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학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백학림은 평안남도 출신으로, 일제강점기 한국 독립 운동 유격대에서 활동했으며, 광복 후 조선인민군에서 복무하며 소장, 중장, 차수로 진급했다. 그는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위원, 인민무력부 부장, 사회안전부 부상, 인민보안부 부장을 역임했으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을 여러 차례 지냈다. 2006년 뇌출혈로 사망했으며, 김정일이 조화를 보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동북항일연군 관련자 - 김일성
김일성은 김성주라는 본명으로 1930년대 항일 무장 투쟁을 했고, 소련의 지원을 받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수립하여 통치했으며, 한국 전쟁을 일으키고 주체사상을 내세워 독재 체제를 강화하고 개인 숭배를 조장한 정치인이다. - 동북항일연군 관련자 - 김책
일제강점기 항일 무장 투쟁가이자 북한의 군인, 정치인인 김책은 만주에서 항일 투쟁 후 소련에서 김일성과 함께 활동했으며, 해방 후 북한 건국에 참여하여 부수상 겸 산업상, 한국 전쟁 전선사령관을 역임했고 사후 공화국영웅 칭호를 받았다. - 조선인민군 차수 - 최룡해
최룡해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으로,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부위원장, 국무위원회 제1부위원장,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했으며, 김일성종합대학에서 정치경제학을 전공하고 김일성사회주의청년동맹에서 정치 경력을 시작했다. - 조선인민군 차수 - 김정각
김정각은 김일성군사종합대학을 졸업하고 조선인민군에서 주요 직책을 역임한 북한의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김정은 체제 초기 권력 공고화에 기여했으나 부침을 겪으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정치국 위원 등을 지냈다. - 평안남도 출신 - 송종의
송종의는 1941년 평안남도 중화군 출생의 대한민국 법조인으로, 검사로 재직하며 서울지방검찰청 검사장, 대검찰청 차장검사 등 요직을 역임하고 법제처장을 지냈으며, 베트남 전쟁 참전, 밤나무 심기, 천고법치문화재단 설립 등의 활동을 했으나 인혁당 사건, 민청학련 사건, 노무현 전 대통령 구속영장 청구 결재, 형제복지원 사건 조사 거부 등 여러 논란에도 연루되었다. - 평안남도 출신 - 김형직
김형직은 한국의 독립운동가이자 김일성의 아버지로, 조선국민회에 참여하고 만주에서 독립운동을 전개했으며, 북한에서는 항일 독립운동 지도자로 추앙받지만 반공주의적 성향을 가졌다는 증언도 있다.
백학림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출생 | 1918년 10월 |
출생지 | 헤이안남도 (평안남도), 일본 제국, 한국 |
사망 | 2006년 10월 5일 (향년 87–88세) |
이름 | |
한글 | 백학림 |
한자 | 白鶴林 |
로마자 표기 | Baek Hak-rim |
조선어 신철자법 | Paek Hangnim |
군사 경력 | |
소속 | 조선인민군 |
복무 기간 | 해당 정보 없음 |
계급 | 차수 |
수상 | |
훈장 | 김일성훈장 |
영예 칭호 | 공화국영웅 (2회) |
메달 | 제2차 세계 대전 승전 60주년 기념 메달 |
2. 생애
백학림은 평안남도 출신으로, 1945년 이전 한국 독립 운동에 참여한 유격대원이었다. 해방 이후 조선인민군에 합류하여 군 복무를 시작했고, 1950년에는 조선로동당 정치학교를 졸업했다.[3] 2006년 10월 5일 뇌출혈로 사망했으며, 다음 날 김정일이 그의 장례식에 조화를 보냈다.[1]
2. 1. 항일 투쟁과 군 경력
백학림은 평안남도에서 태어나 1945년 이전 한국 독립 운동의 유격대에서 복무했다. 그는 독립 후 조선인민군에서도 복무했으며, 1958년 소장, 1962년 중장으로 진급했다. 1962년 인민무력부 정치보위국 국장에 임명되었고, 같은 해 중장으로 진급했다. 1970년 3월 사회안전부 부상으로 임명되었다.[3] 1970년 11월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되었고, 1978년 8월 인민무력부 부장에 임명되었다. 1992년 차수로 진급했다.그는 4차 (1967년), 7차 (1982년), 8차 (1986년), 9차 (1990년), 10차 (1998년), 11차 (2003년) 선거에서 최고인민회의 대의원으로 선출되었다. 1970년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에 합류하여 1980년부터 지속적으로 활동했다. 2000년 4월 인민보안부 부장에 임명되었으며, 2003년 7월까지 그 직을 맡았다.[1]
2. 2. 정치 경력
백학림은 평안남도 출신으로, 1945년 이전 한국 독립 운동의 유격대에서 활동했다.[3] 독립 후에는 조선인민군에서 복무하며 1958년 소장, 1962년 중장으로 진급했다. 같은 해 인민무력부 정치보위국 국장으로 임명되었다.[3] 1970년 3월에는 사회안전부 부상이 되었고,[3] 11월에는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되었다. 1978년 8월에는 인민무력부 부장에 임명되었으며, 1992년에는 차수 계급으로 진급했다.[3]백학림은 1967년 제4차, 1982년 제7차, 1986년 제8차, 1990년 제9차, 1998년 제10차, 2003년 제11차 최고인민회의 선거에서 대의원으로 선출되었다. 1970년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에 합류한 이후 1980년부터는 중앙위원회에서 지속적으로 활동했다. 2000년 4월 인민보안부 부장에 임명되어 2003년 7월까지 재직했다.[1]
다음은 백학림의 주요 정치 경력을 정리한 표이다.
연도 | 직책 |
---|---|
1961년 | 사회안전성 부상, 인민무력성 정치안전국 국장 |
1973년 | 사회안전부 부부장 |
1980년 |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정치국 위원 |
1985년 | 사회안전부 부장, 대장 |
1992년 | 차수 |
1999년 9월 5일 | 국방위원, 사회안전상 |
2003년 7월 | 인민보안성 해임 |
2. 3.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백학림은 1967년 제4차 최고인민회의 대의원을 시작으로, 제7차 (1982년), 제8차 (1986년), 제9차 (1990년), 제10차 (1998년), 제11차 (2003년) 최고인민회의 대의원으로 선출되었다.[3] 1970년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되어 1980년부터 해당 기구에서 지속적으로 활동했다.[1]2. 4. 사망
백학림은 2006년 10월 5일 오후 2시에 뇌출혈로 사망했다.[1] 다음 날 김정일이 그의 장례식에 조화를 보냈고,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그를 찬양하는 부고가 배포되었다.3. 저술 활동
- 백학림, 《항일 유격대의 회고록》 (평양: 외국어출판사, 1968), 〈볶은 쌀가루 한 그릇〉. OCLC 3207400.
- 백학림, 《그는 인민의 자유와 해방을 위하여 혁명을 이끈다》 (평양: 외국어출판사, 1977), 〈고향으로 가는 길에〉. OCLC 6198041.
참조
[1]
웹사이트
cybernk
http://www.cybernk.n[...]
2021-08-06
[2]
웹사이트
북한지역정보넷
http://www.cybernk.n[...]
2021-08-06
[3]
서적
North Korea Under Kim Chong-il: Power, Politics, and Prospects for Change, p. 23
https://books.google[...]
[4]
웹사이트
백학림 (白鶴林)PAEK Hak Rim
https://www.yna.co.k[...]
連合ニュース(朝鮮語)
2022-07-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