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실리오스 베사리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실리오스 베사리온은 비잔티움 제국과 오스만 제국 시대에 흑해 항구 트라브존에서 태어난 인물로, 동방 정교회와 가톨릭 교회의 통합을 위해 노력한 통합론자이자 르네상스 시대의 학자이다. 그는 피렌체 공의회에 참여하여 동서 교회의 통합을 지지했으며, 1439년 가톨릭 추기경에 임명되어 이탈리아에서 르네상스 인문주의를 알리는 데 기여했다. 또한, 망명 그리스 지식인들을 지원하고, 방대한 그리스어 사본을 수집하여 베네치아 산 마르코 도서관에 기증하여 그리스 학문 연구에 기여했다. 베사리온은 1472년 라벤나에서 사망했으며, 그의 사상과 활동은 동서 교회 통합과 르네상스 인문주의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된다.
2. 생애
베사리온은 비잔티움과 오스만 제국 지배기 동안에 폰투스 그리스 문화와 문명의 심장부였던 흑해의 항구인 트라브존에서 태어났다. 그가 태어난 해는 1389년, 1395년 또는 1403년으로 추정된다.
그는 콘스탄티노플에서 교육받았고, 1423년 플라톤의 철학을 설명한 게미스토스 플레톤을 들으러 펠로폰네소스에 가기도 했었다. 삭발승이 되면서, 옛 이집트 은자인 베사리온의 이름을 차용했다. 1436년 콘스탄티노플에 있는 수도원의 수도원장이 되었고, 1437년에 그는 정교회와 가톨릭 교회를 재통합시기 위해 이탈리아에 함께 갔었던 비잔티움 제국 황제 요한네스 8세 팔라이올로고스에 의해 니케아 관구장이 되었다. 두 교회는 1054년 이래로 분열되었지만, 황제는 튀르크로부터 서유럽의 도움을 얻기 위해 교회를 재통합할 가능성을 바라고 있었다. 베사리온은 통합론자들의 가장 저명한 대표로서 피렌체 페라라 공의회에 비잔티움 제국 대표단으로 참가했지만, 본래는 반 통합 세력에 속해있었다. 1439년 7월 6일, 그는 피렌체 공의회에서 교황 에우제니오 4세와 요한네스 8세 팔라이올로고스가 참석한 가운데 그리스 정교 연합의 선언문을 낭독했다.
일부는 통합을 고수하는 베사리온의 정직성에 대해 의문을 제기했다. 이는 실용적인 애국자였던 그가 종교적 통합이 오스만의 위협으로부터의 유일한 희망이자 피난처라고 생각함을 보여준다. 하지만 조셉 길 박사는 베사리온이 쓴 Oratio Dogmatica에서 사용한 공의회에서의 인용에서 논한 로마 교회의 위치 사실성의 문제에 투철함에서 그의 정직성을 옹호했다.
귀국 후 일어난 반대 여론으로 인해 교회 합동은 이루어지지 않았지만, 공의회에서 보여준 동서 화합의 활동과 학식이 인정받아, 1439년 교황청의 추기경이자 가톨릭 교회의 콘스탄티노폴리스 라틴 총대주교(명의상의 직책이며 실제로 콘스탄티노폴리스에 거주하지는 않았음)에 임명되었다. 그리하여 1440년 이탈리아로 이주하여 가톨릭으로 개종하였다.
이탈리아 이주 후 베사리온은 추기경으로서의 임무를 수행하는 한편, 반(反)터키 십자군을 제안하고 망명한 그리스인들을 열심히 지원했다. 또한, 자신의 집에 모인 이탈리아인과 망명 그리스 지식인들 사이에 아카데미를 형성했고, 1453년 콘스탄티노폴리스 함락 이후에는 점차 소실되어 가던 각지의 그리스어 사본들을 조직적으로 수집했다. 추기경단장이라는 직책은 아직 설치되어 있지 않았지만, 베사리온은 1464년과 1471년 추기경 회의를 주재했다. 1468년 베사리온은 수집한 모든 장서를 베네치아 공화국의 산 마르코 성당에 기증하고, 그 관리를 위임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베사리온의 기증과 함께 성립된 산 마르코 도서관은 오늘날에도 그리스어 사본의 세계 최대 컬렉션으로 남아 있다.
1472년 라벤나에서 사망했다.
2. 1. 초기 생애와 교육
바실리오스 베사리온은 폰투스 그리스 문화와 문명의 심장부였던 흑해의 항구 트라브존에서 태어났다. 출생 연도는 1389년, 1395년, 1403년으로 추정된다. 콘스탄티노플에서 교육받았으며, 1423년 펠로폰네소스반도의 미스트라로 가서 게미스토스 플레톤에게 신플라톤주의를 배웠다.[7] 플레톤 밑에서 "교양 과정… 특히 수학…을 포함한 천문학과 지리학 연구"를 하였는데,[8] 이는 "철학을 물리학…우주론과 점성술"과 연결시키는 것이었다.[8] 또한 베사리온은 "신비로운 기질을 가지고 있었고… 신플라톤주의 어휘, 수학, 플라톤주의 신학에 능숙했다"고 알려져 있다.[8]
2. 2. 수도 생활과 니케아 대주교 임명
베사리온은 콘스탄티노플에서 교육받았고, 1423년 게미스토스 플레톤을 들으러 펠로폰네소스반도에 가기도 했다. 수도사가 되면서, 고대 이집트 은자의 이름을 따서 베사리온이라 명명했다. 1436년 콘스탄티노플에 있는 수도원의 수도원장이 되었고, 1437년에 요한네스 8세 팔라이올로고스에 의해 니케아 대주교로 임명되었다.
2. 3. 페라라-피렌체 공의회 참가와 역할
베사리온은 정교회와 가톨릭 교회를 재통합시키기 위해 이탈리아에서 열린 피렌체 페라라 공의회에 비잔티움 제국 황제 요한네스 8세 팔라이올로고스와 함께 비잔티움 제국 대표단으로 참가했다.[10] 두 교회는 1054년 이래로 분열되었지만, 황제는 튀르크로부터 서유럽의 도움을 얻기 위해 교회를 재통합할 가능성을 바라고 있었다.[10] 베사리온은 통합론자들의 가장 저명한 대표로 활동했지만, 본래는 반 통합 세력에 속해있었다.[10]
1438년 페라라-피렌체 공의회에서 정교회와 가톨릭 교회의 합동 찬성파 지도자로 참석했다.[17] 1439년 7월 6일, 그는 교황 에우제니오 4세와 황제 요한네스 8세 팔라이올로고스 앞에서 피렌체 대성당에서 그리스 교회 합의 선언문을 낭독했다.[10]
일부 역사가들은 베사리온의 합일에 대한 진심을 의심했다.[10] 그러나 조셉 길(Gill)은 베사리온의 저서 ''Oratio Dogmatica''를 인용하며, 공의회에서 논의된 문제에 대한 로마의 입장의 진실성에 베사리온이 확신을 가졌다는 점에서 그의 진심을 옹호한다.[10]
이는 실용적인 애국자였던 그가 종교적 통합이 오스만의 위협으로부터의 유일한 희망이자 피난처라고 생각함을 보여준다.[10]
2. 4. 가톨릭 추기경 임명과 이탈리아 생활
베사리온은 1439년 12월 18일 교황 에우제니오 4세에 의해 추기경으로 임명되었다. 이후 이탈리아에 영구적으로 거주하며 르네상스를 널리 퍼뜨리는 데 크게 기여했다. 그는 인문주의 학문 연구를 위한 학술원을 로마의 궁전에 설립하고, 학자들을 후원하며 그리스 학문 연구를 지원했다. 특히 레기오몬타누스를 지원하고 쿠사의 니콜라우스를 옹호했으며, 테오도르 가자, 트레비존드의 조지, 아르기로풀로스, 야누스 라스카리스 등 그리스 망명자들의 후원자로도 알려져 있다.
1455년 교황 선거에서 베사리온은 초반 유력 후보였으나, 프랑스 추기경 알랭 드 쾨티비가 그의 그리스 배경을 이유로 반대하여 무산되었다. 1450년부터 1455년까지 볼로냐에서 특사로 활동했고, 1471년에는 프랑스의 루이 11세를 비롯한 여러 외국 군주들에게 사절로 파견되기도 했다. 또한, 서방 군주들에게 동방의 기독교인들을 돕도록 격려하기 위해 독일로 파견되기도 했다. 이러한 공로로 1463년 비오 2세는 그에게 콘스탄티노폴리스 라틴 총대주교라는 명예직을 수여했다. 1464년과 1471년에는 추기경 회의를 주재했다.
1468년, 베사리온은 자신이 수집한 모든 장서를 베네치아 공화국의 산 마르코 대성당에 기증하고 관리를 위임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베사리온의 기증으로 설립된 산 마르코 도서관은 현재까지도 그리스어 사본의 세계 최대 컬렉션으로 남아 있다.
1472년 11월 18일 라벤나에서 사망했으며, 산티 아포스톨리 성당에 안장되었다.
2. 5. 교황 특사와 외교 활동
베사리온은 5년 동안(1450~1455) 볼로냐에서 교황 특사로 활동했다. 1471년에는 프랑스의 루이 11세를 비롯한 여러 외국 군주들에게 사절로 파견되었다. 또한 서방의 군주들에게 동방의 동료 기독교인들을 돕도록 격려하기 위해 독일로 파견되기도 했다. 이러한 공로로 교황 비오 2세는 1463년 그에게 명예직인 콘스탄티노폴리스 라틴 총대주교 칭호를 수여하였다.
1463년 4월부터 추기경단장 직책은 아직 사용되지 않았지만 – 추기경 베사리온은 1464년 교황 선거와 1471년 교황 선거를 주재했다. 그는 1472년 11월 18일 라벤나에서 사망하여 산티 아포스톨리 성당에 안치되었다.
2. 6. 콘스탄티노폴리스 라틴 총대주교 임명
1463년, 교황 비오 2세는 베사리온에게 콘스탄티노폴리스 라틴 총대주교라는 명예직을 수여했다.[12] 이는 오스만 제국에 대항하기 위해 서방 군주들에게 동방의 기독교인들을 도울 것을 요청한 노력에 대한 보상이었다. 당시 추기경단장이라는 직함은 아직 사용되지 않았지만, 1463년 4월부터 "카르디날리움 프리무스"였던 베사리온은 1464년 교황 선거[13]와 1471년 교황 선거[14]를 주재했다.[18][19]
2. 7. 추기경단 회의 주재
베사리온은 추기경단의 학장이 아니었지만, 1464년[13]과 1471년[14] 추기경단 회의를 주재했다.[18][19]
2. 8. 사망
베사리온은 1472년 11월 18일 라벤나에서 사망했다. 그의 유해는 산티 아포스톨리 성당에 안치되었다.
3. 사상
3. 1. 신플라톤주의
베사리온은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교육을 받은 후, 1423년 펠로폰네소스의 미스트라로 가서 게미스토스 플레톤 밑에서 신플라톤주의를 공부했다.[7] 플레톤 밑에서 "교양 과정… 특히 수학…을 포함한 천문학과 지리학 연구"를 거쳤는데, 이는 "철학을 물리학…우주론과 점성술"과 연결시키는 것이었고, 플레톤의 "수학에는 피타고라스 수비 신비주의, 플라톤의 우주론적 기하학, 그리고 물질 세계를 플라톤의 이데아의 세계와 연결하는 신플라톤주의 산술이 포함될 것이다. 아마도 점성술도 포함되었을 것이다."[8] 우드하우스는 또한 베사리온이 "신비로운 기질을 가지고 있었고… 신플라톤주의 어휘, 수학, 플라톤주의 신학에 능숙했다"고 언급한다.[8]
베사리온의 신플라톤주의는 추기경으로서의 그의 일생 동안 그를 떠나지 않았다. 1452년 그의 여전히 사랑하는 스승의 죽음에 대한 플레톤의 두 아들, 데미트리오스와 안드로니코스에게 보낸 편지에서 신플라톤주의 용어를 사용했다.[9]
4. 저술 및 작품
베사리온은 당대 가장 박식한 학자 중 한 명이었다. 아리스토텔레스(Aristotle)의 『형이상학』과 크세노폰(Xenophon)의 『소크라테스의 회상록』 번역 외에도, 그의 가장 중요한 저술은 플라톤(Plato)에 대한 격렬한 비판을 담은 트레비존드의 게오르기오스(George of Trebizond)를 향한 논문인 『플라톤의 중상자에 대하여』(In Calumniatorem Platonis)이다.[15] 베사리온은 플라톤주의자였지만, 게미스토스 플레톤처럼 철저한 옹호자는 아니었으며, 두 철학을 조화시키려고 노력했다. 그의 저술은 플라톤주의와 종교의 주요 문제들 간의 관계를 밝힘으로써, 신학 분야에서의 추론적 사고의 확장에 크게 기여했다.
그 덕분에 그리스 신화의 중요한 백과사전인 『비블리오테카』(Bibliotheca)가 현재까지 전해져 내려왔다. 그의 서재에는 방대한 그리스어 사본이 소장되어 있었는데, 1468년 베네치아 공화국(Republic of Venice)의 베네치아 상원(Venetian Senate)에 기증되어, 유명한 산 마르코 도서관(St Mark's) 즉 마르키아나 도서관(Biblioteca Marciana)의 핵심이 되었다.[16] 그것은 그리스어 사본 482권과 라틴어 사본 264권으로 구성되었다.[16] 베사리온의 저술 대부분은 자크 폴 미뉴(Jacques Paul Migne)의 『그리스 교부 문헌집』(Patrologia Graeca), 161권에 수록되어 있다.
5. 장서 기증과 산 마르코 도서관
베사리온은 당대 가장 박식한 학자 중 한 명이었다.[15] 그의 서재에는 방대한 그리스어 사본이 소장되어 있었는데, 1468년 베네치아 공화국의 베네치아 상원에 기증되어, 유명한 산 마르코 도서관(St Mark's) 즉 마르키아나 도서관의 핵심이 되었다.[16][17] 기증된 장서는 그리스어 사본 482권과 라틴어 사본 264권으로 구성되었다.[16] 베사리온의 기증과 함께 성립된 산 마르코 도서관은 오늘날에도 그리스어 사본의 세계 최대 컬렉션으로 남아 있다.[17]
6. 평가
베사리온은 당대 가장 박식한 학자 중 한 명으로 평가받으며, 르네상스 시기 그리스 학문의 부흥과 동서양 문화 교류에 크게 기여했다.[17] 특히, 1468년 베네치아 공화국의 산 마르코 성당에 수집한 모든 장서를 기증하고 관리를 위임하는 계약을 체결했는데, 이는 르네상스 지성사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17] 베사리온의 기증과 함께 성립된 산 마르코 도서관은 오늘날에도 그리스어 사본의 세계 최대 컬렉션으로 남아 있다.[17] 그의 사상과 활동은 동서 교회 통합과 르네상스 인문주의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된다. 1464년과 1471년 추기경 회의를 주재하기도 했다.[18][19]
참조
[1]
웹사이트
Bessarion {{!}} Byzantine theologian
https://www.britanni[...]
2021-07-20
[2]
서적
George Gemistos Plethon, the Last of the Hellenes
Clarendon Press
[3]
간행물
Letter from George Amiroutzes to Bessarion
Patrologia Graeca
[4]
웹사이트
Byzantine Philosophy
https://plato.stanfo[...]
[5]
서적
Subverting Aristotle: Religion, History, and Philosophy in Early Modern Scienc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6]
웹사이트
Basil [Cardinal] Bessarion
https://plato.stanfo[...]
[7]
서적
Humanism and Platonism in the Italian Renaissance
Ed. di Storia e Letteratura
[8]
서적
George Gemistos Plethon, the Last of the Hellenes
Clarendon Press
[9]
서적
George Gemistos Plethon
[10]
서적
Miscellanea marciana di studi bessarionei
https://books.google[...]
[11]
간행물
The Sincerity of Bessarion the Unionist
Journal of Theological Studies
[12]
웹사이트
Johannes Bessarion
http://www.newadvent[...]
[13]
웹사이트
Sede Vacante of 1464
http://www.csun.edu/[...]
2016-04-06
[14]
웹사이트
Sede Vacante 1471
http://www.csun.edu/[...]
2016-04-06
[15]
서적
Bessarionis in calumniatorem Platonis libri IV
Ferdinand Schöningh
[16]
웹사이트
Emblem of Cardinal Bessarion
https://web.archive.[...]
2016-03-04
[17]
서적
ビザンツ帝国の滅亡とギリシア文化のゆくえ
南窓社
[18]
웹사이트
Sede Vacante of 1464
http://www.csun.edu/[...]
2016-04-06
[19]
웹사이트
Sede Vacante 1471
http://www.csun.edu/[...]
2016-04-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