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반동인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반동 인물은 주인공과 대립하는 캐릭터를 의미하며, 영어 단어 antagonist에서 유래되었다. 픽션에서 주인공과 적대하는 인물로, 악당 소설에서는 적역이 정의가 되는 등 악역과는 다르다. 반동 인물은 주인공의 도덕적 선택과 반대되는 위치에 놓이거나, 주인공과 경쟁하며 서로를 성장시키는 라이벌의 역할을 하기도 한다. 이야기의 전개에 따라 주인공과 화해하거나 협력하기도 하며, 주인공의 내면적 갈등, 비인격적인 힘, 사회적 규범 등도 반동 인물이 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등장인물 - 아바타
    아바타는 힌두교 용어에서 유래하여 신의 화신을 뜻하며, 온라인 환경에서 사용자를 나타내는 가상 신체를 의미하고, 게임, 소셜 미디어, 메타버스 등에서 사용자의 개성을 표현하고 소통하는 핵심 수단으로 활용되며 AR/VR 기술 발전과 함께 더욱 현실감 있는 사용자 경험을 제공한다.
  • 등장인물 - 사이드킥
    사이드킥은 소설, 영화, 만화 등에서 주인공을 보조하며 이야기를 풍성하게 만드는 인물 또는 캐릭터로, 영웅의 능력을 보완하거나 전략적 조언을 제공하고 코믹 릴리프 역할을 수행하여 극의 재미를 더하기도 한다.
  • 전형적 등장인물 - 사이보그
    사이보그는 인공 부위를 이식받아 신체 기능이 복원되거나 향상된 개조 생명체로, 보철, 인공 장기 등의 기술을 포함하며 의료, 윤리, 군사적 측면에서 다양한 논의를 낳고 있다.
  • 전형적 등장인물 - 슈퍼빌런
    슈퍼빌런은 만화, 영화, 소설 등에서 슈퍼히어로에 대립하는 악당 캐릭터로, 초인적인 힘, 지능, 기술, 재력 등을 가지고 세계 정복이나 복수와 같은 악한 목적을 추구하며, 조커, 렉스 루터 등이 대표적이다.
반동인물

2. 정의

영어 단어 'antagonist'(반동인물)는 그리스어 'ἀνταγωνιστής'(antagonistēs)에서 유래되었으며, "상대, 경쟁자, 악당, 적, 라이벌"을 뜻한다. 이 단어는 'anti-'('반대')와 'agonizesthai'('상을 위해 경쟁하다')에서 파생되었다.[2][3]

반동인물은 픽션 세계에서 주역(주인공)과 적대하는 캐릭터를 말한다. 악당 소설에서는 적역이 정의인 경우도 있듯이, 반드시 악역은 아니라는 점에서 악역과 구별된다.

2. 1. 악역과의 차이

반동 인물은 주인공과 대립하는 캐릭터를 의미한다. 그러나 반동 인물이 반드시 악역인 것은 아니다. 악역은 주로 부정적인 가치관을 대변하며, 관객의 공감을 얻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반면, 반동 인물은 동정심을 유발하는 배경이나 주인공과의 대립 이유를 가지고 있어, 관객이 공감할 수 있는 캐릭터로 디자인될 수 있다.[4]

예를 들어, 영화 '올드보이'의 이우진(유지태 분)은 복수라는 뚜렷한 동기를 가지고 주인공 오대수(최민식 분)에게 끔찍한 고통을 안겨주지만, 그의 복수는 관객에게 복잡한 감정을 불러일으킨다.

작품에 따라서는 경쟁하며 서로를 성장시키는 라이벌에 속하기도 한다. 악역은 보는 이의 공감을 부정하고 그저 미움을 받는 것에 존재 이유를 둔 캐릭터이며, 보는 이가 공감할 수 있는지 여부가 악역과 반동 인물을 구분하는 포인트라고 할 수 있다.

2. 2. 라이벌과의 관계

적대자는 작품에 따라 경쟁하며 서로를 성장시키는 라이벌(호적수)에 속하기도 한다. 이들은 스토리 전개에 따라 "주역과 화해하여 친구(또는 좋은 동료)가 되는", "주역을 인정하고 적대 관계이면서도 협력자가 되는" 패턴을 보이기도 한다.[1]

3. 적대자의 유형

Big Bad|빅 배드영어는 동화 속의 Big Bad Wolf|빅 배드 울프영어나 세균맨처럼 매번 악역으로 등장하는 캐릭터를 의미한다. 잔챙이 악당으로 표현되기도 한다. 이번 주의 악역은 특촬 히어로물과 같이 매주 다른 게스트가 악역으로 등장하는 패턴을 말하며, 괴인도 이와 비슷한 유형이다.

3. 1. 전형적인 적대자

반동 인물은 대개 주인공과 그들이 속한 세계의 질서에 반대되는 위치에 놓인다.[4] 이야기는 종종 주인공을 영웅으로, 반동 인물을 악당으로 묘사하지만, 모든 반동 인물이 악당으로 나타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해리 포터'' 시리즈의 해리 포터볼드모트의 관계처럼, 반동 인물이 반드시 악당인 것은 아니다. ''데스노트''의 야가미 라이토L처럼, 주인공이 악당이고 반동 인물이 이에 맞서는 영웅인 경우도 있다.

반동 인물은 주인공보다 덜 긍정적인 도덕적 선택을 하는 것으로 그려지는 경우가 많다. 작가는 이러한 설정을 통해 이야기 속 갈등을 만들어낸다. 그러나 이것은 일반적인 경향일 뿐이며, 반드시 지켜지는 것은 아니다. 주인공인 폭군 맥베스에 맞서 싸우는 맥더프는 도덕적으로 정당하다고 볼 수 있다.

텔레비전 드라마에서도 반동 인물의 예를 찾아볼 수 있다. ''달라스''의 J.R. Ewing(래리 해그먼)과 ''다이너스티''의 알렉시스 콜비(조앤 콜린스)는 모두 극의 시청률을 높이는 돌파구 캐릭터로 활용되었다.

등장인물이 악하지 않더라도, 독자에게 불쾌하거나 비호감으로 느껴진다면 적대자가 될 수 있다. 호밀밭의 파수꾼과 같은 일부 소설에서는 주인공을 제외한 거의 모든 등장인물이 적대자로 묘사되기도 한다.[5] 빅토르 위고레 미제라블에 등장하는 자베르는 악의적인 의도는 없지만, 법을 지나치게 엄격하고 융통성 없이 적용하여 도덕적, 윤리적 갈등을 일으키는 인물이다.

3. 2. 주인공의 내면적 측면

주인공의 측면 또는 특징은 도덕성 또는 우유부단함과 같이 적대자로 간주될 수 있다.[5] 이러한 내면적 갈등은 주인공의 성장과 변화를 이끄는 중요한 동기가 된다. 예를 들어, 햄릿햄릿 왕자는 복수심과 우유부단함 사이에서 갈등하며, 이러한 내면적 갈등이 비극을 초래한다.

3. 3. 비인격적인 적대자

반동 인물은 꼭 사람이나 집단일 필요는 없다. 도시를 파괴하는 해일, 혼란을 야기하는 폭풍, 문제의 근본 원인이 되는 특정 지역의 상황 등도 반동 인물이 될 수 있다. 반동 인물은 주인공에게 방해물을 만들 수도 있고, 만들지 않을 수도 있다.[6]

사회적 규범이나 다른 규칙 또한 반동 인물이 될 수 있다.[5]

3. 4. '이번 주의 악역'

특촬 히어로물처럼 매주 다른 게스트가 적역으로 등장하는 악역 패턴으로, 괴인도 이와 관련이 있다.

4. 적대자 디자인 기법

존 트리비는 진정한 적대자는 주인공의 욕망 달성을 방해할 뿐만 아니라, 주인공과 동일한 목표를 두고 경쟁한다고 주장한다.[8] 이러한 경쟁은 이야기 속에서 직접적인 갈등을 유발하고, 긴장감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적대자는 주인공에게 갈등, 장애물, 도전을 설정하는 플롯 장치로 사용된다.[5][7] 비극에서 적대자는 주인공의 주요 문제의 원인이 되거나, 주인공에 대항하는 인물 집단을 이끄는 역할을 한다. 희극에서는 주인공을 코미디 상황에 연루시키는 역할을 한다.[7]

참조

[1] 웹사이트 Antagonist http://contemporaryl[...] About.com, Literature: Contemporary 2007-10-18
[1] 웹사이트 Protagonist and Antagonist definition http://grammarist.co[...] Grammarist 2015-03-25
[1] 웹사이트 Glossary of Literary Terms http://www2.uncp.edu[...] 2015-03-27
[1] 웹사이트 Glossary of Drama Terms http://highered.mhed[...] Online Learning Center 2015-03-27
[1] 웹사이트 Antagonist – Definition for Fiction Writers http://fictionwritin[...] About.com 2015-03-27
[2] 웹사이트 Antagonist http://www.etymonlin[...] Online Etymology Dictionary 2010-11-28
[3] OED antagonist
[4] 간행물 Blurring the Protagonist/Antagonist Binary through a Geopolitics of Peace: Star Trek's Cardassians, Antagonists of the Alpha Quadrant 2017-05
[5] 서적 Creative Writing: A Guide and/or Glossary to Fiction Writing https://books.google[...] Polity Press 2007
[6] 웹사이트 The Elements of Literature http://www.roanestat[...] roanestate.edu 2013-04-29
[7] 서적 Playwriting: The Structure of Action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2005
[8] 서적 The anatomy of story: 22 steps to becoming a master storyteller https://www.worldcat[...] Farrar, Straus and Giroux 20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