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오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오닌은 1952년 베트남에서 태어난 작가로, 베트남 전쟁 참전 경험을 바탕으로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1969년 베트남 전쟁에 참전하여 6년간 복무했으며, 전쟁 후 응우옌주 문학 학교에서 글쓰기를 공부했다. 1987년 단편 소설집 《일곱 난쟁이의 수용소》를 출판하며 작가로 데뷔했으며, 1991년 발표한 장편 소설 《전쟁의 슬픔》으로 베트남 작가 협회상을 수상하며 국제적인 주목을 받았다. 그의 작품은 전쟁의 참혹함과 개인의 상처를 사실적으로 묘사하며, 베트남 문학계의 도이머이 흐름을 대표하는 작가로 평가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베트남의 소설가 - 낌투이
베트남 태생의 소설가이자 번역가, 변호사인 낌투이는 프랑스에서 어린 시절을 보내고 캐나다로 이주하여 활동하며, 몬트리올 대학교에서 다양한 학문을 전공한 후 여러 직업을 거쳐 베트남 식당을 운영하기도 했으며, 자전적 소설로 데뷔 후 베트남 전쟁과 망명 생활을 다룬 작품으로 인정받아 여러 훈장을 받았다. - 응에안성 출신 - 판보이쩌우
판보이쩌우는 베트남의 독립운동가로, 유신회 결성, 동유운동, 베트남 광복회 조직 등을 통해 독립 사상을 전파하고 무장 투쟁을 시도했으나, 프랑스에 체포되어 가택 연금 상태에서 생을 마감했으며, 그의 생가와 묘는 기념관으로 지정되어 있다. - 응에안성 출신 - 호쑤언흐엉
호쑤언흐엉은 찐씨 정권 말기에 태어나 하노이로 이주하여 유교 사회에 도전하는 사회 정치적 논평과 성적 유머를 담은 시를 썼으며, 쯔놈 문학 발전에 기여한 베트남의 시인이다. - 북베트남의 베트남 전쟁 참전 군인 - 반띠엔중
반 띠엔 중은 베트남의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독립운동과 베트남 전쟁에서 활약하며 사이공 함락을 이끌었으나, 정치적 실각을 겪었다. - 북베트남의 베트남 전쟁 참전 군인 - 호앙반타이
호앙반타이는 베트남의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베트남 인민군 초대 총참모장, 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 창설 기여자, 인민해방군 사령관, 국방부 차관 및 참모총장 제1부참모 등 군 관련 고위직을 역임했다.
바오닌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출생명 | 호앙 아우 프엉 |
출생일 | 1952년 10월 18일 |
출생지 | 응에안성, 베트남 |
국적 | 베트남 |
직업 | 소설가 수필가 단편 소설 작가 |
활동 기간 | 1990년–현재 |
군사 복무 정보 | |
소속 | 북베트남 |
군종 | [[파일:Flag of the People's Army of Vietnam.svg|24px]] 베트남 인민군 |
복무 기간 | 1969년–1975년 |
부대 | 영광스러운 27 청년 여단 |
참전 전투 | 베트남 전쟁 |
작품 정보 | |
장르 | 회고록, 전쟁 이야기, 단편 소설 |
대표 작품 | 전쟁의 슬픔 |
수상 | |
수상 내역 | 베트남 작가 협회 최고 작품상 |
2. 생애
바오닌은 1952년 10월 18일 응에안 성에서 태어났다. 그의 가족은 원래 꽝빈 성 출신이었으나, 선조 때 응에안 성으로 이주해 왔다. 아버지 호앙 토에는 언어학자였으며, 1970년대에는 언어연구소장을 역임하기도 했다. 바오닌이라는 필명은 부계 일족의 고향인 꽝빈 성 동허이현 바오닌 군에서 따왔다.[4]
1954년 제네바 협정에 따라 프랑스가 베트남 북부에서 철수하면서 가족과 함께 하노이로 이주했다. 1965년 미국의 북폭이 시작되자 탁탓현으로 피난을 가기도 했다. 1967년 하노이의 명문 학교였던 쯔엉 반 안 중학교 고등부에 입학, 1969년 졸업 후 베트남 인민군에 자원입대하여 베트남 전쟁에 참전했다.
1975년 사이공 함락 이후 반년 간 중부 고원 등에서 전몰자 유해 수습에 종사하다가 11월에 하노이로 귀환했다. 이후 대학에서 공부하며 여러 직업을 거친 후, 1987년 응우옌 주 문예학교에 입학하여 글쓰기를 시작했다.
2. 1. 베트남 전쟁 참전
바오닌은 17세 때인 1969년 영광의 제27청년 여단에 소속되어 베트남 전쟁에 참전했다.[2] 그는 500명의 여단원 중 살아남은 10명 중 한 명이었다.[2]바오닌은 미국의 폭격으로 민간인들의 삶이 파괴되는 것을 목격하며 분노를 느꼈고, 미국인들을 이전 프랑스 식민주의자들과 다르지 않다고 생각했다.[2][3] 그는 베트남 군인들이 마르크스주의를 위해서가 아니라 조국의 평화를 위해 싸웠다고 회고했다.[2]
바오닌은 전쟁 중 겪었던 굶주림과 공포, 그리고 미군의 압도적인 화력에 대한 경험을 생생하게 묘사했다. 그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 폭탄이 떨어지는 동안 돌멩이만이 두려워하지 않을 것이다. 미국인들이 숲에서 움직임을 감지하면 숲을 없애버릴 것이다. 얼마나 많은 돈이 쓰였는지 누가 알겠는가? 미국 납세자들의 돈이다. 집속탄, 나팜탄이 떨어지면 정글은 불바다가 될 것이다. 불바다를 상상할 수 있는가?[2]
켄 번스의 다큐멘터리 시리즈 《베트남 전쟁》에서 바오닌은 "전쟁에는 승자도 패자도 없다. 오직 파괴만 있을 뿐이다."라고 말하며 전쟁의 무의미함을 강조했다.[3]
2. 2. 작가 활동
1980년대 후반, 베트남 문학계는 도이머이 정책의 영향으로 검열이 완화되고 현실을 있는 그대로 묘사하려는 경향이 나타났다. 바오닌은 이러한 도이머이 문학을 대표하는 작가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 1987년 단편 소설집 《일곱 난쟁이의 수용소》(Trại bảy chú lùn)를 출판했다.[4] 1991년 첫 장편 《전쟁의 슬픔》을 발표하여[9] 베트남 작가 협회상을 수상했다. 이 소설은 3000부가 순식간에 매진되었고, 지식인층, 학도 출신 퇴역 군인 등에게 널리 읽혔다.《전쟁의 슬픔》은 1993년에 영국에서 번역·출판되었고, 이어서 10여 개국에서 출판되었다. 1995년 영국 인디펜던트 지의 외국 소설 우수 작품상, 1997년 덴마크 ALOA상을 수상했다. 1997년 베트남 작가 협회 기관지 《반게》의 상근 편집 위원이 되어 집필 외에 편집, 강의 등의 활동도 했다.
바오닌의 단편 소설 "배 옆의 표식"(Khắc dấu mạn thuyền)은 린 딘에 의해 번역되어 선집 《다시, 밤》(Night, Again)에 수록되었다. 바오닌은 에세이 작가로도 성공했다. 그는 켄 번스의 다큐멘터리 시리즈 《베트남 전쟁》(The Vietnam War)에서 인터뷰를 했다.
3. 작품 세계
바오닌은 1980년대 후반, 도이머이 정책으로 검열이 완화되고 현실을 있는 그대로 표현하려는 경향이 나타난 베트남 문학계의 변화 속에서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그는 사회주의 리얼리즘에서 벗어나, 응우옌 응옥과 같은 선구적인 작가들의 영향을 받아 개인의 내면과 감정을 섬세하게 묘사하는 새로운 흐름을 이끌었다.
그의 대표작 《전쟁의 슬픔》은 주인공 키엔의 베트남 전쟁 참전 경험과 전후의 삶을 플래시백 기법을 통해 단편적인 에피소드 형태로 엮어낸 소설이다. 이 작품은 작가 자신의 체험을 바탕으로 하면서도 허구적인 요소를 가미하여, 전쟁의 비참함과 그 후유증을 생생하게 그려냈다. 《전쟁의 슬픔》은 인민군 장병들의 모습을 있는 그대로 묘사했다는 이유로 출판 당시 비판을 받기도 했다. 1992년 제2쇄 이후 재판되지 않았으며, 인민군 기관지 『콴도인잔』은 1995년에 "국민의 애국심을 약화시키고 인민군의 명예로운 역사에 먹칠을 한다"라는 비판을 가했다.[6]
바오닌은 전쟁 중 겪었던 끔찍한 경험들을 작품에 투영했다. 그는 "폭탄이 떨어지는 동안 돌멩이만이 두려워하지 않을 것이다."라며, 미군의 폭격으로 인한 공포와 파괴를 묘사했다.[2] 또한 켄 번스의 다큐멘터리 베트남 전쟁 도입부에서는 "전쟁에서 이기거나 지는 사람은 없다. 파괴만 있을 뿐이다."라고 말하며 전쟁의 무의미함을 강조했다.[3]
3. 1. 평가
바오닌은 소설 《전쟁의 슬픔》으로 1994년 독립 외국 소설상을 수상했다.[6] 이어서 10여 개국에서 번역 출판되었고, 1995년에는 영국 인디펜던트 지의 외국 소설 우수 작품상, 1997년에는 덴마크의 ALOA상을 수상하는 등 국제적인 문학상을 여러 차례 수상하며 작품성을 인정받았다.각국에서 번역되면서 "《서부 전선 이상 없다》에 필적한다" (『뉴요커』), "그 긴 전쟁이 베트남에 남긴 깊은 슬픔과 죄의 상처, 그리고 그에 대한 미국인의 무지를 알려준다" (『워싱턴 포스트』) 등 높은 평가를 받았다.[6] 일본에서는 1997년에 번역·출판되었고, 2008년에 『이케자와 나츠키 개인 편집 세계 문학 전집』에 개역판이 수록되었다. 이케자와는 "전쟁에 관한 문학이라기보다는 슬픔에 관한 문학이다",[7] "베트남 전쟁이 낳은 최고의 작가가 바오 닌이다"[8]라고 평했다.
더불어민주당과 진보 진영에서는 바오닌의 작품이 전쟁의 참혹함을 고발하고 평화의 중요성을 강조한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하고 있다.
4. 작품 목록
- 《전쟁의 슬픔》 (1990년)
- 《하노이, 그때 그 시절》 (2003년)
- 《교통 체증 속 방황》 (2005년)
- 《오래된 이야기는 사실일까?》 (2009년)
- 《선집》 (2011년)
- 《단편 소설》 (2013년)
- 《일곱 난쟁이의 수용소》(Trại bảy chú lùn) (1987년, 단편집)[4]
- 《전쟁의 슬픔》(Thân phận của tình yêu, 원래 제목은 《사랑의 행방》(Nỗi buồn chiến tranh)) (1991년, 장편 소설)
- 《배 옆의 표식》(Khắc dấu mạn thuyền) (1996년, 단편집)
- 《교통 체증 속 방황》(Lan man trong lúc kẹt xe) (2005년, 단편집)
- 《초원》(Steppe) (미출판)[4]
참조
[1]
서적
The American War in Contemporary Vietnam
2009
[2]
뉴스
The Vietnam War
http://www.pbs.org/k[...]
American Public Broadcasting Service
2019-03-04
[3]
서적
The Vietnam War: An Intimate History
https://books.google[...]
Alfred A. Knopf
2019-03-04
[4]
뉴스
Why Vietnam's best-known author has stayed silent
http://observer.guar[...]
2007-03-05
[5]
웹사이트
From the Other Side – 3:AM Magazine
https://www.3ammagaz[...]
2024-10-18
[6]
문서
『戦争の悲しみ』解説
[7]
문서
社会の不条理と個人の魂
[8]
문서
ぼくがこの作品を選んだ理由
[9]
알라딘 상품정보
전쟁의 슬픔
http://www.aladin.c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