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실리 네스테렌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실리 네스테렌코는 소비에트 연방 출신의 과학자로, 바우만 모스크바 주립 기술 대학을 졸업하고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사고 이후 방사능 피해 연구에 헌신했다. 그는 벨라루스 과학 아카데미 핵 에너지 연구소 소장과 벨라루스 최고 회의 대의원을 역임했으며, 1989년 창설된 "Belrad"의 소장을 맡아 체르노빌 사고의 위험성을 알리려 했다. 1990년에는 민간 벨라드 방사능 안전 연구소를 설립하여 방사능 피해 방지 활동을 지속했으며, 사고로 인한 사망자 수를 추정하는 보고서를 발표하기도 했다. 2008년 사망할 때까지 체르노빌 사고 관련 연구와 피해자 보호에 기여했다.
바실리 네스테렌코는 소비에트 연방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루한스크주 크라스니 쿠트 마을에서 태어나 바우만 모스크바 주립 기술 대학을 졸업했다. 1972년, 벨로루시 국립 과학 연구원의 회원으로 선출되었으며,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사고를 겪은 후, 결과와 원인 등을 연구했다.[11]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에서 사고 소식이 전해지자, 네스테렌코는 원자력 전문가이자 전직 소방관으로서 즉시 문제 해결에 참여했다.[4] 그는 헬리콥터를 타고 액체 질소를 원자로 노심에 투하하기 위해 방사능 연기 속으로 들어갔다.[4] 네스테렌코는 심각한 방사능 오염 속에서도 살아남았지만, 함께 탑승했던 다른 3명은 방사선 피폭과 오염으로 사망했다.[4]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사고 소식이 퍼지자, 바실리 네스테렌코는 원자력 전문가이자 전직 소방관으로서 즉시 현장에 투입되었다. 그는 헬리콥터를 타고 타오르는 원자로 노심에 액체 질소 용기를 투하하는 임무를 맡았다. 이 과정에서 그는 심각한 방사능 연기에 노출되었지만 생존했다. 그러나 함께 헬리콥터에 탑승했던 다른 4명 중 3명은 방사선 피폭과 오염으로 사망했다.[4][13]
바실리 네스테렌코는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사고 이후 방사능의 위험성을 경고하고 주민들의 건강 피해를 막기 위해 노력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그는 벨라루스 과학 아카데미 핵 에너지 연구소 소장, 벨라루스 최고 회의 대의원을 역임했으며, 사고 이후에는 벨라드 방사능 안전 연구소를 설립하여 방사능 피해 방지 활동을 이어갔다.[7]
[1]
웹사이트
news
http://nasb.gov.by/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Belarus
2013-08-06
2. 생애
1977년부터 1987년까지 벨라루스 과학 아카데미의 핵 에너지 연구소 소장을 역임했다. 1980년부터 1985년까지 벨라루스 최고 회의 대의원이었다. 1986년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사고 이후, 정부 당국에 맞서 주민의 건강 피해 방지에 힘썼다. 사고 실태 조사를 시도하자 압력을 받고 협박을 당했으며, 연구소의 방사선 모니터링 장치가 압수되기도 했다.[6]
1990년부터 안드레이 사하로프, 알레스 아다모비치, 아나톨리 카르포프 등의 도움으로 1989년 창설된 "Belrad"의 소장을 맡게 되었다. 그는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사고 당시 발생한 방사능의 위험을 대중에게 경고하려 했으나, 벨라루스 국가보안위원회의 활동으로 직장을 잃게 되었다.[12] 1990년, 민간 벨라드 방사능 안전 연구소 (벨라드 연구소)를 설립, 종신 소장으로서 방사능 피해 방지를 위한 활동을 계속했다.[7]
일본어 잡지 『기술과 인간』 1996년 2월호에 「체르노빌의 쓴 진실」이라는 글을 기고했다.[8] 1998년, 사고 10년 후를 다룬 스위스 TSI 제작 다큐멘터리 프로그램에 출연했다. 이 프로그램의 일본어판은 같은 해, NHK BS 다큐멘터리 "체르노빌 아물지 않는 상처"라는 제목으로 방영되었다.
2007년, 러시아의 생물학자 알렉세이 야블로코프, 아들로 벨라드 연구소 소원 알렉세이 네스테렌코와 함께, 영어 문헌 및 러시아, 우크라이나, 벨라루스 등 슬라브계 제어의 기록과 문헌을 바탕으로 보고서 『체르노빌 — 대참사가 사람들과 환경에 미친 영향』을 정리하여, 동 사고로 인한 사망자 수는 1986년부터 2004년 사이에 적어도 98만 5000명에 달한다는 추계를 발표했다.[9]
이후 아들의 보살핌을 받던 도중, 2008년 8월 25일, 73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3.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사고
네스테렌코는 체르노빌 사고로 인한 방사능의 위험을 대중에게 경고하려 했으나, 이로 인해 직장을 잃었고 벨라루스 국가보안위원회(KGB)와 갈등을 겪었다.[3]
3. 1. 벨라드 방사능 안전 연구소 (BELRAD) 설립
1990년, 네스테렌코는 "체르노빌 지역 주민과 그들의 식량에 대한 방사능 감시, 방사능 안전 유지 및 방호 조치 개발, 필요 과학 연구 수행을 통한 방사성 핵종에 오염된 지역의 인구 보호, 그리고 그 결과의 개발 및 실질적 적용"을 수행하는 벨라드 방사능 안전 연구소(BELRAD)를 설립했다.[5] 안드레이 사하로프, 알레스 아다모비치와 아나톨리 카르포프 등의 도움으로 1989년 창설되었다.[12] 그는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사고의 실태 조사를 하려고 하자 압력을 받고 협박을 당했으며, 연구소의 방사선 모니터링 장치가 압수되기도 했다고 한다.[6] 종신 소장으로서 방사능 피해 방지를 위한 활동을 계속했다.[7]
4. 체르노빌 사고 관련 저술 및 활동
1986년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사고 이후, 네스테렌코는 정부 당국에 맞서 주민들의 건강 피해를 막기 위해 노력했다. 그는 사고의 실태를 조사하려 했으나 압력과 협박을 받았고, 연구소의 방사선 감시 장비가 압수되기도 했다.[6]
1990년, 네스테렌코는 안드레이 사하로프, 알레스 아다모비치, 아나톨리 카르포프 등의 도움을 받아 민간 연구소인 벨라드 방사능 안전 연구소(BELRAD)를 설립했다.[7] 그는 이 연구소를 통해 체르노빌 지역 주민과 그들의 음식에 대한 방사능 감시, 방사능 안전 유지 및 방호 조치 개발, 방사성 핵종에 오염된 지역 주민 보호, 그리고 그 결과의 개발 및 실질적 적용을 목표로 활동했다.[5][14]
그는 체르노빌 폭발 사고로 인한 방사능의 위험을 대중에게 경고하려 했으나, 벨라루스 국가보안위원회의 활동으로 인해 직장을 잃게 되었다.[3][12]
1996년에는 일본 잡지 『기술과 인간』에 "체르노빌의 쓴 진실"이라는 글을 기고했다.[8] 1998년에는 스위스 TSI 제작 다큐멘터리 프로그램에 출연했으며, 이 프로그램은 NHK BS 다큐멘터리에서 "체르노빌 아물지 않는 상처"라는 제목으로 방영되었다.
2007년, 네스테렌코는 알렉세이 야블로코프, 아들 알렉세이 네스테렌코와 함께 보고서 『체르노빌 — 대참사가 사람들과 환경에 미친 영향』을 발표했다. 이 보고서에서는 1986년부터 2004년 사이에 체르노빌 사고로 인한 사망자 수가 최소 98만 5천 명에 달한다는 추정치를 제시했다.[9]
5. 평가 및 영향
사고 당시 네스테렌코는 정부 당국에 맞서 주민들의 건강을 지키기 위해 노력했다. 하지만 이로 인해 압력과 협박을 받았고, 연구소의 방사선 모니터링 장치가 압수되기도 했다.[6]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안드레이 사하로프, 알레스 아다모비치, 아나톨리 카르포프 등의 도움을 받아 벨라드 연구소를 설립하고, 방사능 피해의 진실을 알리기 위한 활동을 계속했다.[12]
2007년에는 알렉세이 야블로코프, 아들 알렉세이 네스테렌코와 함께 보고서 『체르노빌 — 대참사가 사람들과 환경에 미친 영향』을 발표하여, 체르노빌 사고로 인한 사망자 수가 1986년부터 2004년 사이에 최소 98만 5000명에 달한다는 추계를 발표했다.[9]
참조
[2]
웹사이트
Corresponding Member Vasilii B. NESTERENKO (1934–2008)
http://nasb.gov.by/e[...]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Belarus
[3]
간행물
Crimen Nuclear
https://www.proceso.[...]
2016-04-24
[4]
서적
Le Crime de Tchernobyl, le Goulag nucléaire
Actes Sud
2006-04
[5]
웹사이트
presentation · UK
http://www.belrad-in[...]
The institute of radiating safety "BELRAD"
2015-03-11
[6]
서적
チェルノブイリの祈り―未来の物語
岩波書店
1998-12
[7]
뉴스
Mort d'un dissident
http://www.lalibre.b[...]
ベルギー
2008-08-27
[8]
웹사이트
国立国会図書館サーチ
https://iss.ndl.go.j[...]
[9]
웹사이트
チェルノブイリ被害実態レポート翻訳プロジェクト このプロジェクトについて
http://chernobyl25.b[...]
[10]
웹인용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Belarus :: News Archive :: December 2009
http://nasb.gov.by/e[...]
2021-12-25
[11]
웹인용
Site Map
https://nasb.gov.by/[...]
2021-12-25
[12]
웹인용
Crimen Nuclear
https://www.proceso.[...]
Proceso
2021-12-25
[13]
서적
Le Crime de Tchernobyl, le Goulag nucléaire
2006
[14]
웹인용
presentation · UK
http://www.belrad-in[...]
2021-12-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