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한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박한제는 대한민국의 역사학자이다. 호족 문화와 한 문화가 융합하여 새로운 문화를 창출했다는 "호한 체제" 이론을 제창했으며, 이 이론은 중국 및 일본 학계에서도 주목받고 있다. 2017년 우호동양사학저작상, 2021년 대한민국학술원상을 수상했다. 저서로는 《중국 역사 지도》 번역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사학자 - 고병익
고병익은 경상북도 문경 출신의 한국 역사학자로, 독일 역사학 이론을 바탕으로 중국사를 연구했으며, 역사학회 창설 참여, 연세대학교 및 서울대학교 교수, 서울대학교 총장, 한국사회과학협의회 회장, 한림대학교 교수, 대한민국학술원 회원 등을 역임하며 교육 및 연구에 기여했고, 학술 저서 및 수상 경력이 있다. - 중국사학자 - 진안핑
진안핑은 중국 근현대사를 연구하고 저술한 학자이자 작가로, 공자 사상, 중국 지성사, 중국 아이들의 삶에 대한 책을 집필하고 《논어》를 번역했으며, 남편 조나단 스펜스와 함께 중국 역사와 문화를 다룬 책을 공동 저술했다. - 대한민국의 역사가 - 박노자
박노자는 러시아 태생으로 대한민국에 귀화한 한국학 연구자이자 사회운동가, 언론인이며, 오슬로 대학교 한국학 교수로 재직하면서 한국 사회와 역사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을 담은 저술 및 강연 활동을 하는 진보적 지식인이다. - 대한민국의 역사가 - 이기백
이기백은 한국 고대사 연구에 기여하고 민족사학을 개척하며 한국사 대중화에 힘쓴 역사학자이며, 주요 저서로 《한국사신론》 등이 있고, 발해를 한국사에 편입시키는 등 한국사 연구의 지평을 넓혔다. - 경주시 출신 - 안귀령
대한민국의 언론인 출신 정치인인 안귀령은 한국낚시채널, 광주방송, YTN 앵커를 거쳐, 제20대 대통령 선거 이재명 후보 선거대책위원회 대변인을 시작으로 더불어민주당 상근부대변인, 서울특별시당 도봉구 갑 지역위원장, 당 대변인 등을 역임하고 있다. - 경주시 출신 - 유시민
유시민은 경주 출신의 작가이자 정치인, 유튜버로, 민주화 운동 참여, 정계 입문 후 국회의원과 보건복지부 장관을 역임했으며, 현재는 작가, 방송인, 유튜버로 활동하며 노무현재단 이사장을 지낸 인물이다.
박한제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박한제 |
한글 표기 | 박한제 |
한자 표기 | 朴 漢済 |
로마자 표기 | Bak Han-je |
인물 정보 | |
출생 | 1946년 |
출생지 | 미군정 경상남도 진주 |
국적 | 대한민국 |
직업 | 학자 |
전공 분야 | 역사 동양사 중국사 |
주요 관심 분야 | 수, 당 역사 |
학력 | |
모교 | 서울대학교 |
경력 | |
직장 | 서울대학교 |
저서 | |
주요 저서 | 중국역사지도(2009), 요시다 미쓰오 역, 헤이본샤 대당제국의 유산: 호한통합 및 다민족국가의 형성 (2020), 바치 문화 |
2. 학력 및 경력
서울대학교 동양사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교 동양사학과 교수를 역임했다.[1]
박한제는 서울대학교 동양사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교 교수를 역임했다.[1] 국립중앙도서관, 오차노미즈 여자대학, 하버드-옌칭 연구소, 중국 사회과학원 등에서 객원교수를 지냈고, 한국중국학회 회장을 역임했다.[2]
국립중앙도서관 객원교수, 오차노미즈 여자대학 객원교수, 하버드-옌칭 연구소 객원교수, 중국 사회과학원 객원교수, 한국중국학회 회장 등을 역임했다.[2]
3. 주요 연구
박한제는 북위 역사 연구에서 호족 문화와 한족 문화가 융합하여 새로운 문화를 창출했다는 "호한 체제(Sino Barbarian Synthesis영어)" 이론을 제시했다.[3]
3. 1. 호한 체제론
칼 비트포겔 이래로 북위의 역사는 호족의 한화의 역사로 설명되었고, 그 상징으로 낙양 천도가 거론되었지만, 박한제는 호족 문화와 한 문화가 모자이크 형태로 융합하여 호도 한도 아닌 신문화를 창출하였다는 "호한 체제(Sino Barbarian Synthesis영어)" 이론을 제창했으며[3], 이 이론은 중국과 일본의 중국사학계에서도 주목받으며 논쟁이 벌어지고 있다[4]。「호한 체제(Sino Barbarian Synthesis영어)」 이론은 한국의 중국사학계에서 당사 연구의 대표적 이론이 되고 있다[2]。
4. 수상
연도 | 수상 |
---|---|
2017년 | 제5회 우호동양사학저작상 |
2021년 | 제66회 대한민국학술원상 |
5. 저서 및 역서
吉田光男|요시다 미쓰오일본어가 번역하고 헤이본샤에서 출간한 《중국 역사 지도》(2009년)가 있다.[1]
5. 1. 번역서 (일본어)
吉田光男|요시다 미쓰오일본어가 번역하고 헤이본샤에서 출간한 《중국 역사 지도》(2009년)가 있다.[1]참조
[1]
서적
中国歴史地図
平凡社
2009-01-01
[2]
서적
大唐帝國的遺產:胡漢統合及多民族國家的形成
八旗文化
2020-09-09
[3]
뉴스
北魏の国家構造
https://www2.lib.hok[...]
北海道大学
2001
[4]
뉴스
"당나라 황제 혈통은 유목민족… 도읍 장안성엔 오랑캐 문화 뒤섞여 있어"
https://www.chosun.c[...]
2019-08-29
[5]
서적
中国歴史地図
平凡社
2009-01-01
[6]
서적
大唐帝國的遺產:胡漢統合及多民族國家的形成
八旗文化
2020-09-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