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레나 드라비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밀레나 드라비치는 세르비아의 배우로, 1959년 영화에 데뷔하여 다양한 장르의 작품에 출연하며 유고슬라비아 영화계의 대표적인 여성 스타로 자리매김했다. 1962년 영화 《Prekobrojna》로 골든 아레나 상을 수상하며 이름을 알렸고, 칸 영화제 여우조연상, 파블레 부이지시치 상, 도브리친 프르스텐 평생 공로상 등을 수상하며 연기 경력을 인정받았다. 2018년 사망할 때까지 영화, TV 시리즈 등 다수의 작품에 출연하며 폭넓은 연기 스펙트럼을 보여주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세르비아의 여자 영화 배우 - 아나 소프레노빅
아나 소프레노빅은 베오그라드 출신의 세르비아 배우이며, 영화 《프리메디테이티드 머더》, 《리전에어》 등에 출연했다. - 세르비아의 여자 영화 배우 - 미랴나 카라노비치
미랴나 카라노비치는 1980년 영화 데뷔 후 유고슬라비아와 크로아티아 영화에서 활약하며 국제적 인지도를 얻었고, 사회 문제에 대한 관심을 환기시키는 연기와 사회 운동 참여로도 알려진 세르비아의 배우이다. - 골든 아레나상 수상자 - 고란 브레고비치
고란 브레고비치는 유고슬라비아 출신으로 록 밴드 비옐로 두그메의 리드 기타리스트이자 영화 음악 작곡가로서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으며, 발칸, 집시, 클래식, 팝 등 다양한 장르를 융합한 독창적인 스타일의 음악을 선보이고 결혼과 장례 오케스트라와 함께 공연한다. - 골든 아레나상 수상자 - 필립 쇼바고비치
필립 쇼바고비치는 크로아티아의 다재다능한 예술가로, 배우 데뷔 후 영화제 수상 및 아카데미 수상작 출연, 인기 텔레비전 시리즈 출연, 애니메이션 더빙 참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약하고 있다. - 베오그라드 출신 - 안토니오 루카비나
안토니오 루카비나는 라이트백으로 활약한 세르비아의 전 축구 선수로, 다양한 클럽에서 뛰며 여러 리그 우승을 경험했고, 세르비아 국가대표로도 활동하며 월드컵에 출전하는 등 뛰어난 수비력과 공격력을 겸비한 선수로 평가받았다. - 베오그라드 출신 - 보슈코 얀코비치
세르비아의 전 축구 선수인 보슈코 얀코비치는 FK 츠르베나 즈베즈다에서 데뷔하여 여러 클럽에서 활약하며 2005-06 시즌 올해의 선수로 선정, 세르비아 국가대표로 UEFA U-21 대회 준우승과 베스트 팀에 선정, 31경기 5골을 기록했다.
밀레나 드라비치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밀레나 드라비치 |
출생일 | 1940년 10월 5일 |
출생지 | 베오그라드, 유고슬라비아 왕국 |
사망일 | 2018년 10월 14일 |
사망지 | 베오그라드, 세르비아 |
국적 | 세르비아 |
학력 | |
모교 | 베오그라드 예술대학교 극예술학부 |
교육 | 극예술학부 |
경력 | |
활동 기간 | 1958년–2018년 |
직업 | 배우 |
개인사 | |
배우자 | 푸리샤 조르제비치 (1960년 결혼, 1961년 이혼) 코칸 라코냐츠 (1967년 결혼, 1969년 사별) 드라간 니콜리치 (1971년 결혼, 2016년 사별) |
2. 생애
세르비아 베오그라드 출신으로, 어린 시절 발레를 시작하며 공연 예술계에 입문했다.[3] 고등학생 시절 프란티셰크 차프 감독에게 발탁되어 1959년 영화계에 데뷔했으며,[4] 이후 베오그라드 예술대학교에서 연기를 공부했다.
1962년 영화 《Prekobrojna》로 골든 아레나 상 최우수 여우주연상을 수상하며 유고슬라비아의 대표적인 영화 스타로 떠올랐다.[5] 그녀는 제2차 세계 대전 영화, 실험 영화, 로맨틱 코미디 등 다양한 장르를 넘나들며 폭넓은 연기 경력을 쌓았고, 1980년에는 《Special Treatment》로 칸 영화제 여우조연상을 수상하는 등[6] 국내외에서 연기력을 인정받았다. 유고슬라비아 영화계에 기여한 공로로 파블레 부이지시치 상(1994년)[7]과 도브리친 프르스텐 평생 공로상(2017년)[8] 등을 수상했다.
세 번째 남편인 배우 드라간 니콜리치와 함께 TV 프로그램을 진행하기도 했다. 오랜 투병 끝에 2018년 10월 14일 사망했다.[9]
2. 1. 초기 생애
세르비아 베오그라드에서 태어난 드라비치는 네 살 때 부모님의 권유로 무용 프로그램에 참여하면서 공연 예술에 입문했다. 이후 클래식 발레로 전향했다.[3]1959년, 고등학생이었던 드라비치는 프란티셰크 차프 감독[4]에게 발탁되었다. 감독은 발레 무용수 단체 사진이 실린 청소년 잡지 표지를 보고 18세의 드라비치에게 영화 《Vrata ostaju otvorena》에 출연할 것을 제안했다. 몇 편의 영화에 더 출연한 후, 그녀는 배우 활동에 전념하기로 결심하고 베오그라드 예술대학교 내 연극 예술 아카데미 (APU)에 성공적으로 입학했다.
2. 2. 경력
1959년, 고등학생이었던 드라비치는 프란티셰크 차프 감독에게 발탁되었다.[4] 감독은 발레 무용수 단체 사진이 실린 청소년 잡지 표지를 보고 당시 18세였던 드라비치에게 영화 《Vrata ostaju otvorena》 출연을 제안했다. 몇 편의 영화에 더 출연한 후, 배우 활동에 전념하기로 결심하고 베오그라드 예술대학교 내 연극 예술 아카데미 (APU)에 입학했다.그녀의 획기적인 성공은 1962년 브란코 바우어 감독의 영화 《Prekobrojna》를 통해서였다. 이 작품으로 골든 아레나 상 최우수 여우주연상을 수상하며 큰 주목을 받았고, 유고슬라비아 최초이자 가장 유명한 여성 영화 스타 중 한 명으로 자리매김했다. 그녀는 골든 아레나 상 주연상 2회와 조연상(실버 아레나) 5회를 수상하는 등 뛰어난 연기력을 인정받았다.[5]
밀레나 드라비치의 경력은 길고 다채로웠다. 제2차 세계 대전을 다룬 서사 영화의 비극적 여주인공, 《WR: Mysteries of the Organism》과 같은 실험 영화의 독특한 주인공, 또는 로맨틱 코미디 등 다양한 장르에서 인상 깊고 설득력 있는 연기를 선보였다. 특히 1970년대와 1980년대에는 로맨틱 코미디 장르에서 뛰어난 활약을 펼쳤다. 1980년에는 영화 《Special Treatment》로 칸 영화제 여우조연상을 수상했다.[6]
유고슬라비아 영화계에 대한 공헌을 인정받아 1994년 8월에는 권위 있는 파블레 부이지시치 상을 수상했다.[7] 2017년 12월 15일에는 베오그라드에서 도브리친 프르스텐 평생 공로상을 받으며 그 업적을 기렸다.[8]
2. 3. 개인사
밀레나 드라비치는 세 번 결혼했다. 그녀의 세 번째 남편은 유명한 세르비아 배우 드라간 니콜리치였으며, 그와 함께 1970년대 인기 텔레비전 프로그램 ''Obraz uz obraz''의 공동 진행을 맡았다.2. 4. 사망
그녀는 2018년 10월 14일, 오랜 투병 끝에 사망했다.[9]3. 주요 출연 작품
밀레나 드라비치는 1959년 데뷔 이후 100편이 넘는 영화와 다수의 TV 시리즈에 출연하며 유고슬라비아와 세르비아를 대표하는 배우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 그녀의 필모그래피는 제2차 세계 대전을 다룬 서사극부터 실험적인 예술 영화, 로맨틱 코미디까지 폭넓은 장르를 아우른다.
초기 주요작으로는 《맨 이즈 낫 어 버드》(1965)가 있으며, 이후 유고슬라비아의 대표적인 전쟁 영화 《네레트바 전투》(1969)와 두샨 마카베예프 감독의 논쟁적인 작품 《W.R.: 유기체의 미스터리》(1971) 등에 출연하며 인상적인 연기를 선보였다. 1980년에는 《스페셜 트리트먼트》로 칸 영화제 여우조연상을 수상하며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다.[6]
이후에도 《태양의 어두운 면》(1988), 《카바레 발칸》(1998), 《사랑과 다른 범죄》(2008), 《성 조지가 용을 쏜다》(2009) 등 꾸준히 작품 활동을 이어갔다.
더 자세한 출연 작품 목록은 아래 세부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3. 1. 영화
밀레나 드라비치는 유고슬라비아와 세르비아 영화 역사상 가장 유명하고 뛰어난 배우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 그녀의 영화 경력은 1959년 프란티셰크 차프 감독에게 발탁되어 영화 《Vrata ostaju otvorena》에 출연하면서 시작되었으며[4], 이후 베오그라드 예술대학교 연극 예술 아카데미에서 연기를 공부하며 본격적인 배우의 길을 걸었다.드라비치는 긴 경력 동안 다작 배우로 활동하며 다재다능한 연기력을 선보였다. 제2차 세계 대전을 다룬 서사 영화의 비극적 여주인공부터 실험적인 예술 영화, 로맨틱 코미디까지 다양한 장르를 넘나들었다. 1962년 영화 《Prekobrojna》로 골든 아레나 상 최우수 여우주연상을 수상하며 유고슬라비아의 대표적인 여성 스타로 떠올랐고[5], 이후에도 5개의 실버 아레나 상(조연상)과 추가적인 골든 아레나 상(주연상)을 수상했다.[5]
국제적으로는 1980년 영화 《Special Treatment》로 칸 영화제 여우조연상을 수상하며 연기력을 인정받았다.[6] 자국 영화계에 대한 공헌을 인정받아 1994년에는 권위 있는 파블레 부이지시치 상을 수상했으며[7], 2017년 12월에는 베오그라드에서 도브리친 프르스텐 평생 공로상을 받으며 오랜 연기 경력을 기렸다.[8]
3. 1. 1. 1950년대 ~ 1960년대
세르비아 베오그라드에서 태어난 드라비치는 네 살 때 부모님의 권유로 무용 프로그램에 참여하면서 공연 예술에 입문했다. 이후 클래식 발레로 전향했다.[3]1959년, 고등학생이었던 드라비치는 프란티셰크 차프 감독[4]에게 발탁되었다. 감독은 발레 무용수 단체 사진이 실린 청소년 잡지 표지를 보고 당시 18세였던 드라비치에게 영화 《Vrata ostaju otvorena》에 출연할 것을 제안했다. 이 영화를 시작으로 몇 편의 영화에 더 출연한 후, 그녀는 배우 활동에 전념하기로 결심하고 베오그라드 예술대학교 내 연극 예술 아카데미 (APU)에 성공적으로 입학했다.
그녀의 획기적인 성공은 1962년 브란코 바우어 감독의 영화 《Prekobrojna》를 통해서였는데, 이 작품으로 그녀는 유고슬라비아의 아카데미상 격인 골든 아레나 상 최우수 여우주연상을 수상했다. 이 인상적인 역할과 대중적인 인기는 그녀를 유고슬라비아 최초이자 가장 큰 여성 영화 스타 중 한 명으로 만들었다.[5]
1960년대 동안 드라비치는 다양한 장르의 영화에 출연하며 활발한 활동을 이어갔다. 그녀는 비극적인 여주인공부터 코미디 역할까지 폭넓은 연기 스펙트럼을 보여주었다.
다음은 1950년대 후반부터 1960년대까지 그녀가 출연한 주요 작품 목록이다.
연도 | 제목 | 역할 |
---|---|---|
1959 | Vrata ostaju otvorena | 마리야 (페트로바 세스트라) |
1960 | 딜리잔사 스노바 | 에비카 |
1960 | 자예드니치키 스탄 | 류비차 |
1960 | 볼리에 예 우메티 | 욜라 |
1961 | 더 퍼스트 파이어스 | 하이라 |
1961 | 레토 예 크리보 자 스베 | 나탈리야 |
1962 | 코자라 | 밀랴 |
1962 | 프레코브로이나 | 란카 |
1962 | 페세니 그라드 | 밀레나 |
1963 | 라도폴리에 | 므르비차 |
1964 | 데스티네이션 데스 | 세야 |
1964 | 슬루즈베니 폴로자이 | 조라 |
1964 | 리토 빌로비토 | 마레 |
1964 | 나로드니 포슬라니크 | 다니차 |
1965 | 맨 이즈 낫 어 버드 | 라이카 |
1965 | 데보이카 | 데보이카 |
1965 | 클락손 | 야나 |
1965 | 코빅 오드 스비타 | 비스냐 |
1965 | 더 캠프 팔로워스 | 아스파시아 아나스타시우 |
1966 | 론도 | 네다 |
1966 | {{lang|srp|Do pobedata i po nea|} | } || 모마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