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라노 공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 1. 개요
- 2. 역사
- 2.1. 비스콘티 가문의 통치 (1395년-1447년)
- 2.2. 암브로시아 공화국 (1447년-1450년)
- 2.3. 스포르차 가문의 통치 (1450년-1499년)
- 2.4. 프랑스의 1차 통치 (1499년-1512년)
- 2.5. 스포르차 가문의 2차 통치 (1512년-1515년)
- 2.6. 프랑스의 2차 통치 (1515년-1521년)
- 2.7. 스포르차 가문의 3차 통치 (1521년-1535년)
- 2.8. 스페인 합스부르크 가문의 통치 (1556년-1707년)
- 2.9. 오스트리아 합스부르크 가문의 통치 (1714년-1796년)
- 2.10. 밀라노 공국의 종말
- 3. 군사
- 4. 역대 통치자
- 5. 문장
- 참조
1. 개요
밀라노 공국은 1395년 신성 로마 제국으로부터 공작 작위를 받은 잔 갈레아초 비스콘티에 의해 공식적으로 성립되었다. 비스콘티 가문과 스포르차 가문의 통치를 거쳐, 1447년 암브로시아 공화국을 잠시 거치기도 했다. 이후 스페인 합스부르크 가문과 오스트리아 합스부르크 가문의 지배를 받다가 1796년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의 프랑스군에 의해 멸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밀라노 - 고르곤졸라
고르곤졸라는 이탈리아 고르곤졸라 지역에서 유래한 블루 치즈로, 숙성 정도에 따라 단맛의 돌체와 매운맛의 피칸테로 나뉘며, 유럽연합의 원산지 명칭 보호를 받는 치즈이다. - 밀라노 - 파네토네
파네토네는 이탈리아 밀라노에서 유래되어 크리스마스 시즌에 즐겨 먹는 전통 빵으로, '작은 빵'이라는 뜻을 가진 이름에서 비롯되었으며, 20세기 초 기업가들에 의해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어 현재는 페루에서 가장 많이 소비된다. - 밀라노의 역사 - 황금 암브로시아 공화국
황금 암브로시아 공화국은 1447년 밀라노 공작 사망 후 시민들이 세운 공화국이었으나, 내분과 외부의 공격으로 1450년 프란체스코 스포르차에게 멸망했다. - 밀라노의 역사 - 밀라노 칙령
밀라노 칙령은 313년 콘스탄티누스 1세와 리키니우스가 공표한 문서로, 로마 제국 내 모든 종교의 자유를 보장하고 기독교 재산 반환을 명시하며 기독교가 로마 제국의 국교로 자리 잡는 데 기여했다. - 스포르차가 - 알레산드로 스포르차
알레산드로 스포르차는 콘도티에로 무치오 아텐돌로 스포르차의 사생아로 태어나 페사로와 파르마의 영주가 되었으며, 형 프란체스코 1세 스포르차와 함께 군사 활동에 참여하여 피오르디몬테 전투에서 승리했고, 르네상스 양식의 궁전을 건설하고 로디 조약을 통해 파르마 영주 지위를 인정받았으며, 교황 비오 2세로부터 그라다라의 영주권을 얻어 말라테스타 가문의 침략을 막았다. - 스포르차가 - 베아트리체 데스테
페라라 공작 에르콜레 1세 데스테의 딸이자 밀라노 공작 루도비코 스포르차의 부인인 베아트리체 데스테는 뛰어난 지성과 미모로 밀라노 궁정에서 문화적, 정치적으로 영향력을 행사하며 르네상스 문화에 기여했으나 22세의 나이로 요절했다.
밀라노 공국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 | |
![]()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로마자 표기: Ducato di Milano 이탈리아어: Ducato di Milano 롬바르드어: Ducaa de Milan 라틴어: Ducatus Mediolani |
일반 명칭 | 밀라노 |
시대 | 초기 근대 |
정치 체제 | 공국 세습군주제 |
수도 | 밀라노 |
존속 기간 | 1395년–1447년, 1450년–1796년 |
공용어 | 롬바르드어 이탈리아어 |
종교 | 로마 가톨릭교회 |
통화 | 밀라노 스쿠도 리라 솔도 |
데모님 | 밀라노인 |
오늘날 | 이탈리아 스위스 |
국기 및 문장 | |
![]() | |
![]() | |
정치 및 통치 | |
통치자 칭호 | 공작 |
초대 통치자 | 잔 갈레아초 비스콘티 |
초대 통치자 재임 기간 | 1395년–1402년 |
마지막 통치자 | 프란츠 2세 |
마지막 통치자 재임 기간 | 1792년–1796년 |
역사 | |
건국 사건 | 제국의 보헤미아의 벤체슬라우스의 칙령 |
건국일 | 1395년 5월 1일 |
멸망일 | 1796년 11월 15일 |
주요 사건 1 | 암브로시아 공화국 |
주요 사건 1 발생 시기 | 1447년–1450년 |
주요 사건 2 | 프랑스 점령 |
주요 사건 2 발생 시기 | 1499년–1512년, 1515년–1522년, 1524년–1525년 |
주요 사건 3 | 스위스 연방의 보호령 |
주요 사건 3 발생 시기 | 1512년–1515년 |
주요 사건 4 | 합스부르크 가문 통치 |
주요 사건 4 발생 시기 | 1535년–1796년 |
주요 사건 5 | 스페인 통치 |
주요 사건 5 발생 시기 | 1556년–1707년 |
주요 사건 6 | 오스트리아 통치 |
주요 사건 6 발생 시기 | 1707년–1796년 |
멸망 사건 | 트란스파다나 공화국으로의 합병 |
변천사 | |
이전 국가 1 | 밀라노 영주국 |
이전 국가 1 시기 | 1395년 |
이전 국가 2 | 황금 암브로시아 공화국 |
이전 국가 2 시기 | 1447년 |
계승 국가 1 | 황금 암브로시아 공화국 |
계승 국가 1 시기 | 1447년 |
계승 국가 2 | 스위스 구 연방 |
계승 국가 2 시기 | 1500년 |
계승 국가 3 | 트란스파다나 공화국 |
계승 국가 3 시기 | 1796년 |
인구 | |
17세기 추정 인구 | 750,000명 |
면적 | |
1475년 | 28,300km² |
2. 역사
비스콘티 가문은 1311년부터 사실상 밀라노의 참주 노릇을 하였으며, 잔 갈레아초 비스콘티 시기인 1395년 신성 로마 제국으로부터 공작 작위를 받았다. 그러나 그의 아들 조반니 마리아 비스콘티가 암살당하면서 공국은 혼란에 빠졌다.[41]
필리포 마리아 비스콘티는 공국을 재건하고 영토 확장을 추진, 베네치아 공화국과 전쟁을 벌였으나 1433년 페라라 조약으로 브레시아와 베르가모를 할양해야 했다. 1447년 필리포 마리아가 사망하면서 비스콘티 가문의 남계 후손이 단절되자, 밀라노에서는 권력 투쟁이 벌어졌다.[41]
밀라노 정부는 공화국을 선포하고 프란체스코 스포르차에게 보호를 요청했으나, 스포르차는 무력으로 1450년 밀라노 공작을 칭하며 스포르차 가문의 통치를 시작했다. 이후 베네치아 공화국, 아라곤 왕국, 신성 로마 제국 등이 스포르차 가문에 대항하였으나, 1454년 로디 조약으로 스포르차 가문은 밀라노의 세습 군주로 인정받았다.[18]
프란체스코 스포르차의 아들 갈레아초 마리아 스포르차는 폭정으로 살해당하고, 그의 아들 잔 갈레아초 스포르차는 숙부 루도비코 스포르차에게 정권을 빼앗기고 1494년 독살당했다. 루도비코 스포르차는 프랑스 왕국의 샤를 8세를 끌어들여 이탈리아 전쟁을 일으켰다.[21][22]
1499년 프랑스 왕국의 루이 12세는 밀라노 공국을 침공하여 루도비코 스포르차를 축출하고, 1512년까지 통치했다. 이후 구 스위스 연방이 프랑스를 몰아내고 마시밀리아노 스포르차를 공작에 앉혔으나, 1515년 마리냐노 전투에서 프랑스가 승리하면서 프랑수아 1세가 다시 밀라노를 지배했다.[26][27]
1521년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카를 5세가 프란체스코 2세 스포르차를 밀라노 공작에 즉위시켰고, 1525년 파비아 전투에서 프랑스가 패배하면서 스포르차 가문은 코냐크 동맹에 가입하여 카를 5세에 대항했다.[28][29][30] 1535년 프란체스코 2세가 후계자 없이 사망하면서 스포르차 가문이 단절되고, 밀라노 공국의 상속권을 둘러싼 신성 로마 제국과 프랑스 왕국의 전쟁이 70년간 이어졌다.[33][34]
1559년 카토 캉브레지 조약으로 스페인이 밀라노 공국을 복속시켰고, 이후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의 결과 1714년 바덴 조약에 따라 오스트리아 합스부르크 가문에 할양되었다.[35] 오스트리아 통치 아래 계몽주의적 행정 개혁이 이루어졌으나, 공국의 영토는 축소되었다.[36]
1796년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의 이탈리아 원정으로 밀라노 공국은 프랑스에 점령되었고, 1797년 캄포포르미오 조약에 따라 치살피나 공화국의 일부가 되었다. 1815년 빈 회의에서 밀라노 공국은 복원되지 않고 오스트리아 제국의 롬바르디아-베네치아 왕국에 편입되었다.[38]
2. 1. 비스콘티 가문의 통치 (1395년-1447년)
비스콘티 가문은 1311년부터 사실상 밀라노의 참주 노릇을 하였다. 잔 갈레아초 비스콘티는 롬바르디아, 피에몬테와 베네토의 일부, 이탈리아 중부의 여러 도시를 통합하였고, 1395년 신성 로마 제국의 벤첼로부터 밀라노 공작 작위를 받아 밀라노 공국이 공식적으로 성립되었다.[41]잔 갈레아초 사후, 그의 아들 조반니 마리아 비스콘티는 아버지의 영토를 제대로 관리하지 못하여 공국이 붕괴되었다.[41] 1412년 조반니 마리아가 암살된 후, 그의 동생 필리포 마리아 비스콘티가 공국을 재건하고 팽창 정책을 재개하여 베네치아 공화국과 대립하게 되었다.[41]
10년간의 전쟁(1423년 - 1433년) 후 페라라 조약이 체결되어 브레시아와 베르가모가 베네치아에 할양되었다. 1447년 필리포 마리아가 사망하면서 비스콘티 가문의 남계 후손이 단절되었다.[41]
2. 2. 암브로시아 공화국 (1447년-1450년)
1447년 필리포 마리아 비스콘티가 후계자 없이 사망하자, 밀라노 시민들은 황금 암브로시오 공화국을 선포했지만, 곧 반란과 주변 국가들의 공격에 직면했다.[16] 1450년, 용병대장 프란체스코 1세 스포르차는 필리포 마리아 비스콘티의 사생녀 비앙카 마리아와 결혼한 것을 명분으로 도시를 정복하고 공국을 재건하여 스포르차 가를 세웠다.[17]
2. 3. 스포르차 가문의 통치 (1450년-1499년)
1447년 필리포 마리아 비스콘티가 사망하면서 비스콘티 가문의 남계 후손이 끊기자, 밀라노에서는 권력 다툼이 벌어졌다. 밀라노 정부는 공화국 체제를 선포하고 프란체스코 스포르차에게 보호를 요청했지만, 프란체스코 스포르차는 오히려 무력을 동원하여 1450년 공화국 선포 3년 만에 스스로 밀라노 공작을 칭하며 권력을 장악했다.[41]이러한 밀라노의 정치적 혼란을 틈타 베네치아 공화국은 롬바르디아로의 지배력 확대를 꾀했고, 아라곤 왕국의 알폰소 5세와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프리드리히 3세와 손을 잡아 스포르차 가문에 대항했다. 이후 4년 동안 전쟁이 지속되었으며, 그 사이에 오스만 제국이 콘스탄티노폴리스를 함락시켰다(1453년). 결국 1454년 밀라노와 베네치아 사이에 로디 조약이 맺어져 이탈리아의 오랜 전란 시대에 종지부를 찍었다. 이 조약에 따라 스포르차 가문은 밀라노의 세습 군주로 인정받았으며, 베네치아는 아다강까지 세력을 넓혔고, 아라곤 왕국은 나폴리 왕국에 대한 소유권을 최종적으로 인정받았다. 또한 오스만 제국에 대항하여 이탈리아 신성동맹을 맺게 되었다.[18]
로디 조약으로 달성된 이탈리아 내 정치적 균형은 로렌초 데 메디치의 죽음(1492년)과 샤를 8세의 이탈리아 침공(1494년)이 일어날 때까지 지속되었다. 프란체스코 스포르차의 아들 갈레아초 마리아 스포르차는 폭정을 펼쳐 백성들의 원한을 사 살해당하였으며, 그의 어린 아들 잔 갈레아초 스포르차는 숙부인 루도비코 스포르차에게 정권을 찬탈당하였다.[19] 루도비코 스포르차는 스스로 조카인 잔 갈레아초 스포르차의 후견인임을 내세워 처음에는 조카의 섭정으로 있다가 그의 지위를 빼앗아 파비아 성에 감금한 후 1494년에 독살을 사주하였다.[20]
잔 갈레아초 스포르차는 나폴리 국왕의 조카딸과 결혼했고, 나폴리 국왕은 정당한 상속인의 편을 들었기 때문에 루도비코와 아라곤의 페르디난드 2세 사이의 관계는 악화되었다. 루도비코 스포르차는 1442년까지 나폴리 왕위가 앙주 가문에게 속해 있었던 것을 이유로 프랑스 왕국의 샤를 8세가 나폴리 왕국을 되찾도록 부추겼다. 1494년 샤를 8세가 나폴리를 정복함으로써 여러 이탈리아 국가 간의 균형이 깨지고 이탈리아 전쟁이 시작되었다.[21][22]
2. 4. 프랑스의 1차 통치 (1499년-1512년)
루이 12세는 오를레앙의 루이와 잔 갈레아초 비스콘티 공작의 딸 발렌티나 비스콘티의 결혼(1389년) 계약에 따라, 비스콘티 가문이 멸망할 경우 발렌티나의 후손에게 밀라노 공작 작위가 돌아간다는 조항을 근거로 비스콘티 가문의 정당한 상속자임을 주장했다. 1499년 밀라노 공국을 침공하여 루도비코 일 모로를 축출했다.[23][24] 루도비코 스포르차는 알프스 너머에서 온 군대에 맞서 싸우려 했지만 실패했고, 황제에게 도움을 요청했으나 수도와 몇몇 지역을 잠시 탈환하는 데 그쳤다. 1500년 노바라(Novara)에서 패배하여 포로로 잡힌 그는 프랑스 로슈(Loches) 성으로 이송되어 1508년 5월 27일 사망했다.[23][24]2. 5. 스포르차 가문의 2차 통치 (1512년-1515년)
루이 12세는 1512년까지 밀라노 공작으로 남아 있었으나, 스위스 군대가 프랑스를 롬바르디아에서 축출하고 루도비코 일 모로의 아들 마시밀리아노 스포르차를 밀라노 공작 자리에 앉혔다.[25] 스위스는 1512년부터 1515년까지 사실상 공국을 통치했다.[25]2. 6. 프랑스의 2차 통치 (1515년-1521년)
1515년 마리냐노 전투에서 프랑스군이 승리하면서, 프랑수아 1세는 밀라노 공국에 대한 프랑스의 지배권을 재확립했다. 프랑수아 1세는 스위스 군대를 격파하고 막시밀리안을 폐위시킨 후, 스스로 밀라노 공작 자리에 올랐다.[26][27] 스위스는 패배에도 불구하고 고트하르트 고개에서 코모(오늘날 티치노 주)로 이어지는 길을 따라 영토를 유지했다. 1516년 노용 조약은 밀라노 공국에 대한 프랑스의 소유권을 확정했다. 프랑수아 드 발루아는 1521년까지 공국을 통치했으며, 이후 신성 로마 제국 황제이자 스페인 국왕인 카를 5세가 막시밀리안의 동생 프란체스코 2세 스포르차를 밀라노 공작에 즉위시켰다.[26][27]2. 7. 스포르차 가문의 3차 통치 (1521년-1535년)

1525년 파비아 전투에서 프랑스 왕국이 패배하면서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카를 5세의 세력이 강해지자, 프란체스코 2세 스포르차는 코냐크 동맹에 가입하여 카를 5세에 대항했다. 베네치아 공화국, 피렌체 공화국, 클레멘스 7세, 프랑스 왕국도 동맹에 참여했다.[28][29][30]
밀라노 공작은 카를 5세의 군대에 밀렸지만, 공국의 일부 도시와 요새는 지켜냈다. 베네치아 공화국이 아풀리아 해안 전체(브린디시, 모노폴리, 갈리폴리, 폴리냐노, 레체, 바리, 트라니)를 할양하여 황제의 밀라노 영유권 주장을 철회하게 했고, 카를 5세가 베네치아와 충돌을 원치 않았기 때문이었다. 베네치아는 밀라노가 외세에 넘어가는 것을 우려하여 "점령할 능력도, 유지할 능력도 없다"고 여겼다.
프란체스코 2세 스포르차는 1535년 후계자 없이 사망하여 왕위 계승 문제가 발생했다. 1532년 프란체스코 2세 스포르차는 비제바노를 비제바나스코의 수도로 승격시켜달라고 클레멘스 7세 교황에게 요청하여 승인받았다. 비제바노는 1530년에 이미 도시와 주교구 지위를 얻은 상태였다.[31][32]
2. 8. 스페인 합스부르크 가문의 통치 (1556년-1707년)
1535년 프란체스코가 후계자를 남기지 못하고 죽자 스포르차 가문은 단절되었다. 이후 밀라노 공국의 상속권을 놓고 신성 로마 제국과 프랑스 왕국이 대립하며 70년간 전쟁을 벌였다. 신성 로마 제국의 카를 5세는 자신의 아들인 펠리페 2세에게 밀라노 공국 전체를 넘겨주었다.[33][34] 1559년 카토 캉브레지 조약으로 전쟁은 종결되었고, 프랑스 왕국은 스페인의 밀라노 공국 복속을 인정하였다. 이후 밀라노 공국은 스페인의 지배하에 놓이게 되면서 독립성을 상실하고 외세의 지배를 받는 지역 국가로 전락했다.[33][34]2. 9. 오스트리아 합스부르크 가문의 통치 (1714년-1796년)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을 종식시킨 바덴 조약에 따라 밀라노 공국은 오스트리아 합스부르크 가에 할양되었다.[35] 오스트리아 합스부르크 가의 통치 아래, 계몽주의 원칙에 영향을 받은 행정 개혁이 이루어졌다. 롬바르디아 영토에 도입된 개혁에는 토지대장 재정비, 교회 검열 폐지, 견직물 산업 발전 등이 있었다.[36] 18세기 동안, 1745년 만토바 공국과의 통합에도 불구하고(만토바는 밀라노로부터 강한 자치권을 가짐) 공국의 면적은 더욱 축소되어 오늘날의 롬바르디아보다 훨씬 작은 규모가 되었다.[35]2. 10. 밀라노 공국의 종말
1796년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의 이탈리아 원정으로 밀라노 공국은 프랑스에 점령되었다.[37] 1797년 캄포포르미오 조약에 따라 밀라노 공국은 정식으로 프랑스에 할양되었고, 프랑스의 괴뢰국인 치살피나 공화국의 일부가 되었다.[37]나폴레옹 몰락 이후, 1815년 빈 회의에서 밀라노 공국은 복원되지 않고, 오스트리아 제국의 롬바르디아-베네치아 왕국의 일부가 되었다.[38]
3. 군사
밀라노 공국은 1535년부터 스페인의 지배를 받으며 스페인 군대에 병력을 제공하는 중요한 지역이었다. 당시 롬바르디아는 발달된 제조업과 상업 경제를 바탕으로 스페인 군사력의 핵심적인 전략적 무기고 역할을 수행했다.[39] 밀라노 공국은 자원뿐만 아니라 병력도 제공했는데, 1635년부터 1659년까지 이어진 프랑스-스페인 전쟁 기간 동안 매년 평균 4,000명의 병사를 스페인에 보내고 그 비용을 부담했다. 이 병사들 중 상당수는 네덜란드 연합 공화국 군에 맞서 저지대 국가에서 복무했다.[40]
4. 역대 통치자
비스콘티 가는 귀족 세력의 지지를 받아 1311년부터 사실상 밀라노의 참주 노릇을 했다. 잔 갈레아초 비스콘티는 1395년 신성 로마 제국의 벤첼로부터 공작 작위를 받았다. 1447년 필리포 마리아의 죽음으로 비스콘티 가문의 남계 후손이 끊기자, 프란체스코 스포르차가 1450년 스스로 밀라노 공을 칭하며 스포르차 가가 통치하게 되었다. 1535년 프란체스코가 후계자를 남기지 못하고 죽자 스포르차 가문은 단절되었다. 이후 신성 로마 제국과 프랑스 왕국 간의 전쟁이 벌어졌고, 1559년 카토 캉브레지 조약으로 스페인이 밀라노 공국을 복속하게 되었다.
5. 문장
참조
[1]
harvard
[2]
웹사이트
::: Storia di Milano ::: dal 1201 al 1225
http://www.storiadim[...]
2020-07-01
[3]
웹사이트
Milan – History
https://www.britanni[...]
2020-12-17
[4]
웹사이트
Storia di Milano ::: dal 1701 al 1725
http://www.storiadim[...]
2020-07-01
[5]
웹사이트
Storia di Milano ::: dal 1776 al 1800
http://www.storiadim[...]
2020-07-01
[6]
웹사이트
I Visconti, Signori di Milano
https://www.storico.[...]
2024-04-25
[7]
웹사이트
I Visconti, storia e segreti dei signori di Milano
https://www.connessi[...]
2024-04-25
[8]
웹사이트
Ducato di Milano: origini e storia dei Visconti e degli Sforza {{!}} Studenti.it
https://www.studenti[...]
2024-04-25
[9]
웹사이트
1300: dalla signoria milanese dei Visconti agli Sforza
https://www.skuola.n[...]
2024-04-25
[10]
웹사이트
Gian Galeazzo Visconti e la nascita del Ducato di Milano
https://naviglireloa[...]
2024-04-25
[11]
웹사이트
GIAN GALEAZZO Visconti, duca di Milano - Treccani
https://www.treccani[...]
2024-04-25
[12]
harvard
[13]
harvard
[14]
서적
The English cyclopedia: geography
[15]
웹사이트
VISCONTI
https://www.archivio[...]
2020-07-03
[16]
서적
The Commentaries of Pius II
Northampton, Massachusetts
[17]
서적
A History of Milan under the Sforza
London
[18]
웹사이트
Francésco I Sforza duca di Milano - Treccani
https://www.treccani[...]
2024-04-25
[19]
웹사이트
Francesco Sforza {{!}} Renaissance Ruler of Milan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4-04-08
[20]
웹사이트
Galeazzo Marìa Sforza duca di Milano - Treccani
https://www.treccani[...]
2024-04-25
[21]
웹사이트
Ludovico Sforza detto il Moro: ascesa e caduta di un principe del Rinascimento {{!}} Studenti.it
https://www.studenti[...]
2024-04-25
[22]
웹사이트
Ludovico Sforza duca di Milano, detto il Moro - Treccani
https://www.treccani[...]
2024-04-25
[23]
웹사이트
VISCONTI, Valentina, duchessa d'Orleans - Treccani
https://www.treccani[...]
2024-04-25
[24]
웹사이트
Luigi XII re di Francia, detto il Padre del popolo - Treccani
https://www.treccani[...]
2024-04-25
[25]
웹사이트
Massimiliano Sforza duca di Milano - Treccani
https://www.treccani[...]
2024-04-25
[26]
웹사이트
Francésco II Sforza duca di Milano - Treccani
https://www.treccani[...]
2024-04-25
[27]
웹사이트
Francis I - Charles V, Rivalry, Italy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4-04-25
[28]
웹사이트
Francesco I di Valois - Treccani
https://www.treccani[...]
2024-04-25
[29]
웹사이트
Francesco I e la battaglia di Pavia
https://www.storican[...]
2023-02-24
[30]
웹사이트
Cognac, Lega di - Treccani
https://www.treccani[...]
2024-04-25
[31]
웹사이트
Vigevano
https://www.italia.i[...]
2024-04-25
[32]
웹사이트
FRANCESCO II Sforza, duca di Milano - Treccani
https://www.treccani[...]
2024-04-25
[33]
웹사이트
Milano, dalla dominazione spagnola all'Illuminismo
https://www.baroque.[...]
2024-06-17
[34]
웹사이트
L'epoca spagnola
https://www.melegnan[...]
2024-06-17
[35]
웹사이트
Settecento
https://www.divinami[...]
2024-06-17
[36]
웹사이트
MILANO NEL SETTECENTO: L'ASSOLUTISMO ILLUMINATO DI MARIA TERESA D'AUSTRIA
https://www.homolaic[...]
2024-06-17
[37]
웹사이트
Milano napoleonica
https://digilander.l[...]
2024-06-17
[38]
웹사이트
La Scuola per i 150 anni dell'Unità d'Italia - Gli austriaci - Il governo del Lombardo-Veneto
https://www.150anni.[...]
2024-06-17
[39]
서적
The Twilight of a Military Tradition: Italian Aristocrats and European Conflicts, 1560–1800
Routledge
1997
[40]
서적
The Hero of Italy: Odoardo Farnese, Duke of Parma, his Soldiers, and his Subjects in the Thirty Years' War
Routledge
2014-05
[41]
논문
斎藤(2008)
[42]
논문
斎藤(2008)
[43]
논문
北原(2008)
[44]
논문
ミラノ公国
[45]
논문
北原(2008)
[46]
논문
北原(20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