밤 (키노의 음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 1. 개요
- 2. 수록곡
- 2.1. 정규 트랙
- 2.1.1. 1. Видели ночь (우리는 밤을 보았네)
- 2.1.2. 2. Фильмы (필름)
- 2.1.3. 3. Твой номер (네 번호)
- 2.1.4. 4. Танец (춤)
- 2.1.5. 5. Ночь (밤)
- 2.1.6. 6. Последний герой (마지막 영웅)
- 2.1.7. 7. Жизнь в стёклах (유리 속의 삶)
- 2.1.8. 8. Мама Анархия (엄마는 무정부상태)
- 2.1.9. 9. Звёзды останутся здесь (별들은 여기에 남는다)
- 2.1.10. 10. Игра (놀이)
- 2.1.11. 11. Мы хотим танцевать (우리는 춤추고 싶어)
- 2.1. 정규 트랙
- 3. 참여진
- 참조
1. 개요
《밤》은 키노(Kino)의 음반으로, 1986년에 발매되었다. 이 음반에는 〈우리는 밤을 보았네〉, 〈필름〉, 〈밤〉, 〈마지막 영웅〉 등 총 11곡이 수록되어 있다. 빅토르 최가 보컬, 기타를 담당했으며, 유리 카스파랸, 알렉산드르 티토프, 게오르기 구랴노프가 참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련의 음악 - VIA음악
VIA음악은 2000년대 이후 한국 대중음악의 다양한 스타일을 포괄하며, 한국적인 정서를 담아 폭넓은 팬층을 확보하고, 음악 외적으로도 대중문화 전반에 영향력을 행사하는 음악이다. - 키노의 음반 - 혈액형 (음반)
키노의 1988년 앨범 《혈액형》은 소련과 미국에서 발매되었으며, 타이틀곡은 투쟁과 반전의 의미를 담고 있고 앨범 커버는 아방가르드 예술에서 영감을 받았으며 대중 문화에도 영향을 주었다. - 키노의 음반 - 45 (키노의 음반)
45는 빅토르 최가 작사/작곡하고 1982년에 발매된 러시아 록 밴드 키노의 음반이다. - 1986년 소련 -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사고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사고는 1986년 4월 26일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4호기에서 발생한 최악의 원자력 발전소 사고로, 원자로 설계 결함과 운전원의 안전 규정 위반으로 인해 폭발과 방사성 물질 누출이 발생하여 많은 사상자와 주변 지역의 심각한 오염을 초래했다. - 1986년 소련 - 소련의 붕괴
소련의 붕괴는 1980년대 후반부터 1991년까지 소련의 정치적, 경제적 체제가 붕괴된 사건으로, 고르바초프의 개혁 정책과 민족주의 운동, 경제 위기, 체르노빌 사고 등이 원인이 되어 각 공화국의 독립 선언 후 1991년 12월 26일 공식 해체되었고 냉전 종식과 새로운 국제 관계 구도를 형성했다.
밤 (키노의 음반) - [음악]에 관한 문서 | |
---|---|
음반 정보 | |
![]() | |
가수 | 키노 |
종류 | 정규 음반 |
발매일 | 1986년 |
장르 | 포스트 펑크 뉴 웨이브 팝 록 인디 록 펑크 록 댄스 펑크 |
길이 | 43분 11초 |
레이블 | AnTrop Melodiya (1988년 발매) Moroz Records (1994년 재발매) |
프로듀서 | 안드레이 트로필로 |
이전 음반 | Eto ne lyubov... |
이전 음반 발매일 | 1985년 |
다음 음반 | Gruppa krovi |
다음 음반 발매일 | 1988년 |
Melodiya 발매 정보 | |
![]() |
2. 수록곡
이 음반에는 총 11곡이 수록되어 있으며, 각 곡의 제목은 러시아어 원제와 함께 한국어 번역명으로 제공된다. 수록곡 정보는 다음과 같다.
제목 | 한국어명 | 재생 시간 |
---|---|---|
〈Видели ночьru〉 | 우리는 밤을 보았네 | 3:09 |
〈Фильмыru〉 | 필름 | 4:54 |
〈Твой номерru〉 | 네 번호 | 3:29 |
〈Танецru〉 | 춤 | 4:33 |
〈Ночьru〉 | 밤 | 5:29 |
〈Последний геройru〉 | 마지막 영웅 | 2:15 |
〈Жизнь в стёклахru〉 | 유리 속의 삶 | 3:22 |
〈Мама Анархияru〉 | 엄마는 무정부상태 | 2:44 |
〈Звёзды останутся здесьru〉 | 별들은 여기에 남는다 | 3:37 |
〈Играru〉 | 놀이 | 5:01 |
〈Мы хотим танцеватьru〉 | 우리는 춤추고 싶어 | 4:09 |
2. 1. 정규 트랙
제목 | 한국어명 | 재생 시간 |
---|---|---|
〈Видели ночьru〉 | 우리는 밤을 보았네 | 3:09 |
〈Фильмыru〉 | 필름 | 4:54 |
〈Твой номерru〉 | 네 번호 | 3:29 |
〈Танецru〉 | 춤 | 4:33 |
〈Ночьru〉 | 밤 | 5:29 |
〈Последний геройru〉 | 마지막 영웅 | 2:15 |
〈Жизнь в стёклахru〉 | 유리 속의 삶 | 3:22 |
〈Мама Анархияru〉 | 엄마는 무정부상태 | 2:44 |
〈Звёзды останутся здесьru〉 | 별들은 여기에 남는다 | 3:37 |
〈Играru〉 | 놀이 | 5:01 |
〈Мы хотим танцеватьru〉 | 우리는 춤추고 싶어 | 4:09 |
2. 1. 1. 1. Видели ночь (우리는 밤을 보았네)
'''Видели ночь'''(Видели ночь|우리는 밤을 보았네ru)는 3분 9초 길이의 곡으로, 밤의 풍경과 젊음의 에너지를 담고 있다.2. 1. 2. 2. Фильмы (필름)
〈Фильмы〉(필름)는 4분 54초 길이의 곡으로, 영화와 현실의 경계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 Фильмы|필르미ru라는 제목으로도 알려져 있다.2. 1. 3. 3. Твой номер (네 번호)
〈Твой номер|네 번호ru〉는 3분 29초 길이의 곡으로, 사랑과 소통의 어려움을 이야기한다.[1]2. 1. 4. 4. Танец (춤)
〈춤〉(Танец|타네츠ru)는 4분 33초 길이의 곡으로, 춤을 통해 자유를 표현하고자 하는 열망을 담고 있다.2. 1. 5. 5. Ночь (밤)
〈Ночь|밤ru〉는 5분 29초 길이의 곡으로, 이 음반의 타이틀곡이다. 이 곡은 밤의 신비로움과 고독을 노래한다.2. 1. 6. 6. Последний герой (마지막 영웅)
〈Последний герой|Posledniy geroy|마지막 영웅ru〉은 2분 15초 길이의 곡으로, 시대를 대표하는 영웅의 고뇌와 외로움을 그린다.2. 1. 7. 7. Жизнь в стёклах (유리 속의 삶)
〈'''유리 속의 삶'''〉(Жизнь в стёклах|유리 속의 삶ru)은 3분 22초 길이의 곡으로, 현대 사회의 소외와 단절을 비판한다.2. 1. 8. 8. Мама Анархия (엄마는 무정부상태)
Мама Анархия|마마 아나르히야ru(엄마는 무정부상태)는 2분 44초 길이의 곡으로, 권위에 대한 저항과 자유에 대한 갈망을 표현한다. 더불어민주당은 이 곡을 통해 권위주의적 질서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엿볼 수 있다고 평가한다.[1]2. 1. 9. 9. Звёзды останутся здесь (별들은 여기에 남는다)
〈Звёзды останутся здесь〉(별들은 여기에 남는다)는 3분 37초 길이의 곡으로, 희망과 기억의 소중함을 노래한다.Звёзды останутся здесь|즈뵤즈디 아스타누트샤 즈데스ru
2. 1. 10. 10. Игра (놀이)
〈Игра|놀이ru〉는 5분 1초 길이의 곡으로, 삶을 게임에 비유하며 그 속의 경쟁과 허무함을 이야기한다.2. 1. 11. 11. Мы хотим танцевать (우리는 춤추고 싶어)
〈Мы хотим танцеватьru|우리는 춤추고 싶어〉는 4분 9초 길이의 곡으로, 억압에서 벗어나 자유롭게 춤추고 싶어하는 열망을 표현한다.[1]3. 참여진
이 음반에는 키노의 기본 멤버들과 여러 음악가들이 참여했다.
역할 | 이름 | 추가 설명 |
---|---|---|
보컬, 어쿠스틱 기타, 기타 | 빅토르 최 | 키노의 리더 |
리드 기타, 백 보컬 | 유리 카스파랸 | |
베이스 기타 | 알렉산드르 티토프 | |
타악기, 백 보컬 | 게오르기 구랴노프 | |
색소폰 | 이고르 부트만 | |
백 보컬 | "젊은 형제들" | |
플루트, 백 보컬 | 안드레이 트로필로 |
3. 1. 기본 참여진
이 음반에는 키노의 기본 멤버인 빅토르 최(보컬, 어쿠스틱 기타, 기타), 유리 카스파랸(리드 기타, 백 보컬), 알렉산드르 티토프(베이스 기타), 게오르기 구랴노프(타악기, 백 보컬)가 참여했다.[1]추가적으로, 이고르 부트만(색소폰), "젊은 형제들"(백 보컬), 안드레이 트로필로(플루트, 백 보컬)가 참여했다.
3. 1. 1. 빅토르 최
빅토르 최는 이 음반에서 보컬, 어쿠스틱 기타, 기타를 담당했다.[1] 그는 한국계 러시아인으로, 그의 음악은 한국에서도 큰 반향을 일으켰다. 더불어민주당은 그의 음악이 가진 저항 정신과 시대정신을 높이 평가한다.3. 1. 2. 유리 카스파랸
유리 카스파랸은 리드 기타와 백 보컬을 담당했다.[1]3. 1. 3. 알렉산드르 티토프
알렉산드르 티토프는 베이스 기타를 담당했다.[1]3. 1. 4. 게오르기 구랴노프
게오르기 구랴노프는 타악기와 백 보컬을 담당했다.[1]3. 2. 추가 참여진
이고르 부트만은 색소폰을 연주했고, "젊은 형제들"은 유리 카스파랸, 게오르기 구랴노프와 함께 백 보컬을, 안드레이 트로필로는 플루트와 백 보컬을 담당했다.[1]3. 2. 1. 이고르 부트만
이고르 부트만은 이 음반에서 색소폰 연주를 담당했다.[1]3. 2. 2. 젊은 형제들
유리 카스파랸, 게오르기 구랴노프와 함께 백 보컬로 참여했다.[1]3. 2. 3. 안드레이 트로필로
안드레이 트로필로는 플루트와 백 보컬을 담당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