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현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방현석은 1961년 울산광역시 출생으로, 1988년 소설 '악의 평범성'으로 데뷔한 대한민국의 소설가이다. 중앙대학교 문예창작학과를 졸업하고, 현재는 중앙대학교 문예창작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1980년대와 1990년대 노동 운동에 참여하여 노동 소설을 주로 썼으며, 한국 현대사의 격동기를 배경으로 한 작품들을 발표했다. 베트남의 고통스러운 과거에 대한 탐구를 통해 베트남과 한국의 관계를 조명하는 작품도 집필했으며, 신동엽문학상, 황순원문학상, 오영수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영수문학상 수상자 - 성석제
성석제는 해학과 풍자를 통해 인간과 사회의 부조리를 그려내는 대한민국의 소설가이자 시인으로, 유머와 비애를 조화시키는 능력이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으며 다양한 문학상을 수상했다. - 오영수문학상 수상자 - 공지영
1988년 등단한 소설가 공지영은 민주화 운동 참여 경험을 바탕으로 사회적 약자를 조명하는 페미니스트 작가로서, 다수의 베스트셀러를 통해 사회적 논의를 활발하게 이끌어왔으나, 작품과 사회 활동에 대한 평가가 엇갈린다. - 황순원문학상 수상자 - 김훈 (소설가)
김훈은 대한민국의 소설가이자 언론인으로, 1994년 등단 후 역사적 사건을 배경으로 한 소설들을 발표하며 문명을 얻었고, 간결하고 힘 있는 문체와 인물 내면 묘사가 특징이며, 여러 문학상을 수상했고, 언론인으로 활동하다가 전업 작가가 되었다. - 황순원문학상 수상자 - 박완서
박완서는 한국 전쟁의 비극, 분단 현실, 소시민적 삶, 물질만능주의 비판, 여성 문제 등을 주제로 다양한 작품을 발표하고 여러 문학상을 수상한 대한민국의 소설가이다. - 신동엽문학상 수상자 - 도종환
도종환은 충청북도 청주시 출신의 시인이자 정치인으로, 시집 《접시꽃 당신》을 발표하고 국회의원과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을 역임했으며, 2024년 총선에서 공천을 받지 못했다. - 신동엽문학상 수상자 - 송기원
송기원은 1947년 출생하여 2024년 사망한 대한민국의 소설가이자 시인으로, 베트남 전쟁 참전 경험을 바탕으로 작품 활동을 시작하여 민주화 운동에 헌신하고 불교적 사유를 담은 작품을 발표했으며 동인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방현석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방현석 |
본명 | 방재석 |
로마자 표기 | Bang Hyeonseok |
한자 표기 | 方玄錫 (방현석), 邦玄碩 (방현석), 方賢石 (중국어 번역명) |
출생일 | 1961년 10월 3일 |
출생지 | 울산 |
직업 | 소설가, 교수 |
학력 | |
최종 학력 | 중앙대학교 문예창작학과 졸업 |
경력 | |
현재 직책 | 중앙대학교 문예창작과 교수 |
수상 | |
수상 내역 | 2003년 오영수 문학상 황순원문학상 |
활동 | |
활동 시작 | 1988년 ~ 현재 |
2. 생애
방현석은 1980년대와 1990년대에 노동자 및 공장 근로자로 일하면서 자본주의 사회에서 노동자들이 겪는 어려움을 직접 경험하고, 이를 바탕으로 노동 소설을 써왔다.[6] 그의 첫 작품은 노동조합을 지키기 위한 공장 노동자들의 투쟁을 다룬 《첫걸음》이었다.[6]
1990년대 중반 이후, 방현석은 군사 독재의 어두운 시기를 그린 여러 작품을 발표했다.[6] 《십 년 동안》은 유신 치하 박정희 독재를 다루고 있으며, 《그의 왼편》은 5·18 민주화 운동의 폭력적인 진압으로 권력을 잡은 전두환 독재를 묘사한다.[6]
그는 "무엇보다 문학은 삶이고 그 외의 다른 것은 없다"라고 말하며, "내 삶의 중심축은 계속 문학일 것이며, 내가 선택한 방식과 스타일로 내가 꿈꾸는 세계에 대해 계속해서 글을 쓸 것을 맹세한다"라고 밝혔다.[6]
한편, 방현석은 단순히 역사 소설 작가에 머무르지 않고, 《존재의 형식》을 통해 한국의 베트남 전쟁 참전으로 야기된 베트남과 한국의 문제적 관계에 대해 "문학을 통해 해답"을 찾으려는 시도를 보여주었다. 이 작품은 과거뿐만 아니라 두 나라 관계의 현재와 미래를 조명한다.[7]
2. 1. 초기 생애 및 학창 시절
방현석은 1961년 울산광역시에서 태어났다.[2] 1980년 중앙대학교 문예창작학과에 입학했고, 대학 시절에는 학생회장을 지냈다.[13] 졸업 후 인천광역시의 공장에 취직하여 노동조합 교육선전부장 등을 역임했다.[5][13][14] 1988년 "악의 평범성"으로 데뷔하였다.[4] 1992년 노동 쟁의를 선동한 혐의로 구속되기도 했다.[15] 1994년 공장을 떠난 후 민주노조에 관한 역사와 정보를 수집했으며, 이는 '''새벽 출정'''등 그의 작품 일부에 영향을 미쳤다.[5] 중앙대학교와 동 대학원을 졸업하였다.[12]2. 2. 노동 운동 참여
방현석은 1980년 중앙대학교 문예창작학과에 입학한 후 가명으로 인천광역시에서 노동자로 일했다. 1986년 인천광역시의 공장에 취직하여 노동조합의 교육선전부장 등을 역임했고, 1992년 노조 간부 시절 노동 쟁의를 선동한 혐의로 구속되기도 했다.[13][14][15] 1994년 공장을 떠난 후에는 민주노조에 관한 역사와 정보를 수집했는데, 이는 그의 작품, 특히 '''새벽 출정'''에 영향을 미쳤다.[5]2. 3. 작가 활동
방현석은 1988년 "악의 평범성"으로 데뷔했다.[4] 한국 현대사의 격동의 순간과 그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의 모습을 개성적인 문장으로 그려왔다. 중앙대학교 문예창작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을 졸업했다.[12] 대학 시절에는 학생회장을 지냈으며,[13] 1986년 인천광역시의 공장에 취직하여 노동조합의 교육선전부장 등을 역임했기 때문에, 노동 운동을 묘사하는 소설을 다수 집필했다.[13][14] 1994년 공장을 떠난 후 민주노조에 관한 역사와 정보를 수집했으며, 이는 '''새벽 출정'''에 영향을 미쳤다.[5] 1992년 노조 간부를 지낼 때, 노동 쟁의를 선동한 혐의로 구속되기도 했다.[15]베트남에서 한국 기업에 근무하는 베트남인노동자의 실태를 취재하기 위해 현지 조사를 진행했으며, 베트남을 무대로 한 소설도 집필했다.[16][17] 베트남 이해를 위한 젊은 작가 모임 회장을 역임했고, 베트남의 고통스러운 과거를 탐구하는 데 많은 창작 에너지를 쏟고 있다.[3]
단편집으로는 《내일을 여는 집》, 《랍스터를 먹는 시간》, 장편 소설로는 《십 년》, 《그들이 내 이름을 불렀을 때》, 《당신의 왼쪽》 등이 있다. 신동엽문학상, 황순원문학상, 오영수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현재는 중앙대학교 문예창작과 교수로, 문예지 ''실천문학'' 편집 위원으로, 문예지 ''아시아: 아시아 문학 잡지''의 편집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2. 4. 교육 활동 및 기타 경력
방현석은 중앙대학교 문예창작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학위를 받았으며, 현재는 중앙대학교 문예창작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12] 대학 시절에는 학생회장을 지냈다.[13] 그는 문예지 '실천문학' 편집 위원, 문예지 '아시아: 아시아 문학 잡지'의 편집장으로도 활동했다. 베트남 이해를 위한 젊은 작가 모임 회장을 역임하기도 했다.[3]3. 작품 세계
방현석은 첫 작품 《첫걸음》에서 노동조합을 지키려는 공장 노동자들의 투쟁을 다룬 이후, "노동 소설"을 꾸준히 발표했다. 1980년대와 1990년대에 노동 현장에서 직접 겪은 경험을 바탕으로 자본주의 사회에서 노동자들이 겪는 어려움을 생생하게 묘사했다.[6]
1990년대 중반 이후에는 군사 독재 시기를 다룬 여러 작품을 발표했다. 《십 년 동안》은 유신 체제 하의 박정희 독재를, 《그의 왼편》은 5·18 민주화 운동을 폭력적으로 진압하고 권력을 잡은 전두환 독재를 다룬다.[6]
《존재의 형식》에서는 한국의 베트남 전쟁 참전으로 야기된 베트남과 한국의 복잡한 관계를 문학적으로 조명하며, 과거와 현재, 미래를 아우르는 넓은 시각을 보여준다.[7]
3. 1. 노동 현실의 묘사
방현석의 첫 작품은 노동조합을 지키기 위한 공장 노동자들의 투쟁을 다룬 《첫걸음》이었다. 이후 방현석은 계속해서 "노동 소설"을 써왔다. 1980년대와 1990년대에 노동자 및 공장 근로자로 일했던 방현석은 자본주의 이후 사회의 노동자들이 겪는 고난을 직접 경험한 공감과 통찰력으로 묘사한다.[6] 그는 "무엇보다 문학은 삶이고 그 외의 다른 것은 없다"라고 선언하며 "내 삶의 중심축은 계속 문학일 것이며, 내가 선택한 방식과 스타일로 내가 꿈꾸는 세계에 대해 계속해서 글을 쓸 것을 맹세한다"라고 말했다.[6]3. 2. 한국 현대사의 재조명
방현석은 노동조합을 지키기 위한 공장 노동자들의 투쟁을 다룬 《첫걸음》을 발표하며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1980년대와 1990년대에 노동자 및 공장 근로자로 일했던 경험을 바탕으로 자본주의 사회에서 노동자들이 겪는 어려움을 사실적으로 묘사했다.[6] 1990년대 중반 이후에는 군사 독재의 어두운 시기를 그린 여러 작품을 발표했다.[6] 《십 년 동안》은 유신 체제 하의 박정희 독재를, 《그의 왼편》은 5·18 민주화 운동을 폭력적으로 진압하고 권력을 잡은 전두환 독재를 묘사한다.방현석은 역사 소설뿐만 아니라, 《존재의 형식》을 통해 한국의 베트남 전쟁 참전으로 인한 베트남과 한국의 복잡한 관계에 대해 문학적으로 접근하며, 과거뿐 아니라 두 나라 관계의 현재와 미래를 조명한다.[7]
3. 3. 베트남 전쟁과 국제 연대
방현석의 The Forms of Existence영어는 한국의 베트남 전쟁 참전으로 야기된 베트남과 한국의 문제적 관계에 대해 "문학을 통해 해답"을 찾으려는 시도이며, 과거뿐만 아니라 두 나라 관계의 현재와 미래를 조명한다.[7]2005년 서울신문과의 인터뷰에서 한일 관계와 한-베트남 관계에 대해 질문을 받았다. 이때 방현석은 베트남 전쟁의 궁극적인 책임은 미국에 있지만, 참전한 대한민국 국군 군인들 역시 강제적으로 전장에 내몰린 피해자이며, 베트남과 참전 군인들에게 대한민국 정부가 공식적으로 사과하고 배상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과거 대한민국 국군이 주둔했던 베트남 중부에 병원과 학교를 짓는 것은 아직 부족하지만, 조금씩 진전되고 있으며, 일본 우익과는 다르다고 주장했다.[18]
4. 정치적, 사회적 주장 및 활동
2005년 서울신문과의 인터뷰에서 한일 관계와 한-베트남 관계에 대한 질문에, 베트남 전쟁의 궁극적인 책임은 미국에 있지만 참전한 대한민국 국군 군인들 역시 강제적으로 전장에 내몰린 피해자이며, 베트남과 참전 군인들에게 대한민국 정부가 공식적으로 사과하고 배상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과거 대한민국 국군이 주둔했던 베트남 중부에 병원과 학교를 짓는 것은 아직 부족하지만, 조금씩 진전되고 있으며, 일본 우익과는 다르다고 주장했다.[18]
5. 수상 경력
6. 작품 목록
방현석 작가의 작품은 크게 단편집, 장편 소설, 에세이로 나눌 수 있다. 대표적인 단편집으로는 《내일을 여는 집》, 《랍스터를 먹는 시간》이 있으며, 장편 소설로는 《십 년 간》, 《당신의 왼편》이 있다. 《아름다운 저항》, 《하노이에 별이 뜨다》 등 에세이도 집필했다.
6. 1. 단편집
- 《내일을 여는 집》(1991)
- 《랍스터를 먹는 시간》(2003)
6. 2. 장편 소설
- 《십 년 간》(1995)
- 《당신의 왼편》(2000)
6. 3. 에세이
- 《아름다운 저항》(1999)
- 《하노이에 별이 뜨다》(2002)
6. 4. 번역 작품
- 새벽에 전쟁터로 (2013)
- 랍스터 먹을 시간 (2016)
- Sapa|사파에서vi 김선아 역, 문학동네, 2020년 4월 [1]
참조
[1]
웹사이트
Author Database - Korea Literature Translation Institute
http://klti.or.kr/ke[...]
2013-09-03
[2]
웹사이트
Naver Search
http://people.search[...]
Naver
2013-12-13
[3]
웹사이트
Author Database - Korea Literature Translation Institute
http://klti.or.kr/ke[...]
2013-09-03
[4]
웹사이트
Naver Search
http://people.search[...]
Naver
2013-12-13
[5]
서적
Off to Battle at Dawn
ASIA Publishers
[6]
서적
Korean Writers The Novelists
https://archive.org/[...]
Minumsa Press
[7]
서적
Korean Writers The Novelists
https://archive.org/[...]
Minumsa Press
[8]
서적
《韩国现代小说选》
人民文学出版社
2009
[9]
웹사이트
パン・ヒョンソク|プロフィール|HMV&BOOKS online
https://www.hmv.co.j[...]
株式会社ローソンエンタテインメント
2023-02-05
[10]
웹사이트
온양방씨 근현대인물(1900년대 - 현재)
http://postmaster.on[...]
온양방씨중앙종친회
2023-02-04
[11]
웹사이트
방현석 작가, 문학진흥정책위원회 2기 위원에
https://www.iusm.co.[...]
2020-03-29
[12]
웹사이트
중앙대학교 문예창작전공
http://creativewriti[...]
2023-02-04
[13]
웹사이트
비평 “최악의 조건, 최상의 희망” - 방현석 ‘새벽출정’
https://news.kbs.co.[...]
2021-07-04
[14]
웹사이트
노동자의 책 : 노동>한국노동운동 : 아름다운 저항(방현석)
http://www.laborsboo[...]
2023-02-04
[15]
웹사이트
수배 노동 운동 작가 방현석씨 구속
https://www.joongang[...]
1992-04-26
[16]
웹사이트
대한민국 대표문학상 수상 작가를 찾아서 ⑲ 방현석
http://monthly.chosu[...]
2014-04-25
[17]
웹사이트
방현석 신작 소설 ‘사파에서’…베트남 북서부 사파시 ‘사랑시장’ 무대
http://www.insidevin[...]
2020-10-30
[18]
웹사이트
‘베트남 이해 젊은작가 모임’ 방현석교수
https://www.seoul.co[...]
2005-04-14
[19]
웹인용
방현석
http://people.search[...]
네이버 인물검색
2014-09-18
[20]
뉴스
동리목월문예창작대학, 방현석 소설가 특강
http://www.anewsa.co[...]
아시아뉴스통신
2013-05-19
[21]
웹인용
방현석
https://terms.naver.[...]
2014-09-18
[22]
문서
중앙대학교 홈페이지 - 문예창작전공
http://www.cau.ac.kr[...]
20140111202526
[23]
웹인용
한국현대문학대사전 - 존재의 형식
https://terms.naver.[...]
서울대학교출판부
2014-09-18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