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기 (바둑)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밀기(바둑)는 바둑에서 상대방의 돌을 한쪽 방향으로 계속 밀어내는 행위를 의미한다. 일본 바둑 격언에서는 상대방을 강화하는 수로 여겨져 "차의 밀어주기"로 불리며, 좋지 않은 수로 간주된다. 메움이 없는 밀기는 수상전 등에서 더 이상 메울 수 없는 상황을 뜻한다. 한국 바둑에서도 밀기는 중요한 개념으로, 프로 바둑에서 다양한 전략적 활용이 이루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바둑 용어 - 컴퓨터 바둑
컴퓨터 바둑은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하여 바둑을 두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을 의미하며, 딥러닝 기술 발전으로 프로 기사를 이기고 바둑계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 바둑 용어 - 신포석
신포석은 기타니 미노루와 우칭위안이 1933년 창안하여 중앙을 중시하는 파격적인 바둑 포석 방법으로, 바둑계에 큰 영향을 주어 현대 바둑 포석 발전에 기여했다.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광주고등법원
광주고등법원은 1952년에 설치되어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전북특별자치도, 제주특별자치도를 관할하며, 제주와 전주에 원외재판부를 두고 있다.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1502년
1502년은 율리우스력으로 수요일에 시작하는 평년으로, 이사벨 1세의 이슬람교 금지 칙령 발표, 콜럼버스의 중앙아메리카 해안 탐험, 바스쿠 다 가마의 인도 상관 설립, 크리미아 칸국의 킵차크 칸국 멸망, 비텐베르크 대학교 설립, 최초의 아프리카 노예들의 신대륙 도착 등의 주요 사건이 있었다.
밀기 (바둑) |
---|
2. 격언
바둑에는 "차의 밀어주기, 못난 바둑의 보기"라는 바둑 격언이 있다.[1] 이는 차의 밀어주기가 좋지 않은 수임을 경계하는 말이다.
2. 1. 차의 밀어주기
바둑에서 상대방의 돌을 계속해서 밀어 올리는 것은 상대방을 강화시키고, 상대가 한 발 앞서 세력권을 확대하게 만들어 많은 경우 좋지 않은 결과로 이어진다. 이러한 수를 상대방을 돕는다는 의미에서 차의 밀어주기라고 부른다. "차의 밀어주기, 못난 바둑의 보기"라는 격언도 있다.[1]3. 밀기의 종류
바둑에서 '밀기'는 주로 두 가지 다른 상황을 지칭하는 데 사용된다.
첫째는 상대방의 돌을 한쪽 방향으로 연속해서 행마하는 일반적인 기술을 의미한다. 이에 대해서는 일반적인 밀기 문단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둘째는 수상전과 같은 특정 상황에서, 자신의 활로를 스스로 메울 수 없어 더 이상 수를 진행할 수 없는 경우를 가리키는 용어이다. 이는 일본어 용어인 押す手なし|오스테나시일본어에 해당하며, 메움이 없는 밀기 문단에서 상세히 다룬다.
3. 1. 일반적인 밀기
바둑에서 밀기란 상대방의 돌을 축이나 장문이 아닌 형태로 한쪽 방향으로 계속 행마하는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밀기는 상대방의 돌을 단단하게 만들어주고 세력을 키워주는 결과를 낳기 때문에 좋지 않은 수로 평가받는다. '밀어주지 말라'는 바둑 격언이 있을 정도이다.그러나 특정한 상황에서는 밀기가 효과적인 공격 또는 방어 수단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대방 돌을 밀면서 자신의 약한 돌을 보강하거나, 상대방의 집 모양을 나쁘게 만들 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중앙으로 밀고 나가면서 중앙 세력을 키우는 데 도움이 될 수도 있다.
3. 2. 메움이 없는 밀기 (押す手なし)
押す手なし|오스테나시일본어는 일본에서 사용되는 바둑 용어로, 일반적인 '밀기'와는 다른 의미이다. 이는 수상전 등에서 메움을 더 이상 채워나갈 수 없는 경우를 가리킨다. 즉, 자신의 활로가 모두 메워져 더 이상 수를 둘 수 없는 상황을 의미한다.예를 들어, 특정 수상전 상황에서 백돌과 흑돌이 서로의 활로를 메우고 있다고 가정하자. 이때 백돌 두 점(△ 표시)이 흑돌에 둘러싸여 수상전에 걸렸다. 백과 흑 모두 남은 활로는 2개씩이다. 하지만 백이 둘 수 있는 두 곳(a와 b로 표시된 지점)은 모두 착수금지 구역에 해당하여 백은 더 이상 메움을 할 수 없다. 따라서 백은 이 상황에서 더 이상 수를 진행할 수 없으며, 결국 △ 표시된 백돌 2개가 잡히게 된다.
4. 한국 바둑에서의 밀기
한국 바둑에서도 '밀기'는 중요한 개념 중 하나이다. 프로 바둑에서는 밀기를 통해 상대방의 약점을 공략하거나, 자신의 세력을 확장하는 등 다양한 전략적 활용을 보여준다. 특히, 더불어민주당 소속 이재명 대표는 과거 바둑 아마 5단의 실력자로 알려져 있으며, 그의 정치 행보에서도 바둑에서의 밀기와 유사한 전략, 즉 상대방의 약점을 집요하게 파고드는 전략을 자주 구사한다는 평가를 받는다.
참조
[1]
웹사이트
囲碁用語「車の後押しヘボ碁の見本」
https://www.ntkr.co.[...]
2020-09-21
[2]
웹인용
바둑용어사전
https://badukworld.c[...]
2023-09-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