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백성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백성기는 대한민국의 재료공학자이다. 서울대학교 금속공학과를 졸업하고 코넬 대학교에서 재료공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한국과학기술연구소, 오크리지 국립연구소 등에서 연구원으로 활동했다. 1986년 포항공과대학교 교수로 부임하여, 신소재공학과 주임교수, 부총장, 포항가속기연구소 소장, 총장을 역임했다. 한국세라믹학회 회장, 미국세라믹학회 Fellow, Journal of Materials Research Principal Editor 등을 역임하며 학술 활동을 펼쳤으며, 고기능성 세라믹 재료, 강유전체 나노, 박막재료 등을 연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포항공과대학교 총장 - 김호길
    대한민국의 물리학자이자 교육자인 김호길은 한국 최초의 가속기물리학자로서 포항공과대학교 초대 총장을 역임하며 연구 중심 대학 시스템 구축과 포항방사광가속기 건설을 주도하여 한국 과학기술 교육 발전과 기초과학 역량 강화에 기여했다.
  • 포항공과대학교 총장 - 박찬모
    박찬모는 서울대학교 화학공학과를 졸업하고 메릴랜드대학교에서 공학 석박사 학위를 받은 대한민국의 공학자이자 교육자로, 포항공과대학교 컴퓨터공학과 교수 및 총장, 한국연구재단 이사장, 대통령실 과학기술특별보좌관을 역임하고 현재 평양과학기술대학 명예총장으로 재직 중이다.
  • 포항공과대학교 - 포항가속기연구소
    포항가속기연구소는 경상북도 포항시에 위치한 연구기관으로, 방사광가속기를 이용한 연구 지원, 대한민국 최초 방사광가속기 PLS-I 건설 및 운영, PLS-II와 PAL-XFEL 구축을 통해 과학기술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 포항공과대학교 - 아시아연구네트워크
    아시아연구네트워크는 2003년 한양대학교와 이화학연구소의 워크샵을 시작으로 설립되어 퓨전테크놀로지센터에 위치하며, 교육과학기술부와 서울특별시의 지원, 삼성전자 등 국내외 기관 참여하에 나노공학 학술 활동 및 인턴십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융합형 학문 분야를 연구한다.
  • 포항공과대학교 교수 - 박이문
    박이문은 대한민국의 철학자, 시인, 문학 평론가로, 서울대학교 등에서 수학하고 이화여자대학교 등에서 교수로 재직했으며, 실존주의 문학 평론과 프랑스 문학 번역, 다수의 저서 출간 등의 활동을 하다가 2017년에 사망했다.
  • 포항공과대학교 교수 - 여명숙
    여명숙은 철학 박사 학위를 취득한 IT 융합 전문가이자 전 공무원으로, 게임물관리위원회 위원장과 미래창조과학부 문화창조융합본부장을 역임했으며 현재 유튜브 채널 운영 및 국민의힘에서 정치 활동을 하고 있다.
백성기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포스텍 제5대 백성기 총장
이름백성기
원어명白聖基
출생지대한민국 경기도 수원
국적대한민국
직업교육인
학력
학력수원고등학교 졸업
서울대학교 금속공학과 졸업
카이스트 재료공학 석사
미국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재료공학 박사
경력
경력한국과학기술원 조교수, 부교수, 교수
한국과학기술원 대외협력처장
한국과학기술원 교무처장
포항공과대학교 제5대 총장
한국연구재단 이사장
한국공학한림원 부회장
소속
소속한국과학기술원
포항공과대학교
한국연구재단
한국공학한림원
기타
웹사이트백성기 관련 웹사이트

2. 학력

3. 약력

연도직책
1974년 ~ 1976년한국과학기술연구소(KIST) 연구원[2]
1981년 ~ 1983년코넬 대학교 박사 후 연구원
1983년 ~ 1986년오크리지 국립연구소(Oak Ridge National Laboratory) 연구원[2]
1986년 ~ 현재포항공과대학교 재료공학과(현 신소재공학과) 교수[2]
1987년 ~ 1988년포항공과대학교 재료공학과(현 신소재공학과) 주임교수[2]
1998년 ~ 2000년포항공과대학교 부총장[2]
2000년 ~ 2004년포항가속기연구소 소장[2]
2007년 ~ 2011년포항공과대학교 총장[2]


4. 학술 활동

기관/학회역할 및 활동
한국세라믹학회평생회원, 회장(2009년 ~ ), 평의원, 이사, 대구경북지부장, 수석편집위원장 역임
미국세라믹학회회원(1981년 ~ ), Fellow(1999년 ~ )
미국재료학회회원(1984년 ~ ), Principal Editor (Journal of Materials Research, 1997년 ~ 2003년)
World Academy of Ceramics회원(1994년 ~ )
한국공학한림원정회원(2002년 ~ )
International Symp. on Integrated ferroelectricsInt’l Advisory Board (1998년 ~ 2001년, 2004년 ~ )
Ceramics InternationalEditorial Board (2003년 ~ )
기타 학술 활동Program Chair, International Symposium on Integrated Ferroelectrics, 2004년, 2005년
Program Chair, 2nd Korea-Slovenia Joint Workshop on Advanced Materials, 2004년
Chair, 9th International Conf. on Synchrotron Radiation Instrumentation, 2006년
기타 학술 활동Co-chair, 6th Korea-Japan Conference on Ferroelectricity, 센다이, 2006년
기타 학술 활동Chair, 강유전연합심포지움, 무주, 2004년, 2005년, 2006년


5. 주요 연구분야

고기능성 세라믹 재료 개발, 강유전체 나노, 박막재료 개발 및 응용, Microwave 유전재료 개발과 방사광 응용 신소재 개발 및 분석을 주로 연구한다.[3]

이 분야에서 150편이 넘는 국제 저널 논문을 발표했으며 13개의 특허를 보유하고 있다. 2004년에는 International Symposium on Integrated Ferroelectrics에서 우수공적상을 수상했으며, 1994년에는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과총)에서 우수논문상을, 1991년에는 한국세라믹학회에서 학술진보상을 수상하는 등 해당 분야에서 우수한 성과를 인정받았다.[3]

참조

[1] 웹사이트 국가교육과학기술자문회의 홈페이지 http://www.pacest.go[...]
[2] 뉴스 (제목 없음) http://news.naver.co[...] 연합뉴스 2007-07-26
[3] 웹사이트 포스텍 총장실 홈페이지 http://www.postech.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