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정자 (교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박정자는 프랑스 철학자 미셸 푸코의 저서 번역을 통해 국내에 푸코를 처음 소개한 인문학자이다. 사르트르와 푸코 관련 저서를 번역, 저술하며 인문학 대중화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주요 저서로는 《로빈슨 크루소의 사치》, 《시선은 권력이다》 등이 있으며, 《사르트르의 실존주의》는 사르트르 입문서로 널리 읽혔다. 긍정적 평가와 더불어 일부에서는 저술의 대중성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온라인에서는 사르트르와 푸코 관련 웹사이트를 운영하며 활동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미학자 - 진중권
대한민국의 미학자이자 작가, 평론가, 대학교수인 진중권은 서울대학교 미학과를 졸업하고 독일에서 철학 박사 과정을 밟았으며, 여러 대학에서 교수를 역임하며 미학, 예술, 정치, 사회에 대한 저술 및 번역 활동과 진보 정당 활동을 해왔다. - 대한민국의 미학자 - 김정록 (미학자)
김정록은 일제강점기 남작 작위를 습작하고 해방 후 서울대학교 미학과 교수를 지낸 대한민국의 미학자로, 그의 친일 행적으로 인해 친일반민족행위 705인 명단에 포함되었다. - 프랑스어-한국어 번역가 - 김석희
김석희는 아시아 및 유럽 문학 작품을 한국에 소개하는 데 기여한 대한민국의 번역가로, 번역 외에도 저술 활동을 통해 역사, 철학, 사회 비평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했다. - 프랑스어-한국어 번역가 - 홍세화
홍세화는 민주화 운동 참여, 프랑스 망명 후 저술 및 언론 활동, 진보신당 대표 역임 등 다양한 활동을 펼친 한국의 저술가이자 언론인, 정치 활동가로 진보적 시각을 견지했으며 전립선암으로 별세하였다. - 대한민국의 불문학자 - 이인성 (소설가)
이인성은 실험적인 문체와 독창적인 서술 기법으로 인간의 정체성과 의식의 세계를 탐구하는 한국의 소설가이자 서울대학교 명예교수이다. - 대한민국의 불문학자 - 문시연
문시연은 숙명여자대학교 불어불문학과를 졸업하고 프랑스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한 후 숙명여자대학교 한국문화교류원 원장, 정책대학원 교수, 중앙도서관장을 역임하고, 2024년 9월 숙명여자대학교 제21대 총장으로 취임했다.
박정자 (교수)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소속 | 상명대학교 명예교수 |
이름 | 박정자 |
출생일 | 1943년 3월 17일 |
국적 | 대한민국 |
장르 | 문학평론 저술 불문학 |
언어 | 한국어 프랑스어 영어 |
학력 | 서울대학교 불문학과 서울대학교 대학원 |
직업 | 불문학자 대학 교수 저술가 |
활동 기간 | 1966년 ~ 현재 |
웹사이트 | 공식 사이트 |
학회 활동 | |
프랑스학회 회장 | 역임 |
2. 학술 및 저술 활동
박정자는 〈사르트르의 비현실 미학으로의 회귀〉로 박사학위를 받은 후 미학에 꾸준히 관심을 가지며, 인문학 대중화에 힘쓰고 있다. 《현대세계의 일상성》 등을 번역하고 《빈센트의 구두》 등을 저술하여 쉽고 정확한 인문학 지식을 대중에게 전달하는 데 기여했다.
《로빈슨 크루소의 사치》와 《시선은 권력이다》는 문화체육관광부 교양추천 도서, 《마이클 잭슨에서 데리다까지》는 우수 교양도서, 《마그리트와 시뮬라크르》, 《이것은 Apple이 아니다》는 우수 학술도서로 선정되었다.
2. 1. 미셸 푸코 관련 활동
1979년 프랑스 철학자 미셸 푸코의 저서 《성의 역사》 제1권 '앎의 의지'를 《성은 억압되었는가》라는 제목으로 번역하여 대한민국에 푸코를 처음 알렸다.[3] 이후 푸코 관련 서적을 다수 번역, 저술하였다. 강준만 전북대학교 교수는 2000년 5월 발간된 자신의 저서 《시사인물사전6》에서 미셸 푸코를 소개하며 그의 푸코론이 박정자의 해설에 많이 의존하였음을 밝혔다.[3] 그는 “푸코의 글 가운데 일반인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최상의 해설로는 《미셸 푸코: 만화로 읽는 삶과 철학》에서 박정자가 쓴 역자후기가 최상이라고 감히 말할 수 있다”라며 “15쪽에 이르는 이 해설을 읽기 위해서라도 이 책은 살 만한 충분한 가치가 있다”라고 극찬하였다.[4] 2008년 KBS의 대담 프로그램 《TV 책을 말하다》에서 외과의사 박경철은 박정자의 저서 《시선은 권력이다》를 추천하며 “30여 년간 푸코의 권력이론을 연구한 저자가 시선과 권력의 관계를 명쾌하게 밝혀냈다”고 소개했다.[5]2. 2. 장폴 사르트르 관련 활동
장폴 사르트르를 주제로 석사 및 박사 학위 논문을 썼으며, 《지식인이란 무엇인가?》, 《상황5권-식민주의 신식민주의》 등 사르트르 관련 저서를 다수 번역 및 저술하였다. 1991년 저술한 《사르트르의 실존주의》[6]는 사르트르 입문서로 널리 읽히며, 사르트르 연구에 큰 영향을 미쳤다.2. 3. 기타 학술 및 저술 활동
미셸 푸코의 저서 《성의 역사》(Histoire de lasexualité프랑스어) 제1권 '앎의 의지'를 《성은 억압되었는가》라는 제목으로 번역하여 대한민국에 푸코를 처음 알렸다. 이후 푸코와 관련된 많은 서적을 번역 또는 저술하였다. 강준만 전북대학교 교수는 저서 《시사인물사전6》에서 자신의 푸코론이 박정자의 해설에 많이 의존하였음을 밝혔다.[3] 강준만은 “푸코의 글 가운데 일반인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최상의 해설로는 《미셸 푸코: 만화로 읽는 삶과 철학》에서 박정자가 쓴 역자후기가 최상이라고 감히 말할 수 있다”라며 “15쪽에 이르는 이 해설을 읽기 위해서라도 이 책은 살 만한 충분한 가치가 있다”라고 극찬하였다.[4] 2008년 KBS 프로그램 《TV 책을 말하다》에서 박경철은 추천 도서로 박정자의 《시선은 권력이다》를 소개하며 “30여 년간 푸코의 권력이론을 연구한 저자가 시선과 권력의 관계를 명쾌하게 밝혀냈다”고 소개했다.[5]박정자는 석사, 박사 논문을 모두 장폴 사르트르를 주제로 썼으며, 《지식인이란 무엇인가?》, 《상황5권-식민주의 신식민주의》 등 다수의 사르트르 관련 저서를 번역·저술했다. 1991년 저술한 《사르트르의 실존주의》[6]는 사르트르의 용어들을 쉽게 설명한 입문서로, 사르트르 연구자들에게 많이 읽혔다.
박사 학위 논문 〈사르트르의 비현실 미학으로의 회귀〉를 쓴 이후, 미학에 지속적인 관심을 갖고 인문학 대중화에 힘쓰고 있다. 《현대세계의 일상성》 등의 번역서나 《빈센트의 구두》 등의 저서를 통해 쉽고 정확한 인문학 지식을 독자들에게 전달하고 있다. 저서 중 《로빈슨 크루소의 사치》와 《시선은 권력이다》는 문화체육관광부 교양추천 도서로, 《마이클 잭슨에서 데리다까지》는 우수 교양도서로, 《마그리트와 시뮬라크르》, 《이것은 Apple이 아니다》는 우수 학술도서로 선정되었다.
3. 평가
박정자는 2000년대 초반, 인문학 열풍이 불기 전부터 난해한 프랑스 철학을 쉬운 언어로 대중에게 소개하여 인문학 대중화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7]
3. 1. 긍정적 평가
동아일보 허문명 기자는 박정자를 ‘쉬우면서도 깊이 있는 글쓰기로 유명한 인문학자’라고 평가했다.[7] 전북대학교 원용찬 교수는 박정자의 《로빈슨 크루소의 사치》를 “소비사회를 살아가는 현대인의 모습을 바타이유, 베블런, 보드리야르 등의 이론 위에서 정확히 파헤치고 있다. 베블런의 과시적 여가와 소비가 현대적 감각 위에서 새롭게 발전하고 있음을 보게 된다. 지은이는 미술과 음악에 관한 깊은 지식으로 현대 소비사회에서 유한계급들이 어떻게 중간계층을 따돌리는가도 잘 분석해 주고 있다.”라며 추천하였다.[8]한국정책방송 '인문학열전'은 100회 특집 방송에서 대한민국 대표 인문학자로 박정자를 책읽는사회문화재단 도정일 대표, 경희대학교 허동형 학장과 함께 초청했다.[9] 박정자와의 대담 내용은 《인문학 콘서트》에 주요 내용으로 실렸으며, 이 책은 2010년 인문학 베스트셀러에 선정되었다.[10][11]
2011년 한국철학사상연구회는 《철학자의 서재》에서 《로빈슨 크루소의 사치》를 철학자가 추천하는 107권의 책 중 하나로 선정하였다.[12] 같은 해 출판 잡지 《기획회의》는 ‘한국의 저자 300인’에 박정자를 선정했다.[13]
4. 온라인 활동
2001년 사르트르와 푸코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웹 사이트를 개설하여 자신의 논문 및 저서 자료를 공개하였다. 교수신문은 그해 8월 16일 기사에서 "이 사이트에서는 사르트르와 푸코, 실존주의와 후기구조주의 철학 등 현대 철학에 관심 있는 네티즌들의 토론이 활발하다. 사르트르와 푸코의 인물 사진을 구경하는 것도 큰 재미"라고 추천했다.[14]
5. 작품
박정자는 다양한 서적과 칼럼을 통해 자신의 학문적 견해와 사회 비평을 담아냈다.
박정자의 저서 목록은 하위 섹션 '저서'에 정리되어 있으며, 조선일보, 동아일보, 뉴데일리 등 여러 언론 매체에 칼럼을 기고했다.
{
언론사 | 제목 | 날짜 |
---|---|---|
조선일보 | [http://news.chosun.com/svc/content_view/content_view.html?contid=2003090770179 프랑스식 대학평준화의 오해] | 2003년 9월 7일 |
동아일보 | [http://news.donga.com/3/all/20170519/84435070/1 텔렘 수도원 잔상] | 2017년 5월 19일 |
[http://news.donga.com/ISSUE/2017president/News?gid=84114786&date=20170428&path= 기자 개인의 정치적 성향과 언론보도] | 2017년 4월 28일 | |
[http://news.donga.com/3/all/20170407/83736950/1 역사적 기시감] | 2017년 4월 7일 | |
[http://news.donga.com/3/all/20170105/82186133/1 냉혹한 혁명가 생쥐스트의 최후] | 2017년 1월 5일 | |
[http://news.donga.com/3/all/20170316/83347745/1 일상성과 혁명] | 2017년 3월 16일 | |
[http://news.donga.com/3/all/20170316/83347745/1 프랑스혁명의 진짜 희생자들] | 2017년 3월 16일 | |
[http://news.donga.com/3/all/20161021/80905336/1 좌파 운동에 스며든 푸코의 사상] | 2016년 10월 21일 | |
[http://news.donga.com/3/all/20170127/82614661/1 이것은 정치 이야기가 아니다] | 2017년 1월 27일 | |
[http://news.donga.com/3/all/20160929/80534155/1 김영란법과 선물의 정치학] | 2016년 9월 29일 | |
[http://news.donga.com/3/all/20160618/78729511/1 얼굴성(性)] | 2016년 6월 18일 | |
[http://news.donga.com/3/all/20160604/78491140/1 너무 시적인 사회] | 2016년 6월 4일 | |
동아일보 | [http://news.donga.com/3/all/20160604/78491140/1 글쓰기와 말하기] | 2016년 6월 4일 |
[http://news.donga.com/3/all/20160604/78491140/1 새삼 실존주의] | 2016년 6월 4일 | |
[http://news.donga.com/3/all/20160423/77736749/1 한국 좌파 사유의 뿌리 없음] | 2016년 4월 23일 | |
동아일보 | [http://news.donga.com/3/all/20160409/77486414/1 우정인가? 동성애인가?] | 2016년 4월 9일 |
[http://news.donga.com/3/all/20160326/77223346/1 마들렌의 추억] | 2016년 3월 26일 | |
[http://news.donga.com/3/all/20160326/77223346/1 가상현실의 승리] | 2016년 3월 26일 | |
뉴데일리 | [https://web.archive.org/web/20140329031436/http://newdaily.co.kr/news/article_s.html?no=31915&rvw_no=72 노마드 강의 불편한 진실, 계급] | 2009년 8월 16일 |
[https://web.archive.org/web/20140329031636/http://newdaily.co.kr/news/article_s.html?no=31386&rvw_no=72 노마드 강의 밀레니엄 파크와 광화문 광장] | 2009년 8월 7일 | |
[https://web.archive.org/web/20140329031521/http://newdaily.co.kr/news/article_s.html?no=26441&rvw_no=72 노마드 강의 질병의 정치학] | 2009년 6월 23일 | |
[https://web.archive.org/web/20140904151239/http://newdaily.co.kr/news/article_s.html?no=25581&rvw_no=72 노마드 강의 미워도 다시 리한번의 서사구조 분석] | 2009년 8월 6일 | |
[https://web.archive.org/web/20140910085544/http://newdaily.co.kr/news/article_s.html?no=26173&rvw_no=72 노마드 강의 성기 노출이 숭고?] | 2009년 6월 23일 | |
[https://web.archive.org/web/20140329040516/http://newdaily.co.kr/news/article_s.html?no=26925&rvw_no=72 노마드 강의 키치의 문화] | 2009년 6월 23일 | |
[https://web.archive.org/web/20140329034811/http://newdaily.co.kr/news/article_s.html?no=27872&rvw_no=72 노마드 강의 노무현 신화화…동어반복의 중독성] | 2009년 7월 31일 | |
[http://www.newdaily.co.kr/news/article.html?no=32412 노마드 강의 데리다(Derrida) 쉽게 읽기] | 2009년 8월 24일 | |
[https://web.archive.org/web/20140329040611/http://newdaily.co.kr/news/article_s.html?no=28909&rvw_no=72 노마드 강의 하이퍼 리얼리티의 사회--시뮬라크르] | 2009년 7월 31일 | |
[https://web.archive.org/web/20140329032622/http://newdaily.co.kr/news/article_s.html?no=29326&rvw_no=72 노마드 강의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 2009년 8월 6일 | |
[http://www.newdaily.co.kr/news/article.html?no=36979 노마드 강의 광화문 광장에 서면 왜 슬퍼지는가] | 2009년 12월 1일 |
5. 1. 저서
출판 연도 | 제목 | 출판사 | 비고 |
---|---|---|---|
2018년 | 《이것은 정치이야기가 아니다》 | 기파랑 | |
2017년 | 《사상의 거장들》 | 기파랑 | 번역 |
2015년 | 《눈과 손, 그리고 햅틱》 | 에크리 | |
2013년 | 《스토리텔링의 비밀이 된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 | 기파랑 | |
2013년 | 《플라톤의 예술노트》 | 기파랑 | |
2013년 | 《플라톤의 몸 이야기》 | 기파랑 | |
2012년 | 《이것은 Apple이 아니다》 | 기파랑 | |
2012년 | 《미셸 푸코 1926-1984》 | 그린비 | 번역 |
2011년 | 《마그리트와 시뮬라크르》 | 기파랑 | |
2009년 | 《마이클잭슨에서 데리다까지》 | 기파랑 | |
2009년 | 《마네 그림에서 찾은 13개 퍼즐 조각》 | 기파랑 | |
2009년 | 《변증법적 이성비판》1,2,3권 | 나남 | 공역 |
2008년 | 《인간의 얼굴을 한 야만》 | 프로네시스 | 번역 |
2008년 | 《시선은 권력이다》 | 기파랑 | |
2007년 | 《앙드레 말로 피카소를 말하다》 | 기파랑 | 번역 |
2006년 | 《로빈슨 크루소의 사치》 | 기파랑 | |
2005년 | 《현대세계의 일상성》 | 기파랑 | 번역 |
2005년 | 《빈센트의 구두》 | 기파랑 | |
2001년 | 《비정상인들》 | 동문선 | 번역 |
1999년 | 《부르주아의 역사적 기원 – 사르트르와 푸코》 | 문학과 지성사 | 공저 |
1998년 | 《사회를 보호해야 한다》 | 동문선 | 번역 |
1997년 | 《광기의 역사 30년후》 | 시각과 언어 | 번역 |
1995년 | 《푸코 – 만화로 읽는 삶과 철학》 | 국제 | 번역 |
1995년 | 《미셸푸코》 | 시각과 언어 | 번역 |
1991년 | 《사르트르의 실존주의》 | 상명대학교 출판부 | |
1989년 | 《지식인의 소멸 – 마르크시즘에서 마오이즘에 이르기까지》 | 문학과 지성사 | 공저 |
1989년 | 《성과 권력》 | 인간사 | 번역 |
1983년 | 《상황 V》 | 사계절 | 번역 |
1983년 | 《20세기의 증언》 | 문예출판사 | 번역 |
1982년 | 《꼬마 파데뜨》 | 샘터 | 번역 |
1980년 | 《여성은 해방되었는가?》 | 인간사 | 번역 |
1979년 | 《성은 억압되었는가?》 | 인간사 | 번역 |
1979년 | 《지식인이란 무엇인가?》 | 인간사 | 번역 |
1974년 | 《피카소와의 대화》 | 조양문화사 | 번역 |
5. 2. 칼럼
언론사 | 제목 | 날짜 |
---|---|---|
조선일보 | [http://news.chosun.com/svc/content_view/content_view.html?contid=2003090770179 프랑스식 대학평준화의 오해] | 2003년 9월 7일 |
동아일보 | [http://news.donga.com/3/all/20170519/84435070/1 텔렘 수도원 잔상] | 2017년 5월 19일 |
[http://news.donga.com/ISSUE/2017president/News?gid=84114786&date=20170428&path= 기자 개인의 정치적 성향과 언론보도] | 2017년 4월 28일 | |
[http://news.donga.com/3/all/20170407/83736950/1 역사적 기시감] | 2017년 4월 7일 | |
[http://news.donga.com/3/all/20170105/82186133/1 냉혹한 혁명가 생쥐스트의 최후] | 2017년 1월 5일 | |
[http://news.donga.com/3/all/20170316/83347745/1 일상성과 혁명] | 2017년 3월 16일 | |
[http://news.donga.com/3/all/20170316/83347745/1 프랑스혁명의 진짜 희생자들] | 2017년 3월 16일 | |
[http://news.donga.com/3/all/20161021/80905336/1 좌파 운동에 스며든 푸코의 사상] | 2016년 10월 21일 | |
[http://news.donga.com/3/all/20170127/82614661/1 이것은 정치 이야기가 아니다] | 2017년 1월 27일 | |
[http://news.donga.com/3/all/20160929/80534155/1 김영란법과 선물의 정치학] | 2016년 9월 29일 | |
[http://news.donga.com/3/all/20160618/78729511/1 얼굴성(性)] | 2016년 6월 18일 | |
[http://news.donga.com/3/all/20160604/78491140/1 너무 시적인 사회] | 2016년 6월 4일 | |
동아일보 | [http://news.donga.com/3/all/20160604/78491140/1 글쓰기와 말하기] | 2016년 6월 4일 |
[http://news.donga.com/3/all/20160604/78491140/1 새삼 실존주의] | 2016년 6월 4일 | |
[http://news.donga.com/3/all/20160423/77736749/1 한국 좌파 사유의 뿌리 없음] | 2016년 4월 23일 | |
동아일보 | [http://news.donga.com/3/all/20160409/77486414/1 우정인가? 동성애인가?] | 2016년 4월 9일 |
[http://news.donga.com/3/all/20160326/77223346/1 마들렌의 추억] | 2016년 3월 26일 | |
[http://news.donga.com/3/all/20160326/77223346/1 가상현실의 승리] | 2016년 3월 26일 | |
뉴데일리 | [https://web.archive.org/web/20140329031436/http://newdaily.co.kr/news/article_s.html?no=31915&rvw_no=72 노마드 강의 불편한 진실, 계급] | 2009년 8월 16일 |
[https://web.archive.org/web/20140329031636/http://newdaily.co.kr/news/article_s.html?no=31386&rvw_no=72 노마드 강의 밀레니엄 파크와 광화문 광장] | 2009년 8월 7일 | |
[https://web.archive.org/web/20140329031521/http://newdaily.co.kr/news/article_s.html?no=26441&rvw_no=72 노마드 강의 질병의 정치학] | 2009년 6월 23일 | |
[https://web.archive.org/web/20140904151239/http://newdaily.co.kr/news/article_s.html?no=25581&rvw_no=72 노마드 강의 미워도 다시 리한번의 서사구조 분석] | 2009년 8월 6일 | |
[https://web.archive.org/web/20140910085544/http://newdaily.co.kr/news/article_s.html?no=26173&rvw_no=72 노마드 강의 성기 노출이 숭고?] | 2009년 6월 23일 | |
[https://web.archive.org/web/20140329040516/http://newdaily.co.kr/news/article_s.html?no=26925&rvw_no=72 노마드 강의 키치의 문화] | 2009년 6월 23일 | |
[https://web.archive.org/web/20140329034811/http://newdaily.co.kr/news/article_s.html?no=27872&rvw_no=72 노마드 강의 노무현 신화화…동어반복의 중독성] | 2009년 7월 31일 | |
[http://www.newdaily.co.kr/news/article.html?no=32412 노마드 강의 데리다(Derrida) 쉽게 읽기] | 2009년 8월 24일 | |
[https://web.archive.org/web/20140329040611/http://newdaily.co.kr/news/article_s.html?no=28909&rvw_no=72 노마드 강의 하이퍼 리얼리티의 사회--시뮬라크르] | 2009년 7월 31일 | |
[https://web.archive.org/web/20140329032622/http://newdaily.co.kr/news/article_s.html?no=29326&rvw_no=72 노마드 강의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 2009년 8월 6일 | |
[http://www.newdaily.co.kr/news/article.html?no=36979 노마드 강의 광화문 광장에 서면 왜 슬퍼지는가] | 2009년 12월 1일 |
참조
[1]
웹사이트
네이버 인물검색 박정자
http://people.search[...]
[2]
웹인용
프랑스학회장에 박정자 상명대 교수
http://article.joins[...]
중앙일보
2002-11-21
[3]
서적
시사인물사전 6
인물과사상사
2000-05-08
[4]
서적
시사인물사전 6
인물과사상사
2000-05-08
[5]
웹인용
[TV하이라이트]3월 5일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08-03-04
[6]
웹인용
[21세기에 보는 20세기 사상지도]‘인간 이해’에 집중한 마지막 철학자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12-03-16
[7]
웹인용
[세기의 철녀들 20] 미술 컬렉터 페기 구겐하임
http://shindonga.don[...]
신동아
2010-02-01
[8]
서적
유한계급론
살림출판사
2007-05-20
[9]
웹인용
인문학을 통해 삶을 되돌아 보다
http://www.dt.co.kr/[...]
디지털타임스
2010-05-11
[10]
웹인용
엘리베이터, 타인의 시선이 왜 불편하지?
http://www.newdaily.[...]
뉴데일리
2010-01-23
[11]
웹인용
[인문사회]사랑-윤리-종교-교육… 삶을 살찌우는 통찰들
http://news.donga.co[...]
동아일보
2010-01-09
[12]
웹인용
한국 철학자 100명 책의 숲에서 길을 묻다
http://www.seoul.co.[...]
서울신문
2011-01-15
[13]
서적
기획회의 (300호)
2011-07-20
[14]
간행물
교수신문
2001-08-16
[15]
웹인용
박정자 웹사이트
http://www.cjpark.pe[...]
2014-03-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