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노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박노민은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로, 한화 이글스에서 선수 생활을 했다. 2004년 한화 이글스에 입단하여 2016년 김태완과 함께 웨이버 공시로 방출되었다. 선수 시절 통산 4시즌 동안 80경기에 출전하여 타율 0.201, 6홈런, 16타점을 기록했다. 선수 은퇴 후에는 경찰 야구단 배터리코치와 청주고등학교 코치를 역임하며 지도자 생활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공주중동초등학교 동문 - 나웅배
나웅배는 롯데제과, 해태제과, 한국타이어 사장 등을 지낸 기업인 출신으로, 제11대부터 14대 국회의원과 경제기획원 장관, 통일원 장관, 재정경제원 장관 등을 역임한 경제학자이자 정치인이다. - 공주중동초등학교 동문 - 박찬호
박찬호는 한국인 최초로 메이저 리그에 진출하여 아시아 출신 투수 최다승 기록을 세운 전직 야구 선수로, 메이저 리그와 KBO 리그에서 활약했으며 국가대표로도 금메달을 획득했다. - 순천 박씨 - 박준규 (1925년)
박준규는 대한민국의 정치인으로, 9선 국회의원과 3선 국회의장을 역임했으며 여러 정당에서 활동했고, 1993년 재산 공개 파동으로 의원직을 사퇴한 후 2000년 정계 은퇴, 2014년 별세했다. - 순천 박씨 - 박인환 (시인)
박인환은 1946년 등단 후 모더니즘 시의 기수로 활동하며 '후반기' 동인으로 도시적 비애, 전쟁의 상흔, 젊은 세대의 고뇌를 표현한 시들을 남겼고 젊은 나이에 요절했으나 한국 모더니즘 시에 큰 영향을 미친 시인이다. - 대전대학교 동문 - 한창민 (1973년)
한창민은 대전대학교와 공주대학교 대학원을 졸업하고 더불어민주당 비례대표로 제22대 국회의원에 당선되었으나 제명 후 사회민주당으로 복귀하여 현재 정무위원회 위원으로 활동 중이며, 과거 정의당 소속으로 대전광역시장 선거와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 출마한 바 있다. - 대전대학교 동문 - 장종태
장종태는 더불어민주당 소속 제22대 국회의원으로, 대전 서구청장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위원을 역임하고 더불어민주당 중앙당 부대변인 및 정책위원회 부의장직을 맡고 있다.
박노민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선수 정보 | |
선수명 | 박노민 |
원어명 | Park No-Min |
영어 표기 | Park No-Min |
출생지 | 충청남도 공주시 |
생년월일 | 1985년 8월 18일 |
신장 | 182 |
체중 | 95 |
利き腕 (기き腕) # 번역이 어려워 일본어 음차 표기 후, 괄호 안에 원문 표기 | 오른쪽 |
타석 | 오른쪽 |
수비 위치 | 포수 |
프로 입단 연도 | 2004년 |
드래프트 순위 | 2차 드래프트 3라운드 |
첫 출장 | 2004년 9월 24일 |
마지막 출장 | 2016년 9월 10일 |
경력 | |
선수 경력 | 한화 이글스 (2004년 ~ 2016년) 상무 야구단 (2005년 ~ 2007년) |
코치 경력 | 경찰 야구단 배터리 코치 (2017년 ~ 2019년) 청주고등학교 야구부 코치 (2019년 ~ 현재) |
소속팀 정보 | |
기타 정보 | |
고등학교 | 공주高等学校 (공주 고등학교) |
2. 선수 시절
2004년 신인 드래프트에서 한화 이글스의 2차 3순위(전체 18위) 지명을 받아 입단했다.[13][2] 같은 해 1군 경기에 데뷔했으나 주로 2군에서 활동했고, 2005년 시즌 후 상무 야구단에 입대하여 병역 의무를 이행했다.[2][4] 2007년 말 제대 후 팀에 복귀하여 활동을 이어갔다.[5] 2009년 4월 21일 히어로즈와의 경기에서 프로 데뷔 첫 홈런을 기록했으며,[18] 2012년에는 팔꿈치 부상으로 수술을 받았다.[7] 2016년 시즌 종료 후 웨이버 공시되어 한화 이글스를 떠났다.[11]
2. 1. 한화 이글스
2004년 신인 드래프트에서 한화 이글스에 2차 3순위(전체 18위)로 지명받아 입단했다.[13][2] 같은 해 9월 1군 경기에 처음 출전하여 4경기 9타수 1안타를 기록했다.[2] 2005년에는 주로 2군에서 활동했으며, 시즌 종료 후 병역 의무를 위해 상무 야구단에 입대했다.[2][4]2년 후인 2007년 말에 제대하여 팀에 복귀했다.[5] 2009년에는 하와이 캠프에 참가했으며,[6] 개막 1군 엔트리에 포함되었다. 4월 21일 목동 야구장에서 열린 넥센 히어로즈와의 경기에서 프로 데뷔 첫 홈런을 기록했다. 2012년에는 팔꿈치 수술을 받았다.[7]
2015년 2월 17일 오키나와현에서 열린 SK 와이번스와의 연습 경기에서는 우익수로 출전하기도 했다.[8] 해당 시즌 6월 23일에 1군에 등록되었으나,[9] 7월 4일 다시 말소되었다.[10] 2016년 시즌 후 김태완과 함께 웨이버 공시되어 팀을 떠났다.[11]
2. 1. 1. 2005년
주로 2군에서 활동했다. 2005년 2군 남부 리그에서 홈런과 타점 2관왕을 차지했으며,[3] 5월에는 남부 리그 월간 MVP[3] 및 선수협 선정 '5월의 선수'[14]로 뽑혔다. 시즌 종료 후 병역 의무를 위해 상무 야구단에 입대하였다.[15][2][4]2. 2. 상무 피닉스
2005년 시즌 종료 후 병역 의무를 이행하기 위해 국군체육부대 야구단에 입대했다.[2][4] 2년간의 군 복무를 마치고 2007년 말에 제대하여 원 소속팀인 한화 이글스로 복귀했다.[5]2. 3. 한화 이글스 복귀
2007년 말 국군체육부대에서 제대한 후 팀에 복귀했다.[5] 2012년에는 팔꿈치 수술을 받았다.[7] 2015년 2월 17일 오키나와현에서 열린 SK 와이번스와의 연습 경기에서는 우익수로 출전하기도 했다.[8] 해당 시즌 6월 23일에 1군에 등록되었으나,[9] 7월 4일에 다시 말소되었다.[10]2. 3. 1. 2007년
2005년 국군체육부대에서 병역 의무를 시작한 후, 2년 뒤인 2007년 말에 제대하여 팀에 복귀했다.[16][5]2. 3. 2. 2009년
2009년 하와이 전지훈련 캠프에 신경현, 이도형, 이희근과 함께 포수진으로 참가했으며,[6][17] 개막 1군 엔트리에 포함되었다. 4월 21일 목동 야구장에서 열린 히어로즈와의 경기에서 데뷔 첫 홈런을 기록했다.[18] 4월 23일 히어로즈와의 경기에서도 시즌 2호 홈런을 기록했다.2. 3. 3. 2016년
2016년 9월 20일, 김태완과 함께 웨이버 공시되었다.[11]3. 야구선수 은퇴 후
4. 상세 정보
(내용 없음)
4. 1. 연도별 성적
실패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