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반용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반용선은 연세대학교 생명공학과 교수로, 미생물학 분야의 연구자이다. 연세대학교에서 식품생물공학 학사 및 석사 학위를, 오하이오 주립대학교에서 분자 바이러스학, 면역학 및 의학 유전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듀크 대학교 연구원, 숭실대학교 전임강사, 연세대학교 조교수, 부교수를 거쳐 현재 연세대학교 교수로 재직 중이며, 미국미생물학술원 석학회원, 연세대학교 언더우드특훈교수, 생명공학과 학과장을 역임하고 있다. 또한 mBio, mSphere, PLoS ONE, Journal of Microbiology 등 학술지의 편집자로 활동하며, 주요 논문을 발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미생물학자 - 정재웅 (미생물학자)
    정재웅은 서울대학교와 캘리포니아 대학교 데이비스를 졸업하고 하버드 대학교 의과대학 교수를 지낸 대한민국의 미생물학자로, RIG-I, TRIM25, 자가포식 등에 대한 연구로 2012년 호암상 의학상을 수상했다.
  • 연세대학교 생명시스템대학 동문 - 김승찬
    김승찬은 바이오매그네티즘 연구를 통해 대한민국 인재상을 수상하고 암세포 성장 억제 메커니즘 규명 및 신경 세포 재생 연구에 기여한 대한민국의 생물학자이다.
  • 대한민국의 생물학자 - 우장춘
    우장춘은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기를 거치며 한국 농업 발전에 기여한 농학자로, '종의 합성' 이론을 제창하고 한국농업과학연구소를 설립하여 종자 개발과 품종 개량에 전념했으며, "한국 근대 농업의 아버지"로 불린다.
  • 대한민국의 생물학자 - 박상대
    박상대는 대한민국의 분자세포생물학자로서, 국내 분자생물학 발전에 기여하고 한국분자생물학회 설립 및 학술지 창간을 주도했으며, 서울대학교 교수 및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회장 등을 역임하고 2024년 별세했다.
반용선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반용선 (2010)
반용선 (2010)
출생일1970년
국적대한민국
분야병원성 진균미생물학
진균 분자생물학
유전/유전체학
소속연세대학교 생명공학과 교수
연세대학교 언더우드특훈교수
미국미생물학술원 (American Academy of Microbiology) 석학회원
학력오하이오 주립 대학교 분자바이러스학, 면역학 및 의학유전학과 박사

2. 학력

2. 1. 학사

반용선은 1995년 연세대학교 식품생물공학과를 졸업하고 공학사 학위를 취득했다.

2. 2. 석사

반용선은 연세대학교 식품생물공학과에서 1997년에 석사 학위를 받았다.

2. 3. 박사

반용선은 The Ohio State University Department of Molecular Virology, Immunology and Medical Genetics, College of Medicine에서 박사(PhD) 학위를 취득했다.

3. 경력

반용선은 2003년부터 2006년까지 듀크 대학교 분자유전학 및 미생물학과에서 연구원으로 재직했다. 2006년부터 2008년까지 숭실대학교 생명정보학과 전임강사를 역임했고, 2008년부터 연세대학교 생명공학과 조교수로 재직했다. 2011년부터 2015년까지 연세대학교 생명공학과 부교수를 역임했으며, 2014년에는 Duke University 방문교수로 재직했다. 2016년부터 현재까지 연세대학교 생명공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2018년부터 2021년까지 연세대학교 바이오산업공학협동과정 주임교수를 역임했다. 2019년부터 현재까지 미국미생물학술원(American Academy of Microbiology) 석학회원으로 활동 중이다. 2020년부터 2021년까지 연세대학교 기술지주회사 부사장 및 산학협력단 부단장을 역임했고, 2021년부터 현재까지 연세대학교 언더우드특훈교수(Underwood Distinguished Professor)로 재직 중이다. 2022년부터 현재까지 연세대학교 생명공학과 학과장을 맡고 있다.

4. 학술 활동

반용선은 2017년부터 현재까지 미국미생물학회에서 발행하는 mBio의 편집자를 맡고 있다. 2016년부터 현재까지는 미국미생물학회에서 발행하는 mSphere의 편집자를 맡고 있으며, 2006년부터 현재까지 PLoS ONE의 Academic Editor를 맡고 있다. 2015년부터 현재까지 Journal of Microbiology의 편집자로도 활동 중이다.

2015년부터 2016년까지는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의 Deputy/Section Editor를 역임했다. 2015년에는 미국미생물학회에서 발행하는 Eukaryotic Cell의 편집자를 맡았다. 2013년부터 2015년까지는 한국균학회 영문지 Mycobiology의 편집위원장(Editor-in-Chief)을 역임했다. 2010년부터 2014년까지는 Eukaryotic Cell (미국미생물학회 발행)의 편집 위원(Editorial board member)이었다.

2008년부터 2012년까지는 한국균학회 영문지 Mycobiology의 편집간사로 활동했다. 2006년부터 2008년까지는 한국생화학분자생물학회 영문지 (BMB Reports)와 한국식품과학회 국문지의 편집위원을 역임했다.

4. 1. 편집 위원

반용선은 2017년부터 현재까지 미국미생물학회에서 발행하는 mBio의 편집자를 맡고 있다. 2016년부터 현재까지는 미국미생물학회에서 발행하는 mSphere의 편집자를 맡고 있으며, 2006년부터 현재까지 PLoS ONE의 Academic Editor를 맡고 있다. 2015년부터 현재까지 Journal of Microbiology의 편집자로도 활동 중이다.

2015년부터 2016년까지는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의 Deputy/Section Editor를 역임했다. 2015년에는 미국미생물학회에서 발행하는 Eukaryotic Cell의 편집자를 맡았다. 2013년부터 2015년까지는 한국균학회 영문지 Mycobiology의 편집위원장(Editor-in-Chief)을 역임했다. 2010년부터 2014년까지는 Eukaryotic Cell (미국미생물학회 발행)의 편집 위원(Editorial board member)이었다.

2008년부터 2012년까지는 한국균학회 영문지 Mycobiology의 편집간사로 활동했다. 2006년부터 2008년까지는 한국생화학분자생물학회 영문지 (BMB Reports)와 한국식품과학회 국문지의 편집위원을 역임했다.

5. 주요 발표 논문

본 논문 리스트는 발행년도 기준 Impact Factor (IF) 9 이상 논문만을 기재한다.


  • Lee, Seung-Heon, et al. "Adenylyl-Sulfate Kinase (Met14)-Dependent Cysteine and Methionine Biosynthesis Pathways Contribute Distinctively to Pathobiological Processes in Cryptococcus neoformans." ''Microbiology Spectrum'' (2023): e00685-23.
  • Jang, Eun-Ha, et al. "Unraveling Capsule Biosynthesis and Signaling Networks in Cryptococcus neoformans." ''Microbiology Spectrum'' 10.6 (2022): e02866-22.
  • Jung, Kwang-Woo, et al. "Essential Roles of Ribonucleotide Reductases under DNA Damage and Replication Stresses in Cryptococcus neoformans." ''Microbiology spectrum'' 10.4 (2022): e01044-22.
  • Kim, Jin, et al. "Fungal brain infection modelled in a human-neurovascular-unit-on-a-chip with a functional blood–brain barrier." ''Nature biomedical engineering'' 5.8 (2021): 830-846.
  • Jin, Jae-Hyung, et al. "Genome-wide functional analysis of phosphatases in the pathogenic fungus Cryptococcus neoformans." ''Nature communications'' 11.1 (2020): 4212.
  • Lee, Kyung-Tae, et al. "Fungal kinases and transcription factors regulating brain infection in Cryptococcus neoformans." ''Nature communications'' 11.1 (2020): 1521.
  • Lee, Kyung-Tae, et al. "Systematic functional analysis of kinases in the fungal pathogen Cryptococcus neoformans." ''Nature communications'' 7.1 (2016): 12766.
  • Shekhar-Guturja, Tanvi, et al. "Dual action antifungal small molecule modulates multidrug efflux and TOR signaling." ''Nature chemical biology'' 12.10 (2016): 867-875.
  • Jung, Kwang-Woo, et al. "Systematic functional profiling of transcription factor networks in Cryptococcus neoformans." ''Nature communications'' 6.1 (2015): 6757.
  • Bahn, Yong-Sun, et al. "Sensing the environment: lessons from fungi." ''Nature Reviews Microbiology'' 5.1 (2007): 57-69.
  • Bahn, Yong-Sun, et al. "Carbonic anhydrase and CO2 sensing during Cryptococcus neoformans growth, differentiation, and virulence." ''Current Biology'' 15.22 (2005): 2013-20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