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반야월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반야월역은 대구 도시철도 1호선에 있는 지하철역이다. 신라 말 고려의 왕건이 견훤과의 전투에서 패배한 후 도주할 때 밤에 반달이 길을 비춰주었다는 데에서 유래된 이름이다. 1998년 5월 2일 대구 도시철도 1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으며, 상대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인근에는 동구의료복지센터, 대구반야월초등학교, 안심중학교 등이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구 동구의 전철역 - 동대구역
    동대구역은 대구광역시 동구에 위치한 철도역이자 대구 도시철도 1호선 환승역으로, 고속철도 개통과 복합환승센터 개장으로 동남부 지역의 주요 교통 허브 역할을 수행하며 다양한 철도 노선과 도시철도를 이용할 수 있는 곳이다.
  • 대구 동구의 전철역 - 안심역
    안심역은 1998년 대구 도시철도 1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여 2003년 화재 참사로 중단되었다가 재개되었으며, 2014년 부역명 적용, 2016년 스크린도어 설치를 거쳐 2024년 하양 연장 구간 개통으로 중간역이 되었고, 신라 시대 왕건이 안심했다는 데서 유래된 역명과 함께 대구 도시철도 1호선에서 유일하게 섬식 승강장 구조를 갖춘 역이다.
  • 대구 도시철도 1호선의 역 - 하양역
    하양역은 1917년 개업한 경부선(대구선) 철도역으로, 대구 도시철도 1호선 연장 개통으로 환승이 가능해졌으며, 대구선 복선 전철화 공사 완료 후 ITX-마음 등 다양한 열차가 정차하는 동대구역과 영천역을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대구가톨릭대학교 효성캠퍼스 인근에 위치한다.
  • 대구 도시철도 1호선의 역 - 대구역
    대구역은 1905년에 영업을 시작하여 여러 번의 변화를 거쳤으며, 경부선과 대구 도시철도 1호선이 운행하고 2024년 대경선 1단계 구간 개통과 함께 환승역이 될 예정이다.
  • 대구 도시철도 1호선 - 하양역
    하양역은 1917년 개업한 경부선(대구선) 철도역으로, 대구 도시철도 1호선 연장 개통으로 환승이 가능해졌으며, 대구선 복선 전철화 공사 완료 후 ITX-마음 등 다양한 열차가 정차하는 동대구역과 영천역을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대구가톨릭대학교 효성캠퍼스 인근에 위치한다.
  • 대구 도시철도 1호선 - 대구 지하철 화재 참사
    2003년 대구 도시철도 1호선 중앙로역에서 발생한 방화로 인해 192명이 사망하고 151명이 부상당한 대구 지하철 화재 참사는 방화범의 범행, 안전 불감증, 부실한 시설 관리, 미흡한 초기 대응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대한민국 역사상 최악의 지하철 참사로 기록되며 사회 안전망의 취약성을 드러냈다.
반야월역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역 이름반야월역
한자 표기半夜月驛
로마자 표기Banyawollyeok
주소대구광역시 동구 안심로 지하 261 (서호동, 동호동)
4번 출구 (2016년 10월 9일)
4번 출구
승강장 ([[설화명곡역|설화명곡]] 방면)
승강장 (설화명곡 방면)
반야월역 열차시각표
반야월역 열차시각표
운영 정보
운영 기관대구교통공사
노선대구 도시철도 1호선
역 번호144
역사 구조지하역
승강장 구조상대식 2면 2선
개업일1998년 5월 2일
노선 정보
영업 거리설화명곡 기점 26.5 km
이전 역신기
이전 역간 거리1.0 km
다음 역각산
다음 역간 거리1.0 km

2. 역명의 유래

신라 말기, 후백제견훤과 맞붙었던 공산 전투에서 패해 신숭겸 등의 부하들을 잃고 도망치던 고려 왕건에게 한밤중에 떠 있던 반달이 도주로를 비춰줬다고 해서 반야월(半夜月)이라는 이름이 유래되었다. 행정구역상으로는 반야월이 사용되지 않으나, 율하동, 신기동, 안심동, 신서동 등의 지역을 모두 통틀어 '''반야월'''이라 불리고 있다.

3. 역사

대구 도시철도 1호선이 개통되면서 1998년 5월 2일 반야월역 영업이 시작되었고,[1] 2017년 4월 9일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었다.[2]

3. 1. 연혁

4. 역 구조

반야월역은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지하역으로,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승강장 벽면 색상은 보라색이다.

4. 1. 승강장

신기



각산


  • 승강장 번호는 없다.
  • 대합실을 통해 반대편 승강장으로 이동할 수 있다.
  •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지하역이다.

5. 주변 지역

이 역은 대구 도시철도 1호선의 반야월역으로, 대구선 반야월역과는 이름만 같을 뿐 전혀 관계가 없다. 구 대구선 반야월역은 반야월시장 근처에 있었으나, 현재 신서동의 대구선 반야월공원으로 이전되어 반야월 역사 작은도서관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각산역 인근 신서그린빌 아파트 근처에 있다. 반면, 대구 도시철도 1호선 반야월역은 대구광역시 동구 동호동 동호지구 공영차고지 및 천연가스 충전소 근처 반야월네거리에 있다. 한편, 대구 도시철도 1호선 반야월역이 있는 동구 동호동은 대구 도시철도 3호선 차량기지가 들어선 북구 동호동(학정동 근처)과는 다른 곳이다. 시내버스 종점 등과 연계되어 있으나, 동호지구 아파트 단지는 동호동 공영차고지를 가로질러야 나오기 때문에 이용 빈도는 낮은 편이다. 현재 1, 2, 4번 출구에 에스컬레이터가 설치되어 있다.

주변 지역은 다음과 같다.

6. 이용객 변동

이용률이 크게 감소하면서 1호선의 역들 중 두 번째로 승객이 적어졌으나, 2016년에 다시금 이용객이 늘었다.[2][3]

노선승차 인원
1997년1998년1999년2000년2001년2002년2003년2004년2005년2006년2007년2008년2009년2010년2011년2012년2013년2014년2015년2016년2017년
1호선미개통1,6612,480미공개2,4482,5261,3672,3972,3512,6062,5902,7972,6022,5822,6852,5302,1932,1922,2732,508


7. 인접한 역


참조

[1] 웹사이트 반월역 https://terms.naver.[...] 2019-05-31
[2] 웹사이트 대구지하철 승객량 통계 http://www.dtro.or.k[...] 대구도시철도공사 2009-01-30
[3] 웹사이트 대구지하철 승객량 통계 http://www.dtro.or.k[...] 대구도시철도공사 2009-01-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