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바로 가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로 가기는 컴퓨터 운영 체제에서 파일, 폴더, 프로그램 등에 대한 간편한 접근을 제공하는 기능이다. 윈도우에서는 .lnk 확장자를 가진 셸 링크 형태로 구현되며, 대상 파일의 경로, 단축키, 설명 등의 정보를 저장한다. macOS에서는 "별칭"이라는 용어로 사용되며, 아이노드 번호를 추적하여 파일 이동을 처리한다. 유닉스 계열 운영체제에서는 심볼릭 링크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며, 데스크톱 환경에서는 .desktop 파일을 통해 프로그램 위치, 아이콘, 툴팁 등의 정보를 제공한다. 바로 가기 개념은 1991년 킹스턴 대학교에서 처음 제시되었고, 윈도우 95와 System 7에 통합되었다.

2. 용어

이 용어의 영어 낱말은 빠르게 갈 수 있는 "지름길"이라는 뜻의 shortcut에서 나왔다. 윈도우 95 시절에는 "단축 아이콘", "단축 키"라는 이름을 사용하였으나, 한국 마이크로소프트에서는 이러한 이름을 버리고 "바로 가기"라는 이름을 사용하기로 결정했다. 이 기능에 해당하는 아이콘을 바로 가기 아이콘(지름아이콘한국어)으로, 이에 대한 키를 바로 가기 키(지름건한국어)라고 부른다.

3. 구현

3. 1. Microsoft Windows

윈도우에서 파일 바로 가기는 .lnk 확장자를 가지며, 셸 링크라고도 불린다.[1][8] .lnk 파일은 윈도우 탐색기 확장자로 작동하며, 대상 파일의 경로, 작업 디렉터리 경로, 실행 옵션 (최소화, 최대화 등), 단축키, 설명(툴팁) 등의 정보를 저장한다.[3][10] 일반적으로 "바로 가기" 또는 "링크 파일"이라고 불리며, 구부러진 화살표 오버레이 아이콘으로 표시되고 파일 확장자는 표시되지 않는다.[1][8]

윈도우는 분산 링크 추적 서비스를 통해 대상 파일이 이동하더라도 바로 가기가 자동으로 업데이트되도록 지원한다. (윈도우 NT 기반 운영체제 및 NTFS 파일 시스템)[2][9] 윈도우 2000부터는 광고된 바로 가기라는 특수한 유형의 바로 가기가 추가되었다.[2][9] 윈도우 7부터는 일부 바로 가기에 애플리케이션 사용자 모델 ID (AppUserModelID)가 저장되어, 대상 명령줄 대신 AppUserModelID를 사용하여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5][12]

윈도우는 폴더 링크 (셸 링크 폴더)를 지원하여, 폴더에 대한 바로 가기 기능을 제공한다.[6][13] .cda 확장자는 CD 오디오 트랙에 대한 바로 가기를 나타낸다.

심볼릭 링크와 비교 설명: 윈도우 바로 가기는 파일 시스템과 독립적으로 작동하는 반면, 심볼릭 링크는 파일 시스템의 기능이다.[4][11]

3. 2. macOS

macOS에서는 바로 가기 기능을 "별칭"이라고 부른다. 별칭은 아이노드 번호와 같은 정보를 추적하여 파일 이동을 처리한다. System 7부터 Mac OS 9까지의 별칭은 이름을 이탤릭체로 표시하여 다른 파일과 구별했다. Mac OS 8.5 이상에서는 얇은 흰색 테두리가 있는 검은색 화살표 모양의 "별칭 화살표" 배지가 추가되어 구분되었다. Mac OS X에서는 별칭 이름이 더 이상 이탤릭체로 표시되지 않지만, 화살표 배지는 유지된다. 별칭은 객체에 대한 동적 참조를 유지하며, 원격 서버의 파일을 호출할 때에도 지정할 필요가 없다.

또한 macOS의 Unix 서브 시스템 내에서 심볼릭 링크를 생성할 수 있다. Safari 브라우저는 인터넷 URL을 저장하기 위한 자체 속성 목록 기반 형식인 `.webloc` 확장자를 사용한다.

3. 3. Unix 및 Unix 계열 운영 체제

유닉스 계열 운영체제(리눅스, BSD 등)에서는 심볼릭 링크가 바로 가기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한다.[7] 대상이 프로그램일 때, 많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freedesktop.org의 '데스크톱 항목' 사양을 따르는 .desktop 및 .directory 파일을 지원한다.[7] .desktop 파일은 프로그램 위치, 아이콘, 툴팁 등 추가 정보를 제공한다.[7]

4. 역사

초창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응용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거나 파일 렌더링을 하려면, 사용자는 응용 프로그램이나 파일이 위치한 곳에서 실제 파일이나 실행 파일의 표현을 클릭해야 했다. 실행 파일을 해당 파일이나 실행 파일과 관련된 작업을 수행하는 지침을 나타내는 아이콘과 분리하여 파일 구조의 물리적 구성이 아닌 기능이나 작업별로 그룹화하는 개념은 1991년 킹스턴 대학교에서 발표하고 마이크로소프트와 Xerox EuroPARC에 같은 해 학계/기업 기술 공유 협약에 따라 발표된 마이크 로버츠의 연구 논문 "A Task Oriented Front End For The Windows Graphical User Interface"에서 처음 설명되었다. 이 연구의 단순화된 형태는 1991년 System 7에, 4년 후에는 윈도우 95에 통합되었다.

참조

[1] 논문 Windows Confidential: Tracking Shortcuts https://technet.micr[...] Microsoft 2019-04-14
[2] 웹사이트 Distributed Link Tracking on Windows-based domain controllers http://support.micro[...] 2007-02-28
[3] 웹사이트 Dawn of War - Dark Crusade: Error Loading Module http://www.gearhack.[...] 2019-04-14
[4] 논문 Windows Confidential: Why are Shortcuts Files? https://technet.micr[...] Microsoft 2019-04-14
[5] 웹사이트 Application User Model IDs (AppUserModelIDs) https://msdn.microso[...] Microsoft 2019-04-14
[6] 웹사이트 Manually creating junction points in Windows XP http://www.techrepub[...] CBS Interactive 2019-04-14
[7] 웹사이트 Desktop Entry Specification https://specificatio[...] 2023-10-27
[8] 논문 Windows Confidential: Tracking Shortcuts https://technet.micr[...] Microsoft 2019-04-14
[9] 웹사이트 Distributed Link Tracking on Windows-based domain controllers http://support.micro[...] 2007-02-28
[10] 웹사이트 Dawn of War - Dark Crusade: Error Loading Module http://www.gearhack.[...] 2019-04
[11] 논문 Windows Confidential: Why are Shortcuts Files? https://technet.micr[...] Microsoft 2019-04-14
[12] 웹사이트 Application User Model IDs (AppUserModelIDs) https://msdn.microso[...] Microsoft 2019-04-14
[13] 웹사이트 Manually creating junction points in Windows XP http://www.techrepub[...] CBS Interactive 2019-04-14
[14] 뉴스 '[연중기획 : 따뜻한 디지털세상] "북한에도 포털 사이트 있다" :: 네이버 뉴스' https://news.nave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