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밀레니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밀레니엄은 1000년을 의미하는 영어 단어로, 기독교의 천년왕국을 뜻하는 동시에 100년의 세기와 같이 1000년의 기간을 나타내기도 한다. 2000년을 앞두고, 새로운 밀레니엄의 시작을 언제로 볼 것인지에 대한 논쟁이 있었는데, 서기 1년이 1000년 단위로 끊어 계산하면 2001년이 세 번째 천년기의 시작이라는 주장과 2000년이라는 숫자가 감각적으로 맞아떨어진다는 의견이 대립했다. 각국은 2000년 또는 2001년을 새천년의 시작으로 기념했으며, 대한민국에서도 2000년 1월 1일에 새천년맞이 행사가 열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000 - 킬로그램
    킬로그램은 질량의 SI 단위로, 2019년 5월 20일부터 플랑크 상수를 기반으로 재정의되어 더 이상 국제 킬로그램 원기에 의존하지 않는다.
  • 1000 - 킬로미터
    킬로미터(km)는 1,000미터에 해당하는 길이 단위이며, 프랑스에서 미터법이 시작되면서 기원되었고, 국제도량형국에서 표준화되었으며, 다양한 스포츠 종목에서 1km 경기가 존재한다.
  • 천년기 - 제2천년기
    제2천년기는 1001년부터 2000년까지 중세, 근세, 근현대를 아우르는 시대로, 정치, 경제, 사회, 문화, 기술 등 전 분야에서 격변과 발전이 일어난 시기이다.
  • 천년기 - 기원전 제3천년기
    기원전 3천년기는 청동기 시대 전성기로, 메소포타미아와 이집트 제국 건설, 동아시아, 유럽, 인도 문명 발전을 특징으로 하는 사회 변화가 두드러진 시대이다.
  • 시간의 단위 - 오전
  • 시간의 단위 - 오후
    오후는 정오와 해질녘 사이의 시간으로, 1300년경부터 사용된 단어이며, 태양의 위치, 근무 시간, 학교 수업, 인간의 체온 변화, 교통사고 발생률, 생산성 감소 등과 관련이 있다.
밀레니엄
기본 정보
명칭밀레니엄 (천년)
어원라틴어: mille (천)
라틴어: annus (년)
정의1000년의 기간
단위
단위계역법
물리량시간
SI 단위 환산약 3.156 × 10¹⁰ 초
기타
관련 용어천년왕국설
관련 세대밀레니얼 세대 (Y세대)

2. 밀레니엄 논쟁

1896년 오퍼와 케플러의 "밀레니엄 만세!"


2000년 기념 행사를 앞두고, 2000년을 "새로운" 밀레니엄의 시작으로 보아야 하는지에 대한 공개적인 논쟁이 있었다. 역사적으로 이전 10년, 세기, 밀레니엄의 전환점에는 논쟁이 있었지만, 10년 단위에서는 그렇지 않았다. 이 문제는 "세 번째 밀레니엄"과 같이 서수를 사용하여 연도와 밀레니엄을 계산하는 관례와 "2000년대"와 같은 방언적 설명을 사용하는 것 사이의 차이에서 비롯되었다.

새 밀레니엄의 시작을 언제로 볼 것인가에 대한 논쟁은 2000년 12월 31일에서 2001년 1월 1일로 넘어가는 시점, 즉 2000년을 기준으로 할 것인지, 아니면 2001년을 기준으로 할 것인지에 따라 의견이 갈렸다. 서기 시스템은 1년부터 시작되었고 (0년은 없었다.) 따라서, 첫 번째 밀레니엄은 1년부터 1000년 말까지, 두 번째 밀레니엄은 1001년부터 2000년 말까지였으며, 세 번째 밀레니엄은 2001년에 시작하여 3000년 말에 끝난다는 주장이 있었다.

대중 문화는 1999년에서 2000년으로의 전환(1999년 12월 31일에서 2000년 1월 1일)에 새로운 밀레니엄의 도래를 축하하는 것을 지지했다.

스티븐 제이 굴드는 그의 에세이 "Dousing Diminutive Dennis' Debate (or DDDD = 2000)"에서 전환에 대한 "하이" 대 "팝" 문화 해석을 논의했다. 굴드는 엄격한 건설에 따른 하이 문화가 20세기의 시작에 지배적인 관점이었지만, 팝 문화 관점이 그 끝에 지배했다고 언급했다.[7]

21세기와 3천년기의 시작은 2000년 초에 전 세계적으로 기념되었다. 1년 후인 2001년 초에는 기념 행사가 대체로 평소와 같이 새해를 맞이하는 방식으로 돌아갔지만,[8] 일부에서는 미국 해군 천문대와 같은 곳에서 "진정한 밀레니엄"을 환영했다.[9]

3천년기 (세 번째 밀레니엄)는 2000년부터 시작할 것인지 2001년부터 시작할 것인지를 두고 전 세계에서 논쟁이 일어났다.

2. 1. 2000년 시작 주장

대중 문화에서는 1999년에서 2000년으로 넘어가는 시기(1999년 12월 31일에서 2000년 1월 1일)를 새천년의 시작으로 보았다. 이는 연도에서 백 단위 숫자가 바뀌고 '0'으로 채워지는 것이 '십' 단위로 연도를 구분하는 방식(예: 1980년부터 1989년까지를 "1980년대"라고 부르는 것)과 일치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현상은 "계기판 효과"로 설명되기도 한다.[4]

"2000년"은 종종 유토피아적인 미래나 그러한 미래를 배경으로 한 이야기를 가리키는 대중적인 표현이었다. Y2K 컴퓨터 버그(2000년 문제)에 대한 언론과 대중의 관심 역시 2000년을 새천년의 시작으로 인식하게 하는 데 영향을 주었다.

2000년을 새천년의 시작으로 보는 관점은 기독교대희년 축하와 결합되어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기념 이벤트를 개최하게 했다. "밀레니엄"이라는 단어가 널리 사용되었고, 전 세계적으로 새천년을 축하하는 카운트다운 행사가 열렸다. 동시에 "2000년 문제" 발생에 대한 우려도 주목받았다.

이러한 배경에서 "'''2000년은 밀레니엄'''(밀레니엄 이어)"이라고 불리기도 했다.[14][15]

일본에서는 무라사키 시키부의 『겐지 이야기』가 1001년 전후부터 집필되기 시작했다는 점이 펠리페 페르난데스-아르메스토의 저서 『밀레니엄』(1996년 간행) 서두에 언급되면서 주목받게 되었다.[16][17] 서구의 영향을 받아 일본에서도 밀레니엄 붐이 과열되었고, "밀레니엄 베이비"나 "밀레니엄 결혼"과 같은 표현이 사용되었다.

2. 2. 2001년 시작 주장

서기 기원에는 0년이 없이 1년부터 시작하기 때문에, 엄밀하게 따지면 2001년이 세 번째 밀레니엄의 시작이라는 주장이 제기되었다.[4] 연도 계산의 ''서기'' 시스템이 1년부터 시작되었으므로, 첫 번째 밀레니엄은 1년부터 1000년 말까지, 두 번째 밀레니엄은 1001년부터 2000년 말까지이며, 세 번째 밀레니엄은 2001년부터 시작된다는 것이다.

영국 그리니치 천문대미국 해군 천문대 등은 2001년을 새천년의 시작으로 공식 발표했다.[9] 로마 가톨릭 교회와 많은 국가 정부의 견해도 공식적으로 이 구분을 인정하고 있다.[17] 바티칸은 2001년을 새천년의 시작으로 보면서도, 2000년부터 시작한다는 오해를 부정하지 않고 대희년을 1999년 12월 24일부터 2001년 1월 6일까지로 정했다.

2. 3. 각국의 입장

미국 정부는 2000년 1월 1일부터 2001년 1월 1일까지를 "밀레니엄 이어"로 정했고, 당시 빌 클린턴 대통령은 "2000년과 2001년 두 번 축하하면 된다"고 언급했다.[17][18]

중국은 처음에는 2000년을 새천년의 시작으로 보는 듯했으나, 나중에 2001년부터 시작된다고 정정했다.[18]

일본에서는 21세기를 2001년부터 시작하는 것으로 보면서도, 2000년을 밀레니엄으로 여기는 풍조가 강했다.

3. 밀레니엄의 어원과 유래

밀레니엄(millennium)은 영어로 "'''millennium'''"이라고 표기하며, 어원은 라틴어의 "'''mille''' = 천[19]"과 "'''annum'''[20] = 년"이다. 원래는 지금까지의 세계가 종말을 고하고, 예수가 새로운 천 년간을 지배하는 지복천년기가 찾아온다는 기독교천년왕국을 의미하는 것이었지만,[21] 100년을 나타내는 "'''century'''"와 마찬가지로 1000년의 의미로도 사용되게 되었다.[17]

일본어 번역으로는 '''천년기'''가 된다. millennium에는 1000년간(천년기)의 의미도 있지만, 천년기는 서기를 구분한 단위로서 세기와 마찬가지이다.[22]

참조

[1] 서적 Millennium https://web.archive.[...] Oxford Dictionaries (Oxford University Press) 2016
[2] 웹사이트 Millennium
[3] 백과사전 Millennium
[4] 뉴스 For the Chronologically Correct, Now It's Time for the Millennium https://www.latimes.[...] 2000-12-26
[5] 웹사이트 Millennium: Date Line Politics http://trussel.com/k[...] Trussel.com 1999-08
[6] 웹사이트 When Did the 21st Century Start? https://www.timeandd[...]
[7] 서적 Dinosaur in a Haystack Harmony Books 1995
[8] 뉴스 Millennium Gets Little Notice https://www.washingt[...]
[9] 웹사이트 For the Chronologically Correct, Now It's Time for the Millennium https://www.latimes.[...] 2000-12-26
[10] 웹사이트 Castro hosts party for the 'true Millennium' https://www.telegrap[...] 2000-12-31
[11] 웹사이트 Japanese purists prepare to welcome new millennium https://www.deseret.[...] 2000-12-15
[12] 뉴스 Y2K It Wasn't, but It Was a Party https://www.latimes.[...] 2001-01-01
[13] 문서 複数形はmillennia、またはmillenniums。
[14] 간행물 新・地球世紀へのキーワード[共に生きる] http://www.city.yoko[...] 横浜市企画局政策部調査課 2000-12-27
[15] 웹사이트 ミレニアム(千年紀)って何? http://nanyanen.jp/n[...] 長岡シティアンサンブル NONCE号外
[16] 문서 文献初出が1001年(長保3年)であるため、その頃にはすでに相当な部分まで成立していたとの見方もある。
[17] 웹사이트 新たなミレニアム(千年紀)を考える https://www.ne.jp/as[...] 21世紀の歩き方大研究
[18] 웹사이트 なぜ2001年が始まりなのか https://www.ne.jp/as[...] 21世紀の歩き方大研究
[19] 문서 milleはラテン語で、元々「たくさん」を意味していたが、転じて「千」を意味するようになった。milleを語源とする英語として他にもミリオン (million) などがある。
[20] 문서 「annum」は対格であり、主格では「annus」となる。
[21] 문서 この千年王国と関連してセブンスデー・アドベンチスト教会やエホバの証人らが、千年期の到来、神のみ国、王国の実質年期と信仰している。
[22] 문서 ただし、西暦の区切りとは関係なく1000年間の意味で千年紀が使用される場合もある。
[23] 서적 Millennium http://www.oxforddic[...] Oxford Dictionaries (Oxford University Press) 20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