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밀네에드워즈족제비여우원숭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밀네에드워즈족제비여우원숭이는 마다가스카르 북동부 지역에 서식하는 멸종 위기종이다. 이들은 주로 아칸라판치카 국립공원에서 발견되며, 열대 기후의 활엽수를 선호한다. 번식기는 5월에서 7월 사이이며, 암컷은 매년 한 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잎을 먹는 식습관을 가지며, 분산된 쌍으로 무리 생활을 하며 일부다처제 사회 조직의 징후를 보인다. 듀엣을 통해 의사소통하며, 영아 살해와 같은 행동도 관찰된다. 개체 수 감소의 주요 원인으로는 사냥과 서식지 파괴가 있으며, 멸종 위기에 처함에 따라 보존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94년 기재된 포유류 - 아라비아타르
    오만과 아랍에미리트의 하자르 산맥에 서식하는 염소과 포유류인 아라비아타르는 1894년 처음 기술되었고 2005년 별도의 속으로 분류되었으나, 현재 과도한 방목, 밀렵, 서식지 파괴로 인해 멸종 위기에 처해 보호 노력이 진행 중이다.
  • 1894년 기재된 포유류 - 키나발루쥐
  • 긴 낱말 - 부산대양산캠퍼스역
    부산대양산캠퍼스역은 부산 도시철도 2호선의 역으로, 개통 당시에는 무정차역이었으나 역명 변경 후 영업을 개시하였으며, 부산대학교 양산캠퍼스와 인접한 2면 2선식 상대식 승강장의 지상역이다.
  • 긴 낱말 - 시진핑 신시대 중국 특색 사회주의 사상
    시진핑 신시대 중국 특색 사회주의 사상은 시진핑이 중국 최고 지도자가 된 이후 발전하여 중국공산당의 지도 이념으로 자리매김했으며, 중국 특색 사회주의를 강조하고 권력 집중, 인권 침해 등에 대한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 여우원숭이 - 잔털귀난쟁이여우원숭이
  • 여우원숭이 - 베칠레오족제비여우원숭이
    베칠레오족제비여우원숭이는 마다가스카르 중동부 판드리안나 지역에서만 발견되는 회색 또는 붉은 갈색 몸과 검은 꼬리를 가진 여우원숭이의 일종으로, 농업과 사냥으로 인한 서식지 손실로 위협받고 있으며 베모사리 분류 숲이 유일한 보호 구역이다.
밀네에드워즈족제비여우원숭이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밀네에드워즈족제비여우원숭이
밀네에드워즈족제비여우원숭이
학명Lepilemur edwardsi
명명자Forsyth Major, 1894
이명rufescens Lorenz, 1898
L. edwardsi 분포도
L. edwardsi의 분포
보전 상태
IUCN멸종 위기 (EN)
CITES부속서 I

2. 서식지

밀네에드워즈족제비여우원숭이는 마다가스카르 북동부 지역의 열대 활엽수림에 서식한다.[5] 주요 서식지로는 아칸라판치카 국립공원과 마리아라노 분류 숲 등이 알려져 있다.[5] 이들은 나무와 땅 위에서 모두 생활하는 수목형 및 육상형 동물이다.[5]

2. 1. 서식지 환경 변화

밀네에드워즈족제비여우원숭이는 마다가스카르 북동부 지역에 서식하며, 주로 아칸라판치카 국립공원에서 발견되지만 마리아라노 분류 숲에서도 서식한다.[5] 이들은 나무와 땅 위에서 모두 생활하며(수목형 및 육상형), 열대 기후의 활엽수림을 선호한다.[5] 서식지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1ha 이상의 숲이 필요하다.[5] 이들의 서식지는 우기와 건기 사이에 식생, 온도, 기후 면에서 상당한 변화를 겪는다.[6]

그러나 마다가스카르의 삼림 벌채는 심각한 문제로, 매년 전체 삼림 면적의 거의 1%가 사라지고 있다.[7] 이러한 환경 파괴에 대응하기 위해 1980년대부터 미국, 프랑스 등 여러 국가의 지원을 받아 보존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이 노력에는 보존 전략 개발뿐만 아니라 지역 주민을 위한 지속 가능한 농업 개발 지원도 포함된다.[8] 현재 마다가스카르의 숲은 해안 지역에서 점차 섬 내륙으로 밀려나고 있으며, 이는 섬 북서부 해안 지역에 주로 서식하는 밀네에드워즈족제비여우원숭이와 같은 종들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8]

3. 행동

밀네에드워즈족제비여우원숭이는 특정 시기에 번식하는 계절 번식 동물이며, 암컷은 먹이가 풍부한 우기에 맞춰 1년에 한 마리의 새끼를 낳는다.[9][5] 이들은 전적으로 을 먹는 초식 동물로[9], 밤에는 주로 2~5마리 정도의 작은 무리를 이루어 함께 이동하고 먹이를 먹는다.[10]

사회 구조는 주로 분산된 쌍을 이루며, 일부다처제의 징후를 보이기도 한다.[9] 수컷은 번식기에 정자 경쟁의 가능성을 시사하는 큰 고환을 갖지만[9], 짝과 함께 소리를 주고받는 듀엣 행동을 통해 강한 유대감을 보이기도 한다. 이는 영역 방어와 새끼 양육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12][11] 성별 간 우열 관계는 명확하지 않으나, 최근 연구에서는 암컷 우세의 증거가 발견되기도 했다.[13]

이들의 주요 의사소통 방식인 이중창(duetting)은 밤에 이루어지며, 포식자 회피, 영역 방어, 짝과의 소통 및 유대감 강화에 중요한 기능을 한다.[12][15][11] 한편, 드물게 수컷에 의한 영아 살해가 관찰되었는데, 이는 성적 경쟁 전략이거나 환경적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일 수 있다는 가설이 제기되었다.[17]

3. 1. 번식

밀네에드워즈족제비여우원숭이는 계절 번식을 한다. 수컷과 암컷 모두 5월에서 7월 사이에 짝짓기를 할 준비가 되며, 8월부터 12월까지는 짝짓기를 중단한다.[9] 연구에 따르면 주요 번식기는 연평균 2개월에 불과하다.[9] 포유류인 암컷은 약 4~5개월의 임신 기간을 거쳐, 일반적으로 10월경에 출산한다. 암컷 밀네에드워즈족제비여우원숭이는 우기에 출산하는 것이 가장 유리한데, 이는 서식지에서 먹이가 풍부한 시기에 수유를 할 수 있기 때문이다.[9] 암컷은 매년 한 마리의 새끼만 낳는다. 이는 인위적인 환경 파괴에 취약하게 만들어 개체수 감소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9][5]

3. 2. 식습관

밀네에드워즈족제비여우원숭이는 전적으로 을 먹는 동물이다.[9] 이들은 서식지 내 다른 종들과 먹이 자원을 두고 경쟁하는 경향이 있어, 질이 낮은 잎이 유일하게 이용 가능한 식량인 경우가 많다.[5] 관찰에 따르면, 밀네에드워즈족제비여우원숭이는 일반적으로 공격적인 모습을 보이지 않으며, 밤에 2마리에서 5마리 정도의 무리를 이루어 이동하고 같은 나무에서 함께 먹이를 먹는다.[10]

연구 결과, 이들의 분포 범위와 무리의 크기는 먹이 자원의 가용성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수컷과 암컷은 함께 먹이를 얻기 위해 경쟁하지만, 부족한 자원을 쌍으로 방어하는 것이 개별적으로 먹이를 찾는 것보다 더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11]

3. 3. 사회 체계

이들은 주로 분산된 쌍을 이루어 무리를 형성하며, 일부다처제 사회 조직의 징후를 보인다.[9] 일반적으로 족제비여우원숭이 수컷은 짝을 이루어 번식하고 결합하므로 고환 크기가 작은 경향이 있지만,[9] 밀네에드워즈족제비여우원숭이 수컷은 번식기에 평균적인 족제비여우원숭이보다 고환 부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9] 이는 정자 경쟁 이론과 일치하는 결과로, 고환 부피가 클수록 부부 외 관계가 있는 사회 조직 내에서 번식 기회를 높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9]

그럼에도 불구하고, 밀네에드워즈족제비여우원숭이는 듀엣 행동을 보이는데, 이는 부부 외 관계가 흔한 종에게는 일반적이지 않다. 이는 새끼를 돌보기 위해 실제로 결합된 쌍으로 활동함을 의미한다.[12] 연구에 따르면, 결합된 쌍은 임신 기간 동안 잠자는 장소와 먹이를 먹는 장소를 공유한다.[12] 이는 번식기에는 수컷들이 번식을 위해 경쟁하지만, 암컷이 새끼를 낳으면 새끼 양육을 위해 짝 관계를 형성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수컷과 암컷은 듀엣 행동에 동등하게 참여하며, 누가 먼저 소리를 내거나 이동 순서 및 경로를 결정하는지에 대한 뚜렷한 성별 차이가 없어, 일부 관찰자들은 이들이 성별 간 우열이 없는 평등한 사회를 이룬다고 보았다.[12] 그러나 2024년 연구에서는 이 종에서 암컷 우세의 증거를 발견하기도 했다.[13]

듀엣은 주로 영토 방어에 사용되며, 이들은 외침 외에는 특별한 영토 표시를 하지 않는다.[11] 수컷의 분비샘은 냄새 표시에 사용되지 않으며, 포식자를 피하기 위해 땅에 소변을 보는 행동도 관찰되지 않았다.[11] 다만, 일부 예비 연구에서는 이들이 잠자는 장소의 나무 줄기를 물어뜯는 행동이 관찰되었는데, 이는 잠자는 장소를 인식하거나 영토를 주장하는 소극적인 방법일 수 있다.[14]

요약하면, 결합된 쌍은 특히 새끼를 돌보는 동안 잠자는 장소를 함께 방어하지만, 아직 짝이 형성되지 않은 번식기에는 번식을 위해 경쟁하는 경향이 있다.[14]

3. 4. 의사소통

연구에 따르면 밀네에드워즈족제비여우원숭이 수컷과 암컷은 밤에 이중창(duetting) 활동을 하는데, 이는 주로 포식자 회피, 영역 보호, 짝이 새끼를 기르는 동안의 의사소통을 위한 것이다.[12] 짝을 이루어 사는 종에서 이중창은 다른 짝에게 신호를 보내기 위해 진화한 소통 방식으로, 한 개체가 소리를 내면 다른 개체가 응답하여 협력적인 소리를 만들어낸다. 이를 통해 멀리서도 의사소통하며 생존 가능성을 높인다.[15]

일반적으로 이중창은 새나 일부일처제 영장류에게서 흔히 나타나는데, 이는 함께 영역을 방어할 필요성 때문이다.[16] 하지만 밀네에드워즈족제비여우원숭이는 짝들이 서로 떨어져 지내는 사회 구조를 가졌음에도, 짝이 새끼를 기르는 동안 서로 주고받는 소리(대구창, antiphonal callings)나 날카로운 소리를 낸다.[12] 특히 밤에 이동할 때 짝과 활동 시간을 맞추기 위해 이중창을 더 자주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12]

연구자들은 이들이 일부일처제 종처럼 공동 영역 방어, 자원 보호, 새끼 돌봄과 같은 목적을 위해 이중창을 사용하도록 진화했다고 보고 있다.[12] 또한, 서로 주고받는 소리는 짝 사이의 유대감을 높이는 역할을 하며, 이는 짝 외 번식이 일어나는 이들의 사회에서도 짝 간의 유대 관계가 중요함을 보여주는 증거로 여겨진다.[11]

3. 5. 영아 살해

2000년에 진행된 연구 관찰 결과, 영아 살해가 이 종에게 비교적 흔하게 발생하는 문제일 수 있음이 밝혀졌다.[17] 연구에 따르면 수컷은 암컷이 먹이를 찾으러 간 사이에 새끼를 공격하는 경향을 보인다.[17] 수컷은 처음부터 새끼를 죽이려 하기보다는, 암컷이 새끼의 구조 요청 울음소리를 듣고 모습을 드러내도록 유도하기 위해 공격하는 모습을 보인다.[17] 이후 수컷은 암컷에게 접근해 교미를 시도하지만, 관찰 결과 암컷은 대부분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17]

영아 살해의 정확한 동기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한 가지 가설은 수컷이 다른 개체의 새끼를 죽여 자신의 유전자를 가진 새끼를 확보함으로써 성적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려는 전략이라는 것이다.[17] 다른 학자들은 영아 살해가 먹이 등 자원이 부족한 환경에서 비롯된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행동일 수 있다고 본다.[17]

이러한 영아 살해 위협에 맞서 새끼를 보호하기 위해, 짝을 이룬 암수 개체는 함께 이중창을 부르기도 한다. 이중창은 영역을 방어하고 서로 의사소통하는 수단으로 활용된다.[12]

4. 건강

(내용 없음)

4. 1. 기생충

밀네에드워즈족제비여우원숭이는 다른 포유류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기생충을 보유하고 있다.[18] 또한, 개체의 체질량과 건강 상태에 따른 기생충 보유량의 차이가 관찰되지 않아, 이 두 요인이 숙주에 기생충의 많고 적음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18] 기생충은 우기 동안 개체에서 더 흔하게 발견된다.[18] 건강 상태가 밀네에드워즈족제비여우원숭이의 기생충 유무에 중요한 요인이 아닌 것으로 보이지만, 기생충을 더 많이 보유한 개체가 급격히 죽어 데이터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도 있다.[18] 또한 수컷이 암컷보다 더 많은 기생충을 보유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테스토스테론 수치와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높다.[19]

5. 보존

밀네에드워즈족제비여우원숭이는 현재 심각한 멸종 위기종으로 분류되어 있으며, 개체 수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어 보존 노력이 시급한 상황이다.[5] 주요 위협 요인으로는 마다가스카르 현지 주민들의 사냥과 광범위한 삼림 벌채로 인한 서식지 파괴가 지목된다.[5][20][7] 이러한 위협으로 인해 서식지 환경이 악화되고 있으며, 특히 아칸라판치카 국립공원 주변 지역에서는 식량 부족 문제와 맞물려 사냥 압력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20] 서식지 파괴는 가축 방목지 조성, 광산 개발, 석탄 생산 등 다양한 인간 활동에 의해 가속화되고 있다.[21] 국제적으로는 CITES 부속서 I에 등재되어 보호받고 있으나,[5] 효과적인 보존을 위해서는 서식지 관리 강화와 실질적인 보호 조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과거부터 여러 보존 노력이 시도되었지만, 여러 요인으로 인해 뚜렷한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는 평가도 존재한다.[8]

5. 1. 현황

이 종은 현재 멸종 위기종으로 분류되어 있다. 마다가스카르에서의 사냥 관행과 서식지 크기 및 환경 조건의 감소를 초래하는 기타 인간 활동으로 인해 개체 수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기 때문이다.[5]

5. 2. 개체 수 감소

밀네에드워즈족제비여우원숭이의 개체수는 30년 이내에 절반 이상 감소한 것으로 추정된다.[5] 현재 개체 수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는 없지만, 연구자들은 광대한 지역에서 이 종의 개체를 점점 덜 발견하고 있으며, 이는 이 종의 개체 수 수준에 대한 우려를 보여준다.[5]

개체 수 감소의 주요 요인은 사냥으로, 이는 아칸라판치카 주변 마을의 영양 부족 문제와 깊은 관련이 있다. 이 지역 주민들은 주요 식량 공급원 중 하나로 야생 동물을 사냥하게 된다.[20] 자원 분배의 불평등은 아칸라판치카 주민들이 식량 불안에 직면하게 만들었다. 실제로 해당 지역 어린이의 절반이 영양실조로 인해 저체중 상태이며, 이는 주민들이 생존을 위해 여우원숭이와 같은 야생 동물을 사냥할 수밖에 없는 상황으로 이어진다.[20]

5. 3. 서식지 손실

마다가스카르의 삼림 벌채는 매년 전체 면적의 거의 1%에 달하는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7] 이러한 서식지 파괴로 인해 밀네에드워즈족제비여우원숭이의 서식지는 현재 위협종으로 간주된다. 주요 위협 요인으로는 가축 방목지 조성을 위한 개간, 광산 개발 프로젝트, 그리고 석탄 생산을 위한 서식지 소각 등이 있다.[21]

특히 마다가스카르열대 우림은 심각한 위기에 처해 있는데, 이는 정부가 토지 개발을 위한 개간 속도와 토지 사용에 대한 임대료 통제력을 상실했기 때문이라는 지적이 있다.[20] 마다가스카르의 자연 보존 노력은 1980년대부터 미국프랑스와 같은 국가들의 자금 지원과 관리를 통해 진행되어 왔으며, 이는 보존 전략 개발뿐만 아니라 지역 주민 지원을 위한 지속 가능한 농업 개발까지 포함한다.[8]

하지만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마다가스카르의 숲 밀도는 점차 해안에서 섬 내륙 지역으로 이동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는 섬 북서부 해안 지역에 주로 서식하는 밀네에드워즈족제비여우원숭이를 포함한 많은 해안 서식 종들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8]

마다가스카르는 수많은 고유 동식물 종의 서식지이며, 전 세계 모든 영장류 종의 약 4분의 1을 차지하는 여우원숭이류 하목의 중요한 분포 지역이기도 하다.[20] 이처럼 풍부한 생물 다양성을 지녔음에도 불구하고 국가의 빈곤 문제와 맞물려 서식지 감소에 더욱 취약한 상황이며, 이는 희귀 종 보호를 위한 강력하고 실효성 있는 보존 계획 수립이 시급함을 보여준다.[20]

5. 4. 보존 노력

1896년 프랑스가 마다가스카르를 식민지로 공식 합병하면서, 인위적인 화재로부터 숲을 보호하고 목재를 활용하려는 목표 아래 마다가스카르의 천연 자원 보존 노력이 시작되었다.[8] 연구에 따르면, 인간이 정착하기 전 마다가스카르는 거의 완전히 숲으로 덮여 있었다고 한다. 1925년에는 프랑스에 의해 마다가스카르 최초의 국립 공원인 침바자자 식물원 및 동물원이 조성되었으며,[8] 이후 농업을 위한 벌목과 산림 벌채를 통제하기 위해 10개의 국립 공원이 추가로 설립되었다.[8]

그러나 마다가스카르의 경제 상황이 악화되면서 1980년대 초 정부는 숲 이용을 사실상 방치하게 되었고, 보호 구역 안팎의 숲이 외국 투자자들에 의해 벌목되는 결과를 낳았다.[8] 이러한 산림 벌채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1984년 USAID가 지원에 나섰으며,[8] 1985년부터는 외부 기부자들의 영향으로 마다가스카르의 관련 정책과 법률에 상당한 변화가 생겼다.[8] 1988년에는 마다가스카르 정부가 숲 보호를 위한 국가 환경 행동 계획(NEAP)에 서명하기도 했다.[8] 2003년에는 당시 대통령이었던 마르크 라발로마나나가 보호 구역 면적을 3배로 늘리는 계획을 발표했고, 여러 기관의 지원을 통해 12년 만에 목표를 달성했다.[8]

하지만 2009년 USAID는 지난 25년간의 보존 노력을 분석한 결과, 계획이 충분히 야심차지 못했거나 제대로 이행되지 않아 1985년 이후 마다가스카르 숲의 상황이 오히려 악화되었다고 평가했다.[8] 숲 보호 조치가 식량 생산이나 수입 증대에 어려움을 주고, 빈곤 문제 해결을 위한 정부나 외부 지원 없이 보존 정책이 추진되는 경우가 많아, 보존과 지역 주민의 생계 필요 사이에 갈등이 존재한다.[8] 인구가 증가하면서 소득이나 식량을 얻기 위한 유일한 대안으로 보호 구역 개발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어, 보존 노력에 대한 지원이 더욱 절실한 상황이다.[8]

밀네에드워즈족제비여우원숭이는 CITES 부속서 I에 등재되어 국제적인 보호를 받고 있다. 서식지 감소와 개체수 감소를 막기 위해서는 토지 이용과 관련된 다양한 형태의 관리 방안이 필요하며, 종 보존을 위한 감시 활동과 실질적인 제재를 가할 수 있는 행정적 권한 역시 요구된다.[5]

참조

[1] Groves
[2] iucn Lepilemur edwardsi 2020
[3] 웹사이트 Checklist of CITES Species http://checklist.cit[...] UNEP-WCMC 2015-03-18
[4] journal Pair-specific usage of sleeping sites and their implications for social organization in a nocturnal Malagasy primate, the Milne Edwards' sportive lemur (Lepilemur edwardsi)
[5] journal Lepilemur edwardsi: Louis, E.E., Bailey, C.A., Sefczek, T.M., Raharivololona, B., Schwitzer, C., Ratsimbazafy, J., Wilmet, L. & Borgerson, C. 2018-05-07
[6] journal Food Habits of an Endangered Carnivore,Cryptoprocta Ferox, in the Dry Deciduous Forests of Western Madagascar https://doi.org/10.1[...] 2008-02-19
[7] journal Global benefits and local costs – The dilemma of tropical forest conservation: A review of the situation in Madagascar 2016-12-29
[8] journal Forest Conservation in Madagascar: Past, Present, and Future https://research.ban[...] 2021-04-12
[9] journal Seasonality in Reproduction of Lepilemur edwardsi https://doi.org/10.1[...] 2007-08-01
[10] journal Associations between adult spectral tarsiers https://onlinelibrar[...] 2005
[11] journal Loud calling, spacing, and cohesiveness in a nocturnal primate, the Milne Edwards' sportive lemur (Lepilemur edwardsi) http://dx.doi.org/10[...] 2006
[12] journal Duetting-A mechanism to strengthen pair bonds in a dispersed pair-living primate ( Lepilemur edwardsi )? https://www.academia[...] 2009
[13] journal Evidence for female dominance in the Milne-Edwards' sportive lemur (Lepilemur edwardsi) https://onlinelibrar[...] 2024-06-25
[14] journal Sleeping site ecology in a rain-forest dwelling nocturnal lemur (Lepilemur mustelinus): implications for sociality and conservation http://dx.doi.org/10[...] 2008
[15] journal Duetting as a Collective Behavior 2016
[16] journal Duetting Patterns of Titi Monkeys (Primates, Pitheciidae: Callicebinae) and Relationships with Phylogeny 2018-10-13
[17] journal Infanticide by a Male Milne-Edwards' Sportive Lemur (Lepilemur edwardsi) in Ampijoroa, NW-Madagascar https://doi.org/10.1[...] 2000-02-01
[18] book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iseases of Zoo and Wild Animals 2015 : May 13th-16th, 2015, Barcelona, Spain https://search.libra[...] Leibniz Institute for Zoo and Wildlife Research 2015
[19] 웹사이트 Parasitengemeinschaften von zwei auf Madagaskar endemischen, gefährdeten Lemuren (Avahi occidentalis und Lepilemur edwardsi): der Einfluss von Schlafplatz Geschlecht und Jahreszeit https://elib.tiho-ha[...] 2022-03-26
[20] journal Wildlife hunting in complex human-environmental systems: How understanding natural resource use and human welfare can improve conservation in the Ankarafantsika National Park, Madagascar https://www.ajol.inf[...] 2019
[21] journal Protected area surface extension in Madagascar: Do endemism and threatened species remain useful criteria for site selection ? https://www.ajol.inf[...] 2010
[22] Groves
[23] IUCN2014.1 Lepilemur edwards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