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반탁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반탁점은 일본어 표기에서 사용되는 기호로, 주로 하행 가나에 붙어 발음을 나타낸다. 포르투갈 선교사들에 의해 기리시탄 문헌에 처음 도입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청음을 나타내는 불탁점에서 파생되었거나 탁점을 반으로 줄인 것으로 여겨진다. 현대 일본어 정서법에서는 하행 가나에만 사용되며, 국어학 및 일본어 교육 분야에서는 이음을 명시하는 용도로도 사용된다. 아이누어 및 류큐 제어의 일부 언어 표기에도 사용되며, 유니코드에 등록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문장 부호 - 트레마
    트레마(다이어리시스)는 문자 위에 두 점( ̈ )으로 표기하는 분음 기호로, 모음 분리나 발음 구별을 위해 사용되며, 다양한 언어에서 그 용법을 찾아볼 수 있다.
  • 문장 부호 - 마침표
    마침표는 문장의 끝을 나타내는 문장 부호로, 고대 그리스에서 유래하여 시대와 언어에 따라 변화해 왔으며, 현대에는 문장 부호 외에도 소수점 구분, 파일 확장자 구분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된다.
  • 가나 (문자) - 히라가나
    히라가나는 일본어 표기 문자 중 하나로, 한자의 초서에서 유래된 음절 문자이며, 48개의 기본 문자와 청음, 탁음, 반탁음, 요음 등으로 확장되어 일본 고유어 표기나 한자 표기가 어려운 단어 대체, 그리고 부드러운 이미지 연출에 사용된다.
  • 가나 (문자) - 가타카나
    가타카나는 일본어 표기에 사용되는 문자 체계 중 하나로, 한자의 일부를 간략화하여 불경 훈독을 위해 만들어졌으며, 외래어, 의성어, 의태어, 학술 용어 등을 표기하는 데 사용된다.
  • 언어에 관한 - 네팔어
    네팔어는 데바나가리 문자로 표기되며, 산스크리트어와 프라크리트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10세기에서 14세기 사이에 나타나, 20세기 이후 표준화 과정을 거쳐 현대 네팔어로 자리 잡았으며, 인도 내 네팔어 사용자들의 권익 신장에 기여했다.
  • 언어에 관한 - 슬로바키아어
    슬로바키아어는 슬로바키아의 공용어이자 약 500만 명이 사용하는 서슬라브어군 언어로, 라틴 문자 기반의 고유한 문자를 사용하며 체코어와 유사하고 폴란드어 등 다른 슬라브어와도 연관성을 가진다.
반탁점
문자 정보
명칭반탁점
다른 이름반탁음
일본어 명칭半濁点 (한다쿠텐)
기호◌゚
설명일본어 가나 문자에 추가되는 다이어크리틱 부호 중 하나이다.
용도
가나 문자히라가나/가타카나의 'は행'(하행) 글자에 붙어 'ぱ행'(파행) 글자를 나타낸다.
예: は → ぱ (ha → pa)
음성학무성 양순 파열음([p])을 나타낸다.
기타
사용 빈도일본어에서 탁점(゛)보다 사용 빈도가 낮다.
유니코드U+309A (Combining Katakana-Hiragana Semi-Voiced Sound Mark)

2. 기원

반탁점의 기원은 명확하지 않지만, 포르투갈 선교사들에 의해 기리시탄 문헌에 도입된 것이 처음으로 알려져 있다. 원래 (현대의 파행 자음)이었던 하행 자음이 와 로 분화하면서 표기 분화의 필요성이 생겼다. 청음을 나타내는 불탁점에서 파생되었거나, 탁점을 반으로 줄인 것으로 여겨진다.

3. 용법

현대 일본어 정서법인 현대 가나 표기법에서는 하행 가나에 대해서만 반탁음을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국어학 및 일본어 교육 분야에서는 이음을 명시하는 용도로도 사용된다. 카゚키゚쿠゚케゚코゚로 ɡ의 이음인 비탁음 ŋ을 나타내는 것이 대표적이며, 이 소리는 현재의 비탁음이라는 분류가 정착되기 전에는 반탁음으로 여겨지기도 했다. 이 외에도 현재는 폐지되었지만 우゚로 우의 이음을 나타내는 용법도 있다. 이것들은 예를 들어 「카카゚미」나 「우゚마이」와 같이 발음 기호로만 사용하며, 정서법의 일부는 아니다.

몇몇 문자가 아이누어의 가나 표기에 사용된다. 류큐 제어 중 몇몇 언어에서도 사용하는 표기법이 있다.

4. 사용 예시

반탁점은 일반적으로 행의 , , , , 처럼 반탁음을 나타낼 때 사용한다.

국어학이나 일본어 교육 분야에서는 이음을 명시하기 위해 반탁점을 사용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카゚, 키゚, 쿠゚, 케゚, 코゚는 ɡ의 이음인 비탁음 ŋ을 나타낸다. 과거에는 우゚로 우의 이음을 나타내는 용법도 있었으나 현재는 폐지되었다. 이러한 표기는 발음 기호로만 사용되며, 정서법의 일부는 아니다.

아이누어와 류큐 제어의 일부 언어에서도 반탁점 문자를 사용한 표기법이 있다.


  • カ゚, キ゚, ク゚, ケ゚, コ゚ - 비탁음 ŋ
  • ㇷ゚ (작은 가나) - 주로 아이누어에서 음절 마지막의 p
  • ウ゚ - 「어두 비음 음절」화된 이음


성우 양성소에서는 수강생 교육 과정에서 일반적인 대화나 문장에서는 사용되지 않는 반탁점 부착 문자를 발음시키는 교육을 하기도 한다.

과거에는 다음과 같은 용법도 있었다.

  • 사゜|사゜일본어 - 에도 시대 에도 말의 "차" (주로 당음 자료에서 사용)
  • 세゜|세゜일본어 - 에도 시대에 당음이나 아이누어의 "체" 음 (히라가나 "세゜" 표기도 존재)
  • 츠゜, 토゜|츠゜, 토゜일본어 - 오래된 문헌에서 아이누어의 발음 "투"
  • 라゜, 리゜, 루゜, 레゜, 로゜|라゜, 리゜, 루゜, 레゜, 로゜일본어 - 메이지 시대에 외래어의 라행 음 중 L음에서 유래한 것을 R음에서 유래한 것과 구별하기 위해 사용

4. 1. 일반적인 용법

, , , , 반탁음을 나타낸다.

4. 2. 특수한 용법

국어학이나 일본어 교육 분야에서는 이음을 명시하는 용도로 반탁점이 사용된다. 예를 들어 카゚, 키゚, 쿠゚, 케゚, 코゚는 ɡ의 이음인 비탁음 ŋ을 나타낸다. 이 소리는 비탁음이라는 분류가 정착되기 전에는 반탁음으로 여겨지기도 했다. 현재는 폐지되었지만 우゚로 우의 이음을 나타내는 용법도 있었다. 이러한 표기는 「카゚미」나 「우゚마이」와 같이 발음 기호로만 사용되며, 정서법의 일부는 아니다.

아이누어의 가나 표기에도 몇몇 반탁점 문자가 사용된다. 류큐 제어 중 몇몇 언어에서도 사용하는 표기법이 있다.

국어학 및 아이누어 표기에서 사용되는 반탁점의 예는 다음과 같다.

  • カ゚, キ゚, ク゚, ケ゚, コ゚ - 비탁음 ŋ을 나타낸다.
  • ㇷ゚ (작은 가나) - 주로 아이누어의 가나 표기에서 음절의 마지막에 놓인 p를 나타낸다.
  • ウ゚ - 「어두 비음 음절」화된 이음을 나타낸다.


성우 양성소에서는 데뷔 전 교육 기간 중인 수강생에게 어떤 발음도 할 수 있도록 일반적인 대화나 문장에서는 사용되지 않는 반탁점 부착 문자를 발음시키는 교육을 한다.

4. 3. 과거 용법


  • 사゜|사゜일본어 - 에도 시대 에도 말의 "차"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었다. 가타카나 "사゜"는 주로 당음 자료에서 사용되었다.
  • 세゜|세゜일본어 - 에도 시대에 당음이나 아이누어의 "체" 음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었다. 에도 말의 "체"를 히라가나 "세゜"로 표기한 예도 있다.
  • 츠゜, 토゜|츠゜, 토゜일본어 - 주로 오래된 문헌에서 사용되었으며, 두 글자 모두 아이누어의 발음 "투"를 나타낸다.
  • 라゜, 리゜, 루゜, 레゜, 로゜|라゜, 리゜, 루゜, 레゜, 로゜일본어 - 메이지 시대에 일부 사용되었다. 외래어의 라행 음 중 L음에서 유래한 것을 R음에서 유래한 것과 구별하기 위해 전자에 반탁점을 붙인 것이다.

5. 유니코드

기호유니코드JIS X 0213문자 참조명칭
U+309C1-1-12゜반탁점
U+FF9F1-1-12゚반탁점(반각)



※ 그 외 U+302B 및 U+302C도 반탁점과 유사한 글자 모양을 가지고 있지만, 이들은 중국어용 성조 부호이다.

6. 기타 부호

점자로는 -----●, 모스 신호로는 ・・--・로 표현한다. 수기 신호로는

(제14원화)이다.[1]

기호유니코드JIS X 0213문자 참조명칭
12444309C1-1-12반탁점[1]
12442309A-반탁점(결합 문자)[1]
65439FF9F1-1-12반탁점(반각)[1]



※ 그 외 302B 및 302C도 반탁점과 유사한 글자 모양을 가지고 있지만, 이들은 중국어용 성조 부호이다.[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