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백제 오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백제 오부는 백제의 관직 체계와 관련된 내용을 다룬다. 백제 왕족은 부여씨였으며, 국왕은 어라하, 일반 백성은 건길지로 불렸다. 온조왕 이후 좌보와 우보가 설치되었으나, 고이왕 때 좌평으로 대체되었다. 고이왕은 260년 관제 개혁을 통해 16관등제와 6좌평을 시작했으며, 262년에는 율령 법전을 제정하고 관복 색깔을 규정했다. 16관등은 좌평, 솔, 덕 등으로 구성되었으며, 6좌평은 상좌평, 병관좌평, 내신좌평 등으로 구성되어 각기 다른 역할을 담당했다. 특히, 상좌평 선출 방식은 특이한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백제의 행정 구역 - 진평군
    진평군은 백제가 요서 지역을 점령했다는 주장의 근거로 제시되는 군의 이름으로, 중국 남조 역사서에 관련 기록이 남아있지만 사료 신뢰성과 국제 관계에 대한 논쟁이 있어 학계에서 의견이 분분하다.
백제 오부

2. 백제의 왕족과 왕호

부여씨(扶餘氏)는 백제의 왕족 성씨였다. 국왕은 어라하(於羅瑕)라는 고유 칭호를 사용했는데, 이는 '가장 큰 지배자'를 의미한다. 일반 백성들은 국왕을 건길지(鞬吉支)라고 불렀으며, 왕비는 어륙(於陸)이라고 칭했다. 태자(太子)라는 칭호는 다른 동아시아 국가들과 달리 황제의 아들에게 주어졌는데, 다른 국가에서는 보통 황태자를 의미했다.[3][4][5] 한편, 왕(王)이라는 칭호는 고조선 멸망 이후 등장한 여러 국가, 즉 부여, 고구려, 백제, 신라, 발해, 고려 등에서 사용된 중국식 군주 칭호였다.[6][7]

3. 초기 백제의 관직 (기원전 18년 ~ 260년)

온조왕이 백제를 건국한 후, 초기 관직으로 좌보(左輔)와 우보(右輔)를 두었다. 이 두 관직은 백제 건국 초부터 200년 이상 유지되었다.

'보'(輔)라는 명칭을 가진 관직은 고구려신라뿐만 아니라 중국 역사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중국에서는 좌보가 왕을 보좌하는 사린(四隣) 중 하나였으며, 태자의 고문 역할을 하기도 했다. 한나라 시대에는 수도의 행정과 방어를 담당하는 좌보, 우보, 경보(京輔)가 있었다. 고구려에는 좌보, 우보, 대보(大輔)가 있었는데, 대보는 상징적인 역할에 가까웠고 좌보와 우보는 정치와 국방에 참여하는 재상과 비슷한 역할을 수행했다. 신라에서는 왕의 고문 역할을 하는 대보가 있었으며, 이 직책을 처음 맡았던 탈해, 호공, 알지는 모두 신라 외부에서 온 인물들이었다.[8]

백제에서는 건국자인 온조왕과 그의 아들 다루왕의 재위 기간 동안 좌보와 우보에 대한 기록이 다섯 차례 나타난다. 이후 약 200년간 기록이 없다가 제8대 왕인 고이왕 때 두 차례 다시 언급된다. 고이왕은 을음(乙音)을 우보로 임명하여 왕을 보좌하게 했다.[9]

고이왕 이후 우보는 주로 국방과 군사 관련 업무를 담당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이 시기 역사 기록에는 이름 앞에 동부(東部)나 북부(北部) 같은 직책이 붙은 인물들이 등장하는데, 이들은 수도 주변에 배치되어 북쪽의 낙랑군이나 동쪽의 말갈 세력에 맞서 수도를 방어하는 역할을 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한나라가 수도 방어를 위해 설치했던 삼보(三輔)와 유사한 형태이다. 당시 고구려의 좌보와 우보 역시 백제의 그것과 비슷한 역할을 수행했다.

좌보와 우보 직책은 고이왕이 260년에 정치 체제를 개혁하면서 새롭게 설치된 좌평 관직에게 그 역할을 넘겨주고 폐지되었다.[10]

4. 고이왕의 관제 개혁 (260년 ~ 262년)

260년, 백제고이왕은 국가 통치 체제를 정비하기 위한 개혁을 단행하여 16관등제와 6좌평 제도를 도입하였다. 이어서 262년에는 율령을 반포하고 관리들의 등급에 따라 관복의 색깔을 구분하는 규정을 마련하였다.[11]

4. 1. 16관등제

백제고이왕은 260년 정치 체제를 개혁하여 16관등제와 6좌평 제도를 시작했다. 이어 262년에는 율령을 반포하고 관등에 따른 관복의 색깔을 규정했다. 가장 높은 1~6관등은 자색(紫色) 옷을 입고 관에 은꽃(銀花) 장식을 꽂도록 했으며, 7~11관등은 비색(緋色, 붉은색), 12~16관등은 청색(靑色) 옷을 입도록 정했다.[11]

'''16관등제'''의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16관등제
관등명칭
1관등좌평(佐平)
2관등달솔(達率)
3관등은솔(恩率)
4관등덕솔(德率)
5관등한솔(扜率)
6관등나솔(奈率)
7관등장덕(將德)
8관등시덕(施德)
9관등고덕(固德)
10관등계덕(季德)
11관등대덕(對德)
12관등문독(文督)
13관등무독(武督)
14관등좌군(佐軍)
15관등진무(振武)
16관등극우(克虞)



'''좌평(佐平)'''은 1관등으로, 정부의 주요 업무를 나누어 맡는 6명의 최고 관직이다. 삼국유사에 따르면,[12] 사비 시대 백제의 최고 대신인 상좌평(上佐平)은 독특한 방식으로 선출되었다고 한다. 여러 후보자의 이름을 호암사(虎巖寺) 근처 천정대(天政臺) 아래 바위에 적어두었다가 며칠 뒤 바위를 옮겨, 특정 표시가 나타난 이름의 후보자를 새로운 상좌평으로 삼았다는 것이다. 이것이 제비뽑기와 같은 방식이었는지, 혹은 귀족 세력 간의 합의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의식이었는지는 명확하지 않다.

6좌평의 종류와 역할은 다음과 같다.

6좌평의 종류와 역할
좌평 명칭담당 업무
상좌평(上佐平)국정 총괄 (오늘날의 국무총리와 유사)
병관좌평(兵官佐平)국방 및 군사 업무
내신좌평(內臣佐平)왕명 출납 등 왕실 내부 업무
내두좌평(內頭佐平)국가 재정 담당
내법좌평(內法佐平)의례, 제사 등 예법 관련 업무
위사좌평(衛士佐平)궁궐 수비 및 왕의 호위
조정좌평(朝廷佐平)법률 및 형벌 관련 업무


4. 2. 6좌평 제도와 상좌평 선출 방식

260년, 백제고이왕은 정치 체제를 개혁하며 16관등제와 함께 6좌평 제도를 시작했다.[11] 16관등 중 최고위직인 좌평은 총 6명으로 구성되어 정부의 주요 업무를 나누어 맡았다.

좌평 명칭담당 업무
상좌평(上佐平)최고 대신 (수상 격)
병관좌평(兵官佐平)국방 업무 (국방부 장관 격)
내신좌평(内臣佐平, 內臣佐平)왕명 출납 및 내부 업무 (내무부 장관 격)
내두좌평(內頭佐平)재정 업무 (재무부 장관 격)
내법좌평(內法佐平)의례 및 교육 업무 (의례부 장관 격)
위사좌평(衛士佐平)왕궁 수비 업무 (왕실 경호대 장관 격)
조정좌평(朝廷佐平)형벌 및 법률 업무 (법무부 장관 격)



특히 삼국유사에 따르면,[12] 사비 시대 백제의 최고 대신인 상좌평은 독특한 방식으로 선출되었다고 한다. 여러 후보자의 이름을 호암사 근처 천정대 아래의 바위에 적어두었다가 며칠 뒤 바위를 옮겨, 특정 표시가 나타난 이름의 후보자를 새로운 상좌평으로 선출했다는 것이다. 이것이 제비뽑기와 같은 방식이었는지, 혹은 귀족 세력 간의 합의를 통한 은밀한 선택이었는지는 명확하지 않다.

참조

[1] 문서 Paekche of Korea and the origin of Yamato Japan
[2] 문서 Nihon Shoki
[3] 서적 백제사 (History of Paekje) 2005
[4] 간행물 백제왕칭어에 대하여: 어라하 , 건길지 , 구드래 , 구다라를 중심으로 (Concerning the title of Baekje's rulers: Ŏraha, Kŏgilji, Kudŭrae and Kudara) 1973
[5] 서적 백제어 연구 II (Study of Pakeje Language II) 백제문화개발연구원 1989
[6] 서적 백제어 연구 III (Study of Paekje Language III) 백제문화개발연구원 1994
[7] 간행물 존칭의 비(卑)칭화에 대하여 (Concerning honorific titles and humble names) 1998
[8] 논문 The Jwabo (左輔) and Ubo (右輔) of Baekje http://scholar.dkyob[...] 2017-07-20
[9] 논문 The Jwabo (左輔) and Ubo (右輔) of Baekje http://scholar.dkyob[...] 2008
[10] 논문 The Jwabo (左輔) and Ubo (右輔) of Baekje http://scholar.dkyob[...] 2008
[11] 문서 Samguk Sagi Scroll 24
[12] 서적 Samguk Yusa: Legends and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 of Ancient Korea Silk Pagoda 20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