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용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박용익은 일제강점기에 경상북도 봉화군 및 예천군 군수를 지냈으며, 해방 이후 대한임업개발주식회사 사장 등을 역임했다. 자유당 원내총무와 국회 예산결산위원장을 지냈으며,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당선되어 국회의원이 되었고, 제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재선에 성공했다. 3.15 부정선거에 연루되었다는 의혹을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강릉 박씨 - 박영록 (1922년)
박영록은 일제강점기 강원도 고성군 출신으로 강원일보 기자, 제11대 강원도지사를 역임하고 민주당 대변인 등을 지냈으며, 손기정 선수의 국적 변경에 기여했고 2019년 사망했다. - 강릉 박씨 - 박종아
박종아는 대한민국 여자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의 핵심 선수로, 평창 동계올림픽 남북 단일팀 참가 및 IIHF 세계 선수권 최우수 선수상 수상 등 대한민국 여자 아이스하키의 간판 스타로 활약하고 있다. - 3·15 부정선거 - 최인규 (1919년)
최인규는 연희전문학교와 뉴욕대학교를 졸업 후 대한교역공사와 한국무역진흥주식회사에서 근무하다 자유당 소속으로 정계에 입문하여 제4대 국회의원, 교통부 장관, 내무부 장관을 역임했으나, 3·15 부정선거의 총책임자로 지목되어 4·19 혁명 이후 구속, 5·16 군사정변 이후 사형을 선고받고 처형된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 3·15 부정선거 - 3·15 마산 의거
1960년 3월 15일, 이승만과 자유당 정권의 부정선거에 맞서 마산 시민들이 일으킨 민주주의 운동인 3·15 마산 의거는 수많은 희생자를 낳았고 4·19 혁명의 도화선이 되었으며, 희생자들을 기리기 위해 3·15 국립묘지가 조성되고 매년 3월 15일은 국가기념일로 지정되었다. - 혁명재판 기결수 - 송지영
송지영은 남경중앙대학 출신으로 조선일보 논설위원을 거쳐 한국번역가협회 회장, 국제펜클럽 한국본부 고문 등을 역임하며 언론 및 문화계에서 활동했고, 한국문화예술진흥원 원장, 국토통일원 고문, 국가보위입법회의 입법의원, 제11대 국회의원, 한국방송공사 이사장 등을 지냈다. - 혁명재판 기결수 - 최인규 (1919년)
최인규는 연희전문학교와 뉴욕대학교를 졸업 후 대한교역공사와 한국무역진흥주식회사에서 근무하다 자유당 소속으로 정계에 입문하여 제4대 국회의원, 교통부 장관, 내무부 장관을 역임했으나, 3·15 부정선거의 총책임자로 지목되어 4·19 혁명 이후 구속, 5·16 군사정변 이후 사형을 선고받고 처형된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박용익 | |
---|---|
기본 정보 | |
![]() | |
호 | 퇴석(退醒) |
본관 | 밀양 박씨 |
출생 | 1894년 10월 24일 |
사망 | 1972년 6월 11일 (77세) |
묘소 위치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동작구 동작동 국립서울현충원 |
학력 | |
최종 학력 | 일본 메이지 대학 법학부 졸업 |
경력 | |
주요 경력 | 변호사 제2대 대한민국 국회의원 제4대 대한민국 변호사협회 회장 |
가족 | |
배우자 | 김정숙 |
자녀 | 4남 4녀 |
기타 정보 | |
종교 | 천주교 |
2. 약력
약력 |
---|
2. 1. 일제강점기
2. 2. 해방 이후
- 대한임업개발주식회사 사장을 역임하였다.
- 경상북도목재주식회사 사장을 역임하였다.
- 중앙산림조합연합회 이사를 역임하였다.
- 자유당 원내총무를 역임하였다.
- 국회 예산결산위원장을 역임하였다.
3. 정치 활동
박용익은 1954년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와 1958년 대한민국 제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각각 무소속, 자유당 소속으로 국회의원에 당선되었다. 그러나 1967년 대한민국 제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자유당 후보로 출마했으나 낙선했다. 3.15 부정선거에 연루되어 대한민국 제4대 국회의원 선거 당선 무효 처분을 받은 전력이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다.
3. 1. 제3대 국회의원 선거
1954년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박용익은 무소속으로 강원도 강릉군 을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당시 박용익은 21,692표를 얻어 62.06%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1위를 차지했다.
3. 2. 제4대 국회의원 선거
박용익은 1958년 제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자유당 후보로 강원 명주군 선거구에 출마하여 무투표 당선되었다.
3. 3. 제7대 국회의원 선거
박용익은 1967년 대한민국 제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자유당 후보로 강원 강릉시·명주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15,301표(19.27%)를 얻어 3위로 낙선하였다.박용익은 3.15 부정선거에 연루되어 대한민국 제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당선 무효 처분을 받은 전력이 있어, 대한민국 제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유권자들의 불신을 받았을 가능성이 있다.
4. 3.15 부정선거 연루 의혹
박용익은 3·15 부정선거 당시 자유당 재정부장으로 재직하면서 부정선거에 연루되었다는 의혹을 받았다. 특히, 윤광원의 "3·15부정선거와 금융계의 수난 (하)" 기사에 따르면, 당시 선거 자금 조달 과정에서 금융계에 압력을 행사하여 대출을 강요하고, 그 대가로 대출금의 20%를 상납받았다는 의혹이 제기되었다.[1]
5. 역대 선거 결과
연도 | 선거명 | 대수 | 직책 | 선거구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순위 | 당락 | 비고 |
---|---|---|---|---|---|---|---|---|---|---|
1954년 | 총선 | 3대 | 국회의원 | 강원 강릉군 을 | 무소속 | 21,692표 | 62.06% | 1위 | 당선 | 초선 |
1958년 | 총선 | 4대 | 국회의원 | 강원 명주군 | 자유당 | 무투표 | 당선 | 재선 | ||
1967년 | 총선 | 7대 | 국회의원 | 강원 강릉시·명주군 | 자유당 | 15,301표 | 19.27% | 3위 | 낙선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