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당강 전투 (938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박당강 전투는 938년 응오꾸옌이 지휘하는 베트남 군대가 남한의 침략군을 격퇴한 전투이다. 즈엉딘응에의 부하 키에우콩티엔이 살해된 후, 응오꾸옌은 키에우콩티엔을 처단하기 위해 군대를 일으켰고, 키에우콩티엔은 남한에 구원을 요청하여 유엄이 유홍조를 보내 베트남을 침공했다. 응오꾸옌은 박당강에 쇠 말뚝을 박아 함정을 설치하고, 썰물 때를 이용하여 남한군을 격파했다. 이 전투의 승리로 베트남은 중국의 지배에서 벗어나 독립의 기반을 마련했으며, 939년 응오꾸옌은 왕을 칭하고 고 로아를 수도로 정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박당강 전투 (938년) - [전쟁]에 관한 문서 | |
---|---|
전투 개요 | |
전투명 | 박당강 전투 (938년) |
다른 이름 | (베트남어) (일본어) |
위치 | 박당강, 베트남 |
시기 | 938년 가을 |
결과 | 정해군의 승리 |
교전 세력 | |
교전국 1 | 정해군 |
교전국 2 | 남한 |
지휘관 및 지도자 | |
정해군 지휘관 | 응오꾸옌 |
남한 지휘관 | 유엄 |
남한 부지휘관 | 유홍조 |
병력 규모 | |
정해군 병력 | 5,000–10,000명 |
남한 병력 | 20,000명 |
사상자 규모 | |
정해군 사상자 | 알 수 없음 |
남한 사상자 | 10,000명 |
이미지 | |
![]() | |
![]() |
2. 배경
930년 10월, 오대십국 시대 중국 남부의 남한은 당시 쿡씨 가문이 통치하던 베트남의 자치 지역인 띤하이 군(정해군)을 공격했다. 쿡씨 가문의 지도자 쿡트어미는 남한 황제 유엄에게 포로로 잡혔다. 931년, 지방의 유력자였던 즈엉딘응에는 군대를 이끌고 남한군을 띤하이 군 경계 밖으로 몰아냈다.
938년, 남한의 황제 유엄(劉龑)은 유홍조(劉弘操)에게 수군을 이끌고 침공을 명했다. 황제 자신도 해문[6]까지 진출하여 후방을 지원했다. 이에 맞서 응오꾸옌(吳權)은 먼저 남한에 협력하던 끼에우꽁띠엔(矯公羨)을 대라성[7]에서 처단하고 방어 준비에 나섰다.
937년, 즈엉딘응에는 부하였던 끼에우꽁띠엔에게 암살당했다. 즈엉딘응에의 사위이자 휘하 장수였던 응오꾸옌은 끼에우꽁띠엔을 토벌하기 위해 군대를 동원했다. 궁지에 몰린 끼에우꽁띠엔은 남한 황제 유엄에게 구원을 요청했다. 유엄은 이를 베트남을 다시 장악할 기회로 보고, 아들 유홍조를 원정 함대의 지휘관으로 임명하여 통킹만을 거쳐 박당강으로 진격하도록 했다. 유엄 자신도 아들의 함대를 지원하기 위해 직접 군대를 이끌고 하이먼으로 향했다.
938년, 남한의 유홍조가 이끄는 수군이 침입해오자, 응오꾸옌은 먼저 내부의 위협을 제거하기 위해 다이라 성으로 진군하여 끼에우꽁띠엔을 사로잡아 처형하고, 남한 침략군을 맞이할 준비를 하였다.
3. 전투 과정
전투는 박당강 하구에서 벌어졌다. 응오꾸옌은 조수간만의 차가 큰 박당강의 지형적 특징을 이용하여 강바닥에 쇠로 덮인 말뚝을 박아두는 치밀한 전략을 세웠다. 만조 때 남한 함대를 강 안쪽으로 유인한 뒤, 썰물이 시작되자 총공격을 감행했다. 후퇴하던 남한 함대는 썰물로 드러난 말뚝에 막혀 큰 피해를 입었으며, 응오꾸옌 군대의 백병전에 휘말려 대패했다. 이 전투에서 남한군은 절반 이상의 병력을 잃고 총사령관 유홍조마저 전사했으며, 남한 황제 유엄은 광저우로 철수했다.
3. 1. 응오꾸옌의 전략
938년 남한의 침공 소식을 들은 응오꾸옌은 먼저 대라성(현재의 하노이)으로 진군하여 남한에 협력하던 끼에우꽁띠엔을 처단하고 침략군에 대비했다.[7] 그는 박당강의 지리적 이점을 활용한 전략을 세웠다.
박당강은 양쪽 강둑, 특히 좌안에 숲이 우거져 '숲의 강'이라 불렸으며, 해발고도가 낮고 경사가 완만하여 조수간만의 차가 큰 곳이었다. 응오꾸옌은 이러한 특징을 이용하기로 했다.
그는 병사와 백성을 동원하여 숲에서 수천 개의 큰 나무를 베어내고, 그 끝을 날카롭게 깎아 쇠를 씌운 말뚝을 만들었다. 이 말뚝들을 강 하구 근처의 물길 중요 지점에 박아 만조 때는 물에 잠겨 보이지 않게 하고, 강 양쪽에는 군대를 매복시켰다.
938년 가을, 유홍조가 이끄는 남한 수군이 박당강 하구를 통해 침입해 왔다. 응오꾸옌은 만조 시간을 이용하여 일부러 작은 배들을 보내 남한 함대를 강 상류 쪽으로 유인했다. 남한 함대는 각 함선에 50명(선원 20명, 전사 25명, 궁병 2명)을 태운 빠른 군함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나, 응오꾸옌의 계략에 빠져 함정이 설치된 곳까지 깊숙이 들어왔다. 썰물이 시작되는 것을 신호로 삼아 응오꾸옌은 매복시킨 군대와 함께 총반격을 명령했다.
갑작스러운 공격과 빠지는 물살에 당황한 남한군은 서둘러 바다 쪽으로 후퇴하려 했으나, 썰물로 인해 수면 위로 드러난 날카로운 말뚝들에 가로막혀 배들이 좌초되거나 파괴되었다. 남한 함대는 큰 혼란에 빠졌다. 이때 응오꾸옌의 군대는 기동성이 좋은 작은 배들을 이용해 신속하게 접근하여 백병전을 벌였다.
결국 남한군은 배를 버리고 달아날 수밖에 없었으며, 이 전투에서 전체 병력의 절반 이상과 총사령관 유홍조를 잃는 참패를 당했다. 패배 소식을 들은 남한 황제 유엄은 해문[6]에 있던 본대와 함께 광저우로 철수했다.
3. 2. 전투 경과
938년, 남한의 황제 유엄(劉龑)은 유홍조(劉弘操)가 지휘하는 수군을 보내 대월을 침공하게 했다. 유엄 자신도 군대를 해문(海門)[6]으로 이끌고 가 유홍조를 지원했다. 이에 응오꾸옌(吳權)은 수도 대라성(大羅城)[7]으로 진군하여 남한에 붙었던 끼에우꽁띠엔(矯公羨)을 처단하고 침략군에 맞설 준비를 마쳤다.
박당강(白藤江)은 양쪽 강 언덕, 특히 왼쪽 언덕에 숲이 우거져 속칭 '숲의 강'으로 불렸다. 이곳은 해발고도가 낮고 경사가 완만하여 조수간만의 영향을 크게 받는 지형적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응오꾸옌은 이러한 지형을 활용하기로 하고, 병사와 백성을 동원해 숲에서 수천 개의 큰 나무를 베어 끝을 뾰족하게 깎고 쇠를 씌운 말뚝을 만들었다. 이 말뚝들을 박당강 하구 근처의 물길 중요 지점에 박아두고, 만조 때는 물에 잠기도록 했으며, 강 양쪽에는 군대를 매복시켰다.
938년 가을, 유홍조가 이끄는 남한 수군이 박당강 하구를 통해 침입해 왔다. 남한 함대는 각 함선에 50명(선원 20명, 전사 25명, 궁병 2명)을 태운 빠른 군함으로 구성되었다. 응오꾸옌은 만조가 되자 일부러 소형 선박들을 내보내 남한 함대를 강 상류 쪽으로 유인했다. 남한 함대가 깊숙이 들어온 후 썰물이 시작되자, 응오꾸옌은 이를 신호로 삼아 매복시킨 군사들과 함께 총공격을 개시했다.
갑작스러운 공격과 함께 썰물로 강물이 빠지면서 남한군은 당황하여 바다 쪽으로 후퇴하려 했다. 하지만 물이 빠지면서 수면 위로 드러난 날카로운 말뚝들이 이들의 퇴로를 막았다. 남한 함대는 말뚝에 걸려 움직일 수 없게 되거나 부서지며 극심한 혼란에 빠졌다. 이때 응오꾸옌의 군대는 기동성이 좋은 소형 선박들을 이용해 빠르게 접근하여 백병전을 벌였다.
결국 남한군은 배를 버리고 달아나기 시작했으나, 이 전투에서 절반 이상의 병력을 잃었으며 총지휘관 유홍조마저 전사했다. 유홍조의 패배 소식이 해문에 있던 황제 유엄에게 전해지자, 그는 남은 군대를 이끌고 광저우로 황급히 후퇴했다.
4. 전투의 결과
939년 봄, 응오 꾸옌은 스스로 왕을 칭하고 고 로아를 수도로 정했다. 이 전투는 찐하이 순 Tĩnh Hải quânvie 지역이 사실상 독립을 달성하면서 베트남 역사가 시작된 중요한 시점으로 평가받는다.
5. 역사적 의의 및 영향
938년의 박당강 전투는 베트남 역사에서 매우 중요한 전환점으로 평가받는다. 이 전투의 승리는 오랜 중국의 지배에서 벗어나 베트남이 실질적인 독립 국가로 나아가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또한, 응오 꾸옌이 사용한 독창적인 전술은 후대의 베트남 군사 전략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5. 1. 베트남 독립의 시작
939년 봄, 응오 꾸옌은 스스로 왕을 칭하고 고 로아를 수도로 정했다. 이 사건은 베트남이 중국의 지배에서 벗어나 실질적인 독립을 이루고 베트남 역사가 시작된 시점으로 평가받는다.5. 2. 군사 전술적 유산
1288년, 총사령관 쩐 국 뚜언은 응오 꾸엔에게 영감을 받아 백당 전투 (1288년)에서 원나라를 상대로 같은 전술을 사용했다. 이 교전은 대월의 결정적인 승리였으며 몽골의 베트남 침공의 마지막 주요 교전 중 하나였다. 두 전투 모두 베트남 역사상 가장 위대한 승리 중 하나로 널리 여겨진다.참조
[1]
웹사이트
Người kết thúc hơn một nghìn năm Bắc thuộc
https://www.baodanan[...]
2020-06-23
[2]
서적
Bằng chứng cuộc sống: Suy ngẫm về phát triển bền vững Việt Nam
https://books.google[...]
Nhà xuất bản Chính trị Quốc gia Sự Thật
2015-11-26
[3]
서적
戦争の世界史 大図鑑
株式会社河出書房新社
2008-07-30
[4]
웹인용
Người kết thúc hơn một nghìn năm Bắc thuộc
https://www.baodanan[...]
2020-06-23
[5]
웹인용
Bằng chứng cuộc sống: Suy ngẫm về phát triển bền vững Việt Nam
https://books.google[...]
Nhà xuất bản Chính trị Quốc gia Sự Thật
[6]
문서
광시성
[7]
문서
대라성(大羅城)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