던 그레고리 펙이 내레이션을 맡았다.

4. 저서

wikitable

제목출판 연도비고
문학 유산: 2권/Литературное наследие: В 2 т.ru1995년총괄 편집 M.O. 크네벨; 편찬: I.I. 아브로스키나, M.S. 이바노바, N.A. 크리모바; 해설 I.I. 아브로스키나, M.S. 이바노바; 모스크바


5. 영향



스타니슬라프스키의 접근법을 따라, 체호프는 무의식적인 창의적 자아에 간접적으로 접근하는 방법을 탐구했다.[5] 그는 배우들이 등장인물의 신체적 핵심을 찾기 위해 조형, 부유, 비행, 방사 등 다양한 움직임 역학을 가르쳤다.

체호프의 기법은 외적인 접근법처럼 보이지만, 배우의 풍부한 내면의 삶을 이끌어내는 것을 목표로 했다. 뛰어난 연기 재능과 스타니슬라프스키의 '시스템' 개발에 직접 참여했음에도 불구하고, 체호프는 교사로서 1940년대와 1950년대에 미국의 메소드 연기에 가려졌다.[6] 그러나 체호프의 작품에 대한 관심은 새로운 세대의 교사들과 함께 다시 증가했다. 그의 제자들로는 마릴린 먼로, 앤서니 퀸, 클린트 이스트우드, 도로시 댄드리지, 말라 파워스, 율 브린너, 패트리샤 닐, 스털링 헤이든, 잭 팔란스, 엘리아 카잔, 로버트 루이스, 파울라 스트라스버그, 가이 질레트, 로이드와 도로시 브리지스가 있다.[6] 조니 뎁과 앤서니 홉킨스는 텔레비전 프로그램 《액터스 스튜디오》에서 체호프의 책이 그들의 연기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언급했다. 비아트리스 스트레이트는 1976년 영화 《네트워크》로 오스카를 수상한 후 감사 연설에서 체호프에게 감사를 표했다.[7]

체호프의 연기 기법을 설명한 《연기 기법에 관하여》는 1942년에 쓰였다. 1991년 재발행 시 체호프 재산 관리인 말라 파워스가 추가 자료를 덧붙였고, 1953년에는 율 브린너의 서문과 함께 《배우에게》라는 제목으로 요약본이 출판되었다. 2002년에는 사이먼 캘로우의 서문과 러시아 연기 학자 안드레이 말라예프-바벨의 번역 및 논평이 추가된 러시아 자료가 포함되어 재발행되었다. 그의 자서전 《배우의 길》 영어 번역은 안드레이 키릴로프와 벨라 멀린이 편집하여 2005년 라우틀리지에서 출판되었다. 체호프의 강의 일부는 《연극과 연기 예술에 관하여》라는 제목으로 CD로 제공된다. 다큐멘터리 《러시아에서 할리우드까지: 체호프와 슈다노프의 100년 오디세이》는 체호프와 그의 동료 조지 슈다노프를 조명하며, 1998년에 개봉되었고, 말라 파워스와 알프레드 히치콕의 《스펠바운드》에 출연하여 체호프가 오스카상 후보에 올랐던 그레고리 펙이 내레이션을 맡았다.

6. 출연 작품

wikitext

미하일 체호프는 1914년 ''Kogda zvuchat struny serdtsa''에 출연한 것을 시작으로 영화 경력을 시작했다. 1921년에는 아우구스트 스트린드베리의 ''에릭 14세''에서 에릭 14세 역을 맡았다. 이후 ''식당에서 온 남자''(1927), ''행복의 유령''(1930), ''트로이카''(1930) 등 여러 영화에 출연했다.

1940년대 미국으로 건너간 후에는 ''러시아의 노래''(1944), ''우리 시대에''(1944) 등의 영화에 출연했다. 1945년에는 앨프리드 히치콕 감독의 ''스펠바운드''에서 알렉산더 '알렉스' 브룰로프 박사 역을 맡아 인상적인 연기를 선보였다. 이 영화는 한국에서 ''백색의 공포''라는 제목으로도 알려져 있다.

그는 ''장미의 유령''(1946), ''내 마음을 걸고''(1946), ''아비의 아이리쉬 로즈''(1946) 등에도 출연했다. 1954년에는 ''랩소디''에서 슈만 교수 역을 맡았으며, 이 작품은 그의 마지막 영화 출연작이 되었다. 한국에서는 ''랩소디''라는 제목으로 알려져 있다.

연도제목역할비고
1914Kogda zvuchat struny serdtsa
1915Shkaf s syurprizom
1916Liubvi syurprizy tshchetnye
1921에릭 14세에릭 14세
1927Einer gegen alle
1927식당에서 온 남자스코로호도프
1929Der Narr seiner Liebe디디에 미레유
1930행복의 유령자크 브라마르
1930트로이카파슈카, 마을 바보
1944러시아의 노래이반 스테파노프
1944우리 시대에레오폴드 바루타 삼촌
1945스펠바운드알렉산더 알렉스 브룰로프 박사
1946장미의 유령맥스 폴리코프
1946내 마음을 걸고피터
1946아비의 아이리쉬 로즈솔로몬 레비
1948텍사스, 브루클린 & 천국가불리안 씨
1952초대프롬 박사
1952죄인을 위한 휴가콘도르프 박사
1954랩소디슈만 교수(마지막 영화 역할)


6. 1. 영화



미하일 체호프는 1914년 ''Kogda zvuchat struny serdtsa''에 출연한 것을 시작으로 영화 경력을 시작했다. 1921년에는 아우구스트 스트린드베리의 ''에릭 14세''에서 에릭 14세 역을 맡았다. 이후 ''식당에서 온 남자''(1927), ''행복의 유령''(1930), ''트로이카''(1930) 등 여러 영화에 출연했다.

1940년대 미국으로 건너간 후에는 ''러시아의 노래''(1944), ''우리 시대에''(1944) 등의 영화에 출연했다. 1945년에는 앨프리드 히치콕 감독의 ''스펠바운드''에서 알렉산더 브룰로프 박사 역을 맡아 인상적인 연기를 선보였다. 이 영화는 한국에서 ''백색의 공포''라는 제목으로도 알려져 있다.

그는 ''장미의 유령''(1946), ''내 마음을 걸고''(1946), ''아비의 아이리쉬 로즈''(1946) 등에도 출연했다. 1954년에는 ''랩소디''에서 슈만 교수 역을 맡았으며, 이 작품은 그의 마지막 영화 출연작이 되었다. 한국에서는 ''랩소디''라는 제목으로 알려져 있다.

연도제목역할비고
1914Kogda zvuchat struny serdtsa
1915Shkaf s syurprizom
1916Liubvi syurprizy tshchetnye
1921에릭 14세에릭 14세
1927Einer gegen alle
1927식당에서 온 남자스코로호도프
1929Der Narr seiner Liebe디디에 미레유
1930행복의 유령자크 브라마르
1930트로이카파슈카, 마을 바보
1944러시아의 노래이반 스테파노프
1944우리 시대에레오폴드 바루타 삼촌
1945스펠바운드알렉산더 알렉스 브룰로프 박사
1946장미의 유령맥스 폴리코프
1946내 마음을 걸고피터
1946아비의 아이리쉬 로즈솔로몬 레비
1948텍사스, 브루클린 & 천국가불리안 씨
1952초대프롬 박사
1952죄인을 위한 휴가콘도르프 박사
1954랩소디슈만 교수(마지막 영화 역할)


참조

[1]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Russian and Soviet Cinema Rowman & Littlefield
[2] 간행물 Michael Chekhov St. James Press 2018-06-26
[3] 서적 Michael Chekhov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8-09-21
[4] 뉴스 Obituary: Anne Cumming https://www.independ[...] The Independent 2017-04-12
[5] 웹사이트 Compagnie AZOT - Méthode Michael Chekhov https://www.cie-azot[...] 2018-11-28
[6] 뉴스 Dorothy Bridges dies at 93; 'the hub' of an acting family http://www.latimes.c[...] Los Angeles Times 2009-04-23
[7] Youtube Beatrice Straight Wins Supporting Actress: 1977 Oscars https://www.youtube.[...]
[8] 웹사이트 Michael Chekhov http://www.michaelch[...] 2023-06-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